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中共의 軍事政策과 戰略

        Jonathan Pollack,해군대학 해군대학 1981 海洋戰略 Vol.- No.2

        그러면 그들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분야에 대한 무기도입의 예를 든다면, 대전차무기가 되겠다. 마지막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중공은 그들의 안보를 위해서 과거 군사전략을 순수한 군사수단으로 보다는 오히려 정치적 방식, 심리적 방식, 외교적 방식을 더 중요하게 사용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중공의 안보전략도 이러한 방식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므로 과거형태의 현격한 변화보다는 부분적인 수정을 통해서 이루어지리라 생각된다. 그러므로 중공은 계속해서 미국과 일본 기타 서방제국과의 관계개선과 관계신장을 유지할 것이며, 1980년대에 「아시아」에서 불안정을 가져오는 행동을 삼가리라고 생각된다. 즉, 중공은 동북「아시아」지역의 현상유지를 위해 노력할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대만에 대한 공격을 삼갈 것이며 한반도에서의 전쟁은 그들이 중요시하는 미·중공관계의 약화를 가져올 것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그들은 대만문제나 한반도문제 해결을 보다 다른 중요한 문제를 위해서 연기한다는 이러한 생각을 가지고 정책전략을 추구해 나가지 않을까 생각한다.

      • SSCISCOPUSKCI등재

        CHINA'S MILITARY MODERNIZATION,POLICY,AND STRATEGY

        Pollack,Jonathan D.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Kyungnam Uni 1981 ASIAN PERSPECTIVE Vol.5 No.2

        Since the fall of 1976, China’s military leadership has initiated the first sustained reappraisal of its military force structure and defense strategies and policies in close to twenty yeas. This essay will briefly assess these recent policy changes and their potential consequences. Our objectives ae four-fold1) to identify the political, military, strategic, and economic context of these changes;(2) to explore the areas of particular concern to the military leadership;(3) to evaluate how far-reaching the possibilities for policy change might actually be;and(4) to consider the potential implications of these changes for China’s overall political and military role in East Asia during the 1980s.

      • SSCISCOPUSKCI등재

        The major powers and the two Koreas: an uneasy transition

        ( Jonathan D Pollack ) 한국국방연구원 2009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Vol.21 No.1

        The potential for major change on the Korean peninsula has seldom seemed greater than at present. Barring a severe peninsular or regional crisis, America`s preoccupations with military conflicts in the Greater Middle East and its own internal economic upheaval both taking place amidst the transition to a new presidency are likely to crowd out U.S. attention to Northeast Asia. The United States and other powers have substantial incentives to maintain and (if possible) to enhance peninsular stability, but there is little clarity on how to achieve such stability, given the uncertainties related to the political leadership in North Korea, the problematic prospects for nuclear diplomacy, policy immobilism in South Korea, weak leadership and stark political divisions in Japan, and China and Russia both seeking to enhance their regional influence. The Six-Party Talks best capture this indeterminacy, enabling initial but very incomplete steps toward denuclearization in North Korea, without a shared vision of the peninsula`s future or consensus on the respective roles of the major powers. Amidst mutual suspicions, unresolved power rivalries, and divergent policy agendas, all states are groping their way toward a future that none can fully anticipate or control. The prospects for longer-term peninsular stability and regional order are both uncertain, and will pose major challenges for security and diplomacy in coming years.

      • SSCI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도널드 트럼프와 미국 리더십의 미래: 국제질서, 동아시아 및 한반도의 관점에서

