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소득층의 정주 지속성과 주택협동조합에 관한 연구

        공윤경(Yoon-Kyung Ko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5 문화 역사 지리 Vol.27 No.2

        본 연구는 마을공동체에서 자생적으로 형성된 ‘대연우암씨알주택협동조합’을 사례로 공동체와 주택협동조합의 역할과 의미를 조사하고 에키스틱스의 5가지 요소인 인간, 사회, 자연, 네트워크, 구조물을 원용하여 저소득층의 정주 지속을 위한 대안적 모델로서의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대연우암씨알주택협동조합은 에키스틱스의 요소 중 인간, 사회, 네트워크 측면에서 정주 조건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거권 실현이라는 목표를 달성한 이후 주민 참여를 통한 경제적 자립과 주민들간의 유대를 이어가기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자연, 구조물 측면에서 대연우암씨알주택협동조합은 정주 조건 을 제대로 형성하지 못한 상황이었으며 토지 확보, 재원 마련을 위해 정부나 지자체의 직간접적인 지원이 필수적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주택협동조합이 저소득층의 정주 지속을 위한 대안적 모델이 되기 위해서는 첫째, 마을공동체를 통해 인간, 사회, 네트워크의 정주 요건을 갖추어야 하며 둘째, 개인의 재산 증식이나 투기 목적이 아니라 주거빈곤층의 주거권 실현 나아가 마을공동체 유지를 위한 목적으로 자연, 구조물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y as an alternative model for the residential sustainability of lower-income group focusing on Daeyeon-Wooam Ssial Housing Cooperative(DWSHC) in Busan. For the purpose, this study employs the basic elements(man, society, nature, network, shell) of Ekistics. It was revealed that DWSHC prepared the settlement ground from the man, society, network of Ekistics but that DWSHC needs a program to be financially independent and have close links with each other continually after the attainment of the housing right. Also it was examined that DWSHC did not prepare the settlement ground from the nature, shell of Ekistics.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 has to support DWSHC directly and indirectly in the securement of land and finances. Therefore when housing cooperative satisfies man, society, network through a community and gets over problems of nature, shell to fulfill the housing right and to maintain community rather than increase property of individual, housing cooperative will be an alternative model for the residential sustainability of lower-income group.

      • KCI등재

        농촌에서 도시로의 공간구조 변화와 특성

        공윤경(Yoon Kyung Ko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13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부산 북구 화명동을 대상으로 농촌에서 도시로의 전환에 따라 나타나는 공간구조의 변화 과정을 고 찰하고 화명동 내외부의 관점에서 획일화, 위계화 등 공간구조의 재구성에 따른 문제점과 특성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 다.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도시공간의 팽창으로 농촌에서 도시로 변한 화명동은 고유의 자연환경, 자연마을 등이 사 라지고 주거, 상업지역 등으로 바뀌었다. 이에 따라 역사적, 구체적 장소는 사라지고 개발과 발전이라는 명목 하에 전 국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아파트를 중심으로 연출되는 공간의 균질화와 획일화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주민들의 힘과 노력으로 지켜낸 화명동 고유의 역사와 관습, 기억과 흔적들 그리고 생태하천으로 변모시킨 대천천 등에서 화명동만 의 특이성을 드러내고 있었다. 또한 동질적인 농촌공간이었던 화명동은 아파트 공급주체와 규모, 산업시설의 종류와 분포, 주민들의 구성 등의 측면 에서 이질적이고 다층적인 도시공간으로 변하였으며 이는 공간뿐 아니라 주거, 교육, 문화 등의 세분화, 위계화를 야 기하고 있었다. 특히 대규모 아파트밀집지역으로 개발된 화명3동은 화명2동과 큰 격차를 드러냈으며 과거 중심지였던 화명2동은 주변화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화명2동에는 생태주거공동체와 교육문화공동체를 중심으로 살 기좋은 마을을 만들기 위한 주민들의 움직임과 노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spacial structure from rural space to urban space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of spacial restructure focusing on the Hwamyeong-Dong of Buk-gu in Busan. Hwamyeong-Dong has changed from rural area to urban area because of spacial expansion owing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 unique natural environment rural village etc. were disappeared and instead the apartment complex commercial building and so on were built. For this reason historic and concrete place were vanished and so the spacial homogenization and uniformization were formed centering around apartment complex. But the singularity of Hwamyeong-Dong exposes in the way that unique history custom and memory trace of Hwamyeong-Dong preserved through the support and effort of the residents and that the Daechen stream changed to ecological stream. In addition Hwamyeong-Dong altered heterogeneous multi-layered urban space from homogeneous rural space in terms of the apartment supply sectors and scale the distribution and kind of commercial facility residents `s composition. This has brought about the subdivision hierarchization of the space as well as the residence education culture. Especially Hwamyeong3-Dong that built to large scale apartment complex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Hwamyeong2-Dong. Hwamyeong2-Dong is marginalizing step by step. However It is found that the residents in Hwamyeong2-Dong are making an effort for liveable place with ecological residential community and educational cultural community as the center.

