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라도 근대사 연구 현황과 과제

        맹수(朴孟洙),김봉곤(金?坤),조성환(趙晟桓)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9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2 No.-

        전라도 근대사 연구는 1980년대 이후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 중 가장 많이 연구된 분야는 동학농민혁명으로, 고창, 정읍, 남원, 장흥 등 각 지역별 연구가 많이 되어 있다. 전라도 의병에 관한 연구는 1980년대가 인물 중심이었다면 1990년대는 의병의 사회경제적 배경이나 이념 등으로 초점이 이동하였고, 2000년대 이후에는 의병전쟁이 집중 조명되었다. 3·1운동에 대한 연구는 전라도 지역이 타 지역에 비해 소극적이었다는 인식 때문에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이에 대해 2000년대부터 전라도 지역의 3·1독립운동도 활발했다는 연구 성과가 나오기 시작했다. 광주학생독립운동에 관한 연구는 1999년에 단행본이 간행됨으로써 체계적인 분석이 이루어졌고, 2000년대에 들어와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특히 2015년의 김재기의 연구는 연구의 지평을 해외로 확장시켰다. 일제하 사회경제운동에 관한 연구도 농민운동, 노동운동, 조선공산당 등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나, 아직 보완해야 할 부분이 많다. 또한 생활사, 문화사, 종교사, 사상사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전라도 지역에서 ‘후천개벽’을 표방한 개벽종교가 집중적으로 발생한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 종교사, 사상사 분야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re has been a lot of research on the modern history of Jeolla Province since 1980s, especially on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Gochang, Jeongeup, Namwon, Jangheung etc. Research on the righteous army in Jeolla Province has been conducted focused on persons in 1980s, on their socialeconomical background and thoughts in 1990s, and on righteous army wars in 2000s. On the other hand,research on the March 1 movement has not been carried out so much because it is said that the movement was not active in this area. But some researches since 2000s shows that it is not the case. Inclusive research on Gwangju Students Independence Movement was conducted in 1999, and the research has been active since 2000s. Especially Kim Jaeki’s study has expanded research area to overseas. Study on the social-economy movement in Jeolla Province has been focused on peasant movement, labor movement, and Korean Community Party, but there are a lot of research undone. Also,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life history, culture history, religion history, and thought history. But, considering on many Gaebyok religions having been made in this province, it is necessary to study on the history of thought of Jeolla Province.

      • KCI등재

        동학의 공공성 실천과 그 현대적 모색

        맹수(朴孟洙)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7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2 No.-

        이 논문은 2006년부터 매년 한국에서 정례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한일 시민이 함께 가는, 동학농민군 전적지를 찾아가는 여행(이하, 한일 동학여행)’에 나타난 ‘공공적 성격’을 탐구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2006년부터 작년까지 총 11회나 시행된 ‘한일 동학여행’은 한일 양국의 풀뿌리 시민들이 양국의 ‘불행했던 과거’를 교훈삼아 화해와 상생의 ‘바람직한 미래’를 열기 위한 답사여행 프로그램이다. 이 답사여행 프로그램이 탄생하여 성공적으로 정착하기까지는 나카츠카 교수를 비롯한 한일 시민들의 대화(對話), 개신(改新), 공동(共働)이라는 공공철학적인 노력이 뒷받침했었기에 가능했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에서는 한일 동학여행의 탄생 배경, 동 여행을 탄생시킨 주역 나카츠카 아키라 교수의 역할, 동 여행이 거둔 성과와 의의, 동 여행에 나타난 탈근대적 지향 등을 검토했다. This thesis aims to explore the ‘public character’seen in the ‘Korean & Japanese Citizens’Donghak Battlefield Toru’(hereafter, referred as Korea and Japan Donghak Tour’) which has been regularly developed in Korea annually since 2006. The ‘Korean-Japanese Donghak Tour’having been developed for total 11 times from 2006 to last year is a historic site-exploring program for Korean and Japanese grass-root citizens’opening a ‘desirable future’of reconciliation and coexistence based on the lesson of both countries’‘regrettable past’.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this tour program from its birth is attributed to the public philosophical efforts of Korean and Japanese citizens’conversations, renewal and co-responsibility. Specifically, this thesis reviews the background of Korea-Japan Donghak Tour’s birth, the role of Professor Nakatuska Akira creating this tour, this tour’s achievements and meanings, and the post-modern orientation seen in this tour, and so forth.

      • KCI등재

        ‘비서구적 근대’의 길로써 동학과 원불교의 공동체운동

        맹수(朴孟洙)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8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6 No.-

