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멘트먼지로 인한 건강피해 분쟁사건 처리와 사법상 입증책임

        복진승(Bok Jinseung),고수윤(Go Suyu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3 환경법과 정책 Vol.11 No.-

        본 논문은 환경분쟁조정 사건을 보면서, 현재 환경분쟁조정의 기술의 제약과 한계를 발견하고 그것을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지에 초점을 맞췄다. 우리 법과 제도는 기본권으로서의 환경권이 침해되어 환경피해가 발생한 경우 그 피해구제를 위하여 이용가능한 여러 가지 방안을 마련해두고 있다. 공법적 방법으로는 ?헌법?상의 헌법재판제도라든지(특히 헌법소원제도), ?환경정책기본법? 제44조의 환경오염의 피해에 대한 무과실책임제도, ?환경보건법? 제17조의 건강영향조사의 청원 등이 있다. 또 사법적 방법으로는 ?민법?상 불법행위 책임에 따른 손해배상청구 등이 있다. 하지만 공해소송에서 피해자에게 사실적인 인과관계의 존재에 관하여 과학적으로 엄밀한 증명을 요구하고 있어 사법적 구제를 어렵게 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환경피해에서는 입증책임을 완화시킬 개연성설, 위험영역설, 환경기준 초과배출시의 입증책임 전환, 인과관계의 추정설 같은 다양한 주장들이 있어 왔다. 우리나라의 경우 ?환경오염피해 구제에 관한 법률안? 제6조에서 인과관계 추정 조항을 두는 등 제도적 인과관계 규명방식을 도입하여 인과관계 규명의 어려움을 개선하려는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더 나아가 현재 분쟁제도 뿐만 아니라 일본의 공해고충처리제도 등 을 도입, 발전시키는 것은 늘어날 환경분쟁에 대비하는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나아가 분쟁이 발생하기 이전에 합의와 조정을 거칠 수 있도록 하는 지역환경협약 제도의 도입은 분쟁의 가능성을 줄이는 예방적 기능을 하게 될 것이다. 환경오염으로 인한 피해를 미리 방지하고 또 발생한 피해는 효과적으로 구제되어야 할 것이다. Given solving the cases by Dispute Mediation Committee, it is focused on discovery of constraints and limitations of technology and how to develop it. Current legal system for relieving the environmental victims is not effective enough because the constitutional law, the basic environmental law and the environmental health act do not specify the environmental hazardous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the relief. To relief damage for human health, arbitral system of environmental dispute is currently tied to prove causation that is also obstacle to win a case. Even if wining the suit, the result is merely monetary compensation. In addition, it could not handle the problem, if the environmental contamination is caused by source of pollution that polluted at the past and now don’ affect anymore or gone. In this respect, this paper suggest adding the nature of public law to relief system in order to ease the legal burden of proof. In case when it is hard to identify the polluters and one cannot expect reliefs for their damage, it is possible to elevate the effectiveness of the relief measure by expanding scope of the search for possible environmental hazardous factors that caused the health damage. Furthermore, We deserve special consideration that the civil service consultation center for environmental pollution in Japan and the local environmental agreement.

      • KCI등재

        기술발전에 따른 저작권 보호 및 이용방식에 관한 소고

        고수윤(Suyun Go) 한국저작권위원회 2024 계간 저작권 Vol.145 No.-

        본 논문은 기술발전에 따른 저작물 이용행태의 비합리성을 제거하기 위해 주장되고있는 저작권의 보호 및 권리행사를 둘러싼 두 가지 대응 방식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우선 사전동의를 대신하여 묵시적 동의를 인정하면서 저작물 이용에 대한 사후거절을 하는 것을 인정하자는 주장이다. Field v. Google, Inc. 사건에서 미국 연방대법원이 저작권법에 묵시적 라이선스 원칙을 적용하여 저작권자가 저작물의 이용 사실을 알면서 침묵하는 경우 저작권 침해가 되지 않는다고 판결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후거절 방식처럼 저작권자에게 적극적 거절 행위를 요하는 것은 현행법의 입법태도와 상반된다는점, 우리나라 민법은 묵시적 라이선스 이론을 적용하기 어렵다는 점, 묵시적 라이선스이론이 사후거절 방식과 상충된다는 점 등을 이유로 현행법에 적용하기에는 적절하지않다고 생각한다. 다음으로 저작권에 있어 무방식주의를 취하고 있는 현행체제에 제한적 방식주의를 도입하자는 주장이다. 제한적 방식주의는 일정한 방식을 따르는 경우 권리를 주장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용자가 고려해야 하는 저작권의 범위를 분명히 하는 것이다. 제한적 방식주의는 저작권법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고, 저작권의 초기 역사에 비추어 볼 때도 도입이 가능하며, 민법의 맥락에서도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구체적인 도입방안에 대해서는저작물에 저작권자 표시를 하는 경우에만 권리 주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 등이 있으며앞으로 다양한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wo approaches to copyright protection and enforcement that have been advocated to eliminate the irrationality of copyright use behavior as technology advances. The first is to recognize implied consent as a substitute for prior informed consent and to allow copyright holders to Opt-Out of the use of their works. In Field v. Google, Inc. the U.S. Supreme Court applied the doctrine of implied license in a copyright case and held that if a copyright holder is aware of the use of a work and remains silent, there is no copyright infringement. However, I believe that this Opt-Out System is not appropriate to be applied to Korean law because it is contrary to the legislative attitude of the law to require the copyright holder to actively refuse, Korean civil law is difficult to apply the implied license theory, and the implied license theory conflicts with the Opt-Out System. The next argument is to adopt the Limited Formality Principle in Korean Copyright Law, which is based on the non-formality principle. The Limited Formality Principle clarifies the scope of copyright that users need to consider by allowing them to claim infringement only if they follow a certain method. It is appropriate to introduce the Limited Formality Principle into Korean Copyright Law. This is because the principle is consistent with the objectives of copyright law, can be adopted in light of the early history of copyright, and is appropriate in the context of civil law. The specific implementation of this approach will require further discussion, such as requiring that a copyright claim be made only if the work is marked with a copyright notice.

      • KCI등재

        개인정보보호법상 개인정보 국외이전의 한계와 개선방안 ―국제협정 이행을 위한 공공기관의 정보 제공을 중심으로―

        고수윤 ( Go Suyun ),박시원 ( Park Siwon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22 지식재산연구 Vol.17 No.3

        Korea argued that they could not provide information on ships to WCPFC due to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Does this Act restrict the transfer of personal information abroad by an administrative agency? Is this restriction reasonable? According to the Act, administrative agencies can transfer personal information abroad with the consent of its subject. Meanwhile, the Act specifies that “Whe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to a foreign government or international organization to perform a treaty or other international convention.” However, this provision also stipulates “unless doing so is likely to unfairly infringe on the interest of a data subject or third party.” That’s why the legality cannot be completely guaranteed without additional consent in case of transborder data flow(TDF). This is a extremely strict regulation compared to major overseas countries. The USA has no legal regulations on the TDF by administrative agencies. The European Union permits the TDF with certain require ments such as “Transfer on the basis of an adequacy decision, Appropriate safeguards, etc.” Japan also allows exceptions. Therefore, the Korean Act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other requirements besides cons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