        조나단폴락 ( Jonathan D. Pollack ) 한국국가전략연구원 2017 한국국가전략 Vol.2 No.1

        예상을 깨고 제 45 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된 도널드 트럼프는 국가 안보정책을 포함해 외교정책에 불확실성을 가중시키고 있다. 사업가이자 투자자 경력이 전부인 트럼프 대통령은 정부 프로세스, 외교 및 안보에 대한 경험이 없다. 그럼에도 그는 많은 의견을 피력하고 있다. 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모든 미 대통령들이 추구했던 국제주의 정책과는 반대되는 의견이 대부분이다. 경제적 민족주의와 외교 관계를 거래로 인식하는 것을 옹호하는 그의 성향은 미국의 미래 글로벌 리더십에 대해 미국뿐 아니라 (한국과 같은 오랜 우방들을 포함한)해외서도 많은 우려를 낳고 있다. 이같은 우려는 그의 갑작스럽고 고도로 적대적인 정치적 접근 방식으로 인해 확대되고 있다. 대통령은 대단히 충동적이고 논쟁의 여지가 있는 리더십을 보여주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아직 초기단계다. 중요 정책도 아직 확정되지 않은 상황이다. 내각 차원에서도 언급이 없다. 그럼에도 미국은 매우 고되고 예측불가능한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일부 내각 구성원들과 국회의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꺼낸 논쟁의 여지가 있는 정책들 중 일부를 제지하고 미국과 경제, 정치, 안보적으로 미국과 긴밀한 관계에 있는 동맹국(한국을 포함한)들과의 관계를 재확인하고 유지하려 노력할 가능성이 크다. 새 행정부가 다분히 민족주의적인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추구하고 있지만, 고위 공무원들과 대통령 스스로도 한반도를 둘러싼 주요 위험 요인들에 대해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는 만큼, 오바마 행정부가 추진한 대북 핵 및 미사일 정책에서 크게 벗어날 가능성은 희박하다. 그러나 한국이 자체적으로 정치적인 전환기에 빠지면서 한미동맹도 미지의 바다로 들어선 상황이다. 이 같은 여러 불확실성들과 한반도에서 대규모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실재하는 가운데 양국 및 양국 군사기구들은 동맹이 훼손되거나 약화되지 않도록 긴밀하게 협력해야 한다. 트럼프 행정부는 급진적인 전략 변화에 따른 결과에 대해 신중하게 고려할 수 있도록 국제 및 지역질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기에 대해 솔직하고, 시기적절한 조언을 받을 필요가 있다. 급진적인 전략 변화에 따른 결과에 대해 신중하게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트럼프 행정부는 한반도와 동북아시아 전체에서 지속 가능한 평화와 번영 및 안정을 저해하지 않도록 행동해야 한다. The improbable and unexpected election of Donald Trump as the 45th U.S. president has injected major uncertainty into American foreign policy, including national security policy. As a businessman and investor, President Trump has no prior experience with the governmental process, or with diplomacy and national security. But he does have many opinions, most of which run decidedly contrary to the internationalist policies pursued by every U.S. president since the end of World War II. His advocacy of economic nationalism and his highly transactional approach to relations with other countries (including with long-term allies like the ROK) have engendered ample concern in the U.S. and abroad about the future of U.S. global leadership. These concerns are magnified by his abrupt, highly adversarial approach to politics, with the president exhibiting an impulsive, highly contentious leadership style. The Trump Administration is still at a very early stage, and many crucial policy appointments have yet to be confirmed, or even announced below the Cabinet Secretary level. But the United States has entered a very different and less predictable era. Some Cabinet members and members of Congress will very likely attempt to restrain some of President Trump’s contentious policy arguments, and seek to reaffirm and sustain America’s vital economic, political and security partners, including with the Republic of Korea. Even as the new administration pursues an avowedly nationalistic, “America first” strategy, there are clear indications that senior officials and the President himself are cognizant of the major danger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do not appear likely to diverge significantly from the policies of the Obama Administration addressing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threats. But the alliance has entered uncharted waters, all the while as the Republic of Korea approaches its own political transition. Amidst these multiple uncertainties and the real possibilities of a major crisis on the Korean Peninsula, both countries and both military establishments must work vigorously to ensure the closest possible cooperation and work to avoid paths that could damage or undermine the alliance. There will be a parallel need to ensure that the Trump Administration receives candid, timely advice on the looming risks to international and regional order, so that it can fully weigh the potential consequences of any abrupt shifts in strategy. Above all, the administration must ensure that its actions do not undermine the possibilities for lasting peace, prosperity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Northeast Asia as a whole.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