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바이오 가스 연소 가스터빈 열병합 발전시스템의 발전원가 산정 및 경제성 분석

        강준영(Jun Young Kang),김동섭(Tong Seop Kim) 대한기계학회 2013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3 No.12

        Performance of a gas turbine cogeneration system co-firing biogas and natural gas is predicted and an economic analysis is carried out. The effect of mixed firing ratio on performance factors such as power output, fuel consumption and power consumption is obtained and its influence on costs of electricity and heat is investigated. Economically feasible mixing ratio range in comparison to the cost of electricity of natural gas fired standard combined cycle power plants is obtained. The variations in costs of electricity and heat depending on heat sales are estimated. Economically feasible mixing ratio range based on the market prices of electricity and heat is estimated.

      • 미ㆍ중 경쟁 시대, 중국의 대미정책, 한국은?

        강준영 ( Kang Jun-young ) 한국외교협회 2021 외교 Vol.137 No.0

        지난 1월 출범한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을 ‘경제, 외교, 군사, 기술력을 결합해 안정적이고 열린 국제 체계에 계속 도전하는 잠재력을 보유한 유일한 경쟁자’로 지목하며 ‘중국 견제’를 외교정책의 핵심으로 내세우고 있다. 중국 시진핑 지도부도 대미 항전 불사를 천명하면서 양자 관계는 이미 전략적 경쟁 시대를 넘어 신냉전 성격의 전략적 대항 시대에 진입했다. 특히 바이든 행정부는 미·중 양자 대결이 아니라 미국 주도의 다자규범 공유를 통해 국제사회 대중국의 대결 구도를 구축하려하고, 중국의 약점인 민주, 자유, 인권 등 보편가치로 중국을 공략하고 있다. 미국 경제의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민주동맹 규합에 적절하기 때문이다. 중국은 일단 미국의 압박에 대해 정면 돌파를 선언했다. 국내 수요 확대와 국제 무역 활성화를 병행하는 쌍순환(雙循環·dual circulation) 체계 구축과 ‘과학기술 강국 건설’을 목표로 제시하면서 ‘과학기술 사회주의(科技社會主義/Digital Leninism)’ 국가건설의 의지를 밝혔다. 또 국제 통상질서 재편에도 적극적이며 ‘민주 동맹’에 대응해 우군 확보에 열중이다. 미·중 갈등 사이에서 고민하고 있는 한국은 북핵 문제 해결에 대해 중국의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한·미 동맹관계보다 밀착도가 높은 북·중 관계를 감안하면 ‘조율된 대미 교란’이 나타날 수 있음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섣부른 ‘마중물’로서의 한·미동맹 조정이나 중국과의 설익은 북핵 관련 협력 확대는 한·미동맹에 부정적이며 한국의 전략적 입지를 축소시킬 소지가 크다. 국익과 원칙에 따른 정교한 전략이 요구된다. Since January 2021 inauguration, the Biden administration has unmistakably pointed to China as “the sole competitor” who has the potential to continually challenge the stable and open international system by combining its economic, diplomatic, military, and technological power, thus the “China challenge” occupying the center of U.S. foreign policy. For its part, the Xi Jinping leadership has declared not to yield to U.S. pressure and described that bilateral ties has already moved beyond the strategic competition stage and entered a new era of strategic opposition. In particular, the Biden administration is trying to establish a confrontation betwee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China through the sharing of U.S.-led multilateral norms, and is targeting China with such universal values as democracy, freedom, and human rights. This is because it is appropriate to form a democratic alliance while minimizing the burden on the U.S. economy. It appears that China has taken a head-on approach against U.S. pressure. China announced it would build a dual circulation(雙循環) system that expands domestic demand and revitalizes international trade, and to build a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owerhouse,” while expressing its will to establish a “digital Leninism.” China is thus active in reorganizing the international trade order and is eager to secure allies and partners in response to the “Democratic Alliance.” South Korea, which is caught in U.S.-China competition, expects China to play a role in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But, in light of the fact that North Korea-China ties are closer than the ROK-U.S. alliance, a “coordinated disturbance” with the U.S. may occur. A hasty adjustment of the ROK-U.S. alliance or an indiscreet cooperation with China over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is harmful to the ROK-U.S. alliance and could lower the ROK’s strategic position. A well-tailored set of strategies based on national interests and principles is called for.

