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난소낭종으로 오인된 복강내 이물질

        최자은 ( Ja Eun Choi ),경민선 ( Min Sun Kyung ),박성택 ( Sung Taek Park ),김홍배 ( Hong Bae Kim ),박성호 ( Sung Ho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5

        The most commonly detected foreign body in the abdominal cavity is surgical gauze or sponge, which is followed by intrauterine devices penetrating the uterine cavity. However,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has been no case report of a foreign body in the abdomen misdiagnosed as an ovarian cyst, in the literature. Thus, we report 1 case of a 41-year-old woman with an umbrella handle in the abdominal cavity, which was misdiagnosed as the ovarian cyst.

      • KCI등재

        경계성 난소종양의 복강경적 치료; 강북삼성병원의 경험

        정언석 ( Un Suk Jung ),이정훈 ( Jung Hun Lee ),경민선 ( Min Sun Kyung ),이교원 ( Kyo Won Lee ),한종설 ( Jong Sul Han ),최중섭 ( Joong Sub Cho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2

        목적: 경계성 난소종양의 복강경적 치료의 가능성과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3년 5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본원에서 16명의 경계성 난소종양 환자에 대해 복강경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임상 기록을 통해 환자 나이, 산과력, 수술 시간, 종양 크기, 입원 기간, 혈색소 변화, 조직학적 종류, 병기, 합병증, 그리고 재발 여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연령의 중앙값은 38세 (27~72세)였고, 출산력은 1회 (0~3회)였으며, 미산부는 6명이었다. 8명에서 보존적 수술을 시행하였고, 나머지는 광범위 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시간은 90분 (50~305분), 입원기간은 5일 (4~16일), 혈색소 변화는 1.4g/dL (0.2~4.5g/dL)이었으며, 종양 크기의 중앙값은 8.5cm였다. 병기는 9명이 Ia기, 2명이 Ib기, 4명이 Ic기, 나머지 1명은 IIIc기였다. 병리학적으로 점액성이 8명, 장액성이 6명이었고, 혼합 상피성과 자궁내막양이 각각 1명이었다. 4명에서 양측 골반 및 대동맥주위 림프절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종양 파열로 인한 병기상승은 없었으며, 개복술 전환이나 심각한 합병증은 없었다. 추적관찰 기간은 20개월 (3~53개월)이었고, 재발은 없었다. 보존적 치료를 한 1명의 환자에서 술후 32개월 때 자연임신으로 질식분만을 하였다. 결론: 경계성 난소종양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 복강경적 처치가 가능하며, 향후 안정성과 생존률에 관한 대규모의 전향적 임상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 To evaluate feasibility and efficacy of laparoscopic management for borderline ovarian tumors. Methods: From May 2005 to October 2007 in our institution, laparoscopic treatments were performed for 16 patients for borderline ovarian tumors. Through clinical records, the patients` age, parity, operating time, tumor diameter, length of hospital stay, change in hemoglobin level,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recurrence were analyzed. Results: The median age of the patients was 38 years (27-72 years), the median parity was 1 (0-3), and 6 patients were nulliparous., Eight patients were performed conservative surgery, and radical surgery was performed in the remainder. The median operating time was 90 minutes (50-305 minutes), the median hospital stay was 5 days (4-16 days), the median change of the hemoglobin level was 1.5g/dL (0.2-4.5g/dL), and the median diameter of the tumors was 8.5cm. FIGO stage was Ia for 9 patients, Ib for 2, Ic for 4, and IIIc for the last one. Histopathological results showed mucinous tumor for 8 patients, serous tumor for 6, and mixed type and endometrioid tumor for each remaining. Laparoscopic pelvic and paraaortic lymphadenectomy were performed 4 patients. There was no upstaging by intraoperative cystic rupture. Neither laparoconversion nor intraoperative complication was noted. The median duration of follow-up was 20 months (3-53 months) and none showed recurrence. One of 8 patients who were treated conservatively obtained a baby by vaginal delivery in 32th postoperative month. Conclusion: This preliminary analysis demonstrated patients with borderline ovarian tumor can feasibly and efficiently undergo laparoscopic management.

