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 Singer의 환경윤리

        김학택 범한철학회 2009 汎韓哲學 Vol.52 No.1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is a basic principle in P. Singer's ethics. Applying it to the problem of environment, he develops his environmental ethics. He argues that even within a traditional human- centred moral framework based on the argument of future generations, the preservation of our environment is a value of the greatest possible importance. But he asserts that it is arbitary to hold that only human beings are of intrinsic value. He contains all sentient creatures who have interests and introduces the argument of future generations. Therefore his environmental ethics fosters consideration for the interests of all sentient creatures, including subsequent generations stretching into the far future. He claims that to extend an ethic in a plausible way beyond sentient beings is a difficult task. He criticizes on P. Taylor and Deep ecology that it is difficult to give an intrinsic value nonsentient living things and ecosystems. So the divide between sentient and nonsentient is to that extent a firmer basis for a morally important boundary than the divide between living and non living things or between holististic entities and other entities. After all, he concludes that we should confine ourselves to arguments based on the interests of sentient creatures, present and future, human and nonhuman. His environmental ethics has many problems. But we have to give attention to a logical consistency of his ethics and his descriptions on our pratical attitudes, such as frugality, extravagance, the habit on food and so on, to environmental problems. 이해관계의 평등 고려의 원칙은 싱어의 윤리학 전반에 일관적으로 흐르고 있는 핵심적 원칙이다. 그는 이것을 환경문제에도 일관적으로 적용시켜 환경윤리를 전개한다. 그는 전통적인 인간중심적 윤리체계도 미래세대의 논증을 보강함으로써 자연보호가 중요한 가치라는 것을 입증한다. 그러나 그는 도덕적 고려 대상을 인간으로 한정하는 것은 자의적이라고 주장하여, 이해관계를 가지는 모든 존재, 즉 감각적, 의식적 존재를 모두 포함시킨다. 여기에 미래세대의 논증을 도입하여, 그의 환경윤리는 먼 미래의 다음 세대를 포함해서, 모든 의식적인 피조물의 이해관계에 대해 고려함으로써 성립된다. 또한 그는 생명 중심적 사고와 심층생태주의에 대해서 생명이나 생태계 전체에 본래적 가치를 부여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라고 주장한다. 그래서 그는 의식적 존재와 그렇지 않는 존재의 구분이 도덕적 고려대상의 확실한 기초이며, 환경윤리도 의식적 존재의 이해관계에 관한 논의로 국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의 환경윤리는 그가 테일러나 심층생태주의에 제기한 문제만큼이나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그러나 그의 윤리학에서의 논리적 일관성과 사치, 절약, 음식습관 등 환경문제에 관한 우리의 실천적 태도에 대한 그의 서술은 주목할 가치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생태중심윤리와 인구문제

        김학택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7 철학·사상·문화 Vol.0 No.23

        Population problem is a fundamental and priority issue to re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In particular, overpopulation is the problem to be dealt with in a holistic, ecocentric ethics in which a unique value to humans is not, in principle, given. Lifeboat ethics proposes the population control policy by halting the food aid to poor nations and the abolition of immigration policies. This policy has effects in a short period, but it is the compulsory policy of the developed countries reganding the developing countries, and is the policy requiring sacrifices of the poor. On the other hand, spaceship ethics proposes the policy naturally reducing population growth rate of the developing countries through improving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by active aid to them and by education.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but it is based on the change of thoughts and voluntary choice. It does not require one-sided and forced sacrifice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take the voluntary change of our thoughts that the Earth is a spaceship. Developed countries have to support the developing countries to voluntarily curb their population. The active aid of developed countries to the developing countries stabilizes economic situation and social conditions of developing countries. The developed countries don’t have a right to demand for poor countries to undertake forced sacrifices but have a duty to help them. And it is required to do some supervision and monitoring on the aid and support properly to be used. 인구문제는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이고 우선적인 문제라 할 수 있다. 특히 원리적으로 인간에게 특별한 가치를 부여할 수 없는 생태 중심적, 전체론적 환경윤리에서 전체에 해가 되는 과잉인구는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문제이다. 구명선 윤리는 원조중단과 이민정책 폐지를 통한 인구조절정책을 취한다. 이것은 단기간에 효과를 볼 수 있지만, 개발도상국에 대한 선진국의 강제적 정책이며, 무엇보다 가난한 자의 희생이 담보된 정책이다. 반면에 우주선 윤리는 오히려 개발도상국에 대한 적극적인 원조를 통해 그들의 경제적, 사회적 여건을 향상시키고 교육함으로써 인구증가율을 자연스럽게 감소시키는 정책을 취한다. 이 정책이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지만, 기본적으로 사고전환과 자발적 선택에 근거하고 있으며 가난한 자의 일방적, 강제적 희생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지구는 하나의 우주선이라는 자발적 인식전환이 필요하고, 둘째, 개발도상국에 대해 선진국은 원조 중단이 아니라 오히려 적극적인 원조를 통해 경제를 안정시키고, 교육을 통해 자발적으로 인구를 억제하게끔 지원해야 할 것이다. 선진국이 가난한 나라의 강제적 희생을 요구할 권리는 없지만 그들을 도와야 할 의무는 가진다. 셋째, 그러한 원조와 지원이 적절하게 활용되고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감독과 감시가 요구된다.

