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Alkohol Motiv 를 통해 본 Gerhart Hauptmann 의 " Vor Sonnenaufgang " 에 나타난 사회상
홍인숙 한국독어독문학회 1983 獨逸文學 Vol.29 No.1
Gerhart Hauptmann ist ein Dichter des Natualismus. Er nimmt die konsequente Darstellungsmethode Holzens and Schlafs durch den Klub urch$quot;. Das erste Drama von Hauptmann wurde aufgefuhrt von der reien Buhne$quot;. Hauptmann stellt das dunkle Gesellschaftsbild in seinem Werk or Sonnenaufgang$quot; dar. Er beschreibt ias BSse in einer Familie deren Motive Alkoholismus ist Wie in acht der Finsternis$quot; Tolstojs den Alkoholismus and die Geschlechtskrankheit in den espenstern$quot; Ibsens, gebraucht der Dichter das Motiv, der Vererbung des Alkoholismus, damit er den Verlust an Humanitat and den Niedergang der Gesellschaft durch die plbtzliche Mechanisierung der Industrie im spaten 19 Jhd. darstellt. Zugleich zeigt er durch das Alkohol-Problemen die Identitat der Gesellschaft mit der Familie. Er stellt den Untergang einer Familie bedingt durch den Alkoholismus dreien Generationen von Krause fiber Martha bis Marthas Sohn. Krause wird plbtzlich ein reicher Mann lurch ein in seinem Feld gefundenes Kohlenvorkommen. Er ist so weft heruntergekommen, daB er wie cin Tier handelc alle menschliche Vernunft im Alkoholismus ertrankend, daB er soger seine Tochter nicht erkennt. Er reiLit seine game Familie mit dem Untergang. Seine Tochter Martha wird der Alkoholismus vererbt, and sie hat kein Vermtfgen, ihren Sohn zu ernahren. Ihr Sohn stirbt, mit Jahre alt, weft der eine Essigflasche fiir Weinflasche halt. Der sittliche Verfall des Hauses wird deutlich in der Stiefmutter, die ihren Neffen and Liebhaber Karl der Stieftochter zur Heirat vermittelt, and im Schwager, der seine Schwagerin verfuhrt, Ruin and Fall der Krausens lurch Alkoholismus wird deutlich im Vergleich mit Helene, die einzig nicht trinkt and unangestastet bleibt and lurch den Idealisten Loth, der aus der Auf3enwelt kommt. Im Vergleich mit der Familie Krause, die plVtzlich reich wird and dann sich selbst zerstiirt, sind der Arbeiter Beibst, der von dem Kapitalisten ausgebeutet wird, so arm, daf3 er auch den dritten Sohn ins Bergwerlc schicken muf3t, obgleich er ohne ein vollbringen des Idealens, schon die zwei StShne dort verlieren. Der Dichter beleuchtet die tragische Situation der Arbeiter durch das Handeln der Figure Loth. Loth hat viele Revolutionare Ideate. Aber Loth verliif3t die Familie and llelene endet im Selbstmord. Das Gesellschaftsbild in or Sonnenaufgang$quot; zeigt die Niederlage des Ideslismus and beweist die Lehre Taines er Mensch ist ein Produkt seines Millieus$quot; in der Industrie-Gesellschaft and die Personen l:iinncn rich von dem Band der kohol-Umwelt nicht befreien. Im Verk or Sonnenaufgang$quot; vertritt der L)ichter uffentlich mit Alkohol Motiv die dunkle Situation von einer sozialen Revolution, d.h. Trunksucht, Unsittlichkeit, Verlust der Menschlichkeit and die Tragik der Arbeiter schafft in der Industriegesellschaft.
