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버스 외부 광고의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고한준(Han Jun Ko),노봉조(Brian B. Noh) 한국광고홍보학회 2008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0 No.1

        최근 몇 년 사이 옥외 광고나 인터넷 광고 등 BTL(Below the Line) 매체가 광고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버스 외부 광고는 2004년 7월 서울시 교통체계개편 이후 이용자수가 증가함에 따라 대표적인 옥외 광고 수단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버스 외부 광고가 다른 광고 매체와 비교하여 어느 정도의 접촉률을 나타내는지 살펴보고 버스 광고를 통해서 인지적 반응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소비자에게 어떤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50세 미만의 일반인 800명을 대상으로 면대면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버스 외부 광고는 TV 다음으로 두 번째로 높은 접촉률을 나타내었다. 또한 특정 제품군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적 반응이 형성되는 경로를 파악한 결과 버스 외부 광고는 TV와 케이블 TV 다음으로 높은 접촉률을 나타내었다. 한편 소비자는 버스 외부 광고가 구매에 대하여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거나, 버스 외부 광고가 눈에 잘 뜨이거나, 버스 외부 광고에 신뢰가 간다고 느끼면 느낄수록 버스 외부 광고의 인지적 효과를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비자는 버스 외부 광고에 대하여 주목도와 흥미도를 구매 영향력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버스가 시민의 수송을 분담하는 공공 교통수단으로서의 역할 이상으로 소비자의 지식이 형성되는 인지적 반응을 증가시키는 광고 매체의 기능 또한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Over the last few years, a relative importance of BTL(Below the line) advertising media, such as outdoor advertising or online advertising, has been increased in the field of Korean advertising. Exterior bus advertising also has established itself as one of the most prominent outdoor advertising media since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as to operate newly designed buses on the newly adjusted routes as of July 1, 2004. For this reason,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level of advertising exposure of exterior bus advertising with those of other advertising media as well as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consumers` brand awareness through exterior bus advertising.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800 respondents, ranged in age from 20 to 50. The original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via face-to-face survey in Seoul. This study showed that exterior bus advertising was a quite effective advertising medium, following television, for increasing consumers` brand awareness thanks to its high advertising exposure rates. On the other hand, it was also shown that consumers` beliefs toward exterior bus advertising as an advertising medium for brand awarenes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consumers` attention, credibility, interest, and purchase intention regarding exterior bus adverti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s that exterior bus advertising can play a significant role as an effective advertising medium comparing with both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medi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판매촉진이 매장 내 소비자에게 미치는 효과

        한광석(Kwang Seok Han),고한준(Han Jun Ko) 한국광고홍보학회 2007 한국광고홍보학보 Vol.9 No.2

        본 연구는 판매촉진의 효과를 단기적 효과뿐 아니라 장기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고객의 심리적 과정에 중점을 두는 커뮤니케이션 효과와 제품 판매량에 중점을 두는 마케팅 효과 두 차원에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판매촉진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장에서 유통되는 PB제품을 매장 내 POS 시스템을 통해 5개월간 제품 판매량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판매촉진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있어서 판매촉진에 대한 태도(Asp)가 구매의도 (PI)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통적으로 판매촉진은 단기적이며 즉각적인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쳐 단기적 판매와 이익의 증대를 위한 전술적 차원에서 추진되어온 지침의 변화를 알리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 있어 특히 주목할 것은 판매촉진에 대해 태도를 형성하고 브랜드 흥미(BI)를 느끼며 이를 통해 브랜드태도(Ab)가 형성되어 구매의사(PI)가 있음을 밝히고 있다. 즉, 판매 촉진이 기존 광고처럼 인지 단계나 태도 형성 단계를 거쳐 행동 단계에 이를 수 있어 판촉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또한 판매촉진의 마케팅효과에 있어서는 판매촉진이 중단된 이 후에도 경쟁제품과의 비교시 판매량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판매촉진이 장기적 효과와 마케팅 효과가 동시에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mmunication effects of sales promotion tool in terms of consumers` psychological process as well as to analyze marketing effects of sales promotion in terms of sales volume of a product. Actually, this study dealt with both long-term and short-term effects of sales promotion. In this study, three convenience stores, equipped with POS (point-of-sales) system, were selected to examine sales promotion effects on a PB (private brand) product. This study showed that sales promotion was quite effective in increasing sales of a PB product as a short-term marketing tool. Moreover, it was shown that sales promotion also formed attitudes toward sales promotion, brand interests, attitude toward brand, and purchase intention in order. That means sales promotion can play a significant role as an effective communication tool to increase sale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also showed long-term effects of sales promotion by comparing sales volume of a PB product, which provided incentiv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ith those of competitors` products, which did not adopt any sales promotion tool.