      • KCI등재

        1960년대 농촌 여가문화의 특성과 의미

        공윤경(Kong, Yoon-Kyu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8 한국민족문화 Vol.66 No.-

        본 연구는 윤희수의 『대천일기』를 사례로 1960년대 근대화 과정에 나타난 농촌마을의 여가문화를 다면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그 특성과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세시풍속과 관련한 여가문화의 경우, 개인은 휴식뿐만 아니라 가정의 건강과 안녕을 추구하였고 특히 농사일과 가사, 육아노동에 지친 여성들에게 여가는 힘든 노동의 공간을 벗어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했다. 그리고 집단적 여가문화인 봄놀이, 해치, 걸립을 통해 공동체의식을 강화하는 여가의 기능이 전승되고 있었다. 일상에서는 음주, 화투놀이와 같은 일탈의 여가활동을 행하기도 했지만 낮잠, 교제 · 만남, 신문읽기, 독서 등과 같은 여가활동은 휴식, 재충전, 친목 도모 그리고 때로는 정보 습득, 자기 계발을 위한 시간이었다. 1960년대 중반 이후 대중매체의 보급과 발전으로 텔레비전 시청, 라디오 청취, 직접적인 영화감상 등의 여가활동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정보 제공뿐만 아니라 새로운 문화를 접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여름휴가제 도입과 확산, 자동차 · 버스와 같은 교통수단의 발달 등의 영향으로 마을 물놀이 계층의 다양화, 해수욕장에서의 피서와 같은 변화가 생겨났다. 마을주변에서 행해지던 봄놀이는 상업화된 관광으로 확대되어 관광 횟수의 증가뿐만 아니라 주체, 대상, 목적, 관광지 등도 더욱 대중화, 다양화 되었다. 하지만 개인 · 가족 단위가 아니라 공동체 연대를 증진시키기 위한 단체, 마을 단위의 관광이 대부분이었다. 1960년대 농촌마을에서 전근대와 근대의 여가문화가 공존하고 있었으나 여전히 여가는 농사일의 일부라는 인식이 남아 있었다. 근대화,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었지만 대천마을 사람들은 여전히 농업에 기반을 둔 삶을 살아가고 있었고 마을 역시 전통적 공동체, 동성마을로서 존재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rom multiple aspects the rural leisure culture that appeared in the course of modernization in the 1960s through the case of Daecheon Diary by Yun Hui-su, so a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rural leisure culture in the 1960s. As for leisure culture related to the seasonal customs, individuals pursued the health and well-being of their family as well as relaxation through leisure activities. For women who were exhausted from farming, housework and child care labor, leisure was also an opportunity to escape from the space of labor. In addition, the function of leisure to strengthen community spirit was handed down through collective leisure culture such as Spring Plays, Haechi, and Geollip. While deviant leisure activities such as drinking and playing cards were carried out in the daily lives of the villages, leisure activities such as napping, socializing, reading newspapers and reading books were enjoyed for the purpose of relaxation, recharging, and promoting friendship and were sometimes used as time for acquiring information and self-development. Since the mid-1960s, the popularization and development of the mass media brought in leisure activities such as watching TV, listening to radio, and watching movies to the rural community, which paved the way for the villagers to acquire information and encounter new cultures. In addition, the introduction and spread of the summer vacation system and the development of the transportation means influenced the villagers, diversifying the class of people engaging in village water plays and encouraging summer vacation to beach. The Spring Plays, which were held around the village, were expanded to commercialized tourist attractions. Accordingly, the main agent, tourists, purpose, and sites of tourism were increasingly diversified and popularized. However, most of the tours were carried out by groups or the village to promote community solidarity, and not by individuals or families. Pre-modern and modern leisure culture coexisted in rural villages in the 1960s, but leisure was still perceived as part of farming. Modernization and urbanization were rapidly progressing, but residents in Daecheon village still led lives based on agriculture, and the village remained as a traditional community and a lineage village.

