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디어 정치경제학이란 무엇인가? : 국내 문헌에 나타난 개념의 용례 분석

        임영호 ( Im¸ Yungho ) 한국지역언론학회 2021 언론과학연구 Vol.21 No.3

        미디어 정치경제학은 1980년대 이래로 언론학에서 중요한 이론적 조류였으나 최근 급격히 쇠퇴하고 있다. 이 연구는 왜 이러한 그러한 현상이 발생했는가 하는 의문에서 출발한다. 미디어 정치경제학은 미디어 자본의 작동방식의 특수성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했고 이는 이 접근방식 고유의 영역이자 관심사이다. 하지만 그동안 미디어 정치경제학은 고유의 과업에 충실하기보다는 어설픈 확장성에만 치중하면서 정체성을 잃어갔다. 이 때문에 오늘날 정치경제학의 필요성은 증가하고 있는데 이 과업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역설이 발생했다. 이 논문은 국내에서 정치경제학이란 개념이 어떻게 수용되었고, 그 과정에서 어떤 문제점을 드러냈는지 밝히기 위해 관련 문헌에 나타난 용어의 용례 분석을 시도했다. 미디어 정치경제학 관련 문헌들은 규범성과 사회 중심 이론이라는 두 가지 공통된 특성에서 출발한다. 하지만 정치경제학이라는 용어를 문헌마다 각양각색으로 사용하면서 다른 접근방식과 차별화된 영역과 이론적 특징을 확립하는 데 실패했다. 분석 수준에서는 구체적 현상 기술에 치중하거나 추상화된 공식을 고수하는 양극단의 태도가 지배했는데, 두 수준을 이어주는 중간 수준의 이론화를 추구한 연구는 드물었다. 또한 이론 틀에서 선언적 개념과 실제 연구에 적용하는 분석적 개념 간의 괴리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드러내면서 구체적 연구가 경제의 특성을 이론화하는 데 기여하지 못했다. 미디어 자본의 특수성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로 경제 외적인 관계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의 추구를 표방했는데, 여기서 오히려 다른 비판적 접근방식과의 차별성을 상실했다. 더구나 총체성 문제를 둘러싼 논쟁에서는 ‘반경제 결정론’과 ‘정통주의’를 둘러싼 공방이 비생산적 명분 논쟁으로 흐르면서 정작 정교한 경제 이론 개발을 소홀히 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 글에서는 미디어 정치경제학이 미디어 경제의 ‘특수성’ 규명이라는 본래의 과제로 되돌아가는 것만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라고 주장한다. Once a major paradigm in Korean communication research, the political-economy perspective has conspicuously declined in the past decades. This paper begins with a question as to why such retroactive changes have taken place ironically in a period when emerging media environments necessitate a revival of political economic analyses. Based on a recognition that the political-economy perspective has evolved out of an specific emphasis on the media economy, the author regards the decline as a result of its increasing digression from the original agenda in a pursuit of territorial expansion. Based on such premises, this paper aims to analyze how the term. political economy, has been (mis-)used in the relevant literature in Korean media studies. Most research converge in their basis on normative premise as well as a society-centered perspective rather than an exclusive attention to the media. Nevertheless, the term tends to be defined too loosely and widely at the expense of development of economic theory. On the level of analytic logics, most research tends to maintain an awkward duality of abstract theory and specific studies, and fails at generalizing specific case studies to mid-level theories. as well as revealing a disparity between declared theoretical positions and actual frameworks of analysis. A ‘lip-service’ to totality, in the form of fragmentary and anecdotal attention to its plural aspects, hardly helped produce an elaborate theory of the economy in the complex context of social determination. I would like to argue that all these limitations have combined to aggravate theoretical poverty of political economy and ironically the prevalence of ‘political economy without economy.’

      • KCI등재후보

        커뮤니케이션정치경제학의 방향에 대한 소고 : 독일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서명준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19 글로벌정치연구 Vol.12 No.2

        오늘 자본주의사회에서 커뮤니케이션 관계를 분석하고 비판하는 데에 마르크스는 실용적인 측면이 있다. 그의 이론은 무엇보다 미래 사회 “이론”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기준을 제시해 준다. 모든 지배에 대한 비판으로서 마르크스의 비판은 모든 비판적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이론가들에게 많든 적든 영향을 끼쳤다. 마르크스의 이론은 오늘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는 “잊혀진 이론”이지만(Holzer 1994), 그의 사유의 유산은 부정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긍정적으로 인정받아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는 이른바 비판 커뮤니케이션의 한 분과로서 논의되는 미디어정치경제학의 쟁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오늘날 그것은 정치경제학이라는 마르크스적인 학문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마르스크의 사유에서 상당히 벗어나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먼저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마르크스적 사유의 불가피성에 대해 논하고, 관련하여 주요 커뮤니케이션이론가들의 논의를 살펴보며, 커뮤니케이션정치경제학이 놓치고 있는 핵심 개념인 커뮤니케이션 개념에 대해 유물론적 시각에서 고찰한다.

