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효(孝)의 시각문화 그 일례 : 원광대학교박물관 소장 《효자도10폭병풍》 고찰

        장계수(Jang, Kye-su) 한국민화학회 2022 한국민화 Vol.- No.17

        본 연구에서는 원광대학교박물관 소장품 중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효자도10폭병풍》을 소개하고, 현재 남아있는 작품을 조사하여 《효자도병풍》의 제작양상과 의미 등을 살펴보았다. 《효자도병풍》은 조선 초기부터 왕실에서는 제작하여 왕세자의 교육용으로, 효를 실천한 백성에게는 하사품으로 활용해 왔다. 또한 왕실 행사를 기념하는 계병으로도 제작되어 용도의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작품은 크게 왕실의 궁중화풍을 계승한 《효자도병풍》과 정조대에 간행한 『오륜행실도』를 바탕으로 변형 발전시킨 《효자도병풍》으로 분류해 볼 수 있었다. 궁중화풍을 계승한 《효자도병풍》의 경우는 리움 소장품과 이번에 살펴본 원광대학교박물관 소장품처럼 모본이 되는 도상이 있고, 병풍을 제작할 때는 이를 바탕으로 조금씩 변화를 주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리움 소장품과 민속박물관소장품, 개인(3) 소장품의 경우 같은 계열의 도상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원광대학교박물관 소장품은 개인 소장품(1)과 (2), 경기대학교박물관 소장품, 온양민속박물관 소장품 등과 같은 도상을 공유한 작품이라 생각된다. 이런 궁중화풍을 계승한 작품은 20세기 전반까지도 꾸준히 제작되었으며, 원광대학교박물관 소장품이 바로 그것을 확인해주는 작품이었다. 또한 『오륜행실도』를 모본으로 한 많은 작품은 기본 도상을 그대로 모사한 작품부터, 산수배경 등을 추가하여 장식적 효과를 강조한 작품이 있었다. 그 외 효행의 중요 장면만을 강조하여 그린 그림, 효행 장면에 꽃과 새 등 다른 재재를 수용한 그림 등도 있었다. 이처럼 다양한 《효자도병풍》의 제작은 그 사용 목적과 관련이 있다. 《효자도병풍》은 유교이념을 표방한 조선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효의 교육적 기능이 우선하지만, 민간 수요자의 입장에서는 효자를 길러내고자 하는 열망이 작용하였을 것이라 생각한다. 조선시대는 효를 실천하고 효자를 길러냄으로써, 양반사대부와 서민들은 가문의 영광과 실제 생활의 이익을 받을 수 있었다. 때문에 조선 사회에서 역대 본받을 만한 효행을 그린 《효자도병풍》은 자녀교육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된 시각자료로서 꾸준히 제작되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introduced “효자도10폭병풍(folding screen of filial piety, hyojado byeongpung)”, which had not been disclosed in the collection of the Wonkwang University Museum, and examined the production patterns and meaning of “Hyojado folding screen” by examining the remaining works. Since the early Joseon Dynasty, Hyojado Folding Screen has been produced by the royal family for the education of the crown prince and used as a gift to the people who practiced filial piety. In addition, it was made as a genealogy commemorating the royal event, so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diversity of use. These works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효자도병풍(folding screen of filial piety, hyojado byeongpung)》, which inherited the royal court painting style, and 《hyojado byeongpung》, which was transformed and developed based on the 『Oryun Haengsildo』 published in the Jeongjo Dynasty. In the case of 《hyojado byeongpung》, which inherited the royal style of painting, there is an icon that serves as a model like the collection of Leeum and Wonkwang University Museum discussed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Leeum collection, the folk museum collection, and the personal collection(3), it seems that the same series of icons were used. The collection of Wonkwang University Museum is considered to be a work that shares the same iconography as a personal collection(1)(2), the collection of the Gyeonggi University Museum, and the collection of the Onyang Folk Museum. The works that inherited this style of royal painting were continuously produced until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the collection of Wonkwang University Museum is a work that confirms it. In addition, many of the works based on 『Oryun Haengsildo』 were those that copied the basic icon as it is, and some that emphasized the decorative effect by adding more landscape and landscape backgrounds. There were paintings that emphasized only important scenes of filial piety, and paintings that accommodated other materials such as flowers and birds in scenes of filial piety. The production of these various 《hyojado byeongpung》 may be related to the purpose of its use. Although the educational function of filial piety, which is the most basic in Joseon, which advocates Confucianism, takes precedence in 《hyojado byeongpung》, I think that the desire to nurture filial piety worked from the point of view of private consumers. In the Joseon Dynasty, by practicing filial piety and raising filial piety, the aristocrats and the common people could receive the glory of the family and the benefits of real life.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Hyojado Folding Screen, which depicts filial piety that can be imitated in Joseon society, has been steadily produced as a visual material that has been useful for children’s education.