      • KCI등재

        해방촌의 문화 변화와 공간의 지속가능성

        공윤경 ( Yoon Kyung Kong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4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4 No.2

        해방촌은 광복, 전쟁 등을 계기로 귀환동포, 월남민, 피란민이 만든 무허가 주거지였으나 이농민, 미군에 이어 이제는 다양한 국적의 이주 외국인들이 함께 거주하는 공간이다. 본 연구는 해방촌을 사례로 월남민의 정착과 마을의 생성, 자력 재개발과 환경개선에 의한 공간의 재구성에 대해 살펴보고 대안운동, 공동체 활동, 외국인 유입 등 최근에 나타난 다양한 문화적 변화에 대해 조사한다. 이를 통해 해방촌이 지속가능한 공간이 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2000년대 이전 해방촌의 변화는 생존을 위한 근본적인 변화이자 물리적 환경개선 중심의 변화였다. 주민들은 획일적인 재개발정책을 무산시키고 자력 재개발로 공간을 재구성하였다. 최근의 변화는 미시적이긴 하지만 삶의 질 (amenity)을 향상시키기 위한 변화이면서 문화의 다양한 측면을 보여주는 변화였다. 지속가능한 공간이 되기 위해, 해방촌의 역사성, 장소성을 고려하면서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이 일에 주민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빈집’, ‘남산골 해방촌’과 같이 자본이나 권력의 논리에서 벗어나 주민들이 주체가 되어 마을에 대한 관심과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자생적인 활동을 지속적으로 이어가야 할 것이다. Haebangchon(HBC) was illegal settlement that was made by returned compatriot and North Korean refugees taking the Liberation and War of Korea. But now the laborers, American soldiers and migrants of diverse nationality live together in that pl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thod for sustainable space on HBC. For the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spatial reconfiguration by North Korean refugees` fixing, HBC s formation, self-help redevelopment,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the cultural change by alternative movement, community activity, migrant`s inflow. The HBC` change before the 2000`s was a fundamental change for the human life and a spatial change focusing physical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The residents resisted uniform redevelopment policy and made self-help reconstruction. Although recent change is a microscopical change, that was a change for amenity and a change that has exhibited cultural multiplicity. For sustainable space, it has to consider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placeness of HBC on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the residents must participate environmental improvement to inspire the attachment and owner spirit about HBC. Also the residents must take the initiative in having an interest in community and doing continuously autogenous activity for the community`s vitality by getting out of the capital and power like so ‘Binzib’, ‘Namsangol Haebangchon’.

      • KCI등재

        몰타의 역사문화자원과 도시경관 특성에 대한 연구

        공윤경 ( Kong Yoon Kyung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7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7 No.1

