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武寧王陵 墓室 內 葬禮過程의 復原

        강원표 백제학회 2023 백제학보 Vol.- No.46

        1971년 발견된 백제 무령왕릉은 정밀한 조사와 보고가 진행되지 못하여 출토품을 이용한 장례 과정의 분석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2009년부터 이루어진 신보고 작업을 통해 새로운 연구 토대가 마련되었다. 이에 무령왕릉 출토품 중 새롭게 보고된 장례 관련 유물을 검토하여 그동안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던 무령왕릉 묘실내 장례과정의 복원을 시도해 아래와 같이 추정했다. 무령왕과 왕비는 사망 후 27개월이 지난 후 빈장지에서 운구 되어 능묘 내에 미리 준비된 목관에 부장품과같이 안치되었다. 왕의 장례 때는 목관 앞에서 제의가 행해졌으며, 왕비의 장례 때는 제의에 사용된 기물들이관내에 안치되는 등 절차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그 다음 묘실 입구에서의 제의 모습을 밝히고, 이 과정에 청동기물과 함께 사용된 주칠기를 복원했다. 그 다음 목문으로 연도를 막고 그 앞에 진묘수, 왕과 왕비의묘지석을 놓았는데, 왕의 장례 때에는 2매의 묘지석을 겹쳐 놓았으나, 왕비의 장례 때에는 나란히 벌여 놓고그 위에 오수전을 올린 것으로 추정했다. 연도 입구에서는 전돌을 쌓아 능묘 입구를 완전히 폐쇄하기 전 다시한 번 제의가 진행되었다. 무령왕릉의 장례과정은 백제의 장례 전통과 중국의 장례 문화가 모두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한성기와 사비기 상장의례의 모습이 좀 더 밝혀지면, 중국의 영향 속에서 백제의 고유한 상장의례가 어떻게 이어지고 변화되었는지를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tomb of King Muryeong of Baekje, discovered in 1971, was not accurately investigated and reported, the process of the funeral in the tomb has not yet been revealed in detail. This study reviewed the newly reported excavated objects and the results of their scientific analysis, and aimed to elucidate the funeral process in the tomb by referring to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it revealed the following funeral process. The bodies of King Muryeong and his queen were enshrined in a funerary house, and 27 months later, they were moved to the tomb on the day of the funeral. In the case of King Muryeong, the coffin was covered, and the ceremony proceeded in front of it. In the case of the quee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rocedure, such as burying all the items used in the rite in the coffin and then covering it with a lid. A ceremony for the king and queen was conducted at the entrance to the tomb, and in this process, bronze vessels and red lacquer wares were used. Then, a corridor was blocked with a wooden gate, and then the imaginary creature stone stature and the epitaph were placed. At the funeral of the king, the epitaph plates were overlapped, but for the funeral of the queen, they were placed side by side, with Osujeon coins upon them. The ceremony was held once again at the entrance of corridor, and then the entrance to the tomb was completely closed by stacking bricks. The funerary rituals of King Muryeong's tomb seem to have been influenced by both Baekje's funeral tradition and China's funeral culture. If the mourning ceremony of Han Seong period and Sabi period is revealed in further detail, it would be possible to find out how Baekje's unique funeral ceremony was carried out and changed under the influence of China in the future.