      • 조선시대 사회 통합 이념의 상징, 효자도

        이수경(Lee Sukyung) 한국민화학회 2015 한국민화 Vol.- No.6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삼은 조선시대의 효孝는 조선사회를 유지하는 사상적 기둥이고, 국가통치의 가장 기본적인 윤리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감계鑑戒적인 목적으로 제작되고 소비된 고사인물화故事人物畫중 하나가 효행孝行을 행하는 효자孝子 이야기를 그린 효자도孝子圖이다. 본고에서는 조선 사회를 유교로 통합하기 위해 효 사상을 널리 알리고자 국가적으로 판화 효자도가 수록된 행실도行實圖를 편찬하고 보급하는 과정과 효행고사의 확산 사례를 문헌 기록으로 살펴보고, 현존하는 일반 회화 효자도를 대상으로 궁중에서부터 일반 백성까지 효자도의 제작 목적을 알아보며, 효자도 수요가 이어진 19세기의 효자도 수요층을 추측해 보았다. 조선시대 풍속 교화를 위한 해결책으로 행실도를 반포하는 정책은 19세기까지 지속적으로 유효했다. 이 중 가장 많이 반포된 책은 세종대 처음 편찬한 『삼강행실도』이다. 16세기부터는 수록 항목을 1/3로 축소하고 한글 설명을 넣은 『삼강행실도』 산정언해본刪定諺解本을 제작하여 보급에 용이하도록 하였다. 정조대에 『삼강행실도』와 『이륜행실도』를 합해서 발간한 『오륜행실도』는 19세기 철종대까지도 간행이 이어졌다. 이러한 지속적인 행실도 보급 정책으로 행실도에 수록된 효행고사에 대한 이해가 일반 백성들까지도 펴져나갈 수 있었다. 가장 널리 알려진 효행고사로는 「왕상부빙王祥剖氷」과 「맹종읍죽孟宗泣竹」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미 고려 12-14세기 문인들은 시와 글에 효행의 상징으로 인용한 고사였음을 본고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비현실적이고 기이한 효행과 유사한 효행을 나라에 보고하고, 국가에서 포상을 받는 사례가 많아지는 부작용을 우려하는 기록이 18세기부터 등장하는데, 이는 효행고사의 인지도가 높아졌고, 효자도를 수록한 행실도가 실효성을 거두어 유교국가의 통치의 기초적인 이념으로 효가 자리를 잡았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행실도의 효자도외에도 일반 회화 형식의 효자도가 제작되었다. 궁중에서는 세자가 배우고 익히는 서화첩의 일부로 효자도를 제작하기도 하고, 사대부 계층에서는 자신의 부모를 정성껏 봉양하는 효행을 기존의 효자도에서 도상을 차용하여 효자도로 남기면서 후손들이 효행을 계승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제작되었다. 이렇듯 효자도의 수요가 이어져서 19세기에는 병풍 형식의 다양한 수준의 효자도가 전한다. 19세기 효자도 수요층을 구분하여 추측하여 보았는데, 보수적인 유림과 양반문화를 흡수하고자 하는 중인 및 신분이동 계층으로 제시해 보았다. 안타깝게도 현재로서는 이러한 구분을 증빙할 만한 자료를 찾을 수 없지만, 당시 길상적인 병풍과는 다른 성격의 효자도병풍의 사용 계층을 고민해 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Filial piety (孝 hyo) was regarded as an ideological standard and fundamental ethics that support the Joseon Dynasty (朝鮮, 1392-1897) where established Confucianism as the state ideology. Under such ideological climate, hyojado (孝子圖 painting of filial piety), which illustrates stories of filial piety, was produced and consumed for the purpose of discipline. This article explores historical records about the distribution of Haengsildo (行實圖 Illustrated Guide to the Ethics) that includes printings of hyojado and stories of filial piety. It also investigates the production purpose of surviving examples of hyojado and speculates the major consumers up to the nineteenth century. In