        본 연구는 몰타의 역사문화자원에 대해 고찰하고 종교, 문화를 통해 도시경관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몰타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제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몰타의 지리적 입지와 역사에 주목하여 몰타가 언어, 종교, 건축양식 등 문화를 수용하고 재구성하는 다양한 양상을 탐색한다. 몰타는 지리적, 역사적 조건으로 인해 열강의 침략과 지배를 받아왔으며 인종, 언어, 종교, 건축양식의 혼종을 바탕으로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였다. 대표적인 역사문화자원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거석신전, 지하신전, 도시 발레타이다. 언어에 나타난 특성은 유일성과 다양성으로서, 몰타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언어를 사용하는 유일한 유럽 국가이면서 아랍계 언어 중에서 유일하게 라틴문자를 사용한다. 언어의 다양성은 몰타에서 사용되는 언어와 도시이름에서 찾아볼 수 있다. 도시경관에서 가장 큰 특징은 여러 가지 건축양식과 문화들이 공존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이 중에서 문화의 다양성, 혼종성을 가장 잘 드러내는 것이 발코니였다. 도시경관의 두 번째 특징은 종교건축의 주도적 역할이었다. 360여 개의 성당은 랜드마크가 될 뿐만 아니라 스카이라인과 도시경관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Malta by investigat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of Malta and explicating the characteristics of Malta`s urban landscape in terms of religion and cultu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plores various ways Malta has accepted and reconstructed its culture, including its language, religion, and architecture style, by focusing on the geographical position and history of Malta. Due to its geographical and historical conditions, Malta had been subjected to invasions and domination of the powers and has also formed its unique culture based on a mixture of race, language, religion and architectural style. The representativ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of Malta are the Megalithic Temples, Hypogeum, and Valletta city listed in the UNESCO World Heritage. The languages used in Malta are characterized by uniqueness and diversity. Malta is the only European country that uses an Afro-asiatic language. Interestingly, Malti, the unique language of the Maltese is the only Semitic language written in Latin characters. The diversity of language in Malta can be found in the various languages used by its people and in the names of cities. The most prominent feature of Malta`s urban landscape was that various architectural styles and cultures coexist. Among them, the architectural element of balcony best demonstrated the diversity and hybridity of Malta`s culture. The next significant feature of Malta`s urban landscape was that Catholic played a role as a leader of urban landscape. The 360 churches in Malta became a landmark and were a vital aspect that forms the skyline and cityscape of Malta.

      • KCI등재

        일본 후라노(富良野)와 비에이(美英)의 농업경관과 농촌관광

        공윤경 ( Kong Yoon Kyung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8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8 No.3

        여가시간 증가, 생활방식 및 환경인식의 변화 등으로 관광에 대한 욕구가 점차 다양화 되면서 농촌지역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농촌지역의 침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농촌의 문화와 자원을 이용한 농촌관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 후라노와 비에이를 사례로 농업경관의 변화와 특성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농촌관광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제고하고자 한다. 1950년대부터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하기 위해 라벤더 재배를 시작한 후라노는 화초류를 중심으로 화려하고 다채로운 경관을 연출한다. 그리고 비에이는 낮은 구릉지에 다양한 종류의 농작물이 식재되어 작은 헝겊조각을 이어 붙인 듯한 독특한 경관을 연출한다. 전형적인 농촌이었던 후라노와 비에이는 1970년대 후반 농업경관을 소재로 한 세 가지 사건(달력, 드라마, 사진집)을 통해 관광지로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이후 주민들과 정부의 노력으로 고령화, 농업인구 감소 등을 이겨내고 농업경관을 보존·육성함으로써 농업경관, 관광농업의 중심이 되었다. 최근 비에이에서는 농작물 수확체험, 수학여행 등을 유치하고 교육, 보건·의료, 마음수련 등 복지형 녹색관광을 시도하고 있다. Rural area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the desire for tourism is gradually diversified due to increased leisure time, change of lifestyle and environmental awareness. As a result, interest in rural tourism using the culture and resources of rural areas is increasing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downturn in rural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landscapes in Furano and Biei, Japan, and to raise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rural tourism. Furano began cultivating lavender for use as a raw material for cosmetics since the 1950s, and has created a colorful and diverse landscape centered on flowers. And Biei has a variety of crops planted in low hills, creating a unique landscape like patchwork. Furano and Biei, which were typical rural areas, began to be known as tourist destinations through three events(calendar, drama, photo book) based on agricultural scenery in the late 1970s. Furano and Biei became the center of agricultural landscape and tourism agriculture. It was because the people and the local government tried to overcome the aging and the decrease of the agriculture population and preserve and cultivate the agricultural landscape. In recent years, Biei has attracted farming harvesting experiences and school trips, and has been trying welfare-type green tourism such as education, healthcare, medical treatment and mind training.