열녀 유서에 나타난 감정 규범과 감정 통제의 기제 - 신씨부 유서에 나타난 순응과 위반의 감정 언어를 중심으로
홍인숙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9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9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motional language of chaste woman’s suicide note and examine its meaning and value. The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o emotional background of Joseon Dynasty in the 19th century, also to inquire into the woman’s deep and complex mentality who is obedient to the Yeal ideology seemingly.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recommended emotional norm for women was “Obeisance”. ‘Chaste (Yeol)’ is an extreme obedience to die with her husband. A suicide note left by a daughter-in-law of the Shin family was written with a determination to follow her husband in his death, and it was featured that “following but violating” the rules of emotional norm forced to women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Three of the four suicide notes left by the Shin family's daughter-in-law were left to her maiden homes’ family "her adapted son and his wife, daughter and her husband, and her brother’s and his wife. In here, the writer showed prudence and thoughtful affection, considered the situation of recipients of her suicide note first. She also showed that adjusting her feelings by considering the depth of the relationship without pouring her sadness and bitterness out first. On the contrary, the other note left to her parents-in-law revealed her condensed emotion of anger. An anger is the emotion originally hiararchical and gendered. Especially woman’s anger is regarded as the emotion negative and blameful. It was because she protested that it was all her parents in-laws’ fault and not her own while explaining why she had to died years later than her husband in the note. However, these anger emotions offended against the filial piety, that is the main value of Joseon society, and the emotional norm of women in the Joseon Dynasty. In that sense, her suicide note. especially among the chaste women’s suicide notes, showed very rare and unique emotional depth. People have no choice but to obey the norm of the society as an individual, however they can feel and express their outspoken emotion that is unjust and violent. In this article, her anger is an important background emotion of the suicide note. The expression of the woman’s anger was suppressed socially, but she couldn’t hide and showed it in her last writing called a suicide note. It was an unconscious anger on the irrationality and violence of the chastity ideology that forced to die with her the husband. Through this analysis, this article found that the female subject, the chaste women, showed her emotional energy against social order rather than conforming to patriarchal ideology. 이 글은 조선시대 여성에 대한 감정 문화의 배경을 짚어보면서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 순응하며 쓰인 열녀의 유서에 담긴 감정의 논리와 의도, 그 의미와 가치를 분석하고자 했다. 그 대상은 신씨 가문의 한 며느리(申氏婦/愼氏婦/辛氏婦)가 남편을 따라 죽으려 하면서 남긴 한글 유서 4통이다. 조선시대 여성에게 권장되었던 감정 규범은 ‘순종과 온화함(順與和)’이며, 자기 뜻대로 하지 않고 남을 ‘따르고 순응하는 것(從)’이었다. ‘열(烈)’은 남편을 따라가는 순종의 극단인데, 그러한 열행의 실천을 앞두고 쓰인 신씨부의 유서는 조선후기 여성에 대한 감정 규범을 ‘순응하며 위반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본고에서는 신씨부가 남긴 유서 4통 중에서 우선 친정 식구들인 ‘양자 내외, 딸 내외, 친정 오빠 내외’를 대상으로 쓴 유서 3통에서 ‘관계성에 따라 정교하게 조율된 감정’을 드러내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는 각각 유서를 받을 상대의 처지를 고려하고, 작자가 그 대상과 맺고 있는 관계의 깊이와 성격을 세심하게 배려하면서 자신의 감정을 조율하는 이성적인 측면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다음으로 시부모에게 남긴 유서 1통에서 ‘강렬하게 응축된 분노 감정’이 드러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분노 감정은 원래 위계적이며 젠더화된 감정이며, 특히 여성의 분노는 ‘편성(偏性)’으로 지목되는 비난의 대상이었다. 신씨부는 유서에서 시어른을 상대로 ‘원통함, 섭사옴, 속석님, 속이 타 흉악함’ 등의 감정을 거침없이 표현한다. 이는 조선 사회의 주요한 규범인 효에 배치(背馳)될 뿐 아니라 당대의 감정 규율을 정면으로 위반하는 감정이다. 본고는 신씨부의 이러한 분노 감정이 표면적으로 시부라는 개인을 향하고 있지만, 나아가 죽음을 눈앞에 둔 한 여성이 자신이 마주하고 있는 상황의 불합리성에 대한 분노를 내포하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개별자로서의 인간은 사회의 규범적 가치에 순응할 수밖에 없지만 그것이 일방적이고 폭력적이라는 감정을 느끼고 표현할 수는 있다. 본고는 신씨부 유서를 통해 열이라는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 순응하는 행위로서의 죽음을 앞두고 쓴 열녀 유서가 오히려 체제에 도전하는 전복적 에너지를 내장하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홍인숙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4 한국문화연구 Vol.6 No.-
