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terminants of Split Ticket Voting - The Case of South Korea : 한국의 국회의원 선거에서 분할투표의 결정요인 분석 : 17대 총선을 중심으로

        LEE Chunghee(이정희),LEE Sangmook(이상묵)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7 신아세아 Vol.14 No.4

        2004년도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국의 유권자들은 혼합형 선거구제에서 처음으로 지역구에서의 의원투표와 비례대표에서의 정당투표를 분할해서 투표할 수 있게 되었다. 설문조사에 의하면 한국인 유권자의 약 20%가 분할투표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왜 그리고 누가 분할투표를 하였는가? 분할투표의 요인은 무엇이었는가?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하여 17대 총선을 중심으로 개인의 선거행태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는 것이다. 서구에서의 분할투표에 관한 연구가 많이 있지만 여전히 공통요인에 대한 합의가 형성되어 있지 못하다. 이유는 분할투표의 요인이 나라에 따라 그리고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구에서 검증된 여러 이론적 가설을 한국의 17대 총선에서 검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자료는 17대 총선 이후에 실시된 설문조사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결론은 당파심이 약하고 정부의 성과에 대한 불만족이 분할투표의 원인이며 또한 진보적인 이념을 가진 사람과 대학생들이 보다 많이 분할투표를 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In the 2004 National Assembly election, Koreans were first given to cast one vote for a district representative and one vote for a party list under a mixed-member majoritarian system in over five decades. Survey data indicates that about 20 percent of Korean voters split their votes. Why and who did voters split their votes in South Korea? What are the sources of split ticket voting? Although many studies have examined the sources of split ticket voting mainly based on Western democracies, there is little consensus on what causes ticket splitting. It is because motivations for vote splitting vary depending on different context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ain sources of split ticket voting in South Korea at the individual level. We test several competing theories of split ticket voting by using election survey data collected immediately after the April 2004 National Assembly election. The findings are that both weak partisanship and low satisfaction with government performance caused split ticket voting in South Korea. Progressives and university students are also more likely to split their votes.

      • KCI등재

        분할투표의 유형 및 동기: 20대 총선 분석

        류재성(Jaesung Ryu) 한국정당학회 2020 한국정당학회보 Vol.19 No.1

        본 연구는 20대 총선에서의 분할투표를 분석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밝혀졌던 분할 투표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확인했다. 20대 총선에서 분할투표자는 서울, 경기·인천, 대구·경북 거주, 젊은 층, 고학력, 진보성향을 지닌,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정의당 등의 야당 지지자 및 무당층 유권자로, 2016년 당시 박근혜 대통령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5년 후 한국경제 상황을 비관적으로 전망하는 응답자가 분할투표할 가능성이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떻게 분할투표했는가’라는 연구 질문을 제기하고, 분할투표자의 ‘정파적’ 동기와 더불어 분할투표 대상 정당 선택에 있어 ‘이념적’ 동기가 작동한다고 주장한다. 즉 정당지지자의 경우 본인의 정치이념과 최단 거리에 있는 정당으로 비례 이탈 정당을 선택하며, 정당의 이념 방향을 고려하여 지역구 후보 이탈 정당을 선택한다고 주장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거대정당 지지자의 비례 정당투표 이탈투표자를 연합보장 전략적 분할투표로, 소수정당 지지자의 지역구 후보투표 이탈자를 사표방지 전략적 분할투표로 분류했지만, 이들의 이탈 정당 선택 동기에 대해서는 분석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들의 분할투표 대상 정당 선택이 이념 거리를 기준으로 이루어진다고 밝혔다. 즉 거대정당 지지자의 연합보장 전략적 분할투표 대상은 자신과 최단 이념 거리 정당이며, 소수정당 지지자의 사표방지 전략적 분할투표 대상 역시 자신과 이념 성향이 유사한 정당임을 밝혔다. 추가로 정의당 지지자의 경우 많은 지역구에서 후보자가 없어 지역구 후보투표에서 지지 정당을 이탈하는 강제적 분할투표가 이루어졌음을 밝혔다. This study analyzed split-ticket voters in the 20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in Korea. I confirm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which found ou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plit-ticket voters. That is, split-ticket voters are likely to be relatively younger adults, more educated, liberal-leaning, and outparty identifiers who in large part do not support president Park and negatively predict the economic situation after 5 years. This study specifically asks the question of ‘how did split-ticket voters chose a political party when they split their tickets.’ I argue that ideological motivation as well as partisan motiv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this decision making. Party identifiers choose the ticket-splitting party which is evaluated in the shortest ideological distance from his/her ideological self-positioning. Previous studies categorized split-ticket voters into the party-coalition-making motivated strategic split-ticket voters by major party identifiers, the free-fromticket-waste motivated strategic split-ticket voters by minor party identifiers, and the balancing motivated split-ticket voters by major party identifiers. But these studies did not focus on which party they choose for this strategic splitticket and why. This study finds out that major party identifiers as well as minor party identifiers choose a specific party for split-ticket, motivated by ideological distance between party’s ideological position and his/her self-identified ideological position. In addition, many of Jung-Eu Party identifiers are ‘enforced’ to split their tickets because they do not have Jung-Eu Party candidate in their districts.

