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 제시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2학년 발달성 난독 학생과 일반 학생의 읽기유창성 특성

        김찬미(Chanmi Kim), 유해림(Haerim Yu), 엄지목(Jimok Eom), 강정수(Jungsoo Kang), 배소영(Soyeong P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초등 저학년군(1-2학년)의 국어 교과 목표로 유창한 읽기 능력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발달성 난독 학생의 해독 능력뿐만 아니라 유창한 읽기 능력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발달성 난독 학생이 시공간적 요인을 고려한 텍스트 제시유형에 따라 읽기유창성 능력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 지원 방법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방법 인지 및 언어 능력에 어려움이 없으나 읽기에 어려움을 보이는 발달성 난독 학생 13명과 일반 학생 13명을 대상으로 읽기유창성 능력을 정확도, 속도, 운율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해독 난이도와 언어적 난이도를 조절한 텍스트를 문장의 구두점을 경계로 문단을 구성한 문장 줄 바꿈형 텍스트와 줄글 형식의 일반교과형 유형으로 구성하였고, 각 유형별로 두 가지 텍스트를 순서효과와 반복효과를 배제하여 제시하였다. 결과 정확도면에서는 발달성 난독 집단이 일반집단보다 낮은 정확도를 보였으나 각 집단 내에서 텍스트 제시 유형에 따른 정확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읽기 속도에서는 발달성 난독 집단이 일반 집단보다 텍스트를 느리게 읽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장 줄 바꿈형 텍스트보다 일반교과형 텍스트에서 속도가 더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운율면에서는 발달성 난독 집단이 일반 집단보다 운율 총점이 낮았지만, 텍스트 제시 유형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발달성 난독 학생에게 어느 정도 해독 가능한 텍스트를 제시해주었을 때 정확도 면에서 발달성 난독 학생이 일반아동처럼 텍스트 제시 유형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텍스트의 조절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반면 속도 면에서는 문장 줄 바꿈형보다 일반교과형 글에서 더욱 느린 속도로 읽어내어 일반아동과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데, 발달성 난독 아동에게 처리속도에 대한 지원이 매우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Reading fluency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onnects decoding ability and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Given that fluent reading is essential for language classes in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Korea, it is necessary to support not only the decoding ability but also student’s reading fluenc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reading fluency ability of two groups of children according to text presentation types. Methods Thirteen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yslexia(DYS) and 13 typically developing students(TD) read two types of decodable texts, sentence-broken type and general type. Reading accuracy, speed and prosody were measured. Results DYS revealed lower accuracy and prosody scores than TD, whil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ccuracy and prosody according to text presentation type. DYS took longer time to finish reading texts than TD, while only DYS took longer time to read general type text than sentence-broken type text. Conclusions When presenting a text that is decodable to a certain extent to DYS, the text presentation type didn’t seem to matter for reading accuracy, although reading speed was influenced by the presentation type. It seems very important to consider the visuo-spatial presentation format as well as the decodability of the texts to support DYS’s reading fluency meaningfu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