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日本語会話の発話権にかかわる話し手の笑いの役割 -タ-ンの

        영전유기 ( Nagata Yuki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5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31

        本稿では、笑いと発話権の移行の關連性を明らかにするため、話者交替の基本單位であるタ一ンに注目し、話し手の笑いを「タ一ンの一部」または「タ一ン」、受け手の笑いを「あいづち」としての笑いと位置づけ、話し手による「タ一ンの一部」または「タ一ン」としての笑いが発話権の移行とどのようにかかわるのかを明らかにすることを目的とした。「タ一ンの一部」としての笑いは、タ一ンの冒頭に現れて発話権を獲得し、タ一ンの中間部に現れて発話権を維持し、タ一ンの末尾に現れて発話権を釀渡したりする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その際、笑いは會話の中でフィラ一のような役割を持ったり 應答などの何らかの意味を表したりしながら、発話権の所在を決定づける役割を持つことがわかった。また、「タ一ン」としての笑いは、應答の発話のように何らかの意味を持つタ一ンとして現れたり、連鎖的に「タ一ン」としての笑いが現れることで話者交替を行い、会話の連鎖を作り出していくこともできるなど、話し手の笑いが会話の連鎖を生み出す重要な裝置となっ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 This study observed laughter produced by a current speaker in order to explain the relevance of the turn-taking and laughter. Focusing on the basic unit of turn-taking, the laughter of the current speaker can be regarded as ``a part of a turn`` or ``a turn``, while laughter of a recipient``s as ``a back channel``. Laughter seemed to have some roles to determine the movement of the turn. The speaker can take his turn by eliciting laughter in the beginning of the turn, and sustain his turn by eliciting laughter in the middle part of his turn, and may end his turn by eliciting laughter at the end of his turn. The laughter as ``a turn`` can appear as an utterance at the second pair of the adjacency pair (such as question-answer), or appear as an utterance to produce turn-taking sequences. These point out that laughter plays an role as an important device for determining the movement of turns and producing the sequences of turns in the conversation.

      • KCI등재

        引用マーカーとしての笑いの機能 ─ 会話におけるゼロ型引用形式を中心に ─

        永田由紀 한국일본학회 2020 日本學報 Vol.0 No.124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zero marked quotative form and discussed how laughter can function as a quotative marker. When viewed from a spatial perspective, it becomes clear whether the original utterance is shared within or outside a conversation. When the original utterance is within the conversation, laughter accompanying quotations signifies the place ‘where to laugh’, or objectification of the punchline, and then it plays the role of a quotative marker. When the original utterance is outside the conversation, there are two different types of zero marked quotative. One is hypothetical self quotation, whose original utterances are objectified as self utterances, i.e. speaking toward others. The other is the sequence of quotations from others including objectified self, producing a theatrical scene in the conversation. The laughter accompanying the hypothetical self quotations not only represents mental attitude toward the original utterance, but also the fact that the speaker is quoting; in other words, laughter is functioning as a quotative marker. In a theater scene with sequence of quotations, the speaker plays either double roles or single role. In this pattern of zero marked quotative, they include the laughter as quotative markers, which represent the mental attitude to the fact that the speaker is making a quotation. 본고에서는 제로형 인용형식에 동반되는 웃음에 주목하여 웃음이 인용표지로서의 기능을 다하는 것에 대해 논했다. 인용이라는 표현 형식이 ‘객체화(客体化)된 자기’를 포함한 타자의 말을 대화 참여자와 공유하기 위한 것이며, 인용부분의 원래 발화, 즉 원발화가 어디에서 인용되었으며 어디를 향해 가는가 하는 공간적인 관점에서 봄으로써 원발화가 회화 내에 있는지 혹은 회화 밖에 있는지로 나눠서 볼 수 있게 되었다. 원발화가 회화 내에 있는 경우, 발화자가 잘라낸 발화를 ‘웃어야 하는 부분’임을 나타내는 ‘웃음의 대상화’가 인용 부분에 이루어지며, 일본 만담에서 보이는 ‘씃코미’(=ツッコミ, 발화 중 웃음을 유발할만한 부분을 농담처럼 지적하듯이 하는 말)를 하는 역할로서의 발화를 끝내는 인용표지로서 웃음이 표출되는 것에 대해 논했다. 원발화가 회화 밖에 있는 경우, 객체화된 자기의 말을 인용한 ‘자기상정인용(自己想定引用)’이 타자에게 향하는 경우와, 타자(객체화된 자기를 포함)의 말인 원발화가 연속해서 나타나면서 일종의 극장과 같은 장면이 펼처지는 경우에 대해 논했다. 자기상정인용이 타자를 향해 발화가 행해지는 유형은 이에 동반되는 웃음이 원발화에 대한 화자의 심적 태도뿐만 아니라 화자가 자기상정인용을 하고 있다는 것 자체에 대한 심적 태도를 나타내는 측면이 있으며 인용표지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복수의 원발화에 의한 극장화는 한명이 두명의 역할을 하는 일인극이 되는 유형과, 한명이 하나의 역할로 완결되는 유형을 볼 수 있었다. 이 극장화 유형에서도 타자의 말을 인용하는 것 자체에 대한 심적 태도가 웃음으로 표출되고 있으며 인용임을 제시하는 인용표지로서 기능하는 측면에 대해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日本語使用の日韓ビジネ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に おける日本人の問題意識 - 日本人の韓国語能力の差に注目して -