      • KCI등재

        목관 부속금구를 통한 백제 송산리고분군의 위계성 분석

        강원표 호서고고학회 2021 호서고고학 Vol.- No.49

        Recent excavations of the Baekje stone chamber tomb with the tunnel entrance yielded many wooden coffin fittings and fixtures including nails and rings as well as burial goods. Despite the accumulated research on the structure of the tomb and burial goods, archaeological understanding of wooden coffins has not been well articulated. Knowledge on artefacts from the Songsanri royal cemetery containing the royal tombs of Baekje’s Ungjin period had been scarce, but re-investigations have provided more information about the site; over 900 pieces of wooden coffin fixtures and fittings have been uncovered. This research addresses the shapes and decorative patterns of the wooden coffin during the Baekje Ungjin period. The head shapes of the nail used in the coffins in the Songsanri royal cemetery include flower (in gold, and silver), square (in gold, silver, and iron), round (in gold, silver, and iron), and semicircular. The patterns of nail head represented the social status of the deceased. In terms of hierarchy, from the highest to the lowest, they took various materials and shapes, such as golden flower, silver flower, golden-silver square, silver semi-circular, and iron square. When two coffins were placed inside the same tomb, they were designed to show the hierarchical difference between them. Assuming that the hierarchy of tombs is represented by the wooden coffin decorations,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other tombs be inferred. Among them, King Muryeong’s tomb is ranked the highest. Although it can be definitively stated that the wooden coffin decorations were representative of the hierarchy of the deceased, further examination is required on whether they were based on gender differences or social ranks, such as royal family and aristocrats. It is thought that the lavishly decorated coffins symbolically highlighted the high social status of the deceased during the funerary processes. 백제 횡혈식석실분에서는 피장자를 위한 부장품과 함께 시신을 안치하였던 목관과 관계된 관정, 관고리 등‘목관 부속금구’가 다량 출토되고 있다. 그동안 고분의 구조와 부장품에 관한 연구가 많은 성과를 이루고 있음에 비해, 목관에 대한 연구는 목재부분이 쉽게 부식되고 도굴로 인한 부속금구의 위치 교란 등으로 인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백제 웅진기 왕릉을 포함하고 있는 공주 송산리고분군은, 일제강점기의 발견 및 조사과정에서의 혼란으로 인해 출토품에 대한 현황을 상세히 알기 어려웠으나, 최근 재보고서가 발간되어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많은 자료들이 보고되었다. 그 중에는 900점이 넘는 木 棺 附屬金具가 새롭게 보고되었고, 이들 자료를 분석하여 백제 웅진기의 목관 형태와 장식방법을 분석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송산리고분군의 목관은 금·은제 花形, 금·은·철제 方 形, 금·은·철제 圓形, 은제 半球形(은장)으로 머리를 장식한 관정으로 결구·장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목관 제작 시 장식 관정의 사용에 일정한 패턴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패턴은 피장자의 위계를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금장화형두관정 장식목관▶ 은장화형두관정 장식목관 ▶ 금장방형두관정 장식목관 ▶ 은장반구형관정 장식목관 ▶ 철제방형두관정 장식목관의 순으로 추정된다. 목관 장식의 위계를 무덤의 위계로 적용해보면 본다면 왕릉(무령왕릉)을 정점으로 하여 4단계의 위계가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고분 내에 2기의 목관이 안치되는 경우 각 고분은 위계가 차이가 있도록 목관을 사용하였음이 확인된다. 목관과 무덤의 위계가 남성-여성의 관계인지, 왕족-귀족의 신분등급에 따른 것인지는 좀 더 검토가 필요하지만, 이렇게 화려하게 장식된 관은 상장의례 과정에서 피장자의 높은 신분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 충북지역 마제석검 검토

        강원표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06 고고학지 Vol.15 No.-

        본고는 충북지역에서 발견 신고된 후 아직까지 학계에 공개되지 않은 다수의 마제석검을 소개하고자 한다. 충북지역 청동기시대의 유적은 그 수가 많지 않고 특정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마제석검과 같은 미공개 자료의 소개는 충북지역 청동기문화의 공백을 보완해 주고 연구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들 새로운 자료의 소개와 함께, 충북지역 출토 마제석검에 대한 종합적인 편년의 검토를 시도하였다. 주요 분석 대상은 충북지역의 발견 신고품과 발굴조사를 통한 유적 출토품 가운데 정확한 형식을 파악할 수 있는 완형의 마제석검 34점이다. 분석 대상 마제석검 34점의 형식분류와 형식별 편년에 대한 검토 결과 청동기시대 전 시기에 속하는 다양한 형식의 석검이 충북지역 전역에서 출토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제석검의 대부분이 분묘에 부장품으로 이용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북 전 지역에 마제석검을 부장한 다수의 청동기시대 무덤과 취락유적이 분포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청주·청원, 충주·제천을 중심으로 설정된 충북지역의 청동기시대 문화유형의 권역은 발견 신고 마제석검의 검토를 바탕으로 확대 해석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 KCI등재

        무령왕릉(武寧王陵) 장례과정(葬禮過程)에서 <설치식(設置式) 관(棺)>의 검토(檢討)