      • KCI등재

        전자궁적출술 후 발생한 자궁부속기 병변의 복강경 수술에 관한 임상적 고찰

        이정훈 ( Jung Hun Lee ),이효원 ( Hyo Won Lee ),경민선 ( Min Sun Kyung ),정언석 ( Un Suk Jung ),이교원 ( Kyo Won Lee ),한종설 ( Jong Sul Han ),최중섭 ( Joong Sub Cho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5

        목적: 전자궁적출술 후 발생한 자궁부속기 병변에 대하여 임상적 특성과 유착 정도를 분석하고, 복강경 수술의 유용성과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2004년 2월부터 2007년 1월까지 본원에서 전자궁적출술 후 복강경하 부속기 수술을 시행 받은 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나이, 출산력, 부속기 종괴의 최대직경, 복강경수술의 적응증, 수술시간, 수술 전후의 혈색소치 변화, 유착 정도 평가, 이전 전자궁적출술의 수술방법 및 피부절개 방법 경로, 조직병리학적 소견, 수술 합병증 등을 연구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48세 (range 35∼69세)였고, 평균 출산력은 2회 (range 0∼3회)였다. 평균 수술 소요기간은 100분 (range 35∼180분), 자궁 부속기 종괴의 평균 직경은 7.1 cm (range 4∼12 cm), 수술 전, 후 (수술 1일째) 의 혈색소치 변화는 1.8 g/dL (range 0.6∼4.1 g/dL)였으며 평균 재원기간은 평균 4일 (range 3∼19일)이었다. 우측 부속기 종괴보다 좌측 부속기 종괴에서 유의하게 주위조직과의 유착 정도가 심하게 나타났다. 최종 병리 조직학적 진단은 mucinous cystadenoma 6예, 기능성 낭종 6예, 난관 수종 4예, serous cystadenoma 3예, fibrothecoma 1예, mucinous cystadenofibroma 1예, 자궁내막종 1예, 난관 난소 농양 1예였으며, 수술 중 합병증 발생과 개복술로의 전환은 없었으며, 수술 후 합병증으로 장폐색 1예가 발생하여 보존적 치료로 호전되었다. 결론: 숙련된 내시경 전문의에 의하여 심한 유착이 예견되는 전자궁적출술 후 발생한 부속기 종괴 환자에서 복강경하 자궁부속기 수술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 전자궁적출술 후 발생한 부속기 종괴 환자에서 좌측 부속기 종괴가 우측 부속기 종괴보다 광범위한 유착을 가지며, 이러한 소견은 high adhesion score로 나타났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laparoscopic adnexal surgery in posthysterectomy patients and review clin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comparison of the adhesion score of left with that of right adnexal mass. Methods: From February 2004 to January 2007,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23 post-hysterectomy patients who received laparoscopic adnexal surgery including age, parity, type of hysterectomy, operative indications, histopathological diagnosis, operating time, size of the adnexal mass, adhesion score, change in the hemoglobin level, hospital stay, and any complications. Results: The median age of patients was 48 years (range 35-69 years), and median parity was 2 (0-3). The median operating time was 100 minutes (range 35-180 minutes), and the median size of the adnexal mass was 7.1 cm (range 4-12 cm). The median change in hemoglobin level was 1.8 g/dL (range 0.6-4.1 g/dL). The median hospital stay was 4 days (range 3-19 days). The adhesion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eft adnexal mass than in the right adnexal mass. Histopathological diagnosis included 6 cases of mucinous cystadenoma, 6 cases of functional cyst, 4 cases of hydrosalpinx, 3 cases of serous cystadenoma, 1 case of fibrothecoma, 1 case of mucinous adenofibroma, 1 case of endometrioma, and 1 case of tubo-ovarian abscess. There were no intraoperative complications or conversion to laparotomy. One case of postoperative ileus was noted. Conclusion: The skilled laparoscopic surgeon is capable of achieving successful result by performing laparoscopic surgery primarily to patients with adnexal mass for posthysterectomy patients who are expected to suffer severe adhesion. In posthysterectomy patients, left adnexal mass has more extensive adhesion than right adnexal mass, and these finding was represented as a high adhesion score of left adnexal mass.

