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성분분석을 이용한 지역양식 토기 검토 : 5세기대 성주지역 목곽묘 출토 토기를 중심으로

        남익희(Nam, Ik Hee) 영남고고학회 2020 嶺南考古學 Vol.- No.88

        본고는 삼국시대 성주지역 목곽묘 출토 이단투창고배와 대부장경호를 주성분분석을 통해 연구하였고, 이 과정에서성주양식 토기의 특징을 좀 더 구체적, 세부적으로 들여다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시비실 유적과 명포리 분묘군 출토이단투창고배와 대부장경호는 크게 ‘성주양식 토기’, ‘성주지역産 경주양식 모방 토기’, ‘경주양식 토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 중 성주지역에서 경주양식을 모방하여 제작된 토기들은 그것을 완벽하게 재현하지 못하여 지역색이 농후한지역양식도 아닌, 그렇다고 완전한 경주양식도 아닌 모습을 띠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양상이 나타나는 것은 지역 내에서 부장용 토기를 제작, 공급한 다양한 공방(공인)이 존재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되고, 더불어 지역내에 존재한 공방의 성격과 출자, 그를 관리한 지배층의 성향 등도 토기 제작과정에 일정 부분 반영된 것으로 보았다. This study analyzed through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statistics of mounted cups and mounted jar with long neck of wooden chamber tomb in Seong-ju area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is process, I wan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ngjustyle in more detail, and gave my own reasons on how to classify the earthenware, which is difficult to distinguish based on its appearance. In particular, the pottery produced in the province imitating the Gyeong-ju style was not perfectly reproduced, and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it was neither a perfect local style nor a complete Gyeong-ju style. As a result, three types of earthenware, including Seong-ju style, Gyeong-ju style imitations, and Gyeongju style were found in the wooden chamber tomb in Seong-ju areas during the 5th century. The reason for this was probably due to the existence of various workshops that produced and supplied the pottery for burial in the province.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hops that existed in the province, their origins, and the tendency of the hierarchy to manage them were partly reflected in the pottery manufacturing process.

      • KCI등재

        5~6世紀 星州地域 墳墓의 特徵과 星州樣式 土器의 分布

        南翼熙(Nam, Ikhee) 한국상고사학회 2011 한국상고사학보 Vol.74 No.-

        5~6世紀 星州地域 墳墓의 變遷過程은 嶺南地方에서 일반적으로 확인되는 ‘목곽묘-적석목곽묘ㆍ석곽묘–석실묘’의 변화과정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주변 지역들에 비해 목곽묘의 전통이 비교적 오래 지속되고, 5世紀 中葉~後葉이라는 기간동안 장방형 목곽묘 및 ‘凸’자형 목곽묘, 적석목곽묘, 장방형 판석조 석곽묘 및 ‘凸’자형 석곽묘 등의 다양한 墳墓가 확인된다는 特徵을 가진다. 이 중 대형의 판석조 석곽은 지역 최고 지배층의 특수한 墳墓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평면형태 ‘凸’자형 墳墓의 피장자는 新羅 中央(慶州地域)을 제외한 주변지역을 중심으로 자리잡고 있었던 중ㆍ하위 등급의 지배층일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5世紀 中葉~後葉 星州地域 以北의 洛東江 中上流 諸地域에서 확인되는 星州樣式 土器는 당시 星州地域 정치체의 정치적ㆍ사회적 권역을 확인할 수 있게 해주며, 星州樣式 土器가 확인되는 대부분의 지역이 洛東江 沿岸 혹은 그 水系에 위치하고 있다는 사실은 당시 星州地域과 諸地域 사이의 교류에는 洛東江이 주요 교통로로 이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당시 星州地域에서 洛東江 中上流 諸地域으로는 유물의 직접적인 이동은 물론 工人과 같은 인적자원의 이동, 토기제작과 관련된 아이디어나 모티브의 이동 등이 동시에 존재했다고 생각되며, 星州地域 정치체의 활발한 대외적 교류와 진출의 배경에는 안정된 新羅의 지방지배체제가 자리하고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change process of tombs in the Seongju area during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 were identified as it’s change process were not different from the change process(in common seen ‘wooden chamber tomb-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stone lined tomb-stone chamber tomb’)of tombs in Yongnam district of those days. It’s most noticeable points were variety of many different tombs were verified in Seongju area during the middle to late fifth century, I guessed the flagstone lined tomb was used as the special tomb of the greatest local hierarchy and the tomb of ‘凸’style was used as endemic tomb of the provincial hierarchy except for Gyeongju area. Meanwhile, the distribution of the Seongju style pottery in the upper and middle areas of the Nakdong River represented the political and social area of the polities in the Seongju area during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 and the fact of the most areas found the Seongju style pottery were located in the coast and water system of the Nakdong River indicated the Nakdong River acted as the major traffic route to exchange between the Seongju area and several areas. And I thought there were not only direct movements of artifact but also ideas of the pottery-making and artisan to exchange between the Seongju area and the upper and middle areas of the Nakdong River. Finally, I supposed that actively external exchange of the polities in the Seongju area was caused by stable local rule mode of Silla.

      • 일제강점기 대구 달성고분군 자료 공개와 활용

        남익희 ( Nam Ikhee ) 국립중앙박물관 2022 고고학지 Vol.28 No.-

        본고는 대구 달성고분군에 대한 연구사를 재보고서 발간 전후로 나누어 정리하고, 그 동안 대구지역의 중심고분군에 해당하는 달성고분군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았던 이유를 추정해보았다.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1920∼30년대의 발굴조사에 의해 확인된 유구, 유물에 대한 제대로 된 도면과 사진 등이 제시된 보고서가 존재하지 않았던 것에 있었다. 이후 재보고서에 제공된 유물의 실측 도면을 계측하여, 달성 37, 50, 51호분에서 출토된 이단 투창고배, 구형병 등에 대한 주성분분석을 실시하였고, 경주, 경산, 성주, 구미지역 등 주변지역 출토품과의 상이, 상사성 등을 함께 살펴보았다. 이 중 이단투창고배의 경우 경주산과 지방산을 구분하는 기준으로는 비슷한 외형을 보이더라도 대각 또는 배신의 크기(높이)가 주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국 주성분분석은 분석 대상의 계측을 가장 기본으로 하는데, 이를 충족시켜준 것이 달성고분군 재보고서라 할 수 있고, 강점기 보고서에는 공개되지 않았던 많은 토기 유물들이 도면과 사진으로 제공되어 고분군의 편년과 개별 기종에 대한 연구를 진행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summarizes the research history of the Dalseong Tombs(Dalsŏng Tombs) in Daegu - of both before and after and publication of the new report of the tombs that had previously been excavat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 and explores the reasons why research related to Dalseong Tombs(Dalsŏng Tombs) had not been actively conducted. The most fundamental reason was identified as the absence of any report presenting proper drawings and photos of the archaeological and artifacts that were identified during excavations that had taken place in the 1920s and 30s. In the second part of this article, the drawings of the artifacts provided in the new report were measured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mounted cups and globular and spherical bottles excavated from Dalseong Tombs(Dalsŏng Tombs) No. 37, 50, and 51. In addition,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were established for the artifacts from the Dalseong Tombs (Dalsŏng Tombs) and those of the surrounding areas, such as Gyeongju(Gyŏngju), Gyeongsan (Gyŏngsan), Seongju(Sŏngju), and Gumi.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begins with the measurement of the target of analysis, and so it can be said that the publication of the new report fulfilled this need. In addition, many earthenware artifacts that had not been disclosed were introduced with drawings and photos, allowing research on the chronology of tombs and of individual types and forms to take p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