왜 남성 작가가 남긴 여성 관련 한시를 새롭게 주목하는가. 여성재현 한시는 여성 이미지의 재현 방식이 가지고 있는 정치성의 차원에서, 여성화자 한시는 여성적 어조라고 하는 성별적 어조를 상정하는 문학 장치라는 점에서 각기 여성문학 연구에 있어 중요한 의의가 있다. 또한 조선후기 지배 담론으로 자리하고 있었던 정통 문학 장르인 한시에서 ‘여성적인 것’의 규정은 고전문학 마지막 시기인 구한말까지 점점 강화되면서 작동하고 있었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 하다. 이렇듯 유구한 전통을 가진 소위 ‘여성적인 것’의 문학적 레토릭에 대한 해명은 지금 현재의 우리 삶에서 작동하고 있는 성별 이데올로기에 대해서도 일정한 실마리를 던져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조선후기는 한문학이 중심 담론으로 생산되었던 마지막 시기로, 구한말을 거치면서 근대라는 시기와의 접점으로까지 연장되는 시기이다. 비록 한문학이 식민지 근대에서는 그 담론의 중심으로서의 지위를 상실하고 주변적 위치로 전락하다 소멸하였지만, 근대와의 접점이라는 의미에서 여전히 조선후기의 문학과 담론은 현재 우리의 삶을 규정하는데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조선후기에 가장 권위 있는 문학 장르로 존재했던 한시에서의 여성 담론을 살펴본 본 독회팀의 작업은 지금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이 시대의 여성문학에까지 이어져 내려오는 ‘여성성’이라는 개념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자살 유가족을 위한 자살예방과 슬픔극복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결과 연구: 자살위험성과 참여 동기를 중심으로
홍인숙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20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programs developed to help to overcome their grief and prevent another suicide, and present the results of the pilot study applying those programs. Especially, this study examined how this program affects the suicide survivors regarding suicide risk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27 suicide survivo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test of the difference between pre-post suicide risk test was performed using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a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 The non-parametric test, Mann-Whitney U, was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pre-suicide risk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icide survivors and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changes in participation motiv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suicide risk has decreased significantly(Z=-3.499(p<.001)), and their interest in follow-up meetings has increased.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 유가족의 지원체계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자살 유가족의 슬픔극복과 자살예방을 위해 개발한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프로그램을 적용한 파일럿 연구 결과를 제시하는 것에 있다. 본 프로그램이 자살 유가족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살위험성과 참여 동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27명의 자살 유가족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자살위험성의 사전-사후 차이검정은 비모수 통계방법인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참여 유가족의 특성에 따른 사전 자살위험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고, 참여 동기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는 자살위험성이 유의미하게 감소한 결과로 나타났다(Z=-3.499(p<.001)). 그리고 참여 동기 변화는 후속모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결과로 나타났다.
홍인숙 영남퇴계학연구원 2012 퇴계학논집 Vol.- No.11
본 논문은 퇴계집(退溪集)에 실린 서간을 통해 퇴계가 스승으로서 어떤 면모를 갖고 있었는지 밝히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퇴계는 서 간을 자신의 정치적, 사회적, 학문적 활동의 주요 수단으로 적극 활용했 으며 나아가 서간을 적극적이고 의도적인 교육의 매개로 삼았기 때문이 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그의 수제자라 할 수 있는 월천(月川) 조목(趙 穆, 1524~1606)에게 준 편지들을 중심으로 퇴계의 가르침의 방법과 특 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서간들은 퇴계 나이 50대에서 70대까지 20여 년에 걸쳐 쓰였으며, 두 인물의 생애 및 학문적 성숙도와 그 내용이 구 체적으로 맞물려 있다. 월천에게 보낸 서간에서 퇴계는 첫째, 인간적인 교유에 기반하여 삶을 공유하는 방식의 가르침을 보여주고 있다. 퇴계는 여러 제자들의 공부 과정을 상세히 묻기도 하고, 그리움을 전하기도 하며, 어려운 형편과 생 계를 걱정하는 등 제자들과 인간적인 교류를 나누었다. 퇴계의 가르침의 두 번째 특징은 자신을 낮추어 제자들을 깨우치는 것이었다. 그는 평생 공부를 멈추지 않고 늘 정진하는 열정적인 학자였으나, 자신을 낮춤으로 써 제자들로 하여금 학문에 더욱 매진하게 하는 스승이었다. 셋째, 퇴계 는 월천의 성정에 대해 때로는 거침없고 직설적인 조언을 하기도 하고 때로는 온화하게 다독이기도 하면서 성정을 지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 다. 넷째, 퇴계는 서간을 통해 월천의 학문적 물음들에 대해 성실하게 고증하고 토론하고 답변하는 대스승으로서의 면모를 보인다. 그는 제자 의 질문에 답변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학문적 깊이를 스스로 심화했으 며, 나아가 제자의 문제의식을 계기로 기꺼이 자신의 학문적 견해를 수 정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월천에게 보낸 서간에 드러난 퇴계의 면모는 인간적이고 개방적이며 진보적인 스승으로서의 모습이었다. 이는 퇴계를 학문적 깊이를 갖춘 대 학자로서뿐만 아니라, 인격적으로도 본받을 만한 완성된 인격체로 부각 시키고자 했던 월천의 의도가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즉 퇴계의 서간에서 읽을 수 있는 그의 모습은 ‘삶과 학문이 일치하는 스승’으로서 의 모습이라고 하겠다.