      • KCI등재

        분석적 마르크시즘의 공과(功過)

        이상기(Sang-Khee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09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5 No.1

        마르크스가 스스로 자신은 마르크스주의자가 아니라고 밝힌 것처럼 오늘날 마르크스주의의 위기는 결코 마르크스의 위기와 동의어가 될 수 없다. 마르크스주의의 위기는 마르크스의 방대한 이론 체계에서 일부분만 떼어 설명하는 데서 나타난 결과일 뿐이다. 이런 맥락에서 ‘마르크스주의 정치경제학’이 아닌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이 재고될 필요가 있다. 마르크스는 독일 관념론, 프랑스 공산주의, 영국 고전파 경제학을 두루 섭렵했고, 이들을 종합하여 다수의 프롤레타리아가 더 인간답게 살 수 있는 길을 제시했다. 마르크스는 이를 위해 무엇이든 조사했으며, 무엇이든 알고자 했다. 이러한 학문적 자세는 복잡한 현대사회를 설명코자 할 때 반드시 필요하다. 그럼에도 현대의 학문은 분화ㆍ발전되어 소통 및 총체적 설명의 부재를 경험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마르크스주의 경제학과 신고전파 경제학의 소통 가능성을 검토함으로써 본연의 정치경제학을 되살리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경제학사적 접근방법을 시도했고, 분석적 마르크스주의 시각을 도입했다. 분석적 마르크스주의는 신고전파 경제학은 물론 기존의 사회과학에서 발전되어 온 방법론을 총동원하여 전통적인 마르크스주의 이론이 빠뜨렸던 현실과의 간격을 메우고자 했다. 그렇다고 이들의 작업이 모든 이들의 동의를 획득한 것도 아니며,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결국 생산과 소비, 거시와 미시, 구조와 행위를 아우르는 이론체계를 정립하는 것이 정치경제학에 남겨진 과제이다. 이는 ‘미디어/커뮤니케이션 정치경제학’에도 해당된다. 특히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분야는 철학(미학), 인문학,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공학까지 걸쳐 있고, 실재 미디어/커뮤니케이션 현상과 그와 관련된 정책 또한 다양한 정치경제적 역학구도 속에서 결정된다. 따라서 미디어/커뮤니케이션 정치경제학은 여전히 유효하며, 좀 더 많은 사람의 동의를 획득하기 위해 더 정교해질 필요가 있다. 모든 이론에 열린 자세를 가지고 학제 간 연구가 활성화된다면 미디어/커뮤니케이션 정치경제학의 설명력은 더 증대될 것이다. The recent crises of Marxism do not mean Marx's crisis. Marx said that he was not a Marxist. The purposes of this essay explore (1) the modern identity of the political economy; (2) the possibilities of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neoclassical economics and Marxist economics; (3) problems of the political economy in media and communication industry. I have begged for analytical Marxists, because of their good fruits. They accepted the methods of modern social science and they constituted a tremendous advance in the application of the scientific methods to the study of society. In insisting on micro-foundations(methodological individualism), analytical Marxism distinguished itself from structuralism and functionalism. I appreciate that analytical Marxism has reduced a theory to practice. But the works didn't listen to everyone(from Marxists to un-Marxists), and explain everything. Making theory with production/consumption, macro/micro, and structure/behavior is a road to the political economy in the long run. It also applies to media and communication industry. The realm of media/communication is broad, which in philosophy, humanities, politics, economics, sociology, and engineering. And media policy is more complicated by politicians who look at the same situation from different angles. By the aid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e political economy of media/communication shall explain at full length.

