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교개혁자들과 바울의 율법이해

        유은걸 한국대학선교학회 2017 대학과 선교 Vol.35 No.-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amine if the Reformers cor- rectly understood Paul in terms of the Law. As is widely recog- nized, the Reformers came up with three usages of Law: 1. the Law as the one guiding morally the secular world aright (primus usus legis), and the Law which is to reveal each one’s sins and to let him repent (secundus usus legis). And it has finally the third usage which a converted Christian can now ethically live up to (tertius usus legis). Although Paul did not show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Law as the Reformers did, we can confirm that the apostle represented the Law before the Christ event, at the time of salvation, and after the salvation. Our exe- getical observations lead us to assume that the Reformers appropriately un- derstood Paul’s concept of Law. Though it does not enable us to reach the salvation, it has a function not to be judged as negative: the recognition of sins. 본 논문은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이하여, 종교개혁자들이 바울의 율법을 얼마나 정확히 수용하고 있는 점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교개혁자와 바울은 다른 역사적 상황 가운데 율법에 대한 이해를 피력했지만, 양자 사이 에는 비교를 위하여 충분한 접점이 존재한다. 이른바 종교개혁자들이 주장 한 바 율법의3가지 이해가 얼마나 바울의 본문에서 그근거를 찾아볼 수 있는지 추적하는 것이다. 율법의 제1용법, 곧 세속 사회를 위한 목적은 교회 밖의 죄인들을 도덕적으로 교화하기 위한 것이다. 제2용법은 율법을 통해서 인간의 죄를 드러내고 회개시키는 기능과 관계가 있다. 아울러 제3용법은 구원을 받은 크리스천이 은혜 가운데 살아가도록 실천적, 윤리적 지침의 역할을 수행한다. 바울은 이처럼 조직적인 율법 이해를 전개하지는 않았지 만, 그리스도 사건 이전과 구원 당시, 나아가 구원받은 이후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기능을 염두에 두었음을 알 수 있다. 사도에게 있어서 율법은 그 자체로 구원을 가져오지는 못하나, 믿음을 통해 구원받는데 있어 결코 부정 적이라 할 수 없는 나름의 역할을 수행한다. 요컨대 종교개혁자와 바울의 율법 이해 사이에는 명확한 연속성을 발견할 수 있다고 하겠다.

      • 바오로의 가치 패러다임 전환과 율법-구원이해

        이용화(Lee, Yonghwa)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08 이성과 신앙 Vol.37 No.-

        This paper is to look into the changed St. Paul’s value paradigm and his message regarding his view on the old law and salvation path. Especially, his message contained regarding the salvation brought by an experience that caused his conversion, which occurred on the road to Damascus. From this encounter, his perspective changed permanently. Furthermore, he became an advocate for the Christianity instead of persecuting Christians. St. Paul taught that your salvation is not through the old law but through your belief and grace of the God. As one evaluates St. Paul’s view of the old Jew’s laws, a question of “Why did St. Paul consider the old law a curse?” is raised. The question is caused since there are conflicts within in his attitude toward the old law and his new belief. St. Paul was regarded as a practical disciple not a theologian who supported the old law. Although St. Paul tried to use many different words such as freedom and forgiveness, he concluded that only to achieve salvation is through reconciliation. Reconciliation is a grace that God gives us and human finds salvation through it.

      • KCI등재

        누가의 영생과 구원: 눅 10:25-37과 18:18-30을 중심으로

        김충연(Kim Chung-Yeo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4 신학사상 Vol.0 No.167