      • KCI등재
      • KCI등재

        중국의 대 아프리카 ODA 전략과 한국의 대응 전략

        강준영 ( Jun Young Kang ),서상현 ( Sang Hyun Seo ),공유식 ( Yoo Sik Kong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중국연구소 2010 中國硏究 Vol.49 No.-

        China started providing aid to Africa in 1956. By May 2006, it had contributed a total of 44.4 billion yuan (US$5.7 billion) for more than 800 aid projects, according to a researcher at the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 Assuming Chinese aid, including technical assistance, is about 50 percent of the value of contracted projects, China`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to Sub-Saharan Africa(SSA) could amount to US$1.0-1.5 billion annually for 2004-05. In comparison, China`s aid flows to Africa averaged about US$310 million annually for 1989-1992. China has also been providing debt relief to African countries on its own terms. At the first China-Africa Cooperation Forum in October 2000 in Beijing, the Chinese government pledged to write off in two years overdue obligations on 156 loans owed by African countries; these totaled 10.5 billion yuan (US$1.3 billion). The pledge was fulfilled ahead of schedule. In November 2006 China announced that it would cancel another 10 billion yuan (US$1.3 billion) in debt-168 interest-free government loans that had matured by the end of 2005 and were owed by 33 of the heavily indebted and least developed countries in Africa. By mid-May 2007 China had signed debt forgiveness agreements with 11 of these countries and expected to conclude agreements with the other 22 by the end of 2007. The terms of China`s ODA follow the principles established during late Primer Zhou Enlai`s visit to Africa in the early 1960s: no conditions or demand for privileges can be attached to ODA; China provides ODA in the form of grants, interest-free or low-interest loans (i.e., preferential loans that have an interest subsidy); and repayment will be rescheduled if necessary. China`s aid program also includes technical assistance, with an emphasis on agricultural technology and training in Chinese institutions. China`s ODA has focused on social and humanitarian projects, such as hospitals, schools, low-cost housing, sport venues, and library and government buildings, and often is delivered in kind. ODA has also been used for infrastructure construction (133 out of the more than 800 aid projects)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137 projects).

      • KCI등재

        중국-대만, 양안 무력 충돌 위기의 함의 -미국의 대만 지원 및 갈등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강준영 ( Kang Jun Young ) 한중사회과학학회 2022 한중사회과학연구 Vol.20 No.1

        대만 해협에서의 긴장이 일상화되면서 양안의 무력 충돌, 엄밀하게 말해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국제사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대만 방어를 기정사실화하고 나섰고, 이는 ‘하나의 중국’ 원칙 폐기 발언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어 중국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대만을 영토 문제가 아닌 ‘통일 문제’로 접근하는 중국은 대만 문제 해결을 위한 모든 조건이 성숙해지고 있다며 많은 학자와 언론을 동원해 대만을 침공할 적기가 도래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양안 관계의 최대 관심사는 시진핑 지도부가 무력 해결에 나설지 여부다. 차이잉원 대만 총통은 내부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미국에 강력한 구원의 손길을 요구하고 있다. 이제 중국과 대만을 지칭하는 양안 관계는 동아시아의 새로운 화약고가 되었다. 이제는 좁혀진 미국과 중국의 국력차와 징고이즘(jingoism)에 가까운 중국의 민족주의 성향, 그리고 3선을 추구하는 시진핑의 새로운 지도부 구성에 대한 조급함까지 겹치면서 기존과는 다른 형태의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러한 관점에서 기존 양안 관계의 양자 구조와 양안 관계에 결정적 영향을 끼치는 미국 요인, 즉 미국-중국-대만의 삼각관계를 분석해보고, 이의 연장선상에서 양안의 무력 충돌, 특히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을 분석해보고, 동아시아의 안전과 평화를 심각히 훼손할 중국의 대만 침공이 현실화 할 경우 한반도에 미칠 영향과 파장도 함께 전망해보기로 한다. The possibility of armed conflict in the Taiwan Strait, strictly speaking, China’s invasion of Taiwan, is drawing keen attention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US President Joe Biden made Taiwan’s defense a fait accompli.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statement to abolish the “one China” principle, so China is strongly protesting. China, which approaches Taiwan as a “unification problem” rather than a territorial issue, is mobilizing many scholars and media to argue that the right time to invade Taiwan has arrived, saying all conditions for solving the Taiwan problem are becoming more mature. Currently, the biggest concern for bilateral relations is whether the Xi Jinping leadership will start resolving force. Taiwan’s President Tsai Ing-wen himself is demanding a strong salvation touch from the United States to quell internal unrest. Now, bilateral relations referring to China and Taiwan have become a new gunpowder warehouse in East Asia. This is because bilateral relations, which have supported the status quo of bilateral relations, power projections, modernity, and democratic values of the U.S. and Japan are changing. In particular, the narrowing national power difference between the U.S. and China and Jingoism under the banner of the Chinese dream overlap with enemy nationalism and nationalism, causing a different type of impact than befor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analyzes the U.S. factors that have a decisive impact on the bilateral structure and bilateral relations, namely the triangular relationship between the U.S. and China, especially China’s invasion of Taiwan, which will seriously undermine East Asia’s safety and peace.

