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지용 시의 연속과 단절 - 정지용 시에 나타난 한문학적 교양을 중심으로

        고재봉 국제비교한국학회 2022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30 No.3

        The theme of this study focused on what kind of the change aspect Jeong Ji-yong's poetry has been through based on the tradition of Classical literature. Generally, Jiyong's poetry has been described as writing traditional-oriented works in the late 1930s after undergoing modernism with a sophisticated sense. However, if we actually looking at Jiyong's early poems, expressions based on <The Book of Ode> were used, and the utilization of traditional image, which were the techniques of Tang-poetry, was also prominent in the progress of poetic sentiment. Therefore, it is reason- able to figure out Jeong Ji-yong's early and later works on a continuous line. Here, in partic- ular, one of his representative works, 「Jangsusan 1」, and one of the early works, 「Over the Mountain」, were compared, and then empirically looked into. Though, even if both Jiyong's early and late poems are recognized as continuity within the tradition of Chinese literature, there is a clear difference in the works of the two periods. Namely, the tradition of Chinese literature revealed in the early works was mainly inclined to the aspect of expression, and the aspect was not prominent either. However, in later works, the tradition of Chinese literature protrudes as the main skill governing the form and content of a work In particular, it is worth noting that the escapist sense of Tang-poetry is paired with the sentiment of modern disillusionment and transformed into a new form of poetry. It should be said that along with the strengthening of fascism in the 1930s, disappointment and dis- gust of modern civilization actively summoned the Chinese literary tradition inherent in Jiyong. Given that the process of fascination and disillusionment with modern times is shared with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of the Chinese literary tradition, Ji Yong's latertraditional-oriented poetry was able to get closer to the spirit of modern criticism advocated by modernist poetry. 이 연구의 테마는 정지용 시가 한문학적 전통을 바탕으로 어떠한 변모 양상을 거쳐왔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통상 지용의 시는 세련된 감각의 모더니즘시를 거쳐 193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는 전통 지향의 작품을 쓴 것으로 기술되어 왔다. 하지만 실제로 지용의 초기 시를 살펴보면 <시경>을 바탕으로 한 표현이 쓰였으며, 시상의 전개에 있어서도 당시(唐詩)의 기법인 의상과 의경의 활용이 도드라졌다. 그러므로 정지용의 초기 작품과 후기 작품은 연속선 상에서 파악해야 타당할 것이다. 여기서는 특히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장수산 1」과 초기에 창작된 소품 중 하나인 「산 넘어 저쪽」을 비교하여 이를 실증적으로 구명하였다. 하지만 비록 지용의 초기 시와 후기 시가 모두 한문학적 전통 안에서 연속성 상으로 파악된다고 할지라도, 두 시기 작품에는 명백한 차이가 존재한다. 즉 초기 작품에 서 드러난 한문학적 전통은 주로 표현의 측면에 경도된 것이고, 그 양상 역시 도드라진 것이 아니었다. 하지만 후기 작품에 있어서 한문학적 전통은 작품의 형식과 내용을 지배하는 주요 기재로 전면화 되어 돌출된다. 특히 중국 당시가 지닌 도피적 감각이 근대 환멸의 정서와 짝을 이루며 새로운 형태의 시로 변모하는 양상을 보이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1930년대 파시 즘의 강화와 함께 근대 문명에 대한 실망과 염오가 지용 안에 내재되어 있던 한문학적 전통을 적극적으로 소환하였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근대에 대한 매혹과 환멸이라는 양가적 상황이 한문학적 전통의 전면화와 궤를 함께한다는 점에서, 지용의 후기 전통 지향적 시는 모더니즘 시가 표방하였던 근대 비판의 정신에 일층 가까워질 수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만선일보》 소재 아동문학과 삽화가 만들어낸 국민 표상의 의미 연구

