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 연구

        손영미,김영한,장희대 大邱大學校 師範大學 附設 敎育硏究所 2010 學校敎育硏究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role and the function of the Support Center for Special Education through analysing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ferences and the special education method for the handicapped an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performing the role of the Support Center for Special Education by studying how different teachers' understandings the role of the Support Center for Special Education are, who directly communicate with it, by the background factors such as their experience, the working areas, the classes of the schools, their academic backgrounds. For this study, I conducted the survey composed of 30 sub-elements under 3 types of the function of the diagnosis test of the special education targets, the function of the informative support of the special education and the training, and the function of teaching activities of the special education. The results through the specific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in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functions of Support Center for Special Education by their teaching experience, the teachers who have less 5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inks the function of diagnosis and assessment test importantly. Second, there are no notable differences of the teachers' understanding the functions of Support Center for Special Education by their working areas. However, in case of teachers working at schools in Metropolitan cities, they think the function of diagnosis and assessment and the support function of teaching activities importantly while the teachers in Eup or Myeon areas think the function of the informative support and training importantly. Therefore, it seems to be necessary to reflect the teachers' needs and the characteristics on Support Center for Special Education by each area. Third, according to the classes of the schools,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schools think the function of diagnosis and assesment, the function of the informative support and training and the function of supporting teaching activities more importantly compared to the ones at middle or high schoo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Support Center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differently by the class of the school. Last, in the study of teachers' understanding the functions of Support Center for Special Education by their academic backgrounds, the teachers who finish their undergraduate schools think the function of diagnosis and assessment, the function of the informative support and training more importantly than the ones who finish their graduate schools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을 분명히 하기 위하여 역할 요인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그 요인에 대한 인식이 특수학급 교사들의 주요 배경 변인인 특수교육경력, 근무지역, 학교급별, 최종학력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그 연구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목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이 특수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 아본다. 둘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근무 학교의 지역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다. 셋째, 특수학급 교사들이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학교급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본다. 넷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특수학급 교사의 최종학력에 따라 차이가 살펴본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 울산, 충북, 충남, 경북 등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특 수학급을 담당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학교당 1학급에서 4학급까지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전체 112개교를 임의적으로 선정하여 해당 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그리 고 최종수거된 108부의 설문지를 가지고 결과를 분석하였는데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경력에 따른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에 관한 인식에서는 진단 및 평가기능에 대하여 특수교육경력이 5년 이하인 교사들이 그 기능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둘째, 근무지역에 따른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에 관해서는 지역별로 큰 차이점이 없으나 광역시의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경우, 진단 및 평가기능, 교수활동 지원기능을 중요하게 인식 하고 있으며 읍면지역의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은 정보지원 및 연수기능에 대하여 중요하고 인식하고 있다. 셋째, 학교급에 따라서는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이 중학교,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에 비 해 진단 및 평가기능, 정보지원 및 연수기능, 교수활동 지원기능을 중요하게 인식한다. 넷째, 학력에 따 른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에 관한 인식에서는 대학교를 졸업한 교사들이 대학원을 졸업한 교사들보다 진단 및 평가기능, 정보지원 및 연수기능에 대한 중요하게 인식한다.

      • 교원양성기관에서의 다문화 교육과정 방향성 고찰

        이민경 大邱大學校 師範大學 附設 敎育硏究所 2011 學校敎育硏究 Vol.6 No.2

        이 논문은 세계화, 다문화 시대라는 패러다임의 전환과 이로 인한 한국교육사회 환경의 변화에 주목하면서 교직과정으로서 다문화교육과정 방향성과 효과적인 내용구성에 대한 탐구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현재 교육대학(원)과 사범대 등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예비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현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국내 교원양성기관의 다문화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바탕으로 예비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r the orientation and effective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eacher's education in university, in light of the fact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has recently become an important social and educational issue with the changes in Korea’s position in the national and global context. For this purpose, I analysed present multicultural education for future teacher in university with a critical perspective based on existing theory and practice on multicultual education. As a result, I suggest key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eacher's education in university.