      • KCI등재

        한국의 비판언론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

        조항제(Hang-Je Cho) 한국언론정보학회 200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3 No.3

        이 글의 목적은 문화연구와 정치경제학을 중심으로 한국의 비판언론학을 성찰하고 미래의 방향을 제시보고자 하는 데 있다. 1980년대 중후반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문회연구의 ‘소비로의 전환’은 문화연구를 신수정주의로 부르게 만든 결정적인 요소의 하나지만, 한국에서는 비판적 문제의식의 단절로 읽혀져 문화연구에 대한 끊임없는 정체성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정작 정치경제학은 자신이 중시하는 생산(과정)/구조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를 내지 못했고, 문화연구 역시 이 부문에서는 무관심으로 대응했다. 국면주의는 문회연구가 현실에 개입하는 유력한 방식이지만 초기의 연구 외에는 후속연구가 그다지 활발하지 못해 이론화 수준이 높지 않고, 한국에서의 연구 또한 아직은 많은 논란을 안고 있어 성과 여부가 불투명하다. 비판연구가 가진 저항성의 문제는 운동론에서 두드러지는데, 이 글에서는 문화연구의 특징이 잘 배어 있는 소수자문화운동론에 대한 검토를 통해 사회적 배치의 여전한 중요성을 강조했다. 미래의 방향에서는 일부 논자들이 제안한 바 있는 문화연구와 정치경제학의 화합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검토했고, 이의 근저에 있는 근대주의/탈근대주의 합의의 가능성과 필요성 역시 차이를 인정하면서도 결합의 가능성도 놓치지 않는 ‘복합적합의’를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시공간의 재조직’, ‘소비자본주의’, ‘문화적 시민권’(또는 ‘문화적 공론장’), ‘생산문화’, ‘시민/소비자’, ‘차별화/차이’, ‘공영방송의 미래’ 등을 양측이 서로 경(결)합할 수 있는 공감대가 큰 연구주제로 꼽았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explores a critical review of the Korean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focused on the problematic of cultural studies and political economy in 2000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consumer rum' or 'audience turn' in new revisionism modelling John Fiske's cultural studies has been interpreted not co complement but co substitute the necessary criticism of the post-authoritarian media establishment of Korea at that time, arising identity crisis of Korean cultural studies as one of the critical camp. On other side, however, some political economy studies close to the unilinear theses of orthodox marxism has been appraised to neglect the complex process and structure of media and cultural production as well. While the press war between the marker-dominant dailies and some progressive dailies has given rise co a whole debate as expected in consolidating period of Korean emerging democracy, the conjucturalism as modelled by Hall's 'authoritarian populism' failed co initiate a new theoretical practice in Korea. Finally, this review essay propose the some new research issues that would converge cultural studies and political economy, modernism and postmodernism; citizenship vs 'cultural citizenship'(valuing the private identity and gender) or Habermasian public sphere vs 'cultural public sphere', the culture of production, (modern)citizen/(postmodern)consumer(recently debated in English media policy), 'differentiation' in capitalist production and 'difference' in consumer sovereignty, 21c future vision of public service broadcasting as one of the 20c institutions.

      • KCI등재

        미디어 정치경제학의 학문적 지형과 이론적 과제

        문상현(Sang-Hyun Moon) 한국언론정보학회 2009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5 No.1

        미디어 정치경제학은 미국을 중심으로 한 주류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실증주의와 행태주의적 경향에 반기를 들며 등장한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전통의 하나이다.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주류 커뮤니케이션 연구가 메시지의 효과에 과도한 관심을 기울인다고 비판하면서, 사회의 권력관계와 지배구조 재생산에 커뮤니케이션 메시지와 제도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에 주목하였다. 특히 미디어 정치경제학은 커뮤니케이션 제도의 소유와 통제, 미디어의 생산, 유통 및 수용과정, 그리고 커뮤니케이션과 자본주의 재생산 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권력의 문제를 다루는 데 주력해왔다. 이 글의 목적은 미디어 정치경제학의 학문적 지형과 이론적 과제를 살펴보는 데 있다. 먼저 미디어 정치경제학의 학문적 지형에 대한 검토는 미디어 정치경제학의 학문적 특성, 주요 관심주제, 주요 연구자들, 학문적 허브, 주요 논문, 주요 학술조직과 학회지 등을 살펴보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어서 본 연구는 미디어 정치경제학 내에서 혹은 문화연구 등과의 이론적 논쟁을 통해 제기된 미디어 정치경제학의 이론적 한계들을 간략하게 되짚어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과 앞으로의 당면과제들을 검토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academic development of the Political Economy of Communication, which is pursued by reviewing academic characteristics, research subjects, key scholars, formal and informal institution as an academic hub, key articles, major academic associations and academic journal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important theoretical limitations and tasks to deal with in the future, which have been exposed through several heated debates with other research traditions such as Cultural Studies and Post Modernism.