        누가-행전은 예수의 생애와 초기 기독교의 신앙을 우리에게 잘 보여주는 문서이다. 특별히 이 누가의 문서에는 예수, 율법, 영생, 구원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 및 발전하고 있는가를 제공한다. 복음서에서 예수는 율법에 매우 충실한 자로 묘사된다. 그리고 두 번에 걸친 영생에 대한 질문(10:25-37; 18:18-31)에서 모두 율법이 '영생의 길'임을 알려준다. 이러한 그의 대답은 유대인에겐 전혀 낮선 것이 아니다. 유대인이라면 모두 율법을 잘 준행하는 자는 영생을 얻는다고 믿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영생의 길'로서의 율법의 기능은 사도행전에 와서는 축소가 된다. 즉 영생의 길은 이제 더 이상 율법을 행함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말씀/복음을 믿는 자들이 얻게 된다. 구원도 마찬가지이다. 누가복음에서 예수는 '구세주'이다. 이것은 사도행전에 와서 더욱 분명해진다. 예수와 그의 이름을 통하여 구원을 받는다. 정리하면, 전에 율법이 유대인들을 위한 배타적 영생의 길을 제공하였다면, 이제 예수는 모든 민족을 위한 영생과 구원의 길이 된 것이다. 누가는 이러한 과정을 다른 공관복음서와는 차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Life of Jesus and the faith of the early Christians are well shown in the documents of Luke-Acts. Especially Luke provides the details of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relationship between Jesus, laws, eternal life and salvation. In the Gospels, Jesus is depicted as one who is faithful to the law. From twice asked question of eternal life (10:25-37; 18:18-31), he explains that the law is the 'way of eternal life.' Since the Jews believed that those who exercise the law will get eternal life, his answer was not strange at all for them. However, this function of the law as for the 'way of eternal life', is simplified in the book of Acts. The 'way of eternal life' is no longer obtained through practicing the law, but through believing in the Word of God/Gospel. It goes same for the salvation. In Luke, Jesus is the 'savior.' And this becomes even more evident when it comes to Acts. One receives salvation through the name of Jesus. To summarize, if the law provided the way of eternal life exclusively for the Jews before, now Jesus became the way of eternal life and salvation for all people. The course of this presentation in Luke is differentiated unlike the other Synoptic Gospels.

      • KCI등재

        초기 한국장로교회 설교학 원리 연구 - Herrick Johnson의 ‘적응의 법’을 중심으로 -

        김병석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1

        초기 한국장로교회 설교학 원리는 ‘영혼구원’의 설교 목적에 근거한다. 그것은 헤릭 존슨(Herrick Johnson)의 설교 정의에 의한 것이며, 이것은 곽안련(Charles Allen Clark)의 설교 정의와 목적에 영향을 끼친다. 헤릭 존슨은 그의 설교 정의를 구현하기 위한 실천방안으로 그의 설교 수사양식인 ‘적응의 법’을 구상한다. 이는 설교가 이상적인 목회로 인도되는 설교 양식으로 제시된 것이다. 헤릭 존슨의 설교학은 곽안련에 의해 초기 한국장로교회 설교학 이론의 체계를 구성한다. 그것에 나타난 설교 목적이 ‘영혼구원’이며, 이를 성취하기 위한 설교 수사 양식이 ‘적응의 법’이다. 초기 한국장로교회 설교학 이론의 성립은 곽안련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이는 1910년 한국 상황, 즉 초기 한국장로교회의 선교적인 상황이 점차 목회적인 설교 환경으로 전환되는 시기에 따른 것이었다. 따라서 1910년경, 헤릭 존슨에서 곽안련으로 이어지는 초기 한국장로교회 설교학 성립에는 선교적인 설교 수사 양식에서 목회적인 설교 수사 양식으로 인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그 설교학 이론의 방법론은 곽안련의 스승인 헤릭 존슨의 ‘적응의 법’에서 발견할 수 있다. 헤릭 존슨은 이상적인 목회의 주요한 핵심으로 설교학 이론을 제시한다. 이는 ‘영혼구원’을 위한 설교였으며, ‘영혼구원’을 위하여 목회적인 설교 수사 양식으로 확장 발전시킨다. ‘영혼구원’은 처음에 복음을 받아들이는 선교적인 의미와 회심 이후의 신앙 성숙의 목회적인 차원의 ‘영혼구원’ 개념이 있다. 