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가 문인예술에 나타난 선비정신의 특질 - 조선조 유가 문인의 문인화를 중심으로 -

        권윤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1

        유가의 문인은 자신의 성정을 수양하고 학문을 바탕으로 한 인본주의를 예술로 승화시켰다. 그들은 지고 와 지선의 삶을 추구하며 예술을 통하여 열락의 경계에서 삶을 향유하였다. 유가 문인의 예술은 주로 문인화를 중 심으로 나타났다. 시서화가 어우러진 문인화는 문인의 인품과 학문을 전제로 한다. 이는 보통 餘技와 墨戱·惜墨으 로 인한 神似의 기법을 바탕으로 한다. 유가 문인예술의 지향은 寫意性의 追求·精神性의 追求·유·도가미학의 혼융 추구에 있다. 이는 유가 문인예술이 존재하는 이유가 학문을 바탕으로 한 그들의 고매한 정신세계에 있었기 때문 이다. 조선조 유가 문인의 선비정신은 우선 절의는 절개와 의리 그리고 충절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의병활동 과 구국을 위한 강학활동, 성정을 자연과 함께 한 풍류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 즉, 선비의 節義·忠節·義兵·講學·風 流등이 조선조 선비들의 정신경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다. 이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문인화에 담겨진 화제이다. 여기에 유가 문인의 흉중을 바로 읽어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선비정신의 미의식은 풍류·충절·실학· 애민·의리·사랑 등에서 그 미학을 새겨볼 수 있다. 선비정신의 예술적 구현을 위한 예술의 심미체험은 주로 감성지 능에 의한 심미의 체험과 개인의 성향에 따른 심미체험이 있다. 이는 우리의 여러 문인화에서 살펴볼 수 있다. 따 라서 조선조 유가 문인예술에 드러난 선비정신은 정신 지향성이었으며 여유 지향성이었다. 나아가 사의 지향성과 실득 지향성이 있어 선비정신의 특질이 다양하게 구비되어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The art of the Confucian literati‘ was mainly centered on literati‘ painting. Literary paintings combined with poem-writing-painting are based on the literary characters and studies. This is usually based on the technique of Shensi(神似) caused by a hobby accomplishment, enjoying the chinese painting and cherishing with chinese painting. The Confucian literati‘ cultivated their own character and sublimated humanism to art based on studying. They sought the life of supremacy and supreme gentleness, and enjoyed life on the boundary of pleasure through art. The aim of the Confucian literati‘ arts lies in the pursuit of expressing the artist's inner world, spirit, and the combination of the Confucian and the Taoism, Because of literati‘s spirit based on learning, the Confucian literati‘ arts still exist. The aesthetic of Sunbi Spirit is mainly in the customs of Sunbi, the loyalty of Sunbi, the Silhak(實學) of Sunbi, and loving of the people of Sunbi. We can find honor and loyalty in the Sunbi spirit of the Confucian literati‘ of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observe the loyal troops, the hard work for the country, and the Pung-ryu with nature. In other words, the Sunbi honor, loyalty, loyal troops, pursuit of study and the Pung-ryu show the spirit of the Confucian literati‘ of Joseon Dynasty. The aesthetic of the Sunbi spirit is in Pung-ryu, loyalty, Silhak, loving of the people etc. The aesthetic of experience of art is mainly based on the aesthetic experience by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aesthetic experience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inclination. The aesthetic sense actually shows Pung-ryu, loyalty, Silhak and love etc. We can see it in many of our literary paintings. Therefore, the Confucian literati‘ painting in Chosun Dynasty were the intentionality of the mind and the intentionality of the spare. Furthermore, it has directivity of expressing the artist's inner world, directivity of substance, so it is possible to se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nbi spirit are diverse.