      • 상생 윤리의 체계에 관한 소고

        김학택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05 대순사상논총 Vol.19 No.-

        In spite of the ethics of sangsaeng is based on Daesoon thoughts, we can regard it as a moral theory independent on religion. Like other reasonable moral theories, It has three levels, moral standard, moral rules and moral acts or judgements. Sangsaeng is moral standard in the ethics of sangsaeng. moral rules are derived from it and could justify many particular moral judgements and acts. The ethics of sangsaeng belongs to metaphysical ethics and holistic ethics because it is derived holistic, sangsaeng's world view of Daesoon thoughts. The ethics of sangsaeng, first of all, extends the realm of moral community to all beings of world. Therefore it might works well on as a solution for environmental problem recently issued. Secondly, because beings are fundamentally all equal in holistic world, the principle of equality is basic principle in the ethics of sangsaeng. Finally, in relation to the principle of equality, the ethics of sangsaeng needs 'Haewon' as the first moral rule because it is a practical method for solution to various social inequality - racism, sexism, regionalism and so on.

      • KCI등재

        선험적 지식에 대한 에이어의 분석

        김학택 범한철학회 2010 汎韓哲學 Vol.59 No.4

        Kant extends the role of a priori knowledge in our knowing by regarding it as basis giving certain believes about the nature. Empiricists can't accept Kant' explanation because they contend that all knowledge begin in experience and a priori knowledge says nothing concerning any matter of fact. Logical Empiricists must solve this problem. So A. J. Ayer specifies the nature and the role of it in the view of empiricism. He explains a priori knowledges as follows. 1) They are necessarily true because they are analytic. 2) They report linguistic usages. 3) They are conventions and 4) They assert nothing about fact. Therefore, he admits the being of a priori knowledges but by confining the scope and role of them, he doesn't admit Kant' synthetic a priori knowledges But critics of D. W. Hamlyn, B. Blanshard and empiricist B. Russell on Ayer's arguments show them not be valid. And Pragmatism, called be radical empiricism, asserts that a priori knowledge, even though it is not necessary, plays a role leading knowledge of facts. Also S. Kripke shows cases on a necessary empirical judgment and a contingent a priori judgment. A possibility of necessary empirical judgments shows that Ayer's argument which a priori knowledge is analytic and necessary is not valid. And A possibility of a contingent a priori judgment shows that a priori knowledge can say matter of facts. First of all, like Kant's system, if the object is constructed by a priori form of subject, we may judge it synthetically, yet a priori. Consequently, a priori knowledge may give not only the certain belief but also information of the nature. 칸트는 선험적 지식을 자연에 대한 확실한 인식을 제공하는 근거로 보고 선험적 지식의 역할을 확장시킨다. 모든 지식이 경험으로부터 출발하며, 선험적 지식이란 자연의 사실에 대해 어떤 정보도 제공해주지 않는다는 경험론의 입장은 칸트의 설명을 수용할 수 없었다. 경험론적 전통을 이어받은 논리실증주의는 이 문제를 분명히 해결해야 했다. 그래서 에이어(A. J. Ayer)는 경험론의 전통에 근거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선험적 지식의 성격과 역할을 명시한다. 에이어는 칸트가 명시한 분석판단과 종합판단의 구분을 비판하여 이를 보완하고, 이것을 근거로 선험적 지식에 대한 경험론의 입장을 구체적으로 대변한다. 그는 선험적 지식의 존재를 인정하는 동시에 그것의 범위와 역할을 제한함으로써 인식의 확실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보증하는 칸트의 선험적 종합판단의 존재를 부정한다. 그럼으로써 그는 선험적 종합판단이라는 경험론의 난제를 해결하고 경험론의 위상을 유지할 수 있다고 여겼다. 그러나 햄린과 브랜샤드 그리고 경험론의 전통에 있는 러셀의 비판은 그의 선험적 지식에 대한 해석이 지나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극단적 경험론이라고 불리는 실용주의조차도 선험적 지식에, 비록 필연적이지 않지만, 사실에 대한 인식을 인도하는 역할을 부여한다. 게다가 크립키(S. Kripke)는 필연적인 경험적 명제와 우연적인 선험적 명제의 예를 제시한다. 필연적인 경험적 명제의 가능성은 선험적인 지식이 분석적이고 필연적인 지식이라는 에이어의 해석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주고, 우연적인 선험적 명제의 가능성은 선험적 지식이 사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무엇보다 우리의 인식 구조와 방식이 칸트가 주장하는 것처럼 주관 중심으로 이루어진다면 선험적 지식은 확실성 뿐 아니라 사실에 대한 정보도 제공해 줄 수 있는 여지를 가진다.