the Joseon dynasty, the policy for the distribution of Haengsildo to edify customs was valid until the nineteenth century. Among those publications, Samgang haengsildo (三綱行實圖 Illustrated Guide to the Three Bonds), primarily published in the Sejong period (世宗, r. 1418-50), was the most widely distributed. From the sixteenth century, Samgang haengsildo sanjeong eonhaebon (刪定諺解本 abridged edition with commentaries), which was reduced down to 1/3 scale of the original version, was produced to ease the distribution. Oryun haengsildo (五倫行實圖 Illustrated Guide to the Five Basic Human Relations) combined with Samgang haengsildo and Yiryun haengsildo (二倫行實圖 Illustrated Guide to the Binary Ethics) in the Jeongjo period (正祖, r. 1776-1800) continued being published during the Cheoljong period (哲宗, r. 1849-64)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continuous distribution of Haengsildo enabled the widespread understanding of old tales of filial piety. Of those stories of filial duty, Wang Xiang Splitting the Ice (王祥剖氷) and Meng Zong Sobbing toward Bamboo (孟宗泣竹) were the most famous tales. This paper confirms that literati of the Goryeo Dynasty (高麗, 918-1392) from the twelfth to fourteenth centuries cited the stories as the symbol of filial piety. Written records that concerned excessive rewards for reporting unrealistic and bizarre stories of filial duty appeared in the eighteenth century. It evidences that awareness of tales of filial piety increased and Haengsildo with hyojado was effective to establish hyo as the fundamental ideology of the Confucian state. In addition to hyojado published in Haengsildo, hyojado in a general painting format was also produced. The court commissioned hyojado to discipline a crown prince while the gentry-class hoped that their descendants succeed the moral duties when citing the traditional iconography of filial piety. Various versions of hyojado formatted in the folding screen have survived due to the constant increase of the demand. This paper suggests that both the conservative gentry-class and middle-men who were willing to absorb the aristocratic culture could be the major consumers of hyojado in the nineteenth century. Although written evidence for this conjecture is scarce, this paper has its significance in concerning potential consumers of hyojado screens.