      • KCI등재

        충(忠 )을 상징한 영모화초(翎毛花草)

        고연희(Kho, Youenhee)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7 한국문학과 예술 Vol.21 No.-

        영모화초(翎毛花草)류는 다양한 의미와 상징으로 활용되었으며, 그 가운데 새매, 기러기, 오리, 수선, 매화, 죽, 난, 송백, 규화, 국화 등은 ‘충(忠)’의 상징으로 시와 그림에서 사용되었다. 이 글은 층의 비유이자 상징으로 널리 사용된 ‘규화(葵花)’의 의미 유래와 전개, 변화 및 재현의 양상을 살폈다. 규화는 여름의 ‘촉규’(蜀葵 홍, 백색)와 가을의 ‘추규’(秋葵, 황색)로 대별된다. 중국에서는 원래 추규의 향일성(向日性)에 대하여 지혜와 충성의 의미를 부여하였고, 당대, 송대, 원대에 걸쳐 추규의 황금잔 같은 아름다움과 향일의 충성을 시문과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이가 고려로 유입되었는데 한반도에서는 추규에 대한 구체적 관심이 지속되지 않았고, 려말선초의 영향력 있는 문인 이색(李穡)과 서거정(徐居正)이 모두 향일의 규화를 촉규로 노래하면서, 조선시대의 ‘葵花=向日=(智)·忠·誠의 코드는 추규보다는 촉규에서 비롯하는 경우가 많았거나, 규화의 종류에 대한 구체적 관심이 없이 충성의 상추적 비유로 지속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조선전기의 규화는 회화작품으로 제작되었고 충성의 상징으로 감상되었으나, 그것은 촉규를 그린 경우만이 문헌을 통해 확인된다. 조선후기의 이덕무(李德懋)와 이옥(李鈺) 등이 추규만이 향일성을 가진다는 사실을 실험을 통하여 밝혔다. 이는 명청대의 정원문화 및 중국화보와 회화작품의 화훼화 및 박물학적 서적류가 유입되던 정황과 관련 있다. 또한 현전하는 조선후기 추규 그림들은 산뜻한 황색을 보여주는 가을 화훼로 감상되었으며, 충성의 매체로 사용되지 않았다. 현전하는 신사임당 초충도 속 추규에 대하여도 조선후기 학자들은 충성의 매체로 보지 않았다. 고려와 조선에서 충성의 비유로 사용된 규화의 문화사는 규화의 원관념보다는 충성이라는 보조관념의 표현을 더욱 중시했던 독특한 양상을 보여준다. Various birds and flowers were employed as metaphors or symbols of many virtues. Loyalty, the main virtue in the relationship of sovereign and subject at the political structure of the per-modern period, was expressed by such metaphors. Hawk, goose, duck, plum blossom, bamboo, pine tree, and orchid were that cases for a while. These metaphors or symbols were developed when showing loyalty was needed under the unusual political situations, such as the Mongolian domination of Yuan dynasty, or the early Joseon after the change of dynasty. Kuihua(葵花), actually including hollyhock(蜀葵) of white or red flower and abelmosk(秋葵) of yellow flower, has been a beautiful symbol of loyalty. In the beginning, the yellow-and-crimson flower of abelmosk always facing the sun looked like loving and following the sun with it’s utmost sincerity. Scholars in the Tang, Song and Yuan China composed poems of abelmosk, praising the beautiful appearance like a golden cup and it’s sincere loyalty of facing the sun. The sun was the symbol of the emperor in China. Painters tried often to show the appearance of abelmosk. Since Yi Saek and Seo Keojeong, influential scholars in the late Goryeo and the early Joseon, thought that the flower of loyalty was hollyhock instead of abelmosk, hollyhock had been the symbol of loyalty in the poem in the Joseon period. The two flowers are easily confusable even in the western culture because the names and shapes are similar. In Chinese both have the same character ‘Kui(葵)’, while in English both are mallow in that abelmosk is one of musk-mallow and hollyhock is one of rose-mallow. Yi dekmu, a distinguished natural historian with encyclopaedic learning figured out that only abelmosk could follow the sun. Remarkable is that many paintings of abelmosk were produced in the late Joseon but the meaning of the abelmosk in the painting was not loyalty any longer. Abelmosk was enjoyed as a beautiful flower in the autumn garden in the late Joseon with development of garden culture and increasing interest in botarical information.