      • KCI등재

        응급산후자궁절제술 후 재개복술을 시행하였던 10예의 임상분석

        박찬은 ( Chan Eun Park ),성지은 ( Ji Eun Sung ),경민선 ( Min Sun Kyung ),조용 ( Yong Cho ),노의선 ( Eu Sun Ro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4

        목적: 응급산후자궁절제술 후 대량수혈에도 지속적인 출혈과 불안정한 활력징후를 보여 추가적인 재개복술이 시행되었던 10예의 환자들에 대한 임상적 특성, 재개복술에서 출혈의 원인 및 처치, 수혈양, 합병증, 그리고 예후 등을 분석함으로서 재개복술의 안전성과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대량수혈과 산후응급자궁절제술 후에도 지속적인 출혈과 불안정한 활력징후를 보여 대량수혈과 재개복술이 시행되었던 10예의 환자들에서 임상적 상태, 출혈의 원인, 재개복술까지의 시간과 효과, 수혈양, 합병증, 그리고 예후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10예 모두에서 재개복술에서 출혈 부위가 확인되어 출혈혈관 결찰 및 삼출성 출혈부위 봉합술, 2예에서 추가적인 자궁밑 둥제거술이 시행되었다. 출혈은 재개복술 시 다양한 부위에서 그리고 한 곳 보다는 여러 곳에서 발견이 되었고 출혈 양상은 노출된 작은 동맥에서 혈액 분출, 또는 수술 부위에서 삼출성 출혈을 보였다. 8예에서는 성공적인 지혈로 활력징후의 안정을 보였고 정상적인 혈색소 수치와 혈액응고 검사 소견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농축적혈구, 신선냉동혈장 양이 크게 감소하였고 문제없이 회복되었다. 나머지 2예에서는 재개복술 후 출혈이 감소하였으나 다음날 다시 악화되어 경피적 동맥색전술을 시행하였으나 계속된 출혈과 다장기손상으로 사망하였다. 이 2예는 타 병원에서 전원되었으며 응급실에서 인공심폐소생술과 기관지삽관술이 각각 시행되었던 예였다. 결론: 대량수혈과 응급산후자궁절제술 후에도 지속적인 출혈로 시행된 개복술에서 모두 출혈 부위가 확인되어 대부분 성공적으로 지혈되어 빠른 회복을 보였다. 응급산후자궁절제술에서 대량 출혈에 따른 혈압의 저하로 혈관의 수축이 일어나 있어서 작은 혈관에서의 출혈은 감지하기 어려우므로 혈압을 상승시킨 후 출혈 여부를 재확인하고 수술을 종료하는 방법도 재출혈의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 된다. 응급자궁절제술이 시행되었더라도 재출혈이 발생하고 활력징후가 불안정하여 진다면 재개복술 시행을 지체하지 않아야 하며 혈액응고 관련 인자를 충분히 투여함이 중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o analysis the 10 cases of relaparotomy for intractable hemorrhage after emergency postpartum hysterectomy with massive transfusion. Methods: Between January 1995 and December 2008, relaparotomies for intractable hemorrhage and unstable vital sign after emergency postpartum hysterectomy with massive transfusion were performed on 10 patients.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and detailed to collect clinical data including patients` clinical status, causes of bleeding, duration from hysterectomy to relaparotomy, bleeding sites, procedures for bleeding control, amount of transfusions, complications and prognosis. Results: In relaparotomies, the points of bleeding were identified in all cases and multiple bleeding foci than one bleeding focus were found, and procedures for bleeding control were performed. In 8 cases, the bleeding were controlled successfully and these patients recovered without long term sequales. But in the other 2 cases, although the bleeding controls were successful during relaparotomy and bleeding amount decreased after relaparotomy, but bleeding amount increased the next day and angiographic embolizations were performed. These patients died due to multi-organ failure and continued bleeding. In one of these cases, the endotracheal intubation had been done on arrival at our hospital with postpartum hemorrhage after vaginal delivery at private clinic. In another case,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was performed on arriving at our hospital with intractable bleeding after postpartum subtotal hysterectomy in other hospital. Conclusion: In most cases, bleeding controls for intractable bleeding after postpartum hysterectomy were successful during and after relaparotomy in spite of development of dilutional coagulopthy due to massive transfusion, and resulted in rapid recovery and good prognosis. Even though dilutional coagulopthy was developed because of massive transfusion, relaparotomy was safe and effective procedure for management of intractable hemorrhage after emergency postpartum hysterectomy with clotting factor replacement. If personnel and adequate clotting factor replacement are available, relaparotomy should not be delayed for management of intractable hemorrhage and unstable vital sign after emergency postpartum hysterectomy.