이와 같이 초기 한국장로교회의 선교를 위한 이상적인 설교학은 궁극적으로 이상적인 목회를 지향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설교자는 청중과 상황에 적응하는 설교 수사를 통해 신앙 공동체의 메시지 소통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이처럼 헤릭 존슨의 설교 수사적 방식인 ‘적응의 법’에서 추출되는 선교적인 설교 양식은 이상적인 목회를 지향하는 설교로 적용된 것이다. 즉 선교적인 상황에서 목회적인 상황으로 인도되는 ‘영혼구원’의 곽안련 설교학 이론은 헤릭 존슨의 ‘적응의 법’에 따른 설교 수사 양식을 성취한 것이다. 즉 이상적인 목회를 위한 헤릭 존슨의 설교학 원리가 초기 한국장로교회 ‘영혼구원’을 위한 설교학 원리의 기초를 이루고, 이 원리는 초기 한국장로교회 설교 목적의 명확성으로 인도된다. 다시 말해 헤릭 존슨의 이상적인 목회를 위한 설교학 원리가 곽안련의 선교적인 설교 발전 양상을 거쳐 목회적인 환경으로 이끄는 ‘영혼구원’의 목적을 지향한 것이다. 이것은 곽안련이 목적하는 설교핵심인 ‘영혼구원’이 선교적인 설교 원리에서 목회 지향적인 설교로 발전하는 결과를 도출한다. 설교는 ‘영혼구원’을 위한 복음 메시지의 표준을 성취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영혼구원’을 위한 총체적인 신앙의 인격적 완성을 추구한다. 초기 한국장로교회 설교학 원리를 통해서, 오늘날 한국교회는 설교본질과 그 목적을 점검하고 적실성 있는 실천 방안을 모색하여 의미 있는 강단이 되도록 스스로 자성하는 모습이 필요하다. Early homiletics principle of Korea Presbyterian Church is based on the purpose of preaching "Salvation of souls". It is based on Herrick Johnson's definition of preaching and reached far Charles Allen Clark. Herrick Johnson visualize the action plan for realizing the preaching definition that "law of Adaptation" as his preaching rhetoric form. This is preaching forms for the ideal ministry. Herrick Johnson's homiletics is based on his ideal Ministry. Herrick Johnson's homiletics contributes the formation Charles Allen Clark's homiletics on early Korea presbyterian Church preaching theory system. This preaching purpose is "Salvation of souls," preaching rhetoric form is "law of adaptation." Early Korea Presbyterian Church Homiletics theory are organized by Charles Allen Clark. This is 1910, placed in the situation of Korea. This is early Korea Presbyterian Church missionary situation, which is gradual converted into pastoral situations. Thus, in 1910, Early Korea Presbyterian Church by Herrick Johnson's Homiletics leading to Charles Allen Clark's homiletics, it seem the type to be converted into a pastoral preaching rhetoric style from missionary preaching form. Herrick Johnson's homiletics theoretical core is found in "Salvation of souls" and "law of adaptation." "Salvation of souls" is the purpose of preaching, "Law of adaptation" is a form of preaching rhetoric. Herrick Johnson is presenting his theory of homiletics as an important core of the ideal ministry. Thus Early Korea Presbyterian Church homiletics connected missionary that ultimately oriented ideal pastoral. "Salvation of souls" in the mission achieves the growth of Salvation. For this purpose, the preacher makes it possible to adapt and communicate the message to the audience and situation. So Herrick Johnson's "The law of adaptation" of homiletics is oriented mission and pastoral preaching. Preaching the Gospel message is that fulfill a standard for the "Salvation of souls". This principle seeks to complete the overall character of faith. Early Korea Presbyterian Church's Homiletics core of theory is "Salvation of souls". Through this, the present day Korea Church by restoring the nature and purpose of preaching and seeking relevance practices that should themselves ensure that ability in the Pulpit.