      • KCI등재

        儒敎文字圖의 사상체계와 변천과정에 대한 재검토

        이경남(Lee Kyung-nam) 한국양명학회 2009 陽明學 Vol.0 No.23

        본 연구의 목표는 유교문자도(儒敎文字圖)의 사상체계와 변천과정에 대한 재검토이다. 우리의 민화 가운데 유학적인 사회질서 유지를 표방하는 분야의 예로는 문자도, 책가도, 감모여재도 등이 있다. 이 중 문자도는 그림과 글자가 결합된 민화의 한 부분으로 문자를 회화적인 이미지로 나타낸 것이다. 문자도가 발생된 초기에는 수(壽)와 복(福)과 같은 길상적(吉祥的)인 문자가 유행했으나 점차 유교의 덕목이 표현되는 문자도가 유행했다. 본 연구자는 문자도가 삶의 염원과 유학적인 이상의 염원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유교문자도’라는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유교문자도(Confucian Ideographs)는 유교적 윤리관과 삼강오륜의 사상이 반영된 효(孝)ㆍ제(悌)ㆍ충(忠)ㆍ신(信)ㆍ예(禮)ㆍ의(義)ㆍ염(廉)ㆍ치(恥)의 윤리덕목을 희화(戱畵)하여 그린 그림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8폭 병풍으로 만들어져서, 집안을 장식하거나 그 덕목을 되새기는 용도로 사용됐다. 그림의 소재는 각 글자의 의미와 관련된 일화나 고사, 혹은 일화와 관련된 상징물이 주를 이룬다. 조선 초기에 발간된 『삼강행실도』나 『오륜행실도』에서 인용하거나, 조선후기의 고전 언해 사업의 영향으로 인하여 『시경』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했다. 이런 소재들은 종종 글자 획(劃)의 일부를 구성하거나 여백에 곁들여졌다. 유교문자도는 18세기부터 일반 민중에 유통됐고, 19세기 후반에는 글자의 의미보다 장식성을 중시하여, 문자의 형태가 아주 단순화되고 회화성이 부각됐다. 문자도가 성행한 시기는 공교롭게도 주자학 일변도의 학풍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학문적인 반성이 풍미했던 때로 이런 현상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배경을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문자도의 변천과정은 처음에는 글자 안에 그와 관련된 인물화를 취했다가 점차 글자 안의 그림이 그와 관련된 상징물로 단순화되고, 그 상징이 글자의 획을 대신하는 변화를 겪게 된 다음에는 일정한 양식이나 규칙이 깨져 희화된다는 점과 깊은 관련이 있을 것이다. 또 문자도의 변천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유교문자도에 담긴 유교의 덕목이 어떻게 발생되고 이해되어 발전되었는가에 대한 사상체계에 대한 접근이 우선시 된다. 다음으로 유교문자도의 원형과 고유성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가 연구의 목표이다. 따라서 유교문자도 인접 학문과의 종합적 분석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Chosun dynasty in the 18 century was full of freedom and openness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social change. This factor of freedom and openness urged to come out some popular atmosphere in the art; people’s preference for folk painting rather than classical pictures. At those ages, folk painting was very important methods to express people’s wishes and emotions energetically because folk painting was closely connected to the ordinary life of people. For examples, people pursued earthly happiness, achievement of their desires, blocking misfortunes and wishing longevity. Folk painting was the very passage of those pursuit. In particular, the Confucian Ideographs were a sort of representative to show us the trends of folk painting at that time. In fact, people could not imagine that the holy chinese character be used as materials for decoration and pictures.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historical framework of thoughts appeared on the Confucian Ideographs containing the 8 foundational characters of Confucianism: filial piety, brotherly love, loyalty, trust, propriety, righteousness, integrity and sensibility. These characters encourage service to one’s parents, friendship for brothers and neighborhood, contribution to nations and country, trust and faith to others, regulations and disciplines for public order, sacrifice for others, clean and frugal life, and sense of honor in our life. First time, the Confucian Ideographs started to educate people the value of Confucianism. At least, the goal of eight-fold panel was to disseminate the philosophy of Confucian values rather than to enjoy the pictures or wishing one’s happiness. However, in the 18 century, the trends were changed severely. Under the impact of folk painting from China, the Confucian Ideographs started to express their artistic features rather than the meaning of characters. Particularly, in the early 19 century, the Confucian Ideographs showed various models of each province. An interesting case was that the Confucian Ideographs consisted of 2 characters like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were disseminated by governors and aristocratic class who were afraid of devaluation of traditional Confucianism.