      • KCI등재

        스페인 톨레도의 역사문화경관 특성과 활용

        공윤경 ( Kong¸ Yoon Kyung ) 한국사진지리학회 202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1 No.1

        이베리아반도 중앙에 위치한 톨레도는 과거 로마 제국의 군사도시, 서고트왕국의 수도, 이슬람 세력의 북부전진기지 그리고 카스티야왕국의 수도였던 곳이다. 본 연구는 스페인 톨레도를 사례로 역사문화경관의 특성과 활용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가 공존함으로써 문화·예술의 혼종을 유도하였다. 콘비벤시아는 각종 건축물에 모사라베 양식과 무데하르 양식으로 표현되었다. 둘째, 회당, 왕궁, 병원, 성(城) 등을 문화시설이나 숙박시설로 활용하였다. 이는 도시정체성 유지뿐만 아니라 도시의 가치 향상, 도시 재활성화에 기여하였다. 셋째, 역사문화경관의 관리, 주민 편의와 복리 증진을 위해 통합적 보호계획을 수립하고 기구를 설립하였다. 이와 같이 톨레도는 서로 다른 종교와의 공존을 통해 이루어낸 다양한 역사문화경관을 복원하거나 때로는 활용하면서 간직하였다. 따라서 오늘날 톨레도는 유럽의 여타 도시들과는 다른 독특하고 이국적인 중세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Toledo,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Iberian Peninsula, was formerly the military city of the Roman Empire, the capital of the Visigothic Kingdom, the northern forward base of the Islamic forces, and the capital of the Castile Kingdo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focusing on Toledo, Spai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nvivencia of Catholicism, I slam, and Judaism led to the hybridization of culture and art. Convivencia was expressed in the mozarabe style and mudejar style in various buildings. Second, synagogue, royal palace, hospital and old castle were used as cultural facilities or accommodation facilities. It contributed not only to maintaining urban identity, but also to improving the value of the city and revitalizing the city. Third, Toledo established an integrated protection plan and an organization to manag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and to promote the convenience and welfare of residents. In this way, Toledo preserved the various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achieved through coexistence with different religions, or sometimes utilized. Thus, today Toledo has been able to establish itself as a unique and exotic medieval city different from other European cities.

      • KCI등재

        농부의 일기를 통해 본 1950~1960년대 주거문화와 마을 특성

        공윤경(Yoon-Kyung Ko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7 문화 역사 지리 Vol.29 No.1

        본 연구는 전통사회에서 근대사회로의 과도기에 보이는 농촌의 주거문화와 마을 특성을 파악하고 그 의미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윤희수의 『대천일기』를 사례로 1950~1960년대 전통 농촌주거의 공간구성, 주택 수선과 세시의례 그리고 주거생활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마을개발사업, 주민들의 인식 등을 통해 농촌마을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윤희수家는 전통적인 농촌의 주거문화를 이어가고 있었고 특히 주택 수리와 관련한 세시의례는 1960년대 후반까지 유지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960년대 초반 ‘사랑채’, ‘사랑방’ 용어의 소멸,즉 주거공간에서 남녀유별사상에 대한 인식이 사라진 것은 큰 변화였다. 1960년대 후반부터 초가지붕이 부분적으로 기와로 개량되고 1970년 부엌, 우물, 변소 등에서 기능적, 위생적 변화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또한 대천마을에서는 개발 의지가 강한 지도자와 협조적인 마을공동체를 중심으로 마을 사업들이 활발하게 추진되어 1970년대 새마을운동으로 연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enhance the significance of residential culture and locality in rural area during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traditional society to modern society. To this aim, the study concretely investigates the spatial composition of traditional rural housing, housing repair, seasonal rites, residential life and also considers locality of rural area based on development projects and residents’s perception in the 1950s and the 1960s focusing Yoon Heesoo’ Deacheon Diary. It was found that the household of Yoon Heesoo generally maintained a traditional residential culture and especially seasonal rites related to housing repairs until the late 1960s. However a big change occurred in the early 1960s. The terms of ‘Sarangchae’ and ‘Sarangbang’ became extinct. In other words, the perception of segregation by sex applied to residential space disappeared. The roof material was partially replaced by a roofing tile since the late 1960s and the functional and hygienic changes started to appear in the kitchen, well, and toilet in 1970. In addition, centering around the leaders who had a strong will for development and the community that was cooperative, the Daecheon village actively carried out village projects, which led to Saemaeul Movement in the 1970s.