      • KCI등재후보

        현대판 유대주의 기독교의 구원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 종교개혁적 구원론의 관점에서-

        김영한 한국개혁신학회 2010 한국개혁신학 Vol.28 No.-

        샌더스(E. P. Sanders), 던((James Dunn), 라이트(N. T. Wright) 등 오늘날 유대주의 경향의 신약학자들은 이천년전 사도 바울이 갈라디아 교회에서 있었던 구원론 논쟁을 재현하고 있다. 1세기의 유대교는 “언약적 율법주의”(covenantal nomism)이며, 그것으로 하나님과의 언약 속에 들어 있었으며, 구원의 길에 들어갔다. 따라서 1세기의 유대주의는 율법의 행위를 부정하는 바울의 이신칭의 논쟁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것이다. 이들은 바울에게서 “의로움의 전가”와 “유효한 칭의“를 구별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주장하면서 종교개혁적 칭의론에 이의를 제기한다. 필자는 이들 새 관점의 바울 해석이란 현대판 유대주의적 기독교요, 반(半)펠라기우스주의라고 규정한다. 샌더스는 유대교에 대한 재해석으로서 언약적 율법주의를 제창한다. 이것은 현대판 유대주의적 기독교이다. 던은 사회학적 접근을 하면서 율법과 율법행위, 하나님의 의를 재해석한다. 라이트는 교회론적 접근을 하면서 하나님의 의와 믿음에 대한 재해석한다. 새 관점 제창자들은 언약적 율법주의의 맥락에서 한결같이 칭의론과 구원론이 바울 복음의 주제가 아니라 부제라고 본다. 그리하여 새 관점에 의하면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게되고 구원얻는 복음의 진리는 유대교적 율법적 언약 이해와 언약 준수의 언약적 율법주의 안에서 부제가 되어 버린다. 그러나 종교개혁적 구원론에 의하면 바울 메시지의 핵심은 구원론적 주제이다. 따라서 종교개혁적 칭의 교리는 율법 준수가 아니라 그리스도의 의 전가(imputa쥴리는 유, 하나님의 의를 언약right읥법과s율법ss)를 가르친다. 샌더스가 제시한 언약적 율법주의는 행위구원적 율법주의에 머물고 있다. 바울의 서신에 의하면 칭의 교리가 이방선교를 낳았다. 던은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의 의를 간과하고 있다. 그는 죄의 보편성을 간과하고 심판과 정의의 의를 탈락시키고 있다. 라이트는 하나님 백성과 언약 개념을 왜곡하고 있다. 그는 새로운 하나님 백성 개념인 “신령한 이스라엘”을 간과하며, 십자가 대속의 새 언약을 간과하고 있다. 따라서 그의 관점은 유대주의적 언약 개념에 지배된다. 종교 개혁적 구원론에서는 칭의의 복음은 기독교회의 주춧돌이다. 1. 칭의론은 성화론과 혼동 될 수 없다. 2. 인간의 전적인 타락, 하나님의 심판과 죄의 용서가 선포되어야 한다. 3. 율법은 더 이상 구원을 주는 언약이 될 수 없다. 4. 언약적 율법주의는 중세 후기 가톨릭의 공로주의에 빠진다. 5. 최종적인 심판대에서 구원과 상급, 은혜와 공로는 구분되어야 한다. The judaistic New Testament scholars such as E. P. Sanders, James Dunn, and N. T. Wright have re-presented the controversy of soteriology that occurred at the Galatian church in the first century. The judaism of the first century was covenantal nomism. The Jews lived by means of it in the covenant with God, went into the path of the salvation. The scholars of New perspective argue the first century judaism has nothing to do with the Pauline controversy of justification denouncing the works of the law. They suggest a suspicion on the reformational soteriology, arguing that it is not right for Paul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imputation of righteousness and effective jusitification. The writer's point is that Paul interpretation of the New perspective is the Judaistic Christian one in a modern version and semi-pelagian. Sanders has suggested a covenantal nomism as a reinterpretation of the judaism. This is a judaistic Christian perspective in a modern version. Dunn has reinterpreted the law, the behavior of law and the righteousness of God, by making a sociological approach. Wright has reinterpreted the righteousness of God and faith, by making an ecclesiological approach. These scholars of the New perspective on Paul altogether have viewed in the context of covenantal nomism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and the soteriology are not the subject of the Pauline Gospel but a subtitle. The truth of the Gospel that gives salvation and justification by believing in Jesus Christ becomes a subtitle in the context of covenantal nomism of the understanding of judaistic norm and covenant observance. So, the character of legalistic condemnation and judgement which will judge us in the eschatological day shall be falling away. The core of Pauline message is the soteriological subject. Therefore, the doctrine of the justification does not teach the law observance but the imputation of Christ's righteousness. Covenantal nomism Sander's suggests remains a nomism of behavior-salvation. The doctrine of the justification gave birth to the pagan mission. Dunn disregards the righteousness of God's just judgement. Dunn makes the justice of judgement and justice falling away, disregarding the universality of sin. Wright distorts the concept of God's people and covenant. He disregards the new covenant of cross redemption, disregarding the spiritual Israel, which was the new people of God. He is dominated by judaistic covenant. The Gospel of justification is the corner stone of the Christian church. 1. The doctrine of the justification and the one of the sanctification should not be confused. 2. The total depravity of humans, the judgement of God, the forgiveness of sins should be preached. 3. Law can not be the covenant giving the salvation. 4. The seriousness of the eschatological judgement should be kept.

      • KCI등재

        현대판 유대주의 기독교의 구원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종교개혁적 구원론의 관점에서-

        김영한 ( Yung Ha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0 한국개혁신학 Vol.28 No.-