      • KCI등재

        『삼강행실도』에 대한 비판적 입장 고찰

        윤미옥(Yun Mi Ok)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2 No.4

        본 논문은『삼강행실도』에 대한 비판적 입장에 섰던 몇몇 학자들의 연구를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첫째 에른스트 파버는 직설적이고 현실적인 비판으로 유교보다 기독교가 우위에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려 하였다. 둘째 정약용은 효자·열부·충신에 대한 세 편의 논설을 통해 『삼강행실도』에서 강조하는 효·충·열이 과연 합리적인 권면이었는가. 관료들의 거짓임을 알고도 묵인한 태도와 일반 백성들의 효행의 표창으로 얻게 되는 가문의 영광 및 세금 감면 등의 혜택이라는 유혹 사이의 거래였다고 말한다. 셋째 강명관은『삼강행실도』가 약자에게 가해진 도덕의 폭력으로 효·열이라는 이름으로 죽음을 강요하면서 이러한 실천을 통해야만 한다고 강요함으로 성리학을 민간에 의식화시키고 실천시키기 위한 장치였다고 비판한다. 넷째 조은상은 왜 스스로의 삶을 파괴하고 죽음에 이르는 행동을 되풀이하는지. 자발성과 비자발성 사이에 조선조의 통치자들은 이러한 정신작용을 교묘히 통치논리에 이용하였다고 말한다. 다섯째 이영림은 유교의 통치 이념을 택한 조선의 지배층이 글을 익히지 못한 다수의 피지배층에게 유교적 윤리와 도덕을 주입시키고 강조하는 과정이 『삼강행실도』를 통하여 이루어졌다고 그 맥락을 읽었다. 에른스트 파버의 기독교 우위의 입장에서 유교 바라보기나 정약용의 권면의 공효와 그 공효로 얻게 되는 혜택 사이에 모종의 거래가 아니었느냐는 이러한 논조는 간과했던 사실에 대한 준엄한 비판이었다. 이후 21세기 『삼강행실도』에 관심을 가진 몇몇 학자들의 비판은 더 신랄하였다. 강명관의 ‘약자에게 가해진 도덕의 폭력’, 조은상의 ‘자기 파괴적 효행의 심리’, 이영림의 ‘유교 윤리의 강요와 모방’이었다는 논조들에서 『삼강행실도』에 국한된 비판이 아닌 유교에 대한 냉혹한 비판이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studies of several scholars who stood on the critical side against 『Samganghaengsildo』. First, Ernst Faber tried to draw a conclusion through blunt and realistic critics that Christianity is superior to Confucianism. Second, Jeong Yak-yong, in his three editorials about filial son, virtuous woman and loyal subject, questioned whether filial piety, loyalty and virtuousness emphasized by 『Samganghaengsildo』were indeed a reasonable encouragement, and claimed that they were just a deal between the attitude of officials to connive the falsehood and the temptation of the benefit such as family honor and tax reduction which could be given as an award for the filial piety of ordinary people. Third, Gang Myeong-gwan criticized that 『Samganghaengsildo』was a mechanism to conscientize and practice neo-Confucianism to the pubic by forcing weak person to death with the violence of morality under the name of filial piety and virtuousness. Forth, Jo Eun-sang questioned why people destroyed their own lives and repeated their behaviors leading to death, and criticized that the governors of Joseon Dynasty used cleverly such mental operation between spontaneity and non-spontaneity for their ruling logic. Fifth, Lee Yeong-rim read its context that the process of planting and engraving the Confucian ethics and morality into the heads of many illiterate subjugated class by the ruling class of Joseon Dynasty, who chose Confucianism as their ruling ideology, was achieved through 『Samganghaengsildo』.