        고재봉 한국비평문학회 2022 批評文學 Vol.- No.85

        이 연구는 《만선일보》 소재 아동문학 텍스트 안에서 삽화가 어떻게 작동하여 의미를 구현하였는지에 대하여 밝힌 글이다. 이 연구가 특히 삽화에 주목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매체 안의 표상 시스템은 근대 국가 시스템의 중요한 요소로서, 국가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데 적극적으로 복무한다. 따라서 만주국의 기관지였던 《만선일보》의 삽화는 만주국이 조선인을 ‘국민’으로서 어떻게 호명하였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서에서는 민족적 기표가 도드라지는 삽화를 선정하여 그것이 아동문학 텍스트와 어떠한 관계를 맺는지에 주목하였다. 또한 아동문학 텍스트와 삽화의 의도가 서로 일치하지 않고 괴리되는 부분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발견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신문사가 만들어낸 삽화의 경우 조선인들이 지닌 국민으로서의 미달태를 드러내려 하였는데, 대표적으로 어린이를 근대적 ‘아동’이 아닌 전근대적 아이로 표상하려 한 점을 들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국민으로서의 결핍된 이미지는 문학 텍스트를 통하여 만주국 안에서 정상적인 국민이 되려 하는 열망으로 표출되었다. 특히 이러한 정상성에 대한 열망은 주로 문학 텍스트가 아닌 제복이나 교복을 입은 아동의 모습과 같은 삽화로써 넌지시 보여주는 방식을 취하였다. 하지만 《만선일보》에 게재된 아동문학 삽화가 모두 국가주의에 일관되게 복무하였던 것은 아니다. 결국 매체 안에서 조선인을 표상한다는 방식은 만주국의 국가 시스템을 드러내는 방식이기도 하였다. 까닭에 이러한 삽화의 표상 시스템은 조선인 스스로가 국민이면서도 외부자라는 사실을 부각시키는 역할 역시 수행하였던 것이다.

      • KCI등재

        백석의 「헛새벽」 번역과 번역의 암시성

        고재봉 민족문학사연구소 2022 민족문학사연구 Vol.80 No.-

        This study introduced the translation novel 「False Dawn」, which is Baek-seok published in the Mansun Ilbo between December 1940 and January 1941. Since Baekseok has never published his work in Manchuria, this translation novel is an important material to examine Baekseok’s circumstances at that time. Rudyard Kipling’s original novel 「False Dawn」 is about British people living in India. This novel is about an arrogant bureaucrat man living in India is disgraced after leaving a picnic with people to propose. The story exposes the vulgar attribute of the British living in colonial India at the time. And like this situation is very similar to the fact that Baekseok and other elite Koreans immigrated to Manchuria. In particular, this novel does not have an elaborate plot but has an excellent poetic description. Baekseok also shows his ability as a poet to translate these descriptions.. The furious scene of the dust storm makes the ending of this novel extremely empty. That is to say, it has an implied effect that the romantic world may be a false and empty world. This atmosphere be put in a tense relationship with the romantic image of Manzhouguo, which was promoted in the Mansun Ilbo at the time. Notably, the title of “False Dawn” is closely related to the timing of the publication. Because the publishing period of the translation novel 「False Dawn」 was from the end of the year to the beginning of the year, so it was like dawn time. Ultimately, Baekseok tried to reveal imply the falsehood of Manchukuo and the shallow appearance of colonial Koreans living there by translating the works of poetry and publishing them in newspapers.

      • KCI등재

        소월시의 형식에 내장된 시간 의식 연구

        고재봉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3 한국학연구 Vol.- No.71

        이 연구는 김소월의 작품을 내적으로 분석하여 그 안에 담겨있는 김소월 시의 독특한 시간 의식을 포착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1920년대의 시대적 상황은, 3ㆍ1운동의 발발과 함께 일제가 돌연 폭력적 무단통치에서 기만적 문화통치로 급전환하면서, 시대적 전망 혹은 문학적 전망이 불가시의 상태에 놓이게 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소월이 어떻게 인식하고 시적으로 대응하였는지를, 시의 내적 형식-즉 텍스트의 시제 표현이나 리듬 등을 통해 알아보았다. 「산유화」나 「초혼」, 「옷과 밥과 자유」와 같은 소월의 대표작에는, 과거 자신의 터전이었거나 친숙한 ‘장소(place)’가 더 이상 의미 없거나 동떨어진 ‘공간(space)’으로 전락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이러한 상황은 시제 표현에서 ‘완료형’으로 표현됨으로써 작품 안의 대상과 시적 대상을 격절의 상태로 배치하여 비극적 정조를 자아낸다. 또한 「가는 길」과 같은 작품에서는 3음보의 율격을 유지하면서도, 이별의 당사자에게는 정체의 리듬을 부여하고, 자연으로서의 무정물에는 쾌속의 리듬을 배치함으로써, 최대한 시간을 지연시키고 싶어하는 시적 자아의 정신적 곤란을 표현하였다. 이렇게 김소월의 작품 안에서 시어나 리듬이 머금고 있는 시간의식을 예민하게 따져봄으로써, 김소월이 당대를 살며 상당한 정체성의 위기를 감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1920년대의 시대 인식, 혹은 상황 인식의 불가시적 상황에서, 타자에 의해 정해진 미래로 쉽게 도달하기 보다는 최대한 시간을 정체시키거나 지연시키려 한 것이다. 이러한 시간의식은 어떻게든 자기동일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적 고투임을 소월은 시의 형식 안에 새겨놓은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various forms in Kim Sowol’s work. In doing so, it attempts to identify the ‘time consciousness’ that he was trying to embody in his works. The situation in the 1920s was very chaotic as Japanese fascism changed the way colonies were governed. This situation made it difficult for literature to project the reality of the times, which led to widespread identity confusion in literature. Kim Sowol expressed this identity crisis through the form of his works. Here, we analyze Sanyuhwa (Song of Playing in the Mountains), Clothes, Food, and Freedom, and Chohon (Song for the Soul). His sense of time is evident in his use of tense:he uses the present perfect to express how the place where he lives is reduced to a meaningless space. He also utilizes a stagnant rhythm as much as possible in his use of rhythm in the poem. This sense of time is an expression of his consciousness that he never wants to reach the future. When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situation of the times, the attitude of hesitating and hesitating rather than looking forward to the future with ease can be rather sincere. Because this hesitation is expressed through the form of poetry, his work still appeals to us.

