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찰 벽화 설화도의 유형과 의미

        김용덕(Kim, Yong-Duk) 비교민속학회 2013 비교민속학 Vol.0 No.5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ssify the types of narrative paintings that show narrative contents among mural paintings of Buddhist temples and to interpret meanings of the narrative paintings. The functions of the narrative paintings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hree functions if classified in broad scope: worshiping, religious reformation, and grandeur. Narrative paintings drawn on outer walls of a Buddhist sanctuary have the function of religious reformation and decoration; rather than the subjects of worshiping, they also have the function of explanatory purpose to help people to easily understand the doctrine of Buddhism as well as the function of dancheong (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on wooden buildings) for the purpose of decoration. Buddha and Bodhisattvas were illustrated in simpler way in the mural paintings of old, historic temples, and the narrative paintings of the temples that were built in relatively later periods were drawn in folk painting styles. The narrative paintings can be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subject matters, themes, and characters. A narrative painting basically has a story that must have a main character in the development of the story. Thus if the narrative paintings are classified by main characters of stories, they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ur different types: Gautama Siddhartha Paintings; Bodhisattva Deities Paintings; Virtuous Monk Great Virtue Paintings; Characters of Old Folk Tale Paintings. The contents of the narrative paintings are not limited to the subjects of Buddhism but borrowed ordinary people-friendly as they were expanded to characters of old folk tales and include narratives for ordinary folks. The viewpoints that interpret narrative paintings can be approached by religious sacredness and secular folklore. With the purpose of illustrating religious piety and the doctrine of Buddhism, narrative paintings were drawn to reflect folksy closeness for devotees’ level and circumstances of the era during which a particular narrative painting was drawn. We can read symbolic meaning in which sacredness and secularity. Mural paintings drawn inside a sanctuary illustrate stories related to Buddhist Bodhisattvas that symbolize core Buddha for the purpose of worshiping. Murals drawn at the outside of a sanctuary have the purpose of decoration and religious reformation. We can read the symbol that aims for the world of fusion by contrasting sacredness and secularity in such contrast and harmony.

      • KCI등재

        송대 ‘대나무’ 도상의 상징에 대한 고찰 -『聲華集』의 ‘대나무’ 제화시를 중심으로 -

        서은숙 동양고전학회 2009 東洋古典硏究 Vol.35 No.-

        본고는 그림에 제하거나 그림을 대상으로 한 題畵詩의 특성에 비추어볼 때 墨竹의 형상성이나 형상 과정이 잘 묘사될 수 있다고 여겨, 宋代 제화시를 수록한 대표적 제화시집인 聲畵集에 실린 ‘대나무’ 제화시를 통해 북송대 이후 묵죽화의 발전 양상과 그것의 도상학적 의미를 살펴본다. 묵죽화 발전 양상과 그 유형을 살펴보면, 북송대에는 당시 御府에 148축의 묵죽화가 있었다고 전해질 정도로 묵죽화가 성행했다. 화면 속에 등장하는 묵죽의 모습, 즉 그림 속의 ‘도상’은 와룡처럼 누운 橫竹이나 교룡처럼 굽은 紆竹이 많이 등장하고, 특히 많은 대나무가 겨울에 서리를 맞고 서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송대에 오면 ‘대나무’ 도상에 대한 인식은 유가적 이상형인 군자라는 보편적 인식과 더불어, 대나무를 자기표현의 한 수단으로 여기고 문인사대부 특유의 문인성을 표현할 수 있는 대상으로 보게 된다. 그 결과, 전업화가들이 丹靑과 形似에 몰두해 그린 대나무가 아니라 문인 사대부 즉 자신들이 ‘묵죽’을 창작하고 감상하는 것을 최고로 여겼다. 묵죽에 대한 송대 문인사대부의 애호와 관심에는, 유가적 이상형인 군자 외에 시련에도 불요불굴하는 의지의 구현자이자, 부귀와 공명이 아니라 사회를 위해 도덕적인 책임과 문화적 과제를 온전히 수행할 수 있는 진정한 ‘문인성’의 체현자라는 인식이 그 바탕에 깔려 있었다고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e how bamboo paintings developed and what is the iconographical meaning of them through bamboo Ti-hua-shi(poems on paintings) found in Sheng-Hua-Ji, a leading compilation of Ti-hua-shi(poems on paintings) of Song Dynasty. Bamboo paintings give shapes in a simpler and more direct way in drawing, which means bamboo paintings reveal concretely more characteristics of Ti-hua-shi (poems on paintings). Bamboo paintings, which flourished during Northern Song Dynasty, often had the image of the dragon, specially a lying dragon or a winding dragon, which suggests a great man in obscurity. Snow-laden bamboos were also a symbol of a great man, very wise man in Confucian tradition. This shows Confucian ideal examples were embodied through bamboo paintings. Another aspect of bamboo paintings is that bamboo paintings were regarded as a means of self-expression, which identified Confucian sadaebu (scholar-officials) who advocated simplicity and austerity in their life. Contrary to professional painters, who added color and decoration to their paintings, Confucian scholars of Song Dynasty reduced color and embellishment in their bamboo paintings in black-and-white to reveal their own identity, focusing on spirituality rather than the image itself. Therefore, drawing and appreciating bamboo paintings were highly respectable pastime among the literati of Song Dynasty. In short, Bamboo paintings in Song Dynasty were not only a Confucian symbol of a wise and virtuous man but also reflected the taste of Song sadaebu class who thought of bamboo as a symbol for moral and cultural responsibility of Confucian society.