      • 다문화교육에 대한 대구·경북지역 중등학교 국어·사회과 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정진홍,강운선 大邱大學校 師範大學 附設 敎育硏究所 2009 學校敎育硏究 Vol.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대구․경북 지역의 사회과 교사와 국어과 교사는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이해의 정도에서 차이가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다문화 교육의 목표와 다문화 교육에 대하여 교사들이 취할 수 있는 다양한 관점 등을 정리하고, 그것에 근거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우편과 온라인의 방법으로 배부하였으며, 169부의 설문지가 분석 대상으로 활용되었다. 다문화교육 이해도와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 분산분석(ANOVA)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국어 교사와 사회과 교사의 다문화교육 이해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에서도 오히려 국어 교사가 더 배려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nd perspective on multicultural education of secondary school Korean and social studies teachers in the Daegu/Gyeongbuk region.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I set the following hypotheses: 1) Social studies teachers will have a higher degree of understanding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an Korean teachers; 2) Social studies teachers sided more with the goal of consideration type multicultural education compared to Korean teachers. In order to verify the above-mentioned hypotheses, this study implemented verification and analysis procedure using statistics processing program (SPSS 14.0). In order to examine teachers' characteristics, the degree of understanding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frequency of the perspectives on the goal of multicultural education, I utilized frequency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method, I implemented verification by using Cronbach’s Alpha. In addition,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 of the degree of understanding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perspectiv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goal according to teachers' census statistical characteristics, I utilized t-test and ANOVA. Therefore, I came up with the following analysis results: First, most of the respondents had heard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understood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a few teachers understood "negatively" by answering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s education for encouraging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ducation about minority group cultures, and alternate curriculum for current curriculum, which is f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do not agree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s for minority groups to give up their mother tongue and culture and accept the mainstream society's culture in order to live in the mainstream society, Third, as a result of the hypotheses verification, Hypothesis 1 and 2 was rejected.

      • 지체장애학교 특수교육보조원이 겪는 역할갈등에 대한 질적 연구

        김소란 大邱大學校 師範大學 附設 敎育硏究所 2011 學校敎育硏究 Vol.7 No.1

        본 연구에서는 지체장애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육보조원이 역할수행에 있어서 어떤 갈등을 겪는지 밝힘으로써 특수교육보조원제도의 질적 개선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지체장애 특수학교에 근무 중인 특수교육보조원 7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특수교육보조원이 겪는 갈등을 생활지도면, 교수-학습면, 환경적인 면으로 나누어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기준으로 심층면담하였다. 생활지도면에서는 반복되는 신체적 상해와 물리적인 사고에 노출, 보조원의 역할에 대한 잘못된 인식, 차별적 대우와 무시로 인한 상처로 갈등을 겪고 있었으며, 교수-학습면에서는 존재감의 상실, 교과에 대한 지식부족, 애매모호한 역할로, 환경적인면에서는 개인적 시간과 휴식공간의 절대적 부족, 낮은 지위에 대한 인식, 부족한 월급과 열악한 연수 로 인해 갈등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결론에서는 지체장애학교 특수교육보조원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qualitatively improving the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 system by identifying the types of conflicts that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undergo as playing their roles in schools for the physically disabled. Toward this end, seven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who are working in schools for the physically disabl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Through an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the conflicts that they undergo were divided into areas guidance, teaching-learning, and environment. Then the subjects were interviewed in depth based on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In terms of guidance, they were experiencing conflicts due to exposure to repetitive physical injuries and accidents, misconception of their roles, and discriminative treatment and disdain. In terms of teaching-learning, they were revealed to experience conflicts caused by lack of presence, insufficient knowledge of subjects, and their ambiguous roles. In terms of environment, they proved to be experiencing conflicts due to lack of personal time and resting place, perception of their status as low, low wages, and poor trai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 system in schools for the physically disabled.

      • 학습기술훈련이 학습부진아이 학습동기화 자기주도적 학승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성남,박남수 大邱大學校 師範大學 附設 敎育硏究所 2013 學校敎育硏究 Vol.8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기술 훈련이 학습부진아의 학습동기와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아동 중 5개 교과(국어, 수학, 사회, 과학, 영어)에서 평균 학업성취도가 60% 미만인 3명의 학습부진아를 대상으로 학습기술훈련을 적용한 다음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기술훈련은 학습부진아의 학습동기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학습기술훈련은 학습부진아의 자기주도적 학습농력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This research is the single subject research which aims at investigating what effects the study skills training has on the learning motiv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underachievers. For this purpose, five children with the average educational achievement of less than 60% in the five subjects(Korean, Mathematics, Social Studies, Science, and English)were selected. The study skills training was conducted for 50 minutes per session and a total of seventeen sessions were conducted for six weeks.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kiils training i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learning motive of the elementary school underachievers. Second, the study skills trai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crease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elementary school underachievers.