        永田由紀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1 비교일본학 Vol.51 No.-

        본고에서는 일본어로 수행되는 한일 비즈니스에서 ‘한국어능력을 가지고 있는 일본인 군(群)’ (=JC군)과 ‘한국어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는 일본인 군’ (=JI군)의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문제에 있어서의 문제의식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밝히기 위해 일본어로 한일 비즈니스를 경험한 적이 있는 일본인을 대상으로 자유 기술 응답형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정량분석 및 정성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문제의식은 ‘문제의 근본적 원인’과 ‘문제에 대한 견해’의 2가지 상위 개념으로 분류되었다. 그 하위 개념인 중위 개념으로 ‘문제의 근본적 원인’에는 (1)‘한국인의 의식에 관한 근본적 원인’, (2)‘한국인의 행동에 관한 근본적 원인’, (3)‘일본인의 상식적 관념에 관한 근본적 원인’, (4)‘쌍방의 언어능력에 관한 근본적 원인’의 4가지가 있으며, ‘문제에 대한 견해’에는 (5)‘감수적(感受的)견해’와 (6)‘제안적 견해’의 2가지가 생성되었다. (1)(2)(3)(6)의 중위 개념은 JC군의 출현율이 높았고, (4)(5)는 JI군이 높았다. 특히 (4)‘쌍방의 언어에 관한 근본적 원인’에서는 JI군의 출현율이 현저히 높았으며 이는 한국어 능력 유무의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중위 개념에서는 JC>JI임에도 불구하고 하위 개념인 ‘감정적’에서 JI>JC와 같이 역전현상이 보인 점과, (5) ‘감수적 견해’가 JI>JC였다는 결과는 JI군이 한국인의 감정에 대한 주목도가 높고 자신의 감정에 관해서도 심리적 부담도가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2)혹은 (3)의 하위 개념인 ‘업무 관련’‘비즈니스적 요소’는 JC>JI였다는 점과(6)의 ‘업무 스킬’인 4개의 하위 개념은 모두 JI군의 출현율이 0%였다는 점으로 JC군이 JI군보다 비즈니스와 관련된 문제의식이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awareness of issues on Korean-Japanese businesses communication conducted in Japanese language among JC group(Japanese Competent in Korean language) and JI group (Japanese Incompetent in Korean language). Two groups answered the survey with free-form answer. The study found that the awareness of communication problems can be put into two top categories, ‘the prime factors of the problems’ and ‘the opinion about the problems’. Within ‘the prime factors of the problems’, there are four lower categories (1) ‘the prime factor in Korean's consciousness’, (2) ‘the prime factor in Korean's behavior’, (3) ‘the prime factor in Japanese common sense’ and (4) ‘the prime factor in bilateral language competency’, and in ‘the opinion about the problems’ there are two categories as (5) ‘emotional perception about the problems’ and (6) ‘opinion with suggestions about the problems’. In the medium category of (1)(2)(3) and (6), JC group showed higher appearance rate, while in (4) and (5) JI group did. Especially, JI group showed dominantly high appearance in (4), which the range of language competency appears to have a large impact. Furthermore, (5) and ‘emotional’ in (1) has shown JI>JC, which explains that JI has higher level of awareness on emotions and heavier mental burden. Moreover, the lower categories ‘business related’ and ‘business factor’ within (2) and (3) showed JC>JI and ‘business skill’ within (6) was 0% in JI. This further explains that JC group has higher level of awareness on business related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