      • KCI등재

        儒敎文字圖의 사상체계와 변천과정에 대한 재검토

        이경남(Lee Kyung-nam) 한국양명학회 2009 陽明學 Vol.0 No.23

        본 연구의 목표는 유교문자도(儒敎文字圖)의 사상체계와 변천과정에 대한 재검토이다. 우리의 민화 가운데 유학적인 사회질서 유지를 표방하는 분야의 예로는 문자도, 책가도, 감모여재도 등이 있다. 이 중 문자도는 그림과 글자가 결합된 민화의 한 부분으로 문자를 회화적인 이미지로 나타낸 것이다. 문자도가 발생된 초기에는 수(壽)와 복(福)과 같은 길상적(吉祥的)인 문자가 유행했으나 점차 유교의 덕목이 표현되는 문자도가 유행했다. 본 연구자는 문자도가 삶의 염원과 유학적인 이상의 염원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유교문자도’라는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유교문자도(Confucian Ideographs)는 유교적 윤리관과 삼강오륜의 사상이 반영된 효(孝)ㆍ제(悌)ㆍ충(忠)ㆍ신(信)ㆍ예(禮)ㆍ의(義)ㆍ염(廉)ㆍ치(恥)의 윤리덕목을 희화(戱畵)하여 그린 그림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8폭 병풍으로 만들어져서, 집안을 장식하거나 그 덕목을 되새기는 용도로 사용됐다. 그림의 소재는 각 글자의 의미와 관련된 일화나 고사, 혹은 일화와 관련된 상징물이 주를 이룬다. 조선 초기에 발간된 『삼강행실도』나 『오륜행실도』에서 인용하거나, 조선후기의 고전 언해 사업의 영향으로 인하여 『시경』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했다. 이런 소재들은 종종 글자 획(劃)의 일부를 구성하거나 여백에 곁들여졌다. 유교문자도는 18세기부터 일반 민중에 유통됐고, 19세기 후반에는 글자의 의미보다 장식성을 중시하여, 문자의 형태가 아주 단순화되고 회화성이 부각됐다. 문자도가 성행한 시기는 공교롭게도 주자학 일변도의 학풍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학문적인 반성이 풍미했던 때로 이런 현상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배경을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문자도의 변천과정은 처음에는 글자 안에 그와 관련된 인물화를 취했다가 점차 글자 안의 그림이 그와 관련된 상징물로 단순화되고, 그 상징이 글자의 획을 대신하는 변화를 겪게 된 다음에는 일정한 양식이나 규칙이 깨져 희화된다는 점과 깊은 관련이 있을 것이다. 또 문자도의 변천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유교문자도에 담긴 유교의 덕목이 어떻게 발생되고 이해되어 발전되었는가에 대한 사상체계에 대한 접근이 우선시 된다. 다음으로 유교문자도의 원형과 고유성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가 연구의 목표이다. 따라서 유교문자도 인접 학문과의 종합적 분석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Chosun dynasty in the 18 century was full of freedom and openness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social change. This factor of freedom and openness urged to come out some popular atmosphere in the art; people’s preference for folk painting rather than classical pictures. At those ages, folk painting was very important methods to express people’s wishes and emotions energetically because folk painting was closely connected to the ordinary life of people. For examples, people pursued earthly happiness, achievement of their desires, blocking misfortunes and wishing longevity. Folk painting was the very passage of those pursuit. In particular, the Confucian Ideographs were a sort of representative to show us the trends of folk painting at that time. In fact, people could not imagine that the holy chinese character be used as materials for decoration and pictures.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historical framework of thoughts appeared on the Confucian Ideographs containing the 8 foundational characters of Confucianism: filial piety, brotherly love, loyalty, trust, propriety, righteousness, integrity and sensibility. These characters encourage service to one’s parents, friendship for brothers and neighborhood, contribution to nations and country, trust and faith to others, regulations and disciplines for public order, sacrifice for others, clean and frugal life, and sense of honor in our life. First time, the Confucian Ideographs started to educate people the value of Confucianism. At least, the goal of eight-fold panel was to disseminate the philosophy of Confucian values rather than to enjoy the pictures or wishing one’s happiness. However, in the 18 century, the trends were changed severely. Under the impact of folk painting from China, the Confucian Ideographs started to express their artistic features rather than the meaning of characters. Particularly, in the early 19 century, the Confucian Ideographs showed various models of each province. An interesting case was that the Confucian Ideographs consisted of 2 characters like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were disseminated by governors and aristocratic class who were afraid of devaluation of traditional Confucianism.