        샌더스(E. P Sanders), 던(James Dunn), 라이트(N. T. Wright) 등 오늘 날 유대주의 경향의 신약학자들은 이천년전 사도 바울이 갈라디아 교회에서 있었던 구원론 논쟁을 재현하고 있다. 1세기의 유대교는 언약적 율법주의 (covenantal nom ism)이며, 그것으로 하나님과의 언약 속에 들어 있었으며, 구원의 갈에 들어갔다. 따라서 1세기의 유대주의는 율볍의 행위를 부정하는 바울의 이신칭의 논쟁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것이다. 이들은 바울에게서 의로움의 전가`와 유효한 칭의를 구별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주장하면서 종교개혁적 칭의론에 이의를 제기한다. 필자는 이들 새 관점의 바울 해석이란 현대판 유대주의적 기독교 요, 반(半)펠라기우스주의라고 규정한다. 샌더스는 유대교에 대한 재해석으로서 언약적 율법주의를 제창한다. 이것은 현대판 유대주의적 기독교이다. 던은 사회학적 접근을 하면서 율볍과 율볍행위, 하나님의 의를 재해석한다. 라이트는 교회론적 접근을 하면서 하나님의 의와 믿음에 대한 재해석한다. 새 관점 제창자들은 언약적 율법주의의 맥락에서 한결같이 칭의론과 구원론이 바울 복음의 주제가 아니라 부제라고 본다. 그리하여 새 관점에 의하면 예수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게되고 구원얻는 복음의 진리는 유대교적 율법적 언약 이해와 언약 준수의 언약적 율법주의 안에서 부제가 되어버린다. 그러나 종교개혁적 구원론에 의하면 바울 메시지의 핵심은 구원론적 주제이다. 따라서 종교개혁적 칭의 교라는 율법 준수가 아니 라 그리스도의 의 전가(imputa쥴리는 유, 하나님의 의를 언약의 법파 율법)를 가르친다. 샌더스가 제시한 언약적 율법주의는 행위구원적 율법주의에 머물고 있다. 바울의 서신에 의하면 칭의 교리가 이방 선교를 낳았다. 던은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과 의를 간과하고 있다. 그는 죄의 보편성을 간과하고 심판과 정의의 의를 탈락시키고 있다. 라이트는 하나님 백성과 언약 개념을 왜곡하고 있다. 그는 새로운 하나님 백성 개념인 신령한 이스라엘을 간과하며, 십자가 대속의 새 언약을 간과하고 있다. 따라서 그의 관점은 유대주의적 언약 개념에 지배된다. 종교 개혁적 구원론에서는 칭의의 복음은 기독교회의 주춧돌이다. 1. 칭의론은 성화론과 혼동 될 수 없다. 2. 인간의 전적인 타락, 하나님의 심판과 죄의 용서가 선포되어야 한다. 3. 율법은 더 이상 구원을 주는 언약이 될 수 없다. 4. 언약적 율법주의는 중세 후기 가툴릭의 공로주의에 빠진다. 5. 최종적인 심판대에서 구원과 상급, 은혜와 공로는 구분되어야 한다. The judaistic New Testament scholars such as E. P. Sanders, James Dunn, and N. T. Wright have re-presented the controversy of soteriology that occurred at the Galatian church in the first century. The judaism of the first century was covenantal nomism. The Jews lived by means of it in the covenant with God, went into the path of the salvation. The scholars of New perspective argue the first century judaism has nothing to do with the Pauline controversy of justification denouncing the works of the law. They suggest a suspicion on the reformational soteriology, arguing that it is not right for Paul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imputation of righteousness and effective jusitification. The writer s point is that Paul interpretation of the New perspective is the Judaistic Christian one in a modern version and semi-pelagian. Sanders has suggested a covenantal nomism as a reinterpretation of the judaism. This is a judaistic Christian perspective in a modern version. Dunn has reinterpreted the law, the behavior of law and the righteousness of God, by making a sociological approach. Wright has reinterpreted the righteousness of God and faith, by making an ecclesiological approach. These scholars of the New perspective on Paul altogether have viewed in the context of covenantal nomism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and the soteriology are not the subject of the Pauline Gospel but a subtitle. The truth of the Gospel that gives salvation and justification by believing in Jesus Christ becomes a subtitle in the context of covenantal nomism of the understanding of judaistic norm and covenant observance. So, the character of legalistic condemnation and judgement which will judge us in the eschatological day shall be falling away. The core of Pauline message is the soteriological subject. Therefore, the doctrine of the justification does not teach the law observance but the imputation of Christ s righteousness. Covenantal nomism Sander s suggests remains a nomism of behavior-salvation. The doctrine of the justification gave birth to the pagan mission. Dunn disregards the righteousness of God s just judgement. Dunn makes the justice of judgement and justice falling away, disregarding the universality of sin. Wright distorts the concept of God s people and covenant. He disregards the new covenant of cross redemption, disregarding the spiritual Israel, which was the new people of God. He is dominated by judaistic covenant. The Gospel of justification is the corner stone of the Christian church. 1. The doctrine of the justification and the one of the sanctification should not be confused. 2. The total depravity of humans, the judgement of God, the forgiveness of sins should be preached. 3. Law can not be the covenant giving the salvation. 4. The seriousness of the eschatological judgement should be kept.