      • KCI등재

        6 · 4 지방선거와 분할투표

        윤광일(Kwang-Il Yoon) 한국정당학회 2014 한국정당학회보 Vol.13 No.3

        이 글은 「2014 지방선거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이론적으로 분할투표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독립변수의 효과를 경험적으로 검증했다. 광역단체장과 의회 지역구 선거에서 정당 선택 대안이 없어 필수 분할투표를 할 수밖에 없는 사례를 포함한 경우와 선택 대안이 있어 의도적 분할투표가 가능한 사례에 한정한 경우로 나누어 정당일체감, 정당호감도, 투표 결정시기, 정치지식, 비례선거에서 군소정당 투표 여부 등의 상대적, 독립적 효과를 추정한 이 같은 작업은 주로 2004년 1인 2표 병립제 도입 이후 국회의원 선거 결과를 분석해 온 지금까지의 한국 분할투표 관련 연구의 지평을 광역선거 분석에 확장시키는 데 의미가 있다. 또한, 분할투표 행위에 영향을 주는 선거제도와 유권자의 동기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유권자의 투표 행태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추구했다. 연구결과 이 글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첫째,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에 대한 일체감은 일관되게 분할투표의 가능성을 낮추며, 통합진보당 또는 정의당에 대한 일체감의 이 같은 영향력은 필수 분할투표 사례를 제외한 후 비례선거에서 진보 정당에 대한 투표 여부를 통제한 모델에서만 나타났다. 둘째, 집권여당에 대한 극단적인 호감과 반감은 분할투표의 가능성을 일관되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치지식과 투표 결정시기, 정당균형 선호도의 영향력은 대체로 통계적으로 의미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군소정당에 대한 비례선거에서의 투표는 군소정당 대안 유무와 상관없이 분할투표의 가능성을 일관되게 높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This paper empirically tests independent effects of party identification and favorability, timing of vote decision, political sophistication, PR voting for small parties, and party balancing preference, on split-ticket voting in provincial elections, taking account of necessary split-ticket voting. Using a survey data collected after the 2014 Nationwide Local Elections, the study extends previous findings on split-ticket voting in the National Assembly to provincial elections. The analysis controls for the effects of the electoral system as well as voter’s motivation in order to enhance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voting behavior. It finds, among others, that the identification with major parties consistently lowers the possibility of split-ticket voting while the identification with small, progressive parties shows such effect only when controlling for voting for small parties in the PR tier of the provincial assembly election and excluding necessary split-ticket voting cases. Second, extreme attitude toward the ruling party consistently decreases the chance of such voting behavior. In general, the independent effects of political sophistication, decision timing, and party balancing preference turn out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Finally, voting for small parties in the PR tier of the provincial assembly election increases the likelihood of split-ticket, with or without small party alternatives.