      • KCI등재

        小癡 許鍊의 《蔡氏孝行圖》 삽화

        김상엽(金相燁) 한국미술연구소 2008 美術史論壇 Vol.- No.26

        조선 말기의 화가 小癡 許鍊(1808-1893)의 탄신 200주년인 올해 7ㆍ8월에는 국립광주박물관의 특별전시회를 위시하여 여러 행사가 개최될 예정이다. 秋史 金正喜의 제자인 허련은 지방 출신 화가로는 유일하게 중앙의 화단에서 인정받았으며 김정희의 사의적인 남종화풍을 그의 고향인 호남지방에 파급시켰다. 허련의 회화는 4대에 걸친 후손들에게 이어졌고, 허련은 호남화단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다. 개인 소장의 《蔡氏孝行圖》는 소치 허련 탄신 200주년 기념 특별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새로 발견된 작품 가운데 가장 주목할 만한 작품이다. 《채씨효행도》 삽화는 효자 蔡弘念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채홍념의 손자와 증손자에 의해 1882년에 만들어진 화첩으로서 허련의 그림은 5장이다. 《채씨효행도》 삽화 5점은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는 허련의 작품 가운데 가장 우수한 작품성을 보이는 작품 가운데 하나이다. 《채씨효행도》 삽화는 그의 작품에서 볼 수 있는 일반적 경향인 “거칠고 자유분방한 필치”나 “푸르스름한 담청을 즐겨 쓰는 개성적인 담채”를 넘어 정제된 세필과 적절한 담채로 수준 높은 작품을 완성해 냈다. 조선시대의 효행도는 대개 판화이거나 효자도 병풍 또는 민화 등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대개 작자를 알기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비히여, 《채씨효행도》 삽화는 효행의 내용, 작자, 제작 연대 등이 정확한 작품이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크다. 특히 다섯 번째 그림인 〈귀화전도(악천후로 제삿날에 갈 수 없게 되자 도깨비가 나와 길을 인도함>의 도깨비는 처음 발견된 도깨비그림이라는 점에서 민속학적인 측면에서의 중요성도 크다. 도깨비는 중국이나 일본의 귀신과는 다른 독특한 존재로서 그 모습에 대한 여러 설이 있었는데 이 그림에서 처음으로인 간과 유사한 모습의 도깨비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허련의 《채씨효행도》삽화는 대개 1797년에 간행된 『五倫行寶圖』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게 해주며 지금까지 알려진 것처럼 허련이 산수와 묵모란만을 잘 그린 화가가 아니라 인물ㆍ풍속에도 뛰어난 화가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채씨효행도》삽화는 허련 회화 세계의 폭과 깊이를 새로운 각도에서 조명할 필요가 있음을 촉구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전통시대의 직업화가 또는 직업적 화가들의 작품 제작 능력이 어느 정도였는지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예가 된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허련 정도의 명성을 가진 직업적 화가는 주문자의 신분 또는 대가의 경중에 따라 필치를 바꿀 수 있었음을 전제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결국《채씨효행도》삽화는 채씨 집안의 적극적 의지와 지원에다 30여 년에 가까운 오랜 교류로 인하여 그 孝烈의 내용을 익히 알고 있던 허련이 감응하여 제작한 작품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기념비적 작품이 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Because '2008 is the 200th anniversary of Sochi(小癡) Heo Ryeon(許鍊: 1808-1893) who was a painter at the end of Joseon, various events are expected to be held in july and August including the special exhibition at the Gwangju National Museum. As a disciple of Kim, Jeonghui(金正喜), Heo, Ryeon was the only painter being recognized in the central world of artists among painters from countryside and spread Kim, Jeonghui's Scholar painting style in his hometown, Honam region. Chaessihyohaengdo(蔡氏孝行圖: Picture of Chae, Hongnyeom's Filial Piety) possessed by an individual is the most remarkable work among those newly found in the course of preparing for the special exhibition in commemoration of the 200th anniversary of Heo, Ryeon. Chaessihyohaengdo is a picture book being made in 1882 by grandson and great-grandson of Chae, Hongnyeom in order to praise his filial piety. Five pieces' illustration of Chaessihyohaengdo drawn by Heo, Ryeon displays the most excellent value among his works. Chaessihyohaengdo has great importance because contents of filial piety, author and the year of manufacture, etc. are exactly known. Especially the goblin in the 5th picture is the first picture of a Tokaebi(Korean Demon) being found, so it has great importance in the aspect of folklore. Heo, Ryeon's illustration of Chaessihyohaengdo enables us to confirm the influence of the Model Behaviors on Five Basic Human Relations(五倫行實圖, Oryunhaengsildo) that was published around 1797. Through this picture, we can know that Heo, Ryeon was a painter who was also excellent in human customs as well as excellent in (drawing landscapes and peony as known till now. From such viewpoint, Chaessihyohaengdo is a piece of work that urges us to view range and depth of Heo, Ryeon's painting world from new point of view. Because Heo, Ryeon manufactured the Chaessihyohaengdo being impressed by the contents of such filial piety by means of interactions with Chae, Hongnyeom's family for long time and their active support, such a monumental work seemed to have been manufactured.

