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종결 억양 지각 양상

        오재혁(Oh Jeahyuk),이정란(Lee Jungran) 담화·인지언어학회 2012 담화와 인지 Vol.19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Korean utterance final intonation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Intonation is closely related to meaning of utterance, and it especially indicates the grammatical meaning of syntactic moods at the utterance final. The grammatical functions realized through the intonation are limited to the declarative, the interrogative, the imperative, and the exclamatory of syntactic moods. In this study, 114 sound stimuli were used for three types of intonation in the perception test. The three intonation types are level intonation, rising-falling intonation and falling-rising intonation. The perception test tool is made of the sound stimuli and was conducted on 17 foreign graduate students. We compared the result of the foreign graduate students with the result of Korean speakers. In the case of the level intonation, the result of the foreign graduate students is similar to the Korean speakers. But in the case of the rising-falling intonation and falling-rising intonation, the perception of the foreign graduate students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Korean speakers.

      • KCI등재후보

        한국 동남방언과 일본 아오야방언의 의문문 억양에 대한 대조 연구

        이병운 한국방언학회 2008 방언학 Vol.- No.8

        Although there are some exceptions in accentual system for Izumo Dialect in Japan, it belongs to Tokyo Dialect Circle. However, Izumo Dialect was much different from Tokyo Dialect in the intonation system. Especially for intonation system in interrogative sentence, there is much different system between Izumo Dialect and Tokyo Dialect. For Yes/No interrogative sentence, Wh-interrogative sentence, and a interrogative sentence with indefinite pronoun, Tokyo Dialect and Izumo Dialect have completely different systems. This difference is quite similar to that of Central Dialect and the Southeast Dialect in Korean.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s of the Aoya Dialect in Tottotri-ken neighboring Izumo area in Japan, especially to study the relation between terminal Intonation of interrogative sentence in two languages. Even though Aoya Dialect is less different from Izumo Dialect in degree, we can make sure that there is the intonation affinity between the Southeast Dialect in Korea and the Aoya Dialect in Japan. My belief is that two languages make close resemblance in terminal Intonation types in the interrogative sentences. In Intonation of a yes-no interrogative sentence, one fall-type another rising type. As they are all fall-type Intonation with focus on wh-interrogative in a wh-interrogative sentence. All fall type Intonation with focus on the stem of predicate in a interrogative sentence with indefinite pronoun. Accordingly we can say that there is close correlation between two languages. By the way, we don’t know exactly the reason why there occurs such intonation similarity: Is this similarity due to linguistic influences or cognate languages? However, this similarity between the two dialects is at least not accidental. We can explain at full length on the analogy of geographical adjacency and historical relations between South-East area in Korea and Rim East Sea in Japan. 이 연구는 한국의 동남방언과, 일본의 이즈모(出雲) 지역과 인접한 돗토리지역의 아오야방언과의 관련성에 대한 것이다. 그런데, 아오야방언에서도 이즈모방언과 비슷하게 한국의 동남방언과의 억양적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용언구에서의 연결어미와 의문문의 문미억양에서 한국의 동남방언과 일본의 아오야방언과는 여러 점에서 유사성이 확인되었다. 곧 동경방언과 달리 아오야방언은 설명 의문문, 확인 의문문 등에서 한국의 동남방언과 유사한 내림조를 이루었다. 다만, 동남방언과 달리 판정 의문문에서 동경방언과 같은 오름조를 이루었다. 그런데, 이러한 억양적 유사성이 언어적 영향관계에 의해서 온 것인지, 또는 동계언어적 관련성에서 온 것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유사성이 적어도 우연이 아니라는 것은, 한국의 동남 지역과 일본의 환동해 지역과의 지리적, 역사적 인접성과 관련성에서 충분히 유추할 수 있다.

      • KCI등재

        Sentence Types and Intonation

        ( Young Sun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16 언어와 언어학 Vol.0 No.70

        This paper examines the cases where a given sentence type is not uniquely associated with a given pragmatic function. A given sentence can have more than one communicative function depending on intonation. In this paper, I have focused to the function of intonation in changing the meaning of sentence types. I suggest that the intonation feature [+R, -R] should be employed in C in addition to [+Q, -Q] to explain the difference in meaning between the typical use and the non-typical use of a particular sentence type. The mismatch of these features will explain the difference in meaning between declarative questions from declaratives or inverted exclamatives from yes-no questions.

      • KCI등재

        Sentence Types and Intonation

        김영선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16 언어와 언어학 Vol.0 No.70

        This paper examines the cases where a given sentence type is not uniquely associated with a given pragmatic function. A given sentence can have more than one communicative function depending on intonation. In this paper, I have focused to the function of intonation in changing the meaning of sentence types. I suggest that the intonation feature [+R, -R] should be employed in C in addition to [+Q, -Q] to explain the difference in meaning between the typical use and the non-typical use of a particular sentence type. The mismatch of these features will explain the difference in meaning between declarative questions from declaratives or inverted exclamatives from yes-no questions.

      • KCI등재

        표준어 억양 교육 연구

        이병운 우리말학회 2004 우리말연구 Vol.14 No.-

        이 연구는 독특한 억양체계를 가진 경남방언화자에게 특별한 목적으로 표준어의 억양을 교육하기 위해서 경남방언과 표준어의 억양체계가 어떻게 다른가를 살펴보고 이 차이점을 교육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 연구에서는 임자씨와 토씨의 결합에서 나타나는 어절의 억양과 풀이씨의 이음씨끝에서 나타나는 억양을 중심으로, 실제 발화내용을 음성분석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한 것을 토대로 기술하였다. 경남방언에서 임자씨와 토씨와의 결합에서 나타나는 억양은 첫째, 1음절 낱말에서는 낱말의 억양(고조, 중조, 저조)에 따라 뚜렷하게 차이(내림/수평/오름)를 이루었으나, 표준어에서는 차이가 나지 않고, 대체로 오름조로 나타났다. 2-3음절 낱말에서는 경남방언은 낱말의 첫음절이 고조가 아닌 경우, 오르내림조로, 첫음절이 고조인 경우, 내림조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표준어에서는 토씨의 억양이 고조이기 때문에 대체로 오름조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경남방언화자에게 낱말의 첫음절을 중조로, 토씨의 억양을 고조로 하여, 어절의 억양을 오름조로 하는 교육을 하여야 한다. 특히 토씨의 끝 억양이 경남방언처럼 내림조가 아니고 고조를 수평으로 유지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풀이씨에 이음씨끝이 결합한 어절의 억양은 경남방언에서는 내림조였고, 표준어에서는 오름조였다. 이 또한 내림조를 오름조로 바꾸는 교육을 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