      • KCI등재

        온라인 게임 내 광고 (PPG)에 대한 효과 연구 : 게임에 대한 몰입 및 브랜드 배치에 따른

        이은주(Eun-Joo Lee),고한준(Han-jun Ko) 한국옥외광고학회 2009 OOH광고학연구 Vol.6 No.2

        온라인 게임과 오락은 정보 검색과 더불어 인터넷 사용의 주요 목적이 되었다. 지난 몇 년 동안 게임 산업이 급속하게 성장함에 따라 게임 내 광고인 PPG(Product Placement in Game)에 대한 관심 및 활용 또한 높아졌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게임 내 광고에 대한 효과를 소비자의 게임에 대한 몰입의 정도 와 PPG의 다양한 유형에 따라 분석해 보았다. 이 과정에서 총 80명의 피험자가 실제 온라인 게임을 실행한 뒤 게임 내에 설치된 브랜드에 대한 측정 문항에 응답하였다. 실험 결과 게임에 대한 몰입 수준이 높은 사용자보다는 낮은 사용자가 게임 내 브랜드를 더욱 많이 회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게임에 대한 몰입 수준이 높은 사용자가 낮은 사용자 보다 게임 내 브랜드 배치에 대해 보다 호의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서 소비자의 게임 내 브랜드 배치에 대한 태도는 게임 내 광고 효과 연구에서 광고에 대한 태도의 개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nline game and entertainment, as well as information search, have been one of the major reasons for using the Internet in Korea. As the Korean online game industry expands, interests toward PPG (Product Placement in Game) also have been increased. For this reas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PG on consumers in terms of consumers' flow in game and types of PPG. In this process, the total number of 80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after playing a real online game. In this study, the subjects with low flow in an online game showed higher brand awareness than those with high flow in the game. On the other hand, subjects with high flow in an online game showed higher brand attitude than those with low flow in the game. In addition to these results, this study also provided that consumers' attitude toward a brand in the online game can be applied as brand attitude in the tradition study of advertising effects.

      • KCI등재

        사회과학연구 : 광고의 시각적 요소 표현방식에 따른 광고효과; 시각적 요소의 기대불일치를 중심으로

        박혜연 ( Hye Youn Park ),고한준 ( Han Jun Ko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社會科學硏究 Vol.26 No.1