      • KCI등재

        『삼강행실도』에 대한 비판적 입장 고찰

        윤미옥(Yun Mi Ok)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2 No.4

        본 논문은『삼강행실도』에 대한 비판적 입장에 섰던 몇몇 학자들의 연구를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첫째 에른스트 파버는 직설적이고 현실적인 비판으로 유교보다 기독교가 우위에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려 하였다. 둘째 정약용은 효자·열부·충신에 대한 세 편의 논설을 통해 『삼강행실도』에서 강조하는 효·충·열이 과연 합리적인 권면이었는가. 관료들의 거짓임을 알고도 묵인한 태도와 일반 백성들의 효행의 표창으로 얻게 되는 가문의 영광 및 세금 감면 등의 혜택이라는 유혹 사이의 거래였다고 말한다. 셋째 강명관은『삼강행실도』가 약자에게 가해진 도덕의 폭력으로 효·열이라는 이름으로 죽음을 강요하면서 이러한 실천을 통해야만 한다고 강요함으로 성리학을 민간에 의식화시키고 실천시키기 위한 장치였다고 비판한다. 넷째 조은상은 왜 스스로의 삶을 파괴하고 죽음에 이르는 행동을 되풀이하는지. 자발성과 비자발성 사이에 조선조의 통치자들은 이러한 정신작용을 교묘히 통치논리에 이용하였다고 말한다. 다섯째 이영림은 유교의 통치 이념을 택한 조선의 지배층이 글을 익히지 못한 다수의 피지배층에게 유교적 윤리와 도덕을 주입시키고 강조하는 과정이 『삼강행실도』를 통하여 이루어졌다고 그 맥락을 읽었다. 에른스트 파버의 기독교 우위의 입장에서 유교 바라보기나 정약용의 권면의 공효와 그 공효로 얻게 되는 혜택 사이에 모종의 거래가 아니었느냐는 이러한 논조는 간과했던 사실에 대한 준엄한 비판이었다. 이후 21세기 『삼강행실도』에 관심을 가진 몇몇 학자들의 비판은 더 신랄하였다. 강명관의 ‘약자에게 가해진 도덕의 폭력’, 조은상의 ‘자기 파괴적 효행의 심리’, 이영림의 ‘유교 윤리의 강요와 모방’이었다는 논조들에서 『삼강행실도』에 국한된 비판이 아닌 유교에 대한 냉혹한 비판이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studies of several scholars who stood on the critical side against 『Samganghaengsildo』. First, Ernst Faber tried to draw a conclusion through blunt and realistic critics that Christianity is superior to Confucianism. Second, Jeong Yak-yong, in his three editorials about filial son, virtuous woman and loyal subject, questioned whether filial piety, loyalty and virtuousness emphasized by 『Samganghaengsildo』were indeed a reasonable encouragement, and claimed that they were just a deal between the attitude of officials to connive the falsehood and the temptation of the benefit such as family honor and tax reduction which could be given as an award for the filial piety of ordinary people. Third, Gang Myeong-gwan criticized that 『Samganghaengsildo』was a mechanism to conscientize and practice neo-Confucianism to the pubic by forcing weak person to death with the violence of morality under the name of filial piety and virtuousness. Forth, Jo Eun-sang questioned why people destroyed their own lives and repeated their behaviors leading to death, and criticized that the governors of Joseon Dynasty used cleverly such mental operation between spontaneity and non-spontaneity for their ruling logic. Fifth, Lee Yeong-rim read its context that the process of planting and engraving the Confucian ethics and morality into the heads of many illiterate subjugated class by the ruling class of Joseon Dynasty, who chose Confucianism as their ruling ideology, was achieved through 『Samganghaengsildo』.

      • KCI등재후보

        관동의 시서화를 담다: 조선민화박물관 소장 강원지역 《관동팔경 효제문자도 병풍》 고찰

        강영주 한국민화학회 2023 한국민화 Vol.- No.19

        This article is a study of the Folding Screen of Eight-view in Gangwon Province of Munjado(character painting) mainly about Hyoje(filial piety)(關東八景 孝悌文子圖 屛風) owned by the Chosun Minhwa Museum( 朝鮮民畵博物館).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Munjado(文子圖) in Gangwon Province(江原道) is that it has a picture of Eight-view in Gangwon Province inserted. From the top, the painting consists of a landscape painting, an article writing the subject of the painting, and a text drawing. The writing of the subject of the painting is characterized by a very bizarre transformation of the font. It looked like the handwriting of Seokgang Hwang Seung-gyu(石岡 黃昇奎) who learned the handwriting from Sonam Lee Hee-soo(少 南 李喜秀), who was active in Gangwon Province at the time.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the works of the JoseonFolkPaintingMuseum are the works of Hwang Seung-gyu or those who follow him. Similar works are housed in the SunmoonUniversityMuseum. These works are also believed to have been produced by a person who painted "Munjado of Eight-view of Guandong(關東八景 孝悌文字圖)", which is owned by the Chosun Minhwa Museum. The combination of Eight-view of Guandong's poetry, intense and beautiful handwriting, and filial piety, which strongly reflects Confucian ethics, may have originated from the tendency of travel to Geumgang Mountain(金剛山) or Guandong area and the cruise of scenic spots during the modern period.