      • KCI등재

        다문화공간에 대한 이중적 시선과 차별화

        공윤경(Kong, Yoon-Kyu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3 한국민족문화 Vol.48 No.-

        본 연구는 공간적 관점에서 다문화공간의 형성, 분포, 특성을 살펴보고 인종, 민족, 국적 등의 차이가 다문화공간의 공간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다문화공간을 바라보는 차별적, 이중적 시선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다문화공간은 다양한 인종, 민족, 국적, 언어, 종교 등에 따라, 그리고 외국인 공동체의 사회자본에 따라 공간적으로 세분화, 개별화되고 있었다. 또한 우리사회의 차별과 편견 속에서, 지역적 특성을 보이면서 그 분포를 달리하고 있었다. 외부 세력에 의해 대중적인 장소성이 만들어지기도 하지만 외국인들은 특정 공간, 구체적 장소에 사회자본을 형성하고 새로운 장소성을 만들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국인들의 특정 공간 점유뿐 아니라 다른 외부의 힘과 관계망에 의해 공간의 성격은 변화되고 공간 구조는 재구성되고 있었다. 아울러 선망과 배제의 이중적 시선에 따라 또는 상품가치, 시장가치의 논리에 따라 다문화공간에 대한 양극화, 차별화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에스니시티와 초국가적 사회공간은 상품화되거나 주변화되고 있었다. 특히 주변화되고 있는 외국인 밀집지역에 대해서는 치안 유지와 더불어 슬럼화된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작업이 함께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문화공간은 아직 수용국 주도적인 위치에 있으며 외국인들의 태도는 대부분 수동적이었다. 따라서 다문화공간이 공생의 공간으로서 지속적으로 생성, 유지되기 위해서는 정체성, 문화 등 상호 인정을 위한 외국인들의 주체적, 실천적 행위와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first, examine the formation,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spaces while taking the approach of spatial point; second,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ifferences in race, ethnicity, nationality on the spatial structure of multi-cultural spaces; and next to, find out about the discriminative, dualistic viewpoint towards multi-cultural space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ulti-cultural spaces are spatially subdivided and individualized according to various races, ethnicities, nationalities, languages, religion and the social capital of the immigrants community as well. While faced with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they are also distributed differently and reflected regional characteristics. Moreover, it was revealed that the outside power built popular placeness or immigrants made social capital and new placeness in the definite space and specific place. In other word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re changed and spatial structures are reconstructed through immigrants possession on specific place, external forces and networks. In addition, according to dualistic eyes of envy and exclusion or depending on commercial value and market value, multi-cultural spaces are polarized and discriminated. The ethnicity and transnational social spaces accordingly have be commercialized or marginalized. Particularly,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concurrently maintain the public order in multi-cultural spaces that are being marginalized. Also receiving nation-state takes the lead still about multi-cultural spaces and immigrants take a passive attitude in Republic of Korea. Therefore in order to generate and maintain multi-culture spaces as symbiotic spaces continually, this study indicated that immigrants have to retain subjective activity and practical effort for the mutual recognition of identity and culture.