      • KCI등재

        그리스도인들은 모세율법을 지켜야 하는가?

        최영태 ( Choi Yeong Tae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7 성경과신학 Vol.84 No.-

        오늘 그리스도인들은 모세의 율법을 지켜야 하는가? 아니면, 지킬 필요가 없는가? 이 문제는 중요한 문제이다. 이에 대한 답에 따라 그리스도인의 구원의 방법과 삶의 내용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 문제에 대한 답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는 모세의 율법을 그대로 다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둘째는 모세의 율법은 지킬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을 검토한 결과, 이 두 견해는 다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이 두 견해의 문제들을 보완한 제3의 견해를 제시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그리스도인들은 구약의 율법 특히 모세의 율법을 지켜야 한다. 모세의 율법은 하나님의 영감으로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이며(딤후 3:16 등), 예수께서 다 지켜야 한다고 했기 때문이다(마 5:17-20 등). 그러나 그 율법의 준수는 형식적 의미의 율법이 아니라, 율법의 본질적인 내용인 율법의 정신 곧거룩, 의, 선(사랑)이다. 이를 좀 더 자세히 보면 다음과 같다. 1) 모세의 율법중 도덕법은 하나님의 백성의 삶의 원리로서 그 내용은 거룩, 의, 선 곧 사랑이다(마 22:34-40; 갈 5:13-14; 롬 13:8-10 등). 그러므로 이 도덕법은 오늘날에도 그대로 지켜져야 한다(롬 2장; 3:31; 8:1-4 등). 이것은 영원히 변치 않는 하나님의 뜻이기 때문이다(마 22:34-40 등). 2) 율법의 형식적인 내용 특히 의식법은 하나님 앞에 속죄와 정화와 화목에 대한 것으로 이것은 예수님이 십자가에 죽으심으로 이루어졌다(히 10:17-18 등). 그러므로 오늘 그리스도인들은 이 의식법을 그대로 지킬 필요가 없다(갈 3:15-29; 4장). 그러나 그 의식법의 정신인 거룩과 정결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의지함으로 그리스도인의 삶 속에서 계속 지켜져야 할 것이다(요일 1:9 등 참조). 3) 시민법은 이스라엘 민족의 시민 생활에 관한 법으로서 오늘 역사와 문화가 다른 우리의 시대에 그대로 지킬 수 없는 것들이 많다. 그러나 그 시민법의 정신인 정의와 사랑은 오늘 그리스도인들의 삶 속에서도 지혜롭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롬 12:1-2; 엡 5:15-17 등 참조). 이와 같이 율법의 형식적인 측면은 실체이신 그리스도가 오신 오늘 그리스도인들이 그대로 행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율법의 본질적인 측면인 거룩과 의와 사랑은 타락한 인간성을 가진 인간은 자기 힘으로 이것을 행할 수가 없다(롬 7장 등). 그러나 오늘 그리스도인들은 계속하여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의지함으로 이것을 행할 수 있다(롬 8:1-4 등). 그는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죄에서 벗어나 새사람이 되었고(롬 1-6장), 또한 삼위 하나님이 그와 함께 계시므로 그가 계속하여 성령을 따라 행할 때 이것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롬 7-8장; 갈 5:16-26 등). 오늘 한국의 그리스도인들이 이와 같은 사실을 바로 알고 행할 때에 그들의 삶은 이 땅에서 하나님의 나라와 의를 이루고,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낼 것이다(마 5:13-16; 6:33). 그리고 이것은 오늘 한국교회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그리스도의 복음 선교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Should Christians keep the Mosaic Law of the Old Testament or not? This is a big issue, especially in Korea today, because the answer to this question directly affects both the way to salvation and the contents of Christian living. The answers to this question are divided into two general categories. The first is that Christians should keep the Law literally, and the other is that Christians should not or need not keep it. However, according to this research, both of these two views have problems. So this thesis presents a third view which complements the two views. The third view is as follows. Christians should keep the Mosaic Law because it is the word of God which is inspired by God’s Spirit (2 Tim. 3:16), and because Jesus Christ said that it should be kept wholly (Matt. 5:17-20, etc.). However, the keeping of the Law should not be too rigid or formal, but rather the essence of the Law, that is, the spirit of the Law should be kept. And the spirit of the Law is holiness, righteousness, goodness, and love (Rom. 7:12; Matt. 22:37-40, etc.). The more detailed explanation is as follows: 1) The moral law of the Mosaic Law should be kept as it is, because it is the moral principle of the people of God and it requires holiness, righteousness, goodness, and love (Rom. 2:6-16; 7:12; Matt. 22:37-40, etc.). 2) The formal aspects of the Law, especially the ceremonial law should not be kept literally (Gal. 3:15-29; 4:8-11, etc.), because the ceremonial law and its rites, which are for atonement, purification, and the reconciliation of the people of God, have already been accomplished by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Heb. 10:17-18, etc.). However, the spirit of the ceremonial law, which is for holiness, purity, and reconciliation of the people of God, should be kept even in the life of Christians today, because it is still required even for Christians today (1 John 1:9, etc.). 3) The civil laws of the Mosaic Law, such as the rules regarding the civil life of the people of Israel cannot be kept strictly today as our society is different from the society of ancient Israel. However, the spirit of the civil laws which is justice and love for one’s neighbors should be kept in the life of Christians today because it is also the spirit of the Law itself (Rom. 12:1-2; Eph. 5:15-17, etc.). The way of keeping the Law is this: to trust in and obey Jesus Christ always, because, though for a person to keep the formal aspects of the Law is in some degree possible, for a person to keep the essential aspect of the Law, that is, the spirit of the Law is not possible, because natural man is in a state of depravity (Rom. 7:7-25, etc.). Therefore, Christians today should always trust in and rely on Jesus Christ for keeping the Law, because when they trust in and rely on Jesus Christ they are released from sin and death, and accomplish the requirements of the Law by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Rom. 8:1-4; Gal. 5:16-26, etc.). When Christians today in Korea understand and practice these truths, their lives will build the kingdom of God, accomplish the will of God, and give glory to God (Matt. 5:13-16; 6:33, etc.). And that will increase the trustworthiness of Korean churches and help to achieve the mission of the church.