      • KCI등재

        선험적 지식과 필연성에 관하여

        김학택 범한철학회 2009 汎韓哲學 Vol.55 No.4

        Kant specified the traditional concept on a priori knowledge by giving it to necessity and university. In particular, he showed the possibility of synthetic a priori knowledge. It's necessity is not the logical, formal necessity of analytic judgements but the material necessity in any compulsion of the mind. According to Kant, a priori form in mind brings to be necessary into them. such form in mind is compulsive. What is a priori is necessary because it compels the mind' acceptance. Lewis explained the a priori that it represents an attitude in some sense freely taken, stipulation of mind itself, and a stipulation which might be made in some other way if it suited our bent or need. According to Lewis, the a priori is independent of experience not because it prescribes a form which the data of sense must fit, or anticipates some pre-established harmony of experience with the mind, but precisely because it prescribes nothing to experience. It concerns the uncompelled initiative of mind or our categorical ways of acting. Therefore, none of a priori knowledges is beyond the possibility of alteration and does not have a necessity. Quine argued that there can be no such thing as a priori knowledge in his epistemic holism. all knowledge is to some degree empirical. Since no sentence is immune to revision, there is no necessary truth either. Consequently, we must give up the conception that a priori knowledge must be necessary. it is not certain that a priori knowledge must be necessary. To be necessary, it is required other source. Thus we must have a loosed concept or definition of a priori knowledge without necessity. We can find it in Hamlyn and Moser' definition. In particular, Moser' concept of minimal a priori knowledge does not requires necessary belief, irrevisable belief, self-evidence belief, or innate concepts. 전통적으로 선험적 지식은 경험의 도움 없이 혹은 경험에 독립해서 참임을 확증할 수 있는 지식으로서 경험에 의해 참임을 확증할 수 있는 경험적 지식과 구분된다. 칸트는 이러한 선험적 지식에 필연성과 보편성을 부여함으로써 선험적 지식의 전통적 의미를 구체화한다. 특히 칸트는 선험적 종합판단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선험적 종합판단의 필연성은 분석판단이 가지는 논리적 형식적 필연성이 아니라 우리 마음의 특유한 구조에서, 즉 우리 주관에서 비롯되는 실질적, 내용적 필연성이다. 또한 그것의 필연성은 우리가 임의적으로 변경할 수 없는 마음의 강제성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그러나 루이스는 선험성을 우리가 자유롭게 받아들인 태도이며, 우리의 경향이나 욕구에 적합하다면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질지도 모르는 마음 그 자체의 약정에서 비롯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그래서 선험적 지식은 우리의 경향과 욕구와 관련된다는 점에서 실용적이며, 우리의 경향과 욕구에 적절하지 못할 경우에, 혹은 경험의 확장에 의해서 변경 가능하다는 것이므로 필연성도 가지지 않는다. 콰인의 인식론적 전체론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든 명제는 수정 가능성을 가진다. 분석명제나 논리적 원리조차 수정으로부터 면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필연성을 가지지 않는다. 콰인에 있어서 모든 명제는 경험의 영향을 받고 그에 따라 수정 가능성을 가지므로 전통적인 의미의 선험적 지식은 부정된다. 이처럼 선험적 지식의 필연성은 인식체계, 인식구조에 대한 관점에 따라 달라진다. 칸트가 선험적 종합판단에 부여한 필연성도 인식체계에 따른 필연성일 뿐이다. 그래서 선험적 지식의 개념이 필연성과 관련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포기해야 하며, 서로 연관 관계를 가지기 위해서는 칸트가 시도한 것처럼 정당한 근거를 가져야 한다. 그러므로 선험적 지식에 대한 보다 완화된 규정이 요구된다. 우리는 이러한 규정을 햄린과 모저의 정의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모저의 최소한의 선험적 지식 개념은 수정 불가능성, 오류 가능성, 자명성, 필연성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실용주의적 관점과 콰인의 인식론적 전체론뿐 아니라 진리정합설 그리고 크립키의 예들에서 선험적 지식은 부정되지 않는다.