      • KCI등재

        『삼강행실도』에 대한 비판적 입장 고찰

        윤미옥(Yun Mi Ok)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2 No.4

        본 논문은『삼강행실도』에 대한 비판적 입장에 섰던 몇몇 학자들의 연구를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첫째 에른스트 파버는 직설적이고 현실적인 비판으로 유교보다 기독교가 우위에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려 하였다. 둘째 정약용은 효자·열부·충신에 대한 세 편의 논설을 통해 『삼강행실도』에서 강조하는 효·충·열이 과연 합리적인 권면이었는가. 관료들의 거짓임을 알고도 묵인한 태도와 일반 백성들의 효행의 표창으로 얻게 되는 가문의 영광 및 세금 감면 등의 혜택이라는 유혹 사이의 거래였다고 말한다. 셋째 강명관은『삼강행실도』가 약자에게 가해진 도덕의 폭력으로 효·열이라는 이름으로 죽음을 강요하면서 이러한 실천을 통해야만 한다고 강요함으로 성리학을 민간에 의식화시키고 실천시키기 위한 장치였다고 비판한다. 넷째 조은상은 왜 스스로의 삶을 파괴하고 죽음에 이르는 행동을 되풀이하는지. 자발성과 비자발성 사이에 조선조의 통치자들은 이러한 정신작용을 교묘히 통치논리에 이용하였다고 말한다. 다섯째 이영림은 유교의 통치 이념을 택한 조선의 지배층이 글을 익히지 못한 다수의 피지배층에게 유교적 윤리와 도덕을 주입시키고 강조하는 과정이 『삼강행실도』를 통하여 이루어졌다고 그 맥락을 읽었다. 에른스트 파버의 기독교 우위의 입장에서 유교 바라보기나 정약용의 권면의 공효와 그 공효로 얻게 되는 혜택 사이에 모종의 거래가 아니었느냐는 이러한 논조는 간과했던 사실에 대한 준엄한 비판이었다. 이후 21세기 『삼강행실도』에 관심을 가진 몇몇 학자들의 비판은 더 신랄하였다. 강명관의 ‘약자에게 가해진 도덕의 폭력’, 조은상의 ‘자기 파괴적 효행의 심리’, 이영림의 ‘유교 윤리의 강요와 모방’이었다는 논조들에서 『삼강행실도』에 국한된 비판이 아닌 유교에 대한 냉혹한 비판이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studies of several scholars who stood on the critical side against 『Samganghaengsildo』. First, Ernst Faber tried to draw a conclusion through blunt and realistic critics that Christianity is superior to Confucianism. Second, Jeong Yak-yong, in his three editorials about filial son, virtuous woman and loyal subject, questioned whether filial piety, loyalty and virtuousness emphasized by 『Samganghaengsildo』were indeed a reasonable encouragement, and claimed that they were just a deal between the attitude of officials to connive the falsehood and the temptation of the benefit such as family honor and tax reduction which could be given as an award for the filial piety of ordinary people. Third, Gang Myeong-gwan criticized that 『Samganghaengsildo』was a mechanism to conscientize and practice neo-Confucianism to the pubic by forcing weak person to death with the violence of morality under the name of filial piety and virtuousness. Forth, Jo Eun-sang questioned why people destroyed their own lives and repeated their behaviors leading to death, and criticized that the governors of Joseon Dynasty used cleverly such mental operation between spontaneity and non-spontaneity for their ruling logic. Fifth, Lee Yeong-rim read its context that the process of planting and engraving the Confucian ethics and morality into the heads of many illiterate subjugated class by the ruling class of Joseon Dynasty, who chose Confucianism as their ruling ideology, was achieved through 『Samganghaengsildo』.