      • KCI등재

        조선 후기 권선서(勸善書)와 민화문자도의 윤리의식

        조헌철 ( Cho Heon Cheol ),임병학 ( Lim Byeong Hak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科學 Vol.0 No.69

        본 논문은 조선 후기 삼교합일 사상을 담은 도교 권선서와 민화문자도(民畵文字圖)의 윤리의식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민중교화서(民衆敎化書)의 기능을 가졌던 권선서는 당(唐) 중기 이후의 삼교합일이라는 사상적 융합의 결과로 성립되었다. 중국에서는 송대(宋代) 신도교의 교단 형성으로 경전의 제작이 활발해지면서 유불도 삼교의 윤리를 융합한 권선서가 유행하게 되었고 여기에 제시된 윤리적 덕목들을 실천하고자 하는 흐름이 확산되었다. 삼교합일 사상과 교화적 내용을 담은 권선서는 명대(明代)의 민중교화 정책에도 부합되어 그 흐름이 이어지게 되었으며, 동시대인 조선에도 영향을 미쳤다. 권선서를 통한 백성교화는 세종 때 『삼강행실도』의 편찬을 시작으로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는 왕실뿐만 아니라 사찰과 개인까지 간행에 참여하게 되었다. 조선 후기 대내외적인 위기와 함께 윤리의식의 다변화 과정에서 권선서는 하나의 윤리서로 유통되었다. 권선서가 민간교화의 목적으로 유통되는 역사적인 흐름은 개인윤리로서의 ‘효제충신(孝弟忠信)’이나 ‘예의염치(禮義廉恥)’와 같은 사회적 윤리의식을 강조하는 민화문자도의 확산과 그 흐름을 같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조선 후기의 민화문자도가 유행한 경위를 살펴보면 조선 후기 민중들의 윤리의식을 담고 있는 민화문자도는 지도층의 직접적인 개입 없이 민중들의 자발적인 선택에 의해 형성되어 확산된 것으로 교화와 계몽으로 선행을 실천하게 하려는 도교 권선서의 유행과도 흐름을 같이하고 있다. 이것은 조선 후기 민중들의 윤리사상적 동향이었으며, 대내외적인 위기와 모순을 극복하고자 하는 조선사회 민중들의 사회적 응전양상이었다. This paper is aimed at examining the ethical consciousness manifested in the pictorial ideographs in folk paintings (minhwa munjado, 民畵文字圖) and the Daoist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gwonseonseo, 勸善書) ― which contained the thoughts of the confluence of the three religion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idea of the Daoist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aimed at edifying the public, was written as a result of the confluence of the three religions in the mid-Tang dynasty and thereafter. In China,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new Daoist Order in the Song dynasty, the scriptures were actively produced and the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that fused the three religions became popularized. There was an increasing tendency that people practiced ethical virtues whose models were presented in the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The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containing the thoughts of unifying the three religions and the contents of edifying the public in the Joseon dynasty had been largely influenced by the policy of educating and civilizing the public in the Ming dynasty. The edification of the people through the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started in earnest with the compilation of the Samgang haengsildo (Illustrated Conduct of the Three Bonds, 三綱行實圖)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in the Joseon dynas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not only the royal families but also the Buddhist temples and the individual public participated in the publication of the books. In the process of the diversification of the ethical consciousness along with the internal and external cris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were circulated as the codes of ethics among the general public. When we reconsider the historical trend that Daoism-based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prospered for the purpose of edifying the people, we can see that the popularity of the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and the pictorial ideographs in folk paintings ― which emphasized social and ethical consciousness such as filial piety (孝), brotherhood (悌), loyalty to the nation (忠), trust (信) or individual sense of ethics such as proprieties (禮), righteousness (義), uprightness (廉) and a sense of shame (恥) ― can be understood under the same context. The popularity of the pictorial ideographs in folk paintings which convey the ethical consciousness of the peop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produced voluntarily in society among the public without any direct intervention of the ruling class. The popularity of the pictorial ideographs shares the similar tren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Daoist books for promoting the performance of virtuous deeds by edifying and enlightening the people and encouraging them to do so. This not only coincides with the trend of the ethical thoughts among the public in the late Joseon society but also manifests the way how the people of Joseon took up the challenges as they were overcoming the internal and the external crises and coming up with social irregularities and absurdit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