      • KCI등재후보

        채식주의와 도덕공동체

        김학택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3 철학·사상·문화 Vol.0 No.15

        The ethical issues associated with non-human beings are related to the boundary of the moral community. In this regard vegetarianism concerns non-human beings. Reasons and purposes to be a vegetarian are based on the being to be considered, in other words, on the boundary of the moral community. Generally we classify vegetarians according to kinds of food to be allowed. This is not only vague but also difficult to grasp the intent and purpose of vegetarianism. It is more important to classify it by the intent and purpose of vegetarians than by kinds of food that should be allowed. Therefore, it is worthwhile to categorize vegetarianism as vegetarians 'for human', 'for animals', 'for all life' and 'for environment'. However, it seems not easy for each type of the vegetarians to justify itself. Arguments of vegetarianism based on human health and economic efficiency rather permit some restricted form of meat-eating. The vegetarianism for animals would be allowed to eat the animals raised for food without causing them unnecessary suffering. Vegetarianism for all living things brings about the same results. Vegetarianism for the environment and the ecosystem has to permit the meat-eating under the limits with no harm to the environment and the ecosystem. From the arguments based on our health and economic efficiency, the suffering and the right of animals, and the conservation of the environment and the ecosystem, it does not follow that we are all to be vegetarian and we should not eat all meats. These arguments clearly show that excessive meat-eating is morally wrong, and indicate that demi-vegetarianism is more desirable than veganism. 인간이 아닌 존재와 관련되는 윤리적 문제는 항상 도덕공동체의 범위 문제가 따른다. 채식주의 또한 인간뿐 아니라 인간이 아닌 존재들과 관련된다. 채식을 해야 하는 이유와 근거도 관련된 존재에 따라 즉 도덕 공동체의 범위에 따라 달라진다. 채식주의는 일반적으로 허용하는 음식의 유형에 따라 구분한다. 이것은 매우 애매할 뿐 아니라 채식주의의 취지를 제대로 파악하기도 어렵다. 허용해야 하는 음식의 유형보다 그 이유와 취지가 더 중요하다면 그에 따라 구분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므로 채식주의를 도덕공동체에 따라 각각 인간, 동물, 생명체 그리고 환경을 위한 채식주의로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각각의 채식주의는 자신을 정당화하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인간의 건강과 경제적 효율성에 근거한 채식주의의 주장은 오히려 절제된 육식을 허용하게 되고 지역에 따라서 육식을 허용하게 된다. 또한 동물의 고통과 권리를 위해 채식을 해야 한다는 채식주의도 학대 없이 사육된 고기를 음식으로 사용하는 것을 허용할 수밖에 없다. 채식주의가 모든 생명체를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더라도, 살아있는 존재를 음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여지를 가지며, 때론 육식도 허용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환경을 위해 채식해야 한다는 입장도 생태계에 위해를 가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육식을 허용할 수 있다. 결국 채식주의의 근거들로부터 우리 모두 채식을 해야 하고, 모든 고기를 먹지 말아야 한다는 결론이 도출되는 것은 아니다. 단지 과다한 육식이 도덕적으로 허용할 수 없는 행위이며, 부분적인 또는 절제된 채식주의(demi-vegitarianism)가 보다 바람직한 행위라는 것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