      • 민화 효제문자도의 유교이념 구현 : 효제(孝悌)를 중심으로

        안호숙(An Ho-sook) 한국민화학회 2015 한국민화 Vol.- No.6

        민화 〈효제문자도〉는 유교적 윤리관과 삼강오륜의 사상이 반영된 효제충신예의염치(孝悌忠臣禮義廉恥) 등 여덟 글자를 회화화(繪畵畵)하여 그린 작품으로 일반적으로 ‘효제문자도(孝悌文字圖)’라 부른다. 〈효제문자도〉는 조선시대 유교사회 속에서 생활이념인 유교의 도덕강령으로 인(仁)의 근본이며 군자가 행해야 할 행동지침인 8가지 덕목을 가리키는 글자와 이와 관련된 고사와 관련 상징을 그림으로 설명하여 그 덕목을 되새기는 감계화로 사용되었다. 처음에는 학문을 숭상하는 유가의 사회적 분위기로 사대부의 감계 · 수신을 위한 병풍 형태로 보급되었으나 조선 왕조의 유교이념 강화라고 하는 정치적, 교육적 필요성에 영향을 받아 민화로 저변화되면서 〈효제문자도〉의 형태로 성립되어 서민들의 생활화로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효제문자도 여덟 글자의 의미는 유교의 윤리강령으로서의 인(仁), 즉 사회공동체의 화합을 위한 ‘사람다움’의 실천을 교화하는 것으로, 특히 유교를 정치이념으로 하는 조선에서는 엄격한 규율로 인식되었다. 이처럼 〈효제문자도〉는 유학적인 사회질서 유지를 표방하는 그림이자, 유학의 이상적 가치와 실천윤리를 미의식으로 담고 있는 상징적인 그림으로 백성들에게 유교이념을 교화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특히 〈효제문자도〉의 근간을 이루는 ‘효제(孝悌)’의 개념을 ‘사람다움[仁]’의 근본으로 해석하고 ‘혈구지도(絜矩之道)·극기복례(克己復禮)·사람사랑[愛]의 구현상을 고찰하였다. Hyoje Munjado(Folk painting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is the drawing work of filial piety, brotherly love together with loyalty and sincerity, decorum and sense of shame, which represents Confucian ethics and idea of three bonds and five moral disciplines in human relations. Being generally called 〈Hyoje Munjado〉. it was used for inculcating eight virtues, a moral principle as root of benevolence(仁) and guideline for a man of virtue, by illustrating eight characters, related old tales and symbols in the Confucian society of Chosun. At first, it was spread in the form of folding screen for high officials’ maxim and moral culture in the Confucianist social atmosphere of respecting learning. Then, being influenced by political and educational needs for strengthening Confucian ideology in Chosun dynasty, it seems to have been popularized in folk painting and settled down as the ordinary people’s life in the form of 〈Hyoje Munjado〉. These eight characters in this drawing was intended to teach benevolence as ethical principle of Confucianism, or practice ‘benevolence (being worthy of man)’ for harmony of social community. It was particularly recognized as a strict order in Chosun, which practiced political ideology of Confucianism. Like this, 〈Drawing of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was a drawing which advocated the cause of Confucian social order and a symbolic drawing containing Confucian idealistic values and practical morality as a sense of beauty. which played a role of culturing Confucian ideology in the people. Especially, by interpreting the idea of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the root of 〈Drawing of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as the virtue of being worthy of the name of man, this study considered the aspect of embodying putting another in one’s place(絜矩之道), decorum through self-denial(克己復禮), and love of people(愛).

      • 효제문자도(孝悌文字圖)에 나타난 미의식 연구

        안호숙(Ahn Ho-Sook) 한양대학교 수행인문학연구소 2010 수행인문학 Vol.40 No.2

        Min-hwa (Folk painting)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popular paintings in the latter term of the Chosun Dynasty. The folk painting was originated from peasant life paintings representing collective aesthetic consciousness of peasants, especially, freedom and openness as well as good fortune and pleasure from the current life. Hyoje-Munja-do, meaning ideographic painting (Munja-do) mainly about filial piety (Hyoje), among various folk paintings contained the eight foundational characters of Confucianism: filial piety, fraternal devotion, loyalty, trust, courtesy, commitment, integrity and humility as their topics of paintings and was produced and used by loyal family members, nobility, and peasants as folding screens for the enlightenment of the Confucian culture, the political ideology in the Chosun Dynasty, including the virtuous life mottos and the edification of the masses. The eight characters of the ideographic painting, Hyoje-Munja-do are interpreted as benevolence of practical virtues of ethics in this study.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의 孝悌文字圖