      • 우리나라 특수교육 교사 직전교육의 문제와 쟁점

        김병하 대구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08 敎育硏究 Vol.3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on the problems and issues of pre-service education for special teachers in our country. The main problems and issues in this study are divided into three aspects; the first aspect is pre-service system for special teachers, the second is pre-service curriculum for special teachers, and the last one are issues and tasks on the pre-service education for special teachers in Korea. In our country, the system for preparation of special teachers level up from undergraduate to graduate. And the certification of special teachers was changed from specified categorical area(visually impaired, hearing impaired, mentally retarded, and physically handicapped) to non-categorized approach. The curriculum for preparing of special teachers should be developed from the traditional course-based approach to competency-based teacher education. Specially, the management of curriculum should be emphasized to field-based approach and kept to criterion of national standard. 본 연구는 우리나라 특수교육 교사 직전교육의 현안 문제와 그 주요 쟁점을 밝히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 특수교사 양성체제는 4년제 대학체제를 근간으로 하고 있으나, 최근에 와서 대학원 수준으로 이행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수교사 자격증제도는 현실적 편의성에 따라 장애별 분화를 탈피하고 비범주화(noncategorizing)를 지향하면서 상대적으로 장애별 특성이 강한 맹과 농 영역은 그 전문성이 희석되고 있다. 특수교사 양성과정 편성과 운영에서 수행능력중심(competency-based) 접근이 강조되고 있으나, 실제로는 여전히 전통적 코스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또한, 양성과정 편성에서 국가적 표준 설정에 의한 질의 통제가 제안 되고 있으나, 여전히 개별 양성기관의 임의적 자의성에 따라 많은 편차를 드러내고 있다.

      • 광전효과에 대한 LabVIEW 시뮬레이션 활용 수업 연구

        황효창,김재경 대구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08 敎育硏究 Vol.3 No.2

        기초 대학 물리학 과정에 적용하기 위하여 ‘광전효과 흉내내기’ 프로그램을 LabVIEW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이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도표를 그릴 수도 있으며, 교수는 이를 토대로 광전효과와 빛의 이중성에 대한 토의를 하도록 지도하였다. 이 LabVIEW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학 1학년 기초 대학물리 과정에서 광전효과를 가르친 후 전통 강의방식으로 강의한 집단과 비교하였다. 두 집단에 실시한 일련의 설문과 개인 인터뷰를 통하여 이 교육자료에 대한 흥미도와 교육효과를 분석하였다. 설문결과 LabVIEW 흉내내기 프로그램을 적용한 반의 40%가 LabVIEW 학습자료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부정적 반응을 보인 학생은 10% 미만이었다. 개별 인터뷰를 통해, 그들에게 친숙한 컴퓨터로 인해 전통강의보다 더욱 흥미로와 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교수와 동료 학생들 간의 문답에 대해 좋은 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컴퓨터 흉내내기 프로그램은 학습과정에서 학습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을 것 같다. We made a simulation program which simulate photoelectric effect for the purpose of applying to basic university physics course. This program was produced by using LabVIEW. We taught freshmen photoelectric effect by using this LabVIEW simulation program and explored the education effects and interest on this simulation experiment by comparing this experimental group with the other one who studied this subject through traditional lecture. This simulation program make students to graph automatically with collected data, and teacher guides students to discuss photoelectric effect and dualism of light. The interest and the effect of two groups on this teaching material were compared by list of questions and personal interviews. Questionnaire revealed that the positive interest on the class using the LabVIEW simulation was about 40%, the negative opinions was less than 10%, and 40% of the participants said it was useful to them. From the personal interviews we could conclude that the computer itself, a familiar thing to them, made students more interesting than the dull traditional lecture. Moreover, they preferred to have questions and answers with the professor and their colleague students. Thus we could expect that the computer simulation program in learning activity heighten learning effect.