남원 윤씨 열행 기록 「애종용(哀從容)」 연구 - 여성 중심 관계성과 유서 언어의 번역 불가능성을 중심으로 -
홍인숙 이화어문학회 2020 이화어문논집 Vol.51 No.-
이 논문은 18세기 후반 남편을 따라 죽은 순절 열녀인 남원 윤씨 (1768~1801)의 열행 기록인 「애종용」에 실려 있는 생애 기록 ‘언행록’과 윤 씨의 ‘유서’를 비교 분석한다. 이를 통해 남성 사대부의 여성 재현과 여성 스스로의 자기 생애 서사 사이의 거리와 의미를 주목하였다. 특히 「애종 용」 속 남원 윤씨의 유서는 한글 원본 없이 한문 번역본으로만 남아있는 데 이 두 자료의 비교를 통해 비가시화된 여성 중심 관계성, 조선후기 여 성의 말을 둘러싼 이중의 언어 체계, 유서 언어의 번역 불가능성의 문제 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언행록’은 윤씨를 정형화된 열녀의 모습으로 그리고 있으며 가장 중요 한 인물인 부친과 남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그의 생애를 재현한다. 이에 비해 윤씨 자신이 남긴 기록인 ‘유서’ 9통에서 가장 중요한 존재로 부각되 는 것은 주변의 여성들, 즉 동서와 여종들이다. 특히 부친을 비롯한 친지 에게 남긴 유서에서 공식적인 어조로 사후의 부탁을 전달하는 것에 비해동서와 여종에게 준 유서에는 자신의 고통스러운 심경, 상대에 대한 걱정, 유언의 실행 방법 등을 상세하게 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윤씨는 모든 유서에서 여종인 점열 모녀 삼대의 면천을 가장 큰 유언으로 남기면서, 자기 사후 이들을 멀리 떠나서 살게 할 것, 점열의 손녀 금이의 완전한 속 량을 자신이 보증할 것을 거듭 확언한다. 이러한 유서의 생애 재현은 그 의 생전의 삶이 일상 속에서 보살핌을 공유하는 여성 중심 관계성 속에서 이루어졌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그러나 남성 중심의 지배 사회에서 여성 중심 관계성은 열녀와 같은 도덕적 주체에게 적합하지 않은 것, 사회적으로 가시화되거나 의미화되지 않는 것이었다. 언행록과 윤씨의 한역(漢譯) 유서는 여성의 언어와 생애 재현을 둘러싼 이중의 억압을 보여주며 나아가 순절이라는 여성 경험의 궁극적 번역 불가능성을 나타낸다고 분석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wo texts in Ae Jong Yong(哀從容, meaning “being obedient in sorrow”), the late 18th century fidelity record of a virtuous madame of the Namwon Yoon family. The two texts are Eon Haeng Rok(言行錄) in which male noblemen record Madame Yoon's life as the narrative of virtuous woman, and nine suicide notes that Madame Yoon herself left behind. These two texts show the truths of different lives. In Eon Haeng Rok, Madame Yoon is portrayed as a stereotypical virtuous woman and her life is recounted with her relationships with her father and husband as the most important. In comparison, in her nine ‘suicide notes’ Madame Yoon's own record, the women around her, that is the wives of her husband's brother and her maids, are highlighted as the most important people in her life. In particular, Madame Yoon asked repeatedly in all of her suicide notes that her maid, Jeomyeol, her daughter and granddaughter be set free from the lowest class to live as commoners. Yoon also personally left suicide notes to Jeomyeol and her daughter to express her special affection, trust and fellowship to them, and to promise that she would guarantee their descendants could live as commoners through her suicide notes. This shows the difference, in a Confucian patriarchal society, between the narratives that men recreated of a woman's life and that the woman herself left of her own life. In the Confucian patriarchal society, relationships between women were considered unsuitable for moral subjects such as the virtuous woman, they were invisible socially, and seen to be meaningless. However, Madame Yoon’s suicide notes, were focused on woman-oriented relationships which were considered socially unworthy and unimportant. I propose that it was for this reason that the original copies of Madame Yoon's suicide notes in Korean were lost and remain only in Chinese translation. In addition, I contend that as reflective material on the experience of a woman dying after her husband itself, it was impossible for Madame Yoon’s suicide notes to delivered or translated. This paper consiers, invisible woman-oriented relationships, the dual linguistic system surrounding the words of wom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problems of the inability to translate the language in suicide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