      • KCI등재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기본 접근들 : 이론적 소고

        박홍원 한국지역언론학회 2011 언론과학연구 Vol.11 No.2

        Despite a widespread agreement within the circle of critical communication research upon the basic idea that the capitalist media, as an ideological agent, contribute to the reproduction of the capitalist relations of domination, there have existed radical differences in the ways to explain the ideological roles of the media among different approaches within the circle. Setting the basic approaches in the critical media studies as political economy of the media, structuralist approach, and culturalist approach, this paper examined the distinctive theoretical features of each approach and tensions among those approaches. Even though there began to arose a converging trend among different approaches within critical media studies, a short theoretical review of these three approaches will be of great help for understanding the original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cerns of critical communication research, offering an insight for analyzing the signifying practices of the media and audiences these days. Drawing on the ways in which these three approaches define the ideological role of the media in capitalist societies, we can expand our knowledge on the role of the media in capitalist domination in the current digital era.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 진영 내에서는 미디어가 이데올로기적 기구로서 자본주의적 지배관계를 재생산하는 데 기여한다는 기본적인 생각은 공유해왔지만, 미디어가 수행하는 이데올로기적 역할에 대한 설명은 동일하지 않다. 이 글에서는 비판적 미디어 연구 전통 내부의 다양한 이론적 입장을 미디어 정치경제학, 구조주의적 접근, 문화주의적 접근으로 설정하고 각 접근의 특징과 이들 사이의 이론적 긴장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논의했다. 근래에 들어 이들 사이에 이론적 접목과 수렴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기본접근들을 이렇게 세 가지로 구분해서 살펴보는 것은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가 추구해온 원초적인 이론적 지향점들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초기 비판적 미디어 연구에서 중요한 이론적 방향을 제시했던 이들 세 접근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미디어가 수행하는 이데올로기적 역할을 어떻게 규정했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미디어 지형에서 상당한 변화를 겪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많은 함의를 갖기 때문이다.

      • KCI등재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기본 접근들: 이론적 소고

        박흥원 ( Hong Won Park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1 언론과학연구 Vol.11 No.2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 진영 내에서는 미디어가 이데올로기적 기구로서 자본주의적 지배관계를 재생산하는 데 기여한다는 기본적인 생각은 공유해왔지만, 미디어가 수행하는 이데올로기적 역할에 대한 설명은 동일하지 않다. 이 글에서는 비판적 미디어 연구 전통 내부의 다양한 이론적 입장을 미디어 정치경제학, 구조주의적 접근, 문화주의적 접근으로 설정하고 각 접근의 특징과 이들 사이의 이론적 긴장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논의했다. 근래에 들어 이들 사이에 이론적 접목과 수렴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기본접근들을 이렇게 세 가지로 구분해서 살펴보는 것은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가 추구해온 원초적인 이론적 지향점들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초기 비판적 미디어 연구에서 중요한 이론적 방향을 제시했던 이들 세 접근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미디어가 수행하는 이데올로기적 역할을 어떻게 규정했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미디어 지형에서 상당한 변화를 겪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많은 함의를 갖기 때문이다. Despite a widespread agreement within the circle of critical communication research upon the basic idea that the capitalist media, as an ideological agent, contribute to the reproduction of the capitalist relations of domination, there have existed radical differences in the ways to explain the ideological roles of the media among different approaches within the circle. Setting the basic approaches in the critical media studies as political economy of the media, structuralist approach, and culturalist approach, this paper examined the distinctive theoretical features of each approach and tensions among those approaches. Even though there began to arose a converging trend among different approaches within critical media studies, a short theoretical review of these three approaches will be of great help for understanding the original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cerns of critical communication research, offering an insight for analyzing the signifying practices of the media and audiences these days. Drawing on the ways in which these three approaches define the ideological role of the media in capitalist societies, we can expand our knowledge on the role of the media in capitalist domination in the current digital era.

      • KCI등재

        PPL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정치경제학 해석

        김영욱(Kim, Yungwook) 한국광고홍보학회 2017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9 No.1

