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수어학 연구 동향 분석

        고인경 ( Koh In-kyung ),조희경 ( Cho Hee-kyung ),이보경 ( Lee Bo-kyung ),이지민 ( Lee Ji-min ),윤병천 ( Yoon Byung-cheo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3 No.1

        연구목적: 이 연구는 2005년~2020년 동안의 국내 한국수어학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한국수어학의 연구 방향을 설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국내 학술지 및 연구지에 게재된 총 52편의 한국수어학 연구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일반적인 특성과 방법론적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된 해는 2018년이었으며 학술지를 통해 발표된 연구 논문이 50편으로 가장 많았다. 학술지 중 45편이 ‘등재’로 등록되었으며 한국수어학 연구는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에서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연구자는 단독 저자가 28편으로 가장 많았다. 한국수어는 형태론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가 26편으로 가장 많았다. 수어를 연구자가 직접 수집하여 분석한 경우에는 대부분 농성인을 언어제공자로 하였다. 52편의 연구 논문에서 가장 자주 쓰인 핵심어는 ‘한국수어’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2005년부터 2020년까지의 한국수어학 연구 동향을 고찰하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에서 다루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Sign Language(KSL) linguistics from 2005 to 2020 in Korea and identify the implic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existing studies, and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Method: A total of 52 KSL linguistic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and research magazines were analyz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Results: The year in which research papers were published the most was in 2018, 45 of them were 'Registered' as journal. 'KSL Linguistics' research was published the most in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with single authors being the most. In addition, KSL has been studied the most in morphology, and KSL of most Deaf adults was collected and analyzed. Among 52 research papers, the most frequently used key word was “Korean Sign Language”. Conclusion: The above results were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KSL linguistic research and the necessity of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in the discussion.

      • KCI등재

        한국수어 응용언어학 연구 동향 분석

        고인경(Koh, In-Kyung),윤병천(Yoon, Byung-Cheon),이보경(Lee, Bo-Kyung),이지민(Lee, Ji-Min)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1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지난 16년간 발표된 한국수어 응용언어학 관련 논문들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수어 응용언어학 연구의 현주소를 파악하는 데 있다. 2005년부터 2020년 사이에 발표된 국내 한국수어 관련 학술지 및 학술대회 논문집 106개에서 발표된 논문 211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 분야는 11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공학 분야 연구 논문이 116편(54.98%)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 방법에서는 개발 연구가 123편(58.29%)으로 가장 많았다. 한국수어 응용언어학 논문은 2019년에 32편(15.16%)으로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전체 중 117편(55.45%)이 학술지로 발표되었고 우수 등재 3편(2.56%), 등재 91편(77.78%), 등재 후보 23편(19.66%) 순이었으며,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에서 15편(7.11%)으로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논문 전체 중 2인 저자가 60편(28.44%)으로 가장 많았고 가장 빈도 높게 사용된 주제어는 ‘수화’로 25편(22.94%)의 연구 논문에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Sign Language(KSL) applied linguistics from 2005 to 2020 and identify the implic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existing studies, and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s a result of analyzing a total of 211 research papers, research topics were revealed by 11 research fields, and KSL applied linguistics has been the most researched in engineering with 116 papers(54.98%). Developmental researches were the most with 123 papers(58.29%). The year in which research papers were published the most was 2019, with the largest number of 32 papers(15.16%). Of the total, 117 papers(55.45%) were published in the journal, followed by ‘Excel ent registered’for 3 papers(2.56%), ‘Registered’for 91 papers(77.78%), ‘Registered candidate’for 23 papers(19.66%). KSL applied linguistics research was published the most in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with 15 papers(7.11%), two authors were the most with 60 papers(28.44%), the most frequently used key word was ‘Sign Language’with 25 papers(22.94%).

      • KCI등재

        농인과 청인의 수어 이름 비교 분석

        고인경 ( Koh In-kyung ),신선아 ( Shin Sun-a ),윤병천 ( Yoon Byung-cheo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3 No.2

        연구목적: 이 연구는 농인과 청인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수어 이름의 생성 환경적 특성과 형태 음운론적 특성을 밝혀 수어 이름에 관한 연구 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농인과 청인 총 130명을 인터뷰 조사하여 수어 이름을 수집하였고, 변인 별로 상세히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농인은 주로 10대(76.9%)가 되기 전에 농학교 선배(66.2%)에 의해 지어졌고, 청인은 20대 이후(100%)에 주로 농인 직장 상사(35.4%)에 의해 지어졌으며, 농인과 청인 모두 대부분 하루 이내(76.2%)에 지어졌다. 농인(92.6%)과 청인(81.7%)은 수어 이름을 주로 한 손으로 표현하였으며, 수형은 농인남성에게서 19가지, 청인 남성에게서 27가지, 농인 여성에게서 12가지, 청인 여성에게서 20가지가 나타나 남성이 여성에 비해 그리고 청인이 농인에 비해 더 다양하였다. 또한 성별 표지는 ‘있음’에서 농인 여성(100%), 청인 여성(86.7%), 농인 남성(51.5%), 청인 남성(22.9%)로 나타나 여성이 남성보다 더 뚜렷이 나타났다. 농인은 외모(67.7%)를 반영한 단순 구조(88.1%), 청인은 한국어 이름(86.3%)을 반영한 단순 구조(19.5%)와 복합 구조(32.4%)가 각각의 특징으로 나타났으며, 수어 이름의 의미는 농인보다 청인이 더 긍정적(41.5%)인 편이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농인과 청인의 수어 이름에서 나타난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고 국내외 선행 연구와 함께 고찰하였으며,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Purpos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reation background and morpho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name signs for Deaf people and hearing people. Method: A total of 130 people were interviewed, 65 Deaf people and 65 hearing people each, and sign nam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detail for each variable. Results: Before Deaf people were teenagers, most of their name signs had been created by a Deaf school senior, and when hearing people were in their 20s or older, most of their name signs had been created by a senior at work. Most of the name signs were made by a Deaf persons within a day. While most Deaf people and hearing people expressed their name signs with one hand, men had a larger variety of hand shapes compared to women. Woman also had clearer gender markers compared to men. The name signs of Deaf people were simple structures reflecting their ‘appearance’, while the name signs of hearing people were complex structures reflecting their ‘Korean name’. The name signs of hearing people tended to have more positive meaning than those of Deaf persons. Conclusion: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name signs between hearing people and Deaf people were reviewed. They were also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