      • KCI등재

        조선 후기 권선서(勸善書)와 민화문자도의 윤리의식

        조헌철 ( Cho Heon Cheol ),임병학 ( Lim Byeong Hak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科學 Vol.0 No.69

        본 논문은 조선 후기 삼교합일 사상을 담은 도교 권선서와 민화문자도(民畵文字圖)의 윤리의식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민중교화서(民衆敎化書)의 기능을 가졌던 권선서는 당(唐) 중기 이후의 삼교합일이라는 사상적 융합의 결과로 성립되었다. 중국에서는 송대(宋代) 신도교의 교단 형성으로 경전의 제작이 활발해지면서 유불도 삼교의 윤리를 융합한 권선서가 유행하게 되었고 여기에 제시된 윤리적 덕목들을 실천하고자 하는 흐름이 확산되었다. 삼교합일 사상과 교화적 내용을 담은 권선서는 명대(明代)의 민중교화 정책에도 부합되어 그 흐름이 이어지게 되었으며, 동시대인 조선에도 영향을 미쳤다. 권선서를 통한 백성교화는 세종 때 『삼강행실도』의 편찬을 시작으로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는 왕실뿐만 아니라 사찰과 개인까지 간행에 참여하게 되었다. 조선 후기 대내외적인 위기와 함께 윤리의식의 다변화 과정에서 권선서는 하나의 윤리서로 유통되었다. 권선서가 민간교화의 목적으로 유통되는 역사적인 흐름은 개인윤리로서의 ‘효제충신(孝弟忠信)’이나 ‘예의염치(禮義廉恥)’와 같은 사회적 윤리의식을 강조하는 민화문자도의 확산과 그 흐름을 같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조선 후기의 민화문자도가 유행한 경위를 살펴보면 조선 후기 민중들의 윤리의식을 담고 있는 민화문자도는 지도층의 직접적인 개입 없이 민중들의 자발적인 선택에 의해 형성되어 확산된 것으로 교화와 계몽으로 선행을 실천하게 하려는 도교 권선서의 유행과도 흐름을 같이하고 있다. 이것은 조선 후기 민중들의 윤리사상적 동향이었으며, 대내외적인 위기와 모순을 극복하고자 하는 조선사회 민중들의 사회적 응전양상이었다. This paper is aimed at examining the ethical consciousness manifested in the pictorial ideographs in folk paintings (minhwa munjado, 民畵文字圖) and the Daoist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gwonseonseo, 勸善書) ― which contained the thoughts of the confluence of the three religion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idea of the Daoist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aimed at edifying the public, was written as a result of the confluence of the three religions in the mid-Tang dynasty and thereafter. In China,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new Daoist Order in the Song dynasty, the scriptures were actively produced and the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that fused the three religions became popularized. There was an increasing tendency that people practiced ethical virtues whose models were presented in the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The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containing the thoughts of unifying the three religions and the contents of edifying the public in the Joseon dynasty had been largely influenced by the policy of educating and civilizing the public in the Ming dynasty. The edification of the people through the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started in earnest with the compilation of the Samgang haengsildo (Illustrated Conduct of the Three Bonds, 三綱行實圖)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in the Joseon dynas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not only the royal families but also the Buddhist temples and the individual public participated in the publication of the books. In the process of the diversification of the ethical consciousness along with the internal and external cris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were circulated as the codes of ethics among the general public. When we reconsider the historical trend that Daoism-based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prospered for the purpose of edifying the people, we can see that the popularity of the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and the pictorial ideographs in folk paintings ― which emphasized social and ethical consciousness such as filial piety (孝), brotherhood (悌), loyalty to the nation (忠), trust (信) or individual sense of ethics such as proprieties (禮), righteousness (義), uprightness (廉) and a sense of shame (恥) ― can be understood under the same context. The popularity of the pictorial ideographs in folk paintings which convey the ethical consciousness of the peop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produced voluntarily in society among the public without any direct intervention of the ruling class. The popularity of the pictorial ideographs shares the similar tren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Daoist books for promoting the performance of virtuous deeds by edifying and enlightening the people and encouraging them to do so. This not only coincides with the trend of the ethical thoughts among the public in the late Joseon society but also manifests the way how the people of Joseon took up the challenges as they were overcoming the internal and the external crises and coming up with social irregularities and absurdities.