      • 이상원 교수의 개혁 기독교 윤리학

        문병호(Byungho Moon) 신학지남사 2020 신학지남 Vol.87 No.4

        이상원 교수는 기독교 윤리학을 교리에 정초시켜 전개한다. 이는 개혁 기독교 윤리학의 특성을 드러낸다. 그의 강의는 조직신학 전 부분에 미친다. 서론에서는 계시와 은총의 일반성과 특수성, 그리고 신학의 원리를, 신론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존재와 속성, 무엇보다 하나님의 공유적 속성이 의미하는 바와 그것이 사람의 하나님의 형상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인간론에서는 처음 지음 받은 하나님의 형상의 어떠함과 타락으로 인한 죄책과 오염의 전가를, 기독론에서는 영원하신 하나님의 아들이 사람의 아들이 되셔서 하나님의 아들이시자 사람의 아들로서 신인양성의 중보자 위격을 지니신 가운데 구원의 의를 다 이루심, 무엇보다 그 의가 율법에 불순종한 형벌을 치름과 율법에 순종함의 당하신 순종(obedientia passiva)과 행하신 순종(obedientia activa)에 모두 미침을, 구원론은 보혜사 성령의 역사로 말미암은 그리스도의 의의전가로 인한 성도의 그리스도와의 연합 가운데서 베풀어지는 새 생명으로 거듭남과 새 생활로 거룩해짐이 모두 전적인 은혜임을, 교회론은 언약의 머리이신 그리스도와 그의 지체들의 연합체인 교회의 본질과 표지, 그리고 교회에서의 은혜의 방편으로서의 말씀, 성례, 기도의 삶을, 종말론에서는 구원의 완성으로서의 마지막 때 있을 부활과 심판의 의의와 그 현재적 가치를 다룬다. 이러한 교리 위에 윤리가 서는바, 기독교 윤리는 구원의 불가항력적인 은혜에 필히 초래되는 자기부인과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되고 계시된 하나님의 품성을 조망하고 그것을 닮은 삶을 사는 것을 논한다. 그리하여 십자가의 윤리, 부활의 윤리, 그리스도와의 연합의 윤리, 송영의 윤리라 칭함을 받는다. Professor Sangwon Lee deploys Christian ethics on the basis of Reformed theology. This is shown significantly in his lectures of systematic theology, which include every article of biblical doctrines. Prolegomena is devoted to general and special revelations and their normative significances with special regard to three principles of theology(principia theologiae), the doctrine of God, to the existence and attributes of the triune God with special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ble attributes of God and the image of God in human beings, the doctrine of man, to the miserable state of human beings, who lost the original image of God as a result of the imputation of original sin including guilt as well as corruption, Christology, to the person and work of Christ the mediator, who has been in the hypostatic union of divinity and humanity since the incarnation, with special regard to His passive obedience(obedientia passiva) and active obedience(obedientia activa), soteriology, to the imputation of Christ’s redemptive righteousness, which works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salvation including justification in new life and sanctification in new living, which are based on believers’ mystic union with Christ(unio mystica cum Christo), ecclesiology, to the essence, notes, and means of grace of the church, which comprises the society(societas) or body(corpus) of Christ, who is its head, and its members, who are saved by His irresistable grace, and finally, eschatology, to the truth of the resurrection of saints and the final judgement and its present significance. Christian ethics, which reflects these doctrines both inwardly and outwardly, concentrates on the nature, office, use, and practice of the divine law in the process of self denial, bearing the cross, following Christ, and fulfilling the image of God. In this respect, Christian ethics is characterized as that of the cross, that of the resurrection, that of the mystic union with Christ, and that of glorification.