      • KCI등재

        다양한 크기의 자궁근종 110예에 대한 복강경하 자궁근종절제술의 임상적 효용성에 대한 고찰

        정언석 ( Un Suk Jung ),위혜정 ( He Jong Wie ),윤효진 ( Hyo Jin Yoon ),경민선 ( Min Sun Kyung ),이교원 ( Kyo Won Lee ),한종설 ( Jong Sul Han ),최중섭 ( Joong Sub Cho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6

        목적: 복강경하 자궁근종절제술 (LM)의 유용성과 임상적 효율성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03년 7월부터 2006년 7월까지 강북삼성병원 산부인과에서 한 명의 집도의에 의해 시행된 110예의 복강경하 자궁근종절제술에 대해 후향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임상기록, 수술기록, 마취기록을 검토하여 환자의 연령, 출산력, 수술 기왕력, 수술적응증, 근종 크기, 수술 시간, 제거된 근종 개수, 입원 기간, 수술 전과 수술 후 1일째의 혈색소 변화, 재원기간, 동반질환, 동반수술, 수술 중, 수술 후 합병증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 총 110명의 평균 연령은 35.7±5.8세이고, 평균 출산력은 0.8±0.9이었으며, 26명 (23%)에서 기왕 복강내 수술력이 있었다. 수술 적응증 대부분은 하복부 불편감을 포함한 복부 종괴 촉진, 골반통, 질출혈이 대부분이었으며, 그 외에 빈뇨, 불임이 있었다. 평균 수술 소요시간은 82.9±30.8분이었고, 주요 자궁근종의 평균 크기는 7.1±2.3 cm이었으며, 절제된 자궁근종 중 가장 무거운 것은 795 gm이었다. 수술 전, 후의 혈색소치의 평균 변화값은 2.2±1.1 g/dL이었고, 재원일수는 평균 3.5±1.4일이었다. 수술 후 수혈은 11명에서 시행하였고, 1명에서 피하기종, 2명에서 장폐쇄증이 발생하여 보존적 치료 후 회복되었으며, 개복술 전환율은 0.9% (1예)이었다. 결론: 체계적인 수술진, 숙련된 복강경 시술자 그리고 발전된 수술기법을 통해 다양한 크기의 자궁근종의 복강경하 자궁 근종절제술을 성공적이고 효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으며, 개복술로의 전환을 줄일 수 있다. Objective: To assess the feasibility and clinical efficacy of laparoscopic myomectomy (LM). Methods: W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data for 110 LM preformed at Kangbuk Samsung Hospital between July 2003 and July 2006. We reviewed their clinical charts and the operative and anesthetic records, and analyzed data on the patients` age, parity, previous operative history, preoperative indication, the diameter of the largest myoma, operating time, number of the removed myoma, hospital stay, change of the hemoglobin concentration from preoperative to postoperative day 1, concomitant procedures, histopathological reports, and complications.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35.7±5.8 years, the mean parity was 0.8±0.9, and 26 (23%) patients had a previous operative history. The most common operative indication was a palpable abdominal mass (46 patients, 41.9%), followed by chronic pelvic pain (32 patients, 29.0%), abnormal uterine bleeding (24 patients, 21.8%), urinary frequency (7 patients, 6.4%), and infertility (1 patient, 0.9%). The mean operating time was 82.9±30.8 minutes, and the mean diameter of the largest myoma was 7.1±2.3 cm. The heaviest of the removed myoma weighed 795 gm. The mean change of the hemoglobin concentration was 2.2±1.1 g/dL, and the mean hospital stay was 3.5±1.4 days. Postoperatively, transfusions were done 10% (11 cases) of patients, and 2 cases of paralytic ileus and a case of subcutaneous emphysema were noted. Conversion rate to laparotomy was 0.9% (1 case). Conclusion: LM for various sized myomas can be performed successfully and effectively by decreasing laparoconversion, if the surgical team and the laparoscopic surgeon are experienced and enhanced equipment is available.