      • KCI등재

        조선시대 열녀도의 양태와〈烈女徐氏抱竹圖〉

        신수경(Shin Sookyoung) 한국미술사학회 2007 美術史學硏究 Vol.- No.253

        본고에서는 교훈적 목적을 지니고 복제미술의 형태인 판화로 제작되던 조선 후기 열녀도의 일반적 양상과는 달리, 모필화로 제작된 〈열녀서씨포죽도〉를 소개하고 분석하며, 이에 앞서 조선시대 열녀도의 전개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우리나라 열녀도의 시원인 중국 열녀도의 경우 명대 이전까지는 교훈적인 면모를 강조하기 위해 烈行의 순간에 집중하여 스토리의 흐름에 따른 암시적 묘사를 주로 하였으나, 명대 이후부터는 소설 삽화의 형식을 따르는 방향으로 열녀도의 표현양식이 변화한다. 즉 주인공의 이름과 교훈적 내용을 인물 옆에 배치하는 고전적 양식, 혹은 上圖下文式의 특징에서 벗어나 핵심적인 한 장면만을 한 화면에 그려내되 그림 전체의 분위기와 섬세한 표현에 주력하여 부수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마치 감상을 위한 독립된 작품과 같은 스타일로 변모하게 된 것이다. 한편 우리나라의 열녀도는 조선시대 이후의 작품만이 현전하고 있을 뿐 그 이전의 실물 예는 확인할 수 없다. 다만 문헌상의 기록으로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열녀에 대한 기록을 찾아볼 수 있고, 이를 통해 지배계층의 백성교화 의도를 읽을 수 있으며 열녀도 역시 그 맥을 같이 하여 제작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중국 열녀도에 기원을 둔 한국의 열녀도는 조선시대 이후 본격적으로 제작되었으며 여기서는 『삼강행실도』, 『동국신속삼강행실도』, 『오륜행실도」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삼강행실도』는 도상에서 중국 송대 열녀도와 『古今列女傳』의 영향을 받았다고 여겨지며 실제 그 표현 양식이 중국 명대 이전 열녀도의 특정과 마찬가지로 잔인하거나 사실적인 묘사는 생략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중국 열녀도를 그대로 모방한 데 그친 것이 아니라 중국 열녀도의 도상에 한국 열녀를 추가하여 재창조하게 된다. 2단계인 『동국신속삼강행실도』에 와서는 700여 명에 달하는 조선의 열녀를 묘사하되, 왜적에게 살인당하거나 정절수호를 위해 자살하는 모습을 여과 없이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특징을 보인다. 3단계 『오륜행실도』에서는 『삼강행실도』의 도상을 답습하지만, 기존의 열녀도 표현양식과는 다르게 한 화면에 한 장면만을 묘사하는 새로운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양식의 변화는 명대의 열녀도 표현양상의 흐름과 같아 상관관계를 짐작할 수 있다. 조선 후기에는 삽화판화의 양식으로 뿐 아니라 민간에서 자체적으로 열녀도를 제작했음을 성주 도씨 문중의 〈열녀서씨포죽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작품은 조선 초 지배계층의 성리학적 기반 마련을 위한 정치ㆍ윤리적 목적으로 시작된 열녀도가 조선 후기에 와서는 각 가문의 위상을 위해 자발적으로 제작될 정도로 큰 성과를 거둔 점을 확인시켜준다. 삽화 외에도 열녀를 배출해 낸 가문에서 그 뜻을 기리기 위해 화가에게 모필 열녀도를 의뢰하여 소장했던 것이다. 이는 본고에서 소개한 성주 도씨 문중의 〈열녀서씨포죽도〉를 통해 그 면모를 살펴볼 수 있으며, 작품의 분석 과정에서 초상화가로서 단편적으로만 전해지는 華山官 李命基의 행적과 새로운 작품에 대한 이해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The theme of a virtuous woman (lienutu in Chinese) was frequently painted in the form of print in the Joseon dynasty. This paper analyzes paintings of this theme treating Samgangbaengsildo (三綱行實圖), the New Tongguk samganghaengsildo (東國新續三綱行實圖), Oryunhaengsildo(五偸行實圖). Samganghaengsildo was affected by lienu pictures of the Song dynasty and Gaojin lienu zhuan (古今列女傳) in the picture composition. Even though samganghaengsildo imitated lienu picture made before the Ming dynasty in omitting the depictions of cruelty, it recreated new forms by adding Korean women to the Chinese-style composition. The New Tongguk Samganghaengsildo depicts more than seven hundred Korean virtuous women including those killed by Japanese invaders or killing themselves to keep faith. Orunhaengsildo basically follows the format of samganghaengsildo. However, it shows a new type that places one scene in one page. Orunhaengsildo was most probably associated with lienu pictures in the Ming dynasty. Lienu pictures were also made in the form of an individual painting (not print) in the late Joseon dynast such as the Virtuous Lady Seo Embracing Bamboos (列女徐氏抱竹圖) of the Seongju Do family. This work is important as evidence for the practice that some families invited painters to execute a painting and kept it as proud memorial for a virtuous wom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lienu pictures were created to promote the status of some familie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is painting shows the achievement of its artistis, Yi Myeonggi (李命基), an academy painter who was famous for of portrait painting but otherwise little known.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감각과 몸의 미술사: 고통 받는 신체, 탐구되는 인체