        시각적 요소는 소비자가 제일 먼저 주의를 기울이는 요소이다. 또한 독립적으로 중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요소이기도 하다. 하지만 지금까지 시각적 요소는 언어적 요소를 처리하는 보조적 역할로써 주로 다루어져 왔다. 그렇기 때문에 이전까지 시각적 요소의 광고 효과는 그 자체의 광고효과라기 보다 언어적 요소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보조적 도움에 따른 효과로서 인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각적 요소만의 광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표현 방식의 확대를 위해 기대불일치에 주목하였다. 기존의 기대불일치 효과에 관한 연구들은 관련성은 언어적 요소로 기대성은 시각적 요소로 각각 조작하였고 그 결과를 시각적 요소의 기대불일치 효과라고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결과를 시각적 요소와 언어적 요소의 상호작용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기대불일치를 효과적으로 조작하고 시각적 요소의 광고효과를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관련성을 “제품-소비자 관련성”으로 제한하였다. 연구결과 헤클러와 차일더(Heckler & Childers, 1992)가 제시한 것과 같이 “제품-소비자 관련성”이 높을 때 기대불일치의 광고 태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즉, 소비자는 광고를 보았을 때 기대 불일치한 시각적 이미지를 해석하기 위한 단서로써 “제품-소비자 관련성”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Visual elements are one of the first elements that can make consumers give attention to an advertisement. In addition, visual elements also play the central role independently. However, visual elements have been considered as the secondary factor to verbal elements in advertising. In other words, advertising effects of visual elements were just considered in terms of its supporting role for processing the verbal elements in advertising.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advertising effects of visual elements to the exclusion of verbal elements. This study focused on incongruity in order to expand the expression method of visual elements. Previous studies explained incongruity effect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aspects, relevancy and expectancy. This study assumed that the advertising effect of visual elements could be verified by controlling relevancy and expectancy of visual elements. For this objective, this study conducted a series of experiments with relevancy and expectancy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as well as the amount of cognition and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 as dependent variables. In this process, this study defined relevancy into the concept “brand-consumer relevanc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 with incongruity was higher in case that the level of “brand-consumer relevancy” was high. This indicates that “brand-consumer relevancy” affects consumers for interpreting the incongruent visual images of the advertisement. Therefore this results imply that there can be differences in advertising effect according to relevancy and expectancy of the advertisement. This study identified the differences in advertising effects only focusing on relevancy and expectancy of visual elements. Furthermore, this study provided a new standard of incongruity by suggesting the concept of brand-consumer relevancy.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the roles of visual elements in various types of advertising media.

      • KCI등재후보

        POP(Point-of-Purchase) 광고 유형 및 메시지 속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박종미(Jong-Mi Park),고한준(Han-Jun Ko) 한국옥외광고학회 2010 OOH광고학연구 Vol.7 No.4

        POP광고는 최종 구매 시점에 소비자가 만나게 되는 브랜드 접촉점 (Brand Contact Points)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소비자의 관심과 구매 행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주목 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POP 광고의 대표적인 유형 및 POP 광고 속성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표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실제 유통 매장에서 집행되고 있는 POP 광고를 분석하여 POP 광고의 유형은 어떻게 구분될 수 있는지를 파악하고 소비자가 인식하는 POP 광고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유통 매장에서 파악된 전체 400개의 POP 광고 중에서 편의품 매장에서 가장 많은 POP 광고가 집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제품 유형별로는 선매품 매장에서 제품 정보형 POP 광고가 가장 많이 집행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문품 매장에서는 광고 이미지형 POP 광고가 그리고 편의품 매장에서는 프로모션형 POP 광고가 가장 많이 집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유통 매장 내의 POP 광고는 판매되는 제품의 유형에 따라 이성 소구 (제품 정보형)와 감성 소구 (광고 이미지형) 그리고 이성과 감성의 복합적인 소구 (프로모션형)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소비자와의 상호 작용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소비자는 유통 매장 내의 POP 광고가 전달하는 메시지 속성 중 가격 할인이나 가격 표시 등과 같은 가격 관련 정보 및 덤증정이나 쿠폰과 같은 직접적인 구매 혜택 관련 메시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role of POP (point-of-purchase) advertising, as one of the brand contact points at the final time of purchase decision, has been highly regarded in the field of marketing communicati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POP advertising and to identify consumers’ perceived importance of the message contents of POP advertis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observed a variety of POP advertisements in several retail outlets and conducted surveys from participants who had actually experienced POP advertisements in the retail outlets.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number of POP advertisements in the stores of convenience goods was higher than the other types of stores.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information-oriented POP advertisements was highest in the stores of shopping goods. And the number of image-oriented POP advertisements was highest in the stores of specialty goods while the number of promotion POP advertisements was highest in the stores of convenience goods. Based on these results, POP advertising in retail outlets can be classified into information-oriented (rational approach), image-oriented (emotional approach), and both information/image oriented (dual approach) POP advertising. In addition, it was also shown that consumers tended to put more importance on price or benefit related information of POP advertising at the time of purchase in retail outl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