      • KCI등재

        성경험이 없는 52세 여성에서 발생한 투명세포 선암

        이영란 ( Young Lan Lee ),장칼리혜진 ( Kylie Hae Jin Chang ),경민선 ( Min Sun Kyung ),김홍배 ( Hong Bae Kim ),박성호 ( Sung Ho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3

        Clear cell adenocarcinoma (CCAC) of uterine cervix is very rare tumor and only 4%-9% of entire adenocarcinoma appears to be diagnosed as clear cell type. Risk factors and pathogenesis of this disease are not exactly revealed. The intrauterine exposure to diethylstilbestrol (DES) and associated non-steroidal estrogen during pregnancy before 18 weeks is the only known risk factor, and also hormonal changes or genetic causes are suggested as the risk factors. We report a case of CCAC in the uterine cervix of 52-year-old virgin who had never been exposed to DES, with a brief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 KCI등재

        뮐러씨선육종 1예

        모아진 ( A Jin Mo ),성지은 ( Ji Eun Sung ),경민선 ( Min Sun Kyung ),조용 ( Yong Cho ),노의선 ( Eu Sun Ro ),최경찬 ( Kyung Chan Cho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9

        뮐러씨선육종은 양성으로 증식하는 선조직과 육종성 기질조직이 혼재해 있는, 악성 혼합 뮐러씨종양의 드문 변종이다. 이 드문 종양에 대한 기본적인 치료는 양측 난소, 난관을 포함하여 전자궁절제술이다. 예후는 비교적 좋지 않으나, 악성 혼합 뮐러씨종양보다는 좋다. 수술 후 보조적인 방사선 요법 및 항암요법에 대한 효과는 논란이 많으며, 확실하지 않다. 저자들은 질초음파검사에서 포상기태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자궁내막 조직검사에서 선섬유종의 소견을 보인 62세의 여성에서, 자궁 및 양측 난소-난관절제술후에 뮐러씨선육종으로 확진 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Mullerian adenosarcoma which is characterized by admixture of benign-appearing neoplastic glands and sarcomatous stroma, is an uncommon variant of malignant mixed mullerian tumor (MMMT), Classic treatment for this rare tumor is hysterectomy with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Its prognosis is relatively poor, but better than MMMT, The efficacy of adjuvant postoperative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is debatable and appears not to be promising. We report a 62-year-old female with mullerian adenosarcoma diagnosed after hysterectomy with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which had shown unique ultrasonographic feature like hydatidiform mole and had been diagnosed as fibroadenoma in endometrial curettage,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