        지금까지 PPL에 대한 논의는 기능주의적인 효과성에 집중되어 왔지만, 이 논문은 커뮤니케이션 정치경제학 관점에서 PPL이 가지는 사회적인 의미를 비판적인 관점에서 해석해 보고자 하였다. 『자본론』에서 주장한 일반적인 노동과 마찬가지로 시청자의 시청시간은 노동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방송사들은 노동 시간을 절대적 혹은 상대적으로 착취함으로써 이윤을 극대화하려고 노력한다. 특히 PPL 상황에서는 이러한 착취가 실질적인 노동 착취를 포함해서 이중적으로 일어난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PPL이 사회 전체적으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는 데는 물신 숭배의 영향이 크다. 사람들은 상품을 통해 사회적인 인간관계를 대체해 나간다. 노동은 상품 속에서 해체되고 상품의 교환 가치만이 유일한 사회관계로 살아남는다. PPL은 이러한 상품의 물신 숭배를 통해서 노동으로서 시청이라는 사실은 무시되고 자연스러운 이윤 창출 도구로서 수용된다. 프로모션 사회는 이윤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노동의 유형과 무관하게 대상을 상품화하고 있으며, 이는 방송 광고의 자유 경쟁 체제를 주장하는 논리와는 무관하게 시청자의 복지를 약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논의했다. Discussions about product placement were focused on functionalistic effectiveness until now. However, this paper attempts to critically interpret the social meaning of product placement using a communication political economic perspective. Viewers’ viewing time can be considered as labor defined in Karl Marx’s Capital. Broadcasting companies exploit this labor, either absolutely or relatively, in an effort to maximize profits. Situations in product placement are especially problematic in that exploitation occurs in every aspect. Despite this problem, product placement is generally accepted in society largely due to the process of fetishism. People now substitute socia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products. Labor is forgotten in the presence of products, and exchange value is the sole representation of social relationships. Product placement, through the fetishism of products, hides the fact that viewing is a form of labor, and is accepted as a natural tool for generating profit. A promotion society commodifies entities, regardless of the form of labor, in order to maximize profits. This kind of commodification does not match with the logic which espouses free competition between commercials, and deteriorates the welfare of viewers in the long run.

      • KCI등재

        언어는 평등한가? -언어 사용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접근-

        김주관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2 人文論叢 Vol.67 No.-

        The question, “are languages equal?” might be a common one among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languages. The answer is generally affirmative in linguistics, and the affirmative answer seems to be based on two grounds - theoretical and humanistic. However, the question, “are languages equal in a specific socio-cultural context?” cannot be answered on the basis of theoretical orientations and humanistic sympathy because linguistic behaviors are social practices and,therefore, are not free from the socio-cultural contexts.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emergence and works of politicoeconomic approaches to language use, and proposes the politico-economic approaches as a bridge to connect the studies on languages at various instances in humanities and the social sciences. The exclusion of socio-cultural factors in linguistics was credited by de Saussure and Chomsky, who emphasize the study of language in and for itself. Franz Boas also influenced the trend by mentioning that there is no intrinsic relationship between race, language, and culture. In the 1980s, however, anthropologists and sociolinguists began to study language use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economy coming from the opposite position of Saussurean and Chomskyan students. The rise of politico-economic perspectives in the study of language use is influenced by the accumulation of three precedent studies: the ethnography of communication, the agent-oriented Marxist perspectives,and the macro and micro link in social sciences. The empirical studies with a politico-economic perspective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on the ba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politico-economic factors: index, instrument, and commodity. The politico-economic approaches can be a useful tool in analyzing language use because linguistic behaviors are linguistic practices which are performed unequally in socio-cultural contexts.

      • KCI등재

        담론분석과 정치경제학의 조우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류웅재(Woong-jae RYOO)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0 언론과 사회 Vol.18 No.4

        이 논문은 질적, 비판적, 해석학적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있어 담론분석이 비언어적 요소, 특히 구조와 맥락, 사회적 총체성 등을 포괄하는 구조적ㆍ산업적 분석이나 미디어 정치경제학과 맺는 유기적 관계, 나아가 양자 간의 유사한 인식론 및 문제의식을 밝혀, 향후 비판 커뮤니케이션 및 미디어 문화연구의 방법론적 논의를 확장하고자 하는 의도를 지닌다. 이를 위해 푸코의 담론이론을 포함한 비판적 담론분석의 다양한 해석 및 지류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이러한 방법론적 전통이 포착하고 있는 담론이 담론 아닌 것들과 맺는 관계, 이를테면 언어와 상징작용이 미디어 정치경제학의 주된 관심사인 구조와 물질, 생산과 제도 등과 맺는 교호적 관계에 대해 방법론은 물론 인식론적 견지에서도 논의하고, 이들이 창발적으로 접합할 수 있는 가능성 및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질적 방법론으로서 활용 가능한 방법에 대해 메타 비평적 차원에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pand the scale and scope of the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of qualitative, critical, and hermeneutic communication studies and media-oriented cultural studies by collaborating discourse analysis with nonlinguistic elements, especially structural - and/or political economic analysis emphasizing the structure, context, social totality, and the like. For this, a wide variety of pertinent renditions and implications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ncluding the Foucauldian discourse theory were discussed. Futhermore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se seemingly antagonistic perspectives, that is to say, discursive with non-discursive criteria pursued by such a methodological tradition was carefully examined. I contend that there is high potential of collaborative and interchangeable relationship between discourse analysis and media political economy, focusing on the structure, material, production, and institution, both in methodological and epistemological level and the possibility of their creative and constructive articulation, despite their notable differ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