        강원표 ( Kang Won-pyo ) 백제학회 2021 백제학보 Vol.- No.38

        무령왕릉의 발견은 백제 상장의례 연구의 시발점이 되었지만, 정확한 조사보고가 이루어지지 못한 탓에 장례과정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특히 관의 안장방법과 위치, 관 내 부장품의 위치 등에 대해서 구체적인 검토가 진행되기 어려웠다. 이에 장례 과정을 밝히기 위해서는 유물의 실제 위치 파악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1973년 보고서와 이후 복원안의 문제점을 살펴 정확한 유물 출토위치와 관 안장 위치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목관의 안장방법을 재검토하였다. 왕과 왕비의 관은 300kg가 넘는 것으로 추산되었다. 무덤의 입구가 좁고, 연도와 묘실의 크기가 협소하므로 인력으로 무거운 관을 들어 왕릉 내에 안치하는 작업은 불가능에 가깝다. 따라서 무령왕릉의 관은 시신이 안치된 관을 빈장지에서부터 운구하여 묘실에 안치하는 <운구식 관>이 아니라, 묘실 내에 미리 설치되어 있던 관에 시신을 안치하는 <설치식 관>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운구를 위한 손잡이로 추정되었던 관고리가 실제 역할을 할 수 없으며, 두침과 족좌에 운구 시 진동에 대비한 고정 흔적이 없는 점, 좁은 실내에서 조립이 용이하도록 안쪽에 홈을 파고 모서리를 깎아 가공한 관재, 머리 부분에 타격흔적이 없는 관정을 통해서도 뒷받침된다. 관 내부는 3개 공간으로 나뉘고 시신은 가운데, 부장품은 위, 아래 공간에 안치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무령왕릉의 상장례는 중국의 유교적 상장례의 관점에서 살펴본 연구가 많았다. 하지만 무령왕릉 장례과정 중 목관의 안장방법을 검토한 결과 중국의 전통 상장례와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된다. 묘실 내 미리 설치된 목관에 시신 안치, 관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가운데는 시신 안치공간으로, 머리 위와 아래는 부장공간으로 활용한 점 등은 백제의 전통적인 장례 방법으로 보인다. 당시 백제가 중국 상장의례에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은 매우 높으나 얼마나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는지에 대해서는 좀 더 검토가 필요하다. 묘제의 변화가 상장례의 변화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향후 백제 상장례에 대한 연구는 묘제의 변화와 장례 방식의 변화양상을 종합적으로 살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excavation of the tomb of King Muryeong and the discovery of the epitaph in 1971 have become the starting point of research on the mortuary practice of Baekje. However, in-depth studies on the funeral process of the tomb of King Muryeong have not progressed as expected due to the inability to accurately report the investigation. The situation of the excavation of artifacts in the burial chamber is reviewed to analyze the funeral process of the tomb. After identifying the problems of the 1973 report, subsequent restoration plans, the exact location of the excav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coffin inside the tomb are estimated again. Thereby,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wooden coffin is reviewed. The coffins of the king and queen were estimated to weigh over 300kg. The entrance of the tomb is narrow and the size of the path and the burial chamber is confined; it is almost impossible to lift a heavy coffin and place it in the royal tomb.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view the tomb of King Muryeong as an “installation-style coffin” rather than a “carry-in-style coffin,” and it is believed that the bodies of the king and queen were moved from the temporary burial place and placed in a coffin that had already been placed in the burial chamber. The coffin rings, which were supposed to be handles for carrying the coffin, are too weak to support the weight of carrying the coffin. This inference is supported through the headrest and footrest that have no signs of fixing against vibration during transportation, coffin timbers that have been cut and chamfered inside for easy assembly in a narrow room, and coffin nails that have no striking marks on the head. The coffin i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the body is placed in the middle, and the burial goods are placed in the upper and lower sections. All artifacts outside the wooden coffin are thought to have been used for rituals in the burial chamber. Thus far,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on the mortuary practice of the tomb of King Muryeong from the perspective of China's Confucian mortuary practice. However, examining the burial and ritual processes of the Baekje King through excavated artifacts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traditional Chinese mortuary practice. The burial of the body in a pre-installed wooden coffin in the burial chamber, and the interior space of the coffin divided into a burial section for the body and spaces for burial goods are considered the traditional funeral practices of Baekje. Even though there is a very high possibility that Baekje was heavily influenced by the mortuary practice in China at the time,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readily it was adopted. The change of the burial system does not necessarily coincide with the change of the mortuary practice.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a study of the mortuary practice of Baekje would comprehensively examine the changes in the rituals along with the changes in the burial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