      • KCI등재

        시진핑 시대, 중국의 동아시아 정책

        강준영(Kang, Jun Young) 영남대학교 중국연구센터 2015 중국과 중국학 Vol.- No.24

        시진핑 체제 출범 이후 중국의 대외전략은 기본적으로 힘을 숨기지 않겠다는 것이다. 이는 분명히 전임 중국 지도부와 비교해 강력한 외교적 자신감을 표출하면서 자신의 핵심이익에 대해서는 추호의 양보도 있을 수 없음을 계속 강조한다. 미국과의 신형대국관계 설정 주장이나, 일본과의 전쟁 불사론, 일방적인 방공식별구역 선포 등을 보면 중국의 행보가 동북아 세력 균형에 미칠 영향력을 가히 짐작할 수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동아시아는 격랑에 빠져 있다. ‘적극적 평화주의’를 외치며 경제 분야는 물론이고 군사적 역할을 증대시켜 세계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겠다는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주장에 미국이 손을 들어줬기 때문이다. 미국은 일본 평화 헌법 개정에 단초를 제공해 방위비 부담을 줄이고 일본의 동남아 국가 지원도 지지함으로써 지역 안전 보장과 방위협력이라는 명분아래 대 중국 억지 전선을 구축하고자 한다. 한국은 새로운 외교적 시련을 맞았으며 한반도 최대 현안인 북핵 문제에 대한 한-미-중 3각 협력도 시련에 봉착했다. 중국은 한국이 결국 안보문제는 미-일과 같이 움직일 것이라고 인식하기 때문이다. 우리 입장에서 보면 미중 관계의 갈등요인이 증폭되고 일본과의 관계가 경색된 상황에서 중국과 미국 사이애서 외교적 선택을 강요받을 일이 생길 수도 있다. 중립을 지킬 것은 확실히 지켜야하지만 강대국들의 움직임에 휩쓸리지 않는 조건과 논리를 개발해 적극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시급하다. The quintessential aspect of China’s external strategy under Xi Jinping is not to hide its new power and influence any longer. In contrast to his predecessors, Xi has exuded diplomatic confidence and emphasized a will to protect China’s core interests. China’s claim for establishing a new type of major-power relationship with the U.S., its determination for a possible war with Japan, and its unilateral announcement of Air Defense Information Zone (ADIZ) have all boiled down to a new dynamic in East Asia’s balance of power. East Asia is in flux. Japan’s call for “Active Pacifism” or collective self-defense in the economic and military domains.in the name of world peace and stability.has found an echo in the United States. Japan’s attempts to revise its peace constitution would help reduce U.S. defense expenditure.at the time of severe austerity.and Japan’s financial support to Southeast Asia would enhance regional security and defense cooperation, thus expanding a creeping united front against a rising China. South Korea is at a diplomatic crossroads. North Korean nuclear issue has long remained unresolved, notwithstanding the ROK-U.S.-China cooperation. China apparently believes that South Korea would remain sided with the U.S.-Japan security network. In practice as well as in theory, when the U.S.-China competition and the ROK-Japan stalemate continue, there is a strong possibility that South Korea would face a situation to take a reluctant policy choice. It is thus imperative for South Korea to develop a series of viable options at the time of great external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