      • KCI등재

        유랑의 역체험과 시적 개성의 발아 - 심연수의 수학여행 체험 시를 바탕으로

        고재봉 국제비교한국학회 2023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31 No.3

        By analyzing the poems ShimYeonsu wrote after his school trip,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difficulties that colonized people inevitably face in creating literature. ShimYeonsu was an amateur poet in Manchuria, who traveled between Korea and Manchuria on a school trip and created many poems along the way. These works were polit- ically polarizing in their themes. ShimYeonsu’s works dealt with the grief of colonization, and he also promoted the ideol- ogy of Manchukuo through his works. However, although these two types of works contra- dicted each other politically, their methods of creating poetry were almost identical. This shows that colonized literary production can easily be subsumed by imperialism. However, ShimYeonsu, through the figure of a Russian settled in Harbin, recalls his own wandering life in the past, and by reflecting the alienation he experienced in his wandering life in his poems, his poems acquire their own individuality. Since the Manchukuo government promoted the idea of granting equal sovereignty to colonized peoples, literature produced in Manchukuo was susceptible to state ideology. This was the conundrum ShimYeonsu faced when creating his poems. 이 논문은 심연수의 수학여행 체험시를 분석함으로써, 심연수 작품에 대한 대립적 이면서도 상호 모순된 평가를 종합하는 데 목적을 둔다. 심연수에 대한 평가는 민족 주의 시인이라는 상찬과 체제 협력적 시인이라는 비판이 공존한다. 본고는 심연수의 수학여행 작품집인 무적보를 검토함으로써, 이 두 가지 대립 항을 옹호하는 작품 이 기실은 동일한 기제를 저변에 깔고 있음을 밝혀보았다. 즉 민족주의를 표방한 「온 정리」와 만주국의 국책을 옹호하는 「신경」은 정치적 방향성은 다를지라도, 수학여행 지의 승경이 뿜어내는 스펙터클에 압도되어 개인의 내면이 사라지는 공통점을 보인 다. 까닭에 두 작품은 공통적으로 개성 없는 상투적 표현과, 인간 세부 삶에 대한 무 관심과 추상화의 과정이 나타난다. 이는 역사적 인식을 드러내는 작품에서도 비슷한경향을 보이는데, 까닭에 그의 작품이 보여주는 역사 인식은 허무주의에 닿아 있었다. 하지만, 심연수는 수학여행 중 들른 하얼빈에서는 시적 개성을 드러내며, 고향으로 부터 이탈한 러시아인에 대한 강한 자기동일시를 보여준다. 이는 러시아 블라디보스 토크로 유랑을 하였던 심연수의 삶과 관계되는데, 그는 하얼빈의 러시아인에 적극 공감하면서, 시적 개성을 돌출시킨다. 즉, 유랑의 역체험이라는 기묘한 경험 속에서 자신에게 내장되어 있는 소외의 감각이 정체성의 근간임을 깨닫게 된 것이다. 이 순간 심연수는 단순히 기록 수단으로써의 문학을 초과한 창작으로써의 문학성을 획득한다. 다만, 이 소외의 감각은 때로는 고향, 혹은 주권을 갖고 싶은 강한 욕망으로 드러 날 때도 있다. 수학여행을 전후로 쓴 심연수의 작품에는 이러한 욕망이 주로 ‘대지(大 地)’를 통해 형상화되곤 하였다. 이는 식민지인으로써의 무의식이 언제라도 식민주의 적 의식으로 전화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데, 수학여행 시에서 민족주의와 체제협 력의 극단성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파악될 수 있다. 심연수를 비롯한 만주국에서 활 동한 작가들이 처한 난처함이란, 이 대짝으로 놓인 양극단의 경향이 늘 한 몸으로붙어 언제고 돌변할 수 있다는 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