        徐胤晶 ( Seo Yoon-ju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3 大東文化硏究 Vol.122 No.-

        이 연구는 몸을 통해 드러나는 감각 중 통증 감각, 즉 통각을 통해 느껴지는 신체적 고통과 그 시각적 재현 양상, 고통을 통한 육체의 인지와 감각의 작용을 몇 가지 주요한 사례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각각의 사례들은 극단적인 신체 훼손을 포함하는 열녀도, 다양한 죽음의 순간과 고통이 표현되는 지옥도, 신체에 가해지는 형벌과 고문이 시각화된 형벌도, 신체의 각 부분을 정의하고 설명하는 해부도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공통적으로 몸을 매개로 하여 감각을 시각화하고, 몸에 대한 인식과 담론, 감각에 대한 태도와 그와 관련된 사고를 보여준다. 열녀의 육체와 고통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통제되고 변형되었으며, 종교적 교화를 목적으로 재현된 죄업의 몸은 극단적으로 왜곡되고 과장되어 절실한 구원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국가의 사법제도와 형벌을 통해 육체에 가해진 폭력과 고통은 지극히 사적인 개인의 “몸”을 국가적 체제 안에 편입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며, 그 안에서 형벌의 대상인 개인의 몸은 도구화된다. 사회적 이데올로기와 종교와 신앙, 사법 체제 안에서 특정한 목적을 위해 왜곡되고 변형되거나 전유되었던 몸은 근대적 의학 기술의 도입과 함께 객관적으로 관찰될 수 있는 자연의 현상처럼 인식되었다. 즉, 몸은 시대와 사회적 맥락, 종교적 관념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고, 인식되며 감각은 필요에 따라 왜곡되거나 침묵되거나 과장된다. 몸과 감각의 시각적 재현들은 이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거나 은밀하게 공조하면서 사회적 담론을 생산하는 기제로 활용된다. This study delves into the intricat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experiences, specifically nociception (the sense of pain), and its visualization within the context of the human body. By analyzing significant case studies, this research examines the cognitive and sensory dimensions of the body's perception and its sensory functions. These case studies encompass diverse themes such as bodily mutilation, depictions of death and suffering, visualizations of punishment and torture, as well as anatomical drawings that illuminate the body's inner and outer organs. Each of these instances employs the body as a vehicle to visually express the senses, shedding light on contemporary perceptions and discourses surrounding the body and its sensory realms. The bodies and pain of virtuous women were controlled and manipulated to effectively demonstrate patriarchal ideologies, while the bodies of criminals, reproduced for religious conversion and didactic purpose, were extremely distorted and exaggerated, emphasizing the urgent need for salvation. The violence and suffering inflicted on the body through the state’s judicial system and punishment served to incorporate the highly personal individual “body” into the system, where the body of the individual subjected to punishment becomes instrumentalized. On the other hand, within social ideologies, religion, and the judicial system, the body was appropriated and transformed for specific purposes. The previously exclusive domain of the body was objectified and observed as part of the natural world with the introduction of Western medical technology. In other words, the body is defined and perceiv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eriod, social context, and religious concepts, and the senses are distorted, silenced, or exaggerated as necessary. The visual representations of the body and senses actively participate or covertly collaborate in this process, serving as mechanisms that produce social discours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