      • KCI등재

        소막마을의 변화와 주민들의 장소 인식

        공윤경(Kong, Yoon-Kyu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7 한국민족문화 Vol.63 No.-

        장소는 인간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물리적 공간이자 개인, 집단의 경험이 투영되어 특정 의미로 인식되는 구체적 공간이다. 또한 장소는 계급화된 사회에서 위계를 가지는 사회적 공간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부산시 남구 우암동 소막마을을 대상으로 피란민, 노동자들의 정착 그리고 이에 따른 소막마을의 형성과 변화, 주민들의 장소 인식 등을 살펴본다. 이를 통하여 인간과 장소 사이의 관계 그리고 장소 인식이 주민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 일제강점기 우암리에 이출우검역소가 건설되었고 이후 광복, 한국전쟁을 겪으며 귀환동포, 피란민들의 수용소가 되었다. 사람들은 집을 짓고 고치며 소유하는 과정을 통해 정착함으로서 자신들의 삶터로, 의미가 담긴 장소로 만들어갔다. 1960년대 이후 산업화, 공업화로 소막마을 주변에 많은 공장들이 들어서게 되자 노동자들의 유입이 급속도로 늘어났다. 이로인해 주거지는 마을 뒤편의 산비탈까지 확대되고 마을은 노동자들을 위한 배후주거지로 변하게 되었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공장들의 폐업, 이전으로 인구는 줄어들고 마을은 쇠퇴하고 있다. 검역소, 매축공사, 피란민수용소, 공장 등 권력이나 제도에 의한 강제적․강압적 배치는 공간에 기능을 부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인식적 측면에도 영향을 미쳐 배제와 차별 담론을 생성시키는 동기가 되었다. ‘적기수용소’에서 비롯된 ‘피란민촌’, ‘빈민촌’, ‘범죄자 동네’라는 장소 인식은 소문과 담론, 편견에 의해 고착되었고 고착된 인식은 마을을 지배하는 장소성이 되었다. 왜곡된 장소 인식은 마을에 대한 배제와 차별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였고 아울러 주민들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매개로 작동하고 있었다. 그러나 자신들의 삶의 장소에 부여된 왜곡된, 부정적인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한 주민들의 노력도 있었다. 주민 스스로 주체가 되어 혐오시설이었던 공동묘지를 이전하고 ‘도시숲’ 공원을 조성한 것이었다. 살아야만 하는 장소, 나의 삶터라는 인식이 존재하고 있었기 때문에 장소에 대한 의미전환을 시도할 수 있었다. Place is a physical space where human beings carry out their daily lives. It is also a specific space on which the experiences of an individual or group of people projected and thereby is perceived with a certain meani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omak Village in Uam-dong, Nam-gu, Busan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place, the influence of place cognitions on the residents of Somak Village.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the settlement of war refugees and laborers, the formation and changes of Somak Village, the residents’ place cognitions. The cow quarantines construc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the area of present-day Uam-dong, Busan) were turned into camps for the repatriated Koreans upon Korea’s independence from Japan and also for war refugees throughout the Korean War. In the course of building, repairing and owning houses, these people settled around these camps, made the place their home, a place with meaning. Since the 1960s, a lot of factories were built around the village with industrialization, which in turn, led to a rapid and increased influx of laborers. Consequently, the residential area expanded to the mountain slope on the rear side of the village and the village itself turned into a residential area for laborers. However, with the closing or relocation of factories since the 1990s, the population of the village is decreasing to its earlier state and the village itself is deteriorating. The forcible and coercive placement of quarantine stations, reclamation work, refugee camps, and factories by power or system not only assigned function to the space but also affected the residents’ cognitions of the place, and resultingly motivated the residents to generate a discourse of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The place cognitions of ‘refugee camp’, ‘gutter’ or ‘criminals’ neighborhood’ which had originated from ‘Akasaki(赤崎, literally meaning red peninsula) camp’ became fixed through rumors, discussions and prejudices. This fixed cognition became the locality that dominated the village. This distorted place perception reinforced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against the village and is working as a mediator of defining the identity of the residents. Nevertheless, the residents of Somak Village strived to change the distorted perception associated with their living space. They relocated the public cemetery, which had been viewed as an unpleasant facility, and created an ‘urban forest’ park. They were able to change the meaning of the space because they perceived the village as a place they must live, as their living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