      • KCI등재

        6․4 지방선거와 분할투표:기초단체장과 기초의회 선거 사례 분석

        윤광일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4 의정연구 Vol.20 No.3

        This paper empirically tests independent effects of party identification and favorability, timing of vote decision, political sophistication, district magnitude, PR voting for small parties, and party balancing preference, on split-ticket voting, taking account of necessary split-ticket voting and using a survey data collected after the 2014 Nationwide Local Elections. The study extends previous findings on split-ticket voting in the National Assembly and provincial elections to local ones. The analysis controls for the effects of electoral system as well as voter’s motivation in order to enhance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voting behavior. It finds, among others, that the identification with a small party does not affect the chance of split-ticket voting. Extreme attitude toward the ruling party consistently lowers the possibility of such voting behavior. The effects of political sophistication, decision timing, and district magnitude turns out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Finally, voting for small parties in the PR tier of local assembly elections increases the likelihood of split-ticket, with or without small party alternatives. 이 글은 「2014 지방선거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분할투표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독립변수의 효과를 경험적으로 검증한다. 기초선거에서 필수 분할투표 사례를 고려하여, 정당일체감과 호감도, 투표결정시기, 정치지식, 선거구 크기, 비례선거에서 군소정당 투표, 정당균형 선호 등의 상대적, 독립적 효과를 추정한 이 같은 작업은 주로 2004년 1인 2표 병립제 도입 이후의 국회의원 선거 결과를 분석해 온 지금까지의 분할투표 관련 연구의 지평을 기초선거 분석에 확장시키는 데 의미가 있다. 또한, 선거제도와 유권자의 동기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투표행태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연구결과 밝혀낸 주요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군소정당에 대한 일체감은 필수 분할투표 사례 포함 여부와 관계없이 분할투표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둘째, 집권여당에 대한 극단적인 호감과 반감은 분할투표의 가능성을 일관되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냈다. 셋째, 정치지식과 투표결정시기, 선거구 크기의 영향력은 대체로 통계적으로 의미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군소정당에 대한 비례선거에서의 투표는 군소정당 대안 유무와 상관없이 분할투표의 가능성을 일관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Effects of a Two-Vote Mixed-Member Majoritarian System on Citizens’Voting Behavior in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Elections

        Chan Wook Park(박찬욱) 한국정치학회 2009 한국정치학회보 Vol.43 No.5

        이 논문은 2004년과 2008년 한국국회의원 총선에서 2표병립제 도입으로 인하여 지역구선거와 비례대표선거 간에 유권자의 투표행태가 어떻게 달리 나타났으며 2008년 총선에서 분할투표 양태는 어떠하였는가를 선거후 설문조사 자료의 활용을 통해 분석한다. 지역구 선거에서는 비례대표 선거에 비하여 지역주의 투표의 영향력은 좀 더 강한 반면 정당선호 투표, 이념 투표와 회고적 투표의 영향력은 보다 더 약하게 나타났다. 2008년 총선에서는 유권자 전체의 약 40%가 분할투표를 하였는데 지역구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를 선택하고 비례대표 선거에서는 친박연대를 지지한 분할투표가 가장 높은 빈도로 발견된다. 이러한 분할투표자들 가운데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비례대표 선거에서는 가장 선호하는 친박연대에 표를 주고 지역구 선거에서는 사표가 되지 않도록 한나라당 후보를 선택하는 전략투표를 행한 것으로 보인다. In the 2004 and 2008 National Assembly elections, each Korean voter was provided two ballots under a mixedmember majoritarian system. Drawing on post-election survey data, this paper investigates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regional voting, partisan voting, ideology voting, and retrospective voting across the two components of a general election. The paper also examines the patterns of split-ticket voting. The analysis reveals that regional voting more strongly influences the district candidate vote than the party vote. But partisan voting, ideology voting, and retrospective voting less strongly affect the former than the latter, respectively. In the 2008 election, about 40 percent of the total voting participants engaged in split-ticket voting. A bit more than half the total split-ticket voters chose a district candidate of the two large parties, and endorsed the party list filed by a small party. The most frequent case was the Grand National Party chosen for the district candidate vote along with the Pro-Park Coalition for the party vote. These ticket-splitters tended to vote sincerely under proportional representation, and vote strategically for the viable candidate to avoid wasting the district candidate vote.

