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안정보의 지오-온톨로지 적용에 관한 연구

        강전영(Jeon-Young Kang),황철수(Chulsue Hwang) 대한지리학회 2013 대한지리학회지 Vol.48 No.1

        현재 우리나라의 연안정보는 단순한 질의 정도의 초보적 이용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실질적 업무나 정책 활용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구축된 정보를 재가공해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한다. 관련 정보들을 의미적으로 연결하여 효율적인 활용을 가능토록 구현할 수 있는 온톨로지 기법을 이런 의미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Geo-Ontology를 이용하여 연안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공간적 온톨로지 모형을 제시하고, 연안정보 온톨로지의 활용 방안에 대해서 모색하였다. 첫째, 지리 정보와 관련한 온톨로지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미약하기 때문에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둘째, 연안의 지리적 사상과 관계를 정의한 Geo-Ontology를 구축하였다. 셋째, Geo-Ontology를 이용하여 사례지역인 마산만 연안의 유역권에 해당하는 연안정보 온톨로지를 구축하였다. 넷째, 의미 기반의 질의와 추론을 하고 연안정보 온톨로지를 평가하였다. 이러한 링크드 데이터를 대비하는 온톨로지 기반 접근은 장차 공간정보의 통합적 활용과 공간데이터의 공개를 통한 사회·경제적 활용의 대홍수시대를 대비하는 기초적 연구로 의미를 가진다. It is unsuitable for Korean coastal information to work specific tasks because the coastal information of the current provides simple information, and thus the coastal information is required to reprocess.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present the ontology model for managing the coastal information using Geo-Ontology and seek application of ontology. The contents of this paper follow as; First of all, I considered the base theories for ontology and related researches. Second, I built Geo-Ontology which defines taxonomy of geographical features and their relationships. Third, I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coastal information ontology about basin of coast, Masan, using Geo-Ontology. Fourth, I carried out semantic queries and reasoning, assessment of the coastal information ontology. This paper will be a base study for many projects which are currently being conducted to integrate spatial information for more effective administrative works and easier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ata. Also,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is the study preparing for linked data.