      • 시각장애학교 중등부 학생의 음악과 수업에 관한 인식

        이경희,이해균 大邱大學校 師範大學 附設 敎育硏究所 2010 學校敎育硏究 Vol.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시각장애학교 중등부 학생의 음악과 수업에 관한 인식을 연구하여 현행 시각장애 학교 중등부 학생의 효율적인 음악교육방안을 모색하고, 올바른 음악과 수업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시각장애학교 중등부 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성별, 학교급별, 시력 정도별, 시각장애 발생시기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음악과 수업에 관한 인식을 음악교육과정 5문항, 음악교사의 교육방법 8문항, 음악교육내용 11문항, 음악교육환경 5문항 등 총 29문항의 설문지로 구성하여 현장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음악과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후천성 시각장애학생이 선천성 시각장애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음악교사의 수업방법 중 점자악보 교육은 맹학생이 저시력학생보다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음악과 수업에 대한 관심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음악기자재 및 악기 활용은 저시력학생이 맹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후속에 필요한 사항들을 제 언에 제시하였다.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recognition of music classes in the secondary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and find out efficient music method of present secondary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and to suggest basic materials with a view to activating right classes. Accordingly, The results, which are in the course of investigating and analyzing according to the respective variations of background and the respective factor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reas of the recognition on the music class, the satisfaction on the music education curriculums, students with acquired visual impairments are higher than those with congenital visual impairments. In the area of the understanding on the braille musical note, blind students are higher than those with low vision and in the area of recognition on the braille or music note materials low vision students are higher than blind ones. Second, in the area of the recognition music teacher's education method, the variation of music class, low vision students are higher than blind students in the area of the effort of creativity female students are higher than male students. On the education of braille note, middle school students are higher and blind students are higher than low vision students. Third, in the area of the recognition of music class, interests on the music class, female students are higher than male students. On the understanding of the basic conception of music, female students are higher than male students, blind students are higher than low vision students, On the understanding of music class, female students are higher than male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are higher than se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blind students are higher than low vision students. On the satisfaction of music class, female students are higher than male students, students with acquired visually impaired are higher than students with congenitally visually impaired Fourth, in the area of the recognition of music education circumstances, on the level of musical materials and on the degree of the usage of musical instruments, low vision students are higher than blind students.

      • 유아교육기관의 조직규모가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조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김현미 大邱大學校 師範大學 附設 敎育硏究所 2011 學校敎育硏究 Vol.7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조직규모가 교사직무만족도 및 조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167개의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715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조직규모는 교사 직무만족도의 하위변인인 인간관계, 담당직무, 근무환경, 보상체계, 행정체계에 영향을 미치며, 기관유형에 따른 국공립법인 어린이집의 교사들의 경우 직무만족도 전체 등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었으며, 민간어린이집의 교사들의 경우는 인간관계, 근무환경, 보상체계, 지위인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었으나 사립유치원의 경우, 직무만족도 전체 등에서는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규모는 교사 조직헌신도의 하위변인인 충성심, 자발성, 가치수용 모두에 영향을 미치며, 기관유형에 따른 국공립법인 어린이집과 민간어 린이집의 교사들의 경우 조직규모와 조직헌신도 전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었으나 사립유치원의 경우 조직헌신도의 전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기관의 조직규모가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조직헌신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볼 수 있으며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조직헌신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조직규모에 대한 효과적인 행정적인 지원방안의 기준과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how sizes of organization’ affect on teachers’ job satisfactions and commitments to where they belong.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s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organized: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s, hypotheses were formulated according to the each research questions above. For the hypotheses testing, 715 teachers working in 167 institutions including 59 public child-care centers, 51 private child-care centers, and 57 public kindergartens which are located in Daegu City, Gyeongbuk, and Gyeongnam Province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ize of educational organization has an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mbers, task, working environment, compensational systems, and administrative systems. Depending on the types of educational organizations, the size effects of institutions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differ respectively. Secondly, The sizes of organizations affect on loyalty, spontaneity, and acceptation of values which are sub-variable of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The effects of organizations’ sizes on teachers’ commitment differ according to the types of educational organiz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