      • KCI등재

        경쟁정당에 대한 선호도와 후보요인이 분할투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최효노(Hyono Choi) 한국정당학회 2015 한국정당학회보 Vol.14 No.2

        여섯 개의 공직선거에 투표하는 지방선거와 지역구와 정당에 투표하는 총선에서의 분할투표 요인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지방선거에서 한 정당이 아닌 상이한 정당으로 투표하게 만드는 동기 혹은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분석 대상은 2014년에 실시된 제6회 지방선거이다. 연구 결과, 사표방지, 연합보장, 정책균형과 같은 전략적 동기로는 설명할 수 없는 경쟁정당에 대한 선호도와 후보요인이 분할투표 결정요인이라는 것을 경험적으로 입증했다. 구체적으로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지지정당과 다른 정당과의 선호도 차이가 적을수록 분할투표 확률이 크다. 즉, 지지정당 선호도는 상대적으로 낮고 다른 정당에 대한 선호도는 상대적으로 높아 지지정당으로만 일관투표하기에 심리적 부담을 느끼는 경우에 분할투표 경향이 크다. 6 · 4 지방선거에서는 새누리당 지지자보다 새정연과 군소정당 지지자의 분할투표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세월호 사고의 여파에도 새누리당이 선거에서 우세할 수 있었던 요인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지지정당 후보보다 경쟁정당 광역단체장 후보를 더 선호하는 경우에 분할투표 확률이 크다. 이는 광역단체장선거에서만큼은 정당보다 후보 개인을 보고 투표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나머지 선거들에서는 지지정당에 투표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후보요인에 의한 분할투표는 광역단체장의 정당과 지방의회 다수당이 다른 지방정부가 출현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2014년 선거에서 충남과 강원이 이와 같은 사례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explores what caused voters to split their tickets in the 2014 local elections. It finds that first, the probability of split-ticket voting increases when voters prefer a candidate from the opposite party to a candidate from their party. That is, in the choice of heads of local governments, a candidate is a more important factor than a voter’s party loyalty. Meanwhile, party cue is more important in the choice of members of local councils. Hence, the splitticket voting caused by a candidate factor can lead to a local divided government. My findings show that the local divided government appeared in Chung-Nam and Kang-Won after the 2014 local elections can be explained by this type of split-ticket voting. Second, the probability of split-ticket voting increases as the difference in a voter’s supports for the two parties ? i.e. the Saenuri Party and the New Politics Alliance for Democracy(NPAD) ? is small. This indicates that psychological pressures a voter feels are a factor of split-ticket voting when he has a relatively lower support for his party and a relatively higher support for the opposite party. The rate of split-ticket voting in the oppositional parties’ supporters was higher than the rate in the Saenuri Party’s supporters. We can say that this is one of the factors that contributed to the Saenuri Party’s victory in the 2014 local elections.

      • KCI우수등재

        The New Mixed Electoral System in Korea

        Wang Sik Kim(김왕식) 한국정치학회 2005 한국정치학회보 Vol.39 No.4

        이 논문은 설문자료를 분석하여 한국에 새로이 도입된 혼합선거제도의 효과를 살펴본 것이다. 이 제도 도입의 가장 큰 특징으로 나타나는 분할투표율은 20.8%로 그리 높지 않았다. 분할투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성별, 연령, 이념성향 그리고 정당선호도였다. 유권자들의 분할투표는 전반적으로 보아 전략적 투표행위라고 말할 수 있으나 그 전략적 고려는 그리 크지 않았다. 혼합선거제도의 도입은 정당체제에 영향을 미쳤다. 민주노동당은 이 제도의 혜택을 가장 많이 받았으며, 정당비례대표선거에서 자당을 지지하는 분할투표를 많이 얻어 제 3당이 될 수 있었다. 1인 2표제를 근간으로 하는 혼합선거제도의 도입이 정당득표율과 의석점유율간의 비비례성을 교정하는 효과는 극히 적었으며, 투표율에 영향을 미치거나 지역주의적 투표성향을 약화시키지도 않았다. Analyzing survey data, this paper examined the effect of the newly introduced electoral system in Korea. The rate of ticket splitting was not significantly high, recording only 20.8%. Sex, age, ideological stance, and party preferences were important factors that contributed to ticket splitting. The ticket-split voting behavior of the Korean voters in the 17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could be seen as being strategic, but strategic calculations of the voters were not so strong. Introduction of new electoral system affected party arrangement. The Democratic Labor Party was benefitted most and able to become the third largest party with the help of the great number of split-ticket voting in a proportional representative election supporting the party. The effect of the introduction of the “one man two votes” electoral system to resolve disproportionality was minimal. The introduction of the “one man two votes” electoral system neither affected the voting turnout systematically nor mitigated the traditional regionally based voting behavior of the Korean voters.