      • 해양공간 정책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 현황 및 도전과제

        조성진(Sung-Jin Cho),강전영(Jeon-Young Kang),박재영(Jaeyoung Park),최희정(Hee-Jung Choi),남정호(Jungho Nam)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5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대상을 존재하는 것처럼 만들어 놓은 인공물"을 뜻하는 라틴어 '시뮬라크르(simulacre)'에서 파생된 시뮬레이션(simulation)은, 복잡한 문제를 해석하기 위해서 실제와 비슷한 상태(시스템)를 모델로서 구현하고, 반복 연산을 통해 최적해를 찾는 과정을 뜻한다(Baudrillard, 1994). 전통적인 분석적 방법론(analytical method)은 계수 추정을 통해서 특정 시점의 두 변수, 즉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상관성을 규명하는데 반해, 시뮬레이션 방법론(simulation method)은 현상의 재현을 통해서 과정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러한 특징으로 말미암아 시뮬레이션 기법은 문제의 최적해보다 현상의 규명에 더 적합한 방법론이다. 자연계 (nature system)의 문제(가령, 산사태의 발생원인)는 요인들 간 단순하고 명확한 관계에 의해서 정의되지만, 인간계(human system)의 문제(가령, 부동산 가격상승의 원인)는 비교적 복잡하고 불명확한 관계에 의해서 규정된다. 따라서 주로 인간관계에서 비롯되는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정책은 시뮬레이션 기술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대상이다. 일반적으로 정책은 결과 못지않게 과정도 중요하며(당위성), 현재·미래 문제를 포괄하고, 긍정적·부정적 효과(양면성)를 함께 고려하므로, 시뮬레이션은 이러한 요건에 잘 부합하는 기술이다. 최근 노인복지(백의현, 2019), 미세먼지(심창섭, 2019), 주택시장(최명섭&변세일, 2016), 인구센서스(배장현 외, 2016) 등 다양한 정책분야에서 시뮬레이션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2019년에 재정된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해양공간기본·관리계획, 해양용도구역, 해양공간적합성협의 등은 해양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해양공간의 갈등 및 상충을 해소하기 위한 해양수산 분야의 新정책수단이다. 최근 해양관광, 골재채취, 해상풍력, 해상경계분쟁 등 사회적 이용 및 갈등이 심화되면서 실효성 있는 해양공간정책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으로, 해양정책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지원할 수 있는 과학적 도구가 절실하다. 해양공간은 환경·생태계, 지역사회, 수산업, 관광업, 에너지개발 등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으며, 정책평가 시 이러한 관계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는 해양공간정책 지원도구로써 해양정책시뮬레이터(Ocean Policy Simulator, OPSim)를 제안하며, 대표적인 복잡계 연구방법론으로서 거시적 현상을 미시적 행위자의 상호작용으로 설명하기 위해 제안된 행위자기반모형(Agent-Based Model, ABM)을 적용하고자 한다. ABM은 정책 대상 및 환경의 동적 변화와 더불어, 자연·인문 환경과의 상호작용(상충 또는 시너지)이 활발한 해양 분야에 적합한 방법이지만, 동시에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한 검증의 어려움과 모델 인자의 초기값에 대한 의존성 등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ABM을 적용한 OPSim 개발 과정에서 빅 데이터를 활용한 AI기술, 자가진화 시뮬레이션 기법(self-evolving simulation), 시스템다이나믹스(system dynamics) 등을 활용하여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다(Scheutz et al., 2016; Kang et al., 2016; Bae et al., 2018; Kavak et al., 2018). Simulation derived from the Latin word "simulacre" for "artificial objects that actually do not exist" means the process of modeling a realistic state (system) to interpret complex problems and finding an optimal solution through repeated operations (Baudrillard, 1994). While a traditional analytical method defines the correlation of two variables (i.e.,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through coefficient estimation, a simulation method aims to identify the process through the reproduction of phenomena. Therefore, a simulation technique is a more suitable methodology for identifying phenomena rather than finding an optimal solution. The problem of the natural system (e.g. landslides) is defined by simple and clear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but that of the human system (e.g. real estate prices) is defined by relatively complex and unclear relationships. Therefore, a policy as a means of solving social problems, primarily derived from human relationships, is suitable for applying a simulation technique. Simulation is a technology that meets these requirements well, as a policy addresses the procedure as important as the result, solving current and future problems, and consider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Recently, simulation technology has been used in various policy areas such as welfare for senior citizens (Baek, 2019), fine dust (Shim, 2019), housing market (Choi&Byun, 2016), and population census (Bae et al, 2016). Marine space policies based on the Marine Space Planning and Management Act, which was enacted in 2019, such as marine spatial basic and management plans, marine use zones, and marine space suitability consultations are new political tools for efficient use of marine resources and management of conflicts. As social use and conflicts such as maritime tourism, aggregate collection, off-shore wind power, and maritime border disputes have intensified recently, calls for effective marine spatial policies are increasing, and scientific tools are urgently needed to accurately evaluate marine policies. Since marine space is intertwined with complex interests such as the environment, ecosystem, community, fisheries, tourism, and energy development, a marine spatial policy support tool should define and consider these relationships for policy evaluation. This paper proposes Ocean Policy Simulator (OPSim) as a support tool for marine spatial policy. Specifically, we aim to highlight the usefulness of an agent-based model (ABM) to explore human-nature interactions (i.e., conflict or synergy) an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Using an ABM for such purposes often meet the issues in regard to verification and validation of the model’s structures and outcomes. However, AI technology using spatiotemporal bigdata, self-evolution simulation techniques, and system dynamics can help to tackle validation and verification procedures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OPSim using ABM (Scheutz et al., 2016; Kang et al., 2016; Bae et al., 2018; Kavak et al., 2018).

      • KCI우수등재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의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에 따른 대규모 스포츠 경기장 좌석 배치의 공간적 최적화

        박진우(Jinwoo Park),최문기(Moongi Choi),강전영(Jeon-Young Kang) 대한지리학회 2021 대한지리학회지 Vol.56 No.1

        현재 우리나라는 코로나-19의 대규모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하고 있다. 실내 경기장과 같은 시설의 좌석 간의 거리는 2m가 유지되어야 하며, 사회적 거리두기 1, 1.5, 2단계는 각각 50%, 30%, 10%의 제한적인 관중 입장이 허용된다. 따라서 각종 시설의 좌석 간의 거리와 이용객의 수용량의 관계에 대한 이해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통한 실내 방역 효과의 증대를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소재한 고척스카이돔 프로야구장을 사례로, 좌석의 공간적 배치에 대한 탐색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공간적 최적화 기법 중 하나인 Anti-Covering Location Problem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거리두기의 권고 안인, 좌석 간에 2m의 거리를 유지하게 되면 전체 좌석의 약 12% 만이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이용객의 수용량이 50%로 조정될 때, 예상되는 좌석 간의 거리는 약 0.8m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의 사회적 거리두기의 집단 시설 및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가이드 라인에 대한 조정이 필요함을 밝히고 있다. Social distancing is an important practice for preventing the spreads of COVID-19. In South Korea, it is required to keep the two-meters distance between the seats in the indoor sports facilities, with the capacity limits (i.e., 10 to 50 %).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use of indoor sports facilities under social distancing practice, the association between widening distances between seats and the capacity limits needs to be investigated.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spatial optimization of indoor sports stadium seats, taking Gocheok Sky Dome located in Seoul as the case study. Particularly, we used the Anti-Covering Location Problem method. As a result, only 12 % of seats will be available when keeping two-meters distance between the seats. Also, the distance between the seats would be about 0.8 meters at the 50% capacity limit. This study sheds lights on a reconsideration about the social distancing guidelines for group-use and multi-use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