        이 논문은 근대한국에서 자생한 새 종교 동학과 그 동학의 변증법적 전개라 할 수 있는 원불교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두 종교가 보여준 새로운 종교운동의 내용과 특징을 ‘비서구적 근대’의 관점에서 해명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특히 동학과 원불교가 보여준 새 종교운동에서 드러나는 ‘공공적 실천’ 사례를 서구적 근대와는 다른 독자적인 근대 즉 ‘비서구적 근대’를 추구하고자 한 것으로 해석하는 데에 큰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1860년에 창도된 동학의 경우 창시자 수운은 ‘유무상자(有無相資)’로 대표되는 공동체운동을 통해 공공적 실천의 선구가 되었으며, 2대 교주 해월은 서양 열강의 동점 현상으로 인해 고통을 받고 있던 조선 민중들에게 국산품 애용을 장려함으로써 민중들의 생활공동체를 지키려 했고, 동학농민혁명 최고지도자 전봉준은 ‘보국안민’(輔國安民)의 기치 아래, 19세기 조선 민중들의 희생을 강요하는 서세(西勢)와 조선왕조의 악정(惡政)을 개혁하려는 혁명을 주도했다. 요컨대, 동학의 3대 지도자 모두 서구적 근대에 맞서 독자적인 근대를 추구하기 위해 고군분투했던 것이다. 한편, 동학으로부터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으면서도 동학이 풀지 못한 과제를 동학과는 또 다른 차원에서 해결하고자 1916년에 등장한 원불교는 그 출발 단계부터 철저하게 ‘공(公)’ 즉 공공적 실천을 통해 민중 주도의 ‘비서구적 근대’의 길을 추구하고자 했다. 원불교가 개교 당시부터 ‘공’ 즉 공공적 실천을 중시한 사례는 1919년에 이루어진 9인제자의 기도운동에서 가장 극명하게 드러났다. 9인제자의 기도운동은 ‘사를 버리고 공을 위하는’ 공공적 인간으로 거듭나는 과정이었던 것이다. 9인제자의 기도운동을 통해 확립된 원불교의 공공성 실천의 전통 역시 서구적 근대와는 다른 조선 민중 독자의 근대로의 길, 즉 ‘비서구적 근대’로의 또 다른 길을 제시한 것이었다.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cont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new religion movements of a new religion, Donghak, which naturally grew in modern Korean society, and W on-Buddhism, which can be said a dialectic development of Donghak, based on the viewpoint of‘publicness’. Particularly,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ce to interpret the public practice of Donghak and W on-Buddhism as a pursuit of an independent modern era, that is, ‘non-western modern era’, different from western modern era. Concretely, Donghak, created in 1860, with the founder Suwoon, based on the community movement represented with ‘Yumusangja(有無相資)’, and in case of the 2nd religious sect leader, Haewol, intended to protect the community of the people by encouraging Joseon people to buy domestic goods, who were suffering from Dongjeom phenomenon of western powers, and the leader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Jeon Bongjun, took the lead of a revolution to reform Seose(西勢) that pressed the people of the 19th century for sacrifice and misgovernment(惡政) of Joseon Dynasty under the banner of ‘Bogukanmin’(輔國安民). In short, all three leaders of Donghak exerted efforts to pursue independent modern era against western modernization. On the other hand, W on-Buddhism, which appeared in 1916 to settle the problems that Donghak couldn’t solve in a different level from Donghak, nevertheless it was influenced by Donghak, highly regarded‘Gong’, that is, practice of publicness, fully from its start. The case where W on-Buddhism highly regarded publicness since its foundation most clearly appeared in the prayer movement of 9 disciples, established in 1919. 9 disciples’ prayer movement was a process to be reformed as public people who ‘abandon private interest and care for public interest’. The tradition of practice of publicness of W on-Buddhism established through 9 disciples’ prayer movement, also suggested another way to the independent modern era of Joseon people, that is, ‘nonwestern modern era’, different from western modern er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전봉준의 동학사상

        맹수,조성환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22 한국종교 Vol.53 No.-

        Chŏn Pongchun(全琫準, 1855~1895) was a leader of the Tonghak Peasant Revolution of 1894 in Korea. This paper analyzes his thoughts on Tonghak from three perspectives: consensus politics, peace in life(生命平和), and Poguganmin (輔國安民, helping the country and comforting the people). All of these ideas a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onghak. First of all, ‘Poguganmin’ is a new concept derived from Tonggyŏngdaejŏn (東經大全), the Donghak scripture written by Ch'oe Cheu (崔濟愚) who advocated for Tonghak. And ‘peace in life’ is an idea that appeared in General Chŏn Pongchun‘s orders issued to the Donghak Peasant Army. He ordered Tonghka Peasant soldiers not to kill any human or non-human. This thought resonates with an idea of Ch'oe Sihyŏng (崔時亨), a disciple of Ch'oe Cheu, that human and non-human life alike are embraced in Tonghak scriptures. In these respects, it can be said that Poguganmin and peace in life are general ideas of Tonghak. On the other hand, ‘consensus politics’ should be classified as Chŏn Pongchun’s unique idea. Chŏn Pongchun said that he was aiming for consensus politics, according to a Japanese newspaper article published in March of 1895. However, we can assume that Chŏn Pongchun questioned the existing political system during the T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suggested a consensus-based political system as an alternative. In fact, this ideology has a similar aspect to Chŏn Pongchun’s reconciliation with government forces at the Jeonju Castle in 1894.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Chŏn Pongchun’s Tonghak thought. 본 논문에서는 전봉준의 사상을 ‘동학’의 관점에서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합의정치, 생명평화, 보국안민. 이 사상들은 모두 직간접적으로 동학과 관련되어 있다. ‘보국안민(輔國安民)’은 동학경전 동경대전 에서 유래하는 말이고, 「무장포고문」이나 전봉준공초 등에 보이고 있다. ‘생명평화’는 2000년부터 한국 사회에서 쓰이기 시작한 말로 동학농민혁명 당시에는 없었지만, 전봉준이 규정한 동학농민군의 규율에 나타난 사상을 가장 잘 대변해주는 말이다. 그런 점에서 이 두 가지는 동학의 일반적인 사상이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반면에 ‘합의정치’는 동학농민혁명 당시 일본 신문에 소개된 전봉준의 심문 기록에 나오는 표현으로, 전봉준의 독특한 사상으로 분류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전봉준이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조선왕조의 정치체제의 부족한 점을 지적하고, 그 대안으로 제시한 해결책이라는 점에서 ‘전봉준의 동학사상’이라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아울러 전봉준이 전주성에서 도출해 낸 관민상화(官民相和)는 그의 합의정치 이념의 간접적인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