      • KCI등재

        Toward a Theology of the Words, not just the Works, in the Epistle of James

        채영삼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3 신약연구 Vol.12 No.2

        야고보서에는 유독 '말'(言)에 대한 강조가 많다. 말에 실족함이 없는 사람이 '온전한 사람'이다(3:1-2). 또한 말처럼 인간의 타락상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예도 없다(3:3-12). 행함이 없는 믿음의 빈 말(2:14-17), 두 마음에서 나오는 시기와 비방하는 말(2:1-5; 4:1-4, 11-12), 하나님에 관해서 하는 종교적인 말과 이웃과의 관계 속에서 하는 말이 일치하지 않는 이런 말들(3:9-11)은, 결국 하나님의 세상과 그의 통치를 파괴하며 삶과 세상에 지옥 불을 옮겨 붙이는 매체이다(3:6). 이처럼, 야고보서는 성화론에 있어 행위만이 아니라 '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것은 또한 피조된 세상의 타락에 있어 그 핵심적인 문제를 '말'에서 찾는 야고보서의 독특한 시각에서도 드러난다. 당대의 스토아 철학에서와는 달리, 야고보서는 세상의 혼돈의 원인과 전망에 있어서도, 그 원인을 이성(reason)이 아니라 혀 또는 말(words)에서 찾고, 이로 인해 혼돈에 휩싸인 세상에 대해서도 긍정적이 아니라 매우 비관적(pessimistic)인 전망을 드러낸다. 이의 배경은 창세기 1-3장의 창조와 타락의 기사임에 분명하다. 또한, 타락이나 성화에 관해서 '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야고보서의 이런 특징은 구원론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종말에 흩어진 열두 지파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뜻을 따라 '진리의 말씀'으로 낳았고(1:18), 그들의 심령에는 '능히 구원할 말씀'이 심겨 있다(1:21). 곧 '말씀-구원론'이다. 이렇듯, 야고보서는 타락한 세상의 근본적인 원인을 '말'에서 찾고, 그 구속과 회복의 단서도 '말씀'에서 찾는다. 2장에서 논의되는 율법은 예수께서 성취하시고 새롭게 명하신 그의 가르침이며, 그것은 본질상 복음의 내용, 곧 진리의 말씀이나 심긴 말씀과 다르지 않다. 곧 긍휼의 복음인 것이다(2:13). 또한 형제들에게 '자유의 온전한 율법'을 행한다는 것은, 특히 세상 속에서 교회가 '위로부터 오는 지혜의 온유함'으로 행하는 것과 병행을 이룬다(3:13-18). 이것은 또한 심긴 말씀을 온유함으로 받는 것과 본질상 다르지 않다. 구약과 중간기 문헌에서 지혜는 창조세계와 관련이 깊다. 야고보는 세상을 맞닥뜨린 교회가 말씀으로, 지혜로 끝까지 인내하여 열매를 맺기를 바란다. 그것은 또한, 그들 속에 나뉜 마음에 대한 치유를 뜻하는데, 이는 결정적으로 하나님 앞에서 낮추는 온유함을 통해 치유되며(4:6-10), 말의 확고하고 긍정적인 사용을 통해 개인적으로 또 공동체적으로 회복된다(5:12, 13-18). 야고보는 결국 '진리의 말씀'으로 돌아와야 함을 촉구하면서(5:19), 그의 독특한 '말과 말씀'의 신학을 전개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