      • KCI등재후보

        Ditching the Party: Disaggregating Split Ticket Voting in Taiwan's 2016 Legislative Election

        Timothy S. Rich 사단법인 코리아컨센서스연구원 2019 분석과 대안 Vol.3 No.1

        What motivates split-ticket voting in mixed electoral systems, where voters choose one party in district races and another party on the party list ballot? While much of the literature assumes strategic intent, three aspects commonly are overlooked: the competitiveness of district races, the presence of a district candidate from one’s preferred party, and whether voters know the electoral threshold for party list seats. Furthermore, few studies disaggregate types of split-ticket voting (e.g. not voting for one’s preferred party in a district vs. party list). Taiwan provides an intriguing case study for analysis, not only as a relatively new adopter of a mixed system, but also the presence of additional conditions that would encourage at least the consideration of a split ticket. Using survey data from the Taiwan’s Election and Democratization Studies (TEDS) after the Taiwan’s 2016 Legislative Yuan election, this analysis finds that knowing the threshold, the winner’s margin, and the placement of a district candidate from one’s preferred party all influence split-ticket voting among those with a partisan preference. However, closer inspection identifies a distinction between defecting from the district versus the party list. Evidence shows that district competitiveness and candidate placement influences defection from the district candidate, while the electoral threshold influences defection from the party list. The results add to our understanding of strategic and non-strategic incentives in mixed systems.

      • Ditching the Party: Disaggregating Split Ticket Voting in Taiwan's 2016 Legislative Election

        Rich, Timothy S. Korea Consensus Institute(KCI) 2019 Analyses & alternatives Vol.3 No.1

        What motivates split-ticket voting in mixed electoral systems, where voters choose one party in district races and another party on the party list ballot? While much of the literature assumes strategic intent, three aspects commonly are overlooked: the competitiveness of district races, the presence of a district candidate from one's preferred party, and whether voters know the electoral threshold for party list seats. Furthermore, few studies disaggregate types of split-ticket voting (e.g. not voting for one's preferred party in a district vs. party list). Taiwan provides an intriguing case study for analysis, not only as a relatively new adopter of a mixed system, but also the presence of additional conditions that would encourage at least the consideration of a split ticket. Using survey data from the Taiwan's Election and Democratization Studies (TEDS) after the Taiwan's 2016 Legislative Yuan election, this analysis finds that knowing the threshold, the winner's margin, and the placement of a district candidate from one's preferred party all influence split-ticket voting among those with a partisan preference. However, closer inspection identifies a distinction between defecting from the district versus the party list. Evidence shows that district competitiveness and candidate placement influences defection from the district candidate, while the electoral threshold influences defection from the party list. The results add to our understanding of strategic and non-strategic incentives in mixed systems.

      • The Timing of Split-Ticket Voting Decisions in Mixed Systems: Evidence from South Korea

        Timothy S. Rich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2012 Asi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20 No.2

        Although two-vote mixed legislative systems have proliferated globally, the factorscontributing to split-ticketing in these cases remains poorly understood. Using surveydata regarding South Korea’s 2008 National Assembly election, this article addresses twoquestions: Is ticket-splitting in two-vote legislative systems influenced by the timing ofone’s vote decision and are late deciders more or less rational in their decision to ticketsplitthan early deciders? Empirical analysis finds that split-ticket voting under variousspecifications is more likely to be carried out by late deciders. Among split-ticket voters,however, late deciders are more likely to irrationally split their vo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