        이영주(李泳周) 한국미술연구소 2007 美術史論壇 Vol.- No.24

        孝悌文字圖는 우리의 유교적 수신인 덕목 가운데 '孝悌忠信禮義廉恥' 여덟 자를 세트로 하여 이를 繪畵化 한 것을 말한다. 문자와 도상이 결합된 독특한 구성방식을 보이는 효제문자도는 대개 병풍의 형식으로 제작되었으며, 鑑戒ㆍ敎化的인 내용과 더불어 장식화로서 뿐만 아니라 혼례 및 제례 등의 의례용으로서 널리 사용되었다. 글자와 도상이 결합된 독특한 구조의 文字圖는 동아시아 즉, 한자문화권인 중국을 중심으로 한국ㆍ일본 및 베트남에서 각각 독자적으로 발전하였다. 효제문자도는 양식적으로 중국의 壽福文字圖에 근원을 두고 있지만, 윤리적인 소재의 효제충신예의염치를 세트화하여 독자적이면서도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이는 문지를 숭상하고 유교적인 규범이 강조되었던 조선시대 사회적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효제충신예의염치 여덟 글자가 세트화되는 데는 朱子의 八字에서 비롯되어, 방에 두고 항시 보면서 그 의미를 되새기는 수신적인 자세 및 교육적인 목적으로 조선중기 사회의 사대부 사이에서 유행하였다. 효제문자도는 각 글자와 圖像의 결합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 형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圖像揷入形은 초기 양식으로, 윤리적 덕목인 효제충신예의염치의 글자 안에 그 문자가 지니고 있는 의미와 관련된 고사를 삽입한 형태를 말한다. 이 밖에도 지역적인 특징을 보이는 물결문과 어문으로 채운 예가 있다. 그 다음 圖像組合形은 글자와 도상이 함께 조합된 것이다. 이는 글자와 관련되는 고사 중에서도 대표적인 도상이 글자 획을 대체하여 이룬 유형과 文房形의 문방서가의 기물을 응용하여 글자와 조합되어 나타나는 유형으로 나뉜다. 각 유형들은 수요층의 저변화 및 시대적, 지역적, 작가적 차이에 따라 점차 도식화되고 파격적으로 변형되어 문자적 이미지는 사라지게 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각 유형들은 비슷한 시기에 유행하여, 유형별로 각각 양식의 변모를 보이며 전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pecific class of the Character painting represent the most popular eight characters in Confucianism in harmonizing Chinese characters with various designs: 孝, 悌, 忠, 信, 禮, 義, 廉, and 恥. Generally in a form of eight-fold screen, Character paintings have used for various reasons: ethical symbols with Confucius philosophy; interior decoration with colourful patterns; and ceremonial usage for wedding and ritual occasions. The development of the Character painting has been paralleled with and rooted from that of the Chinese character. Accordingly, although this specific type of character painting, Hyojemunjado is from China, it has formed a unique content with the above eight characters, and has developed in different ways. The socio-political background of Hyojemunjado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mid-Joseon period. Sadaebu, a Confucius elite class people reminded the meaning of eight Characters putting Character books or Character painting foldscreens as room deco; in addition to the functional aspect of foldscreen, the key ethical words, 孝, 悌, 忠, 信, 禮, 義, 廉, and 恥 has settled as a set of social ethical philosophy in a form of Chinese character painting of 壽福(longevity and happiness). In a large way, Hyojemunjado shows two distinctive patterns: the first pattern appearing in the earlier period, shows the eight characters with related proverbs or fairy tales. Occasionally instead of proverbs, there are decorative flower patters and some regionally characteristic patterns such as fish or water waves. The second pattern shows harmonious presentation with characters and illustration and is divided into two types. One features that representative scene or image of famous proverbs(about each character) replace some part of the characters and the other features that scholar's stationary equipment decorates each character in various ways. The initial value of the literal meaning has become vague in absorbing dynamic changes of images and the characteristics reflects where it came from, who draw it, and when it was drawn. In this paper, I tried to approach the origin of Hyojemunjado and dissem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Munjado at academic level, spacifically with an Art historian's perspectives. For further studies, I hope to expand the theme of Munjado(character painting) into the whole Asian culture such as Vietnam, Japan, and countries like that.

      • KCI등재

        조선 후기 권선서(勸善書)와 민화문자도의 윤리의식

        조헌철 ( Cho Heon Cheol ),임병학 ( Lim Byeong Hak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科學 Vol.0 No.69

        본 논문은 조선 후기 삼교합일 사상을 담은 도교 권선서와 민화문자도(民畵文字圖)의 윤리의식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민중교화서(民衆敎化書)의 기능을 가졌던 권선서는 당(唐) 중기 이후의 삼교합일이라는 사상적 융합의 결과로 성립되었다. 중국에서는 송대(宋代) 신도교의 교단 형성으로 경전의 제작이 활발해지면서 유불도 삼교의 윤리를 융합한 권선서가 유행하게 되었고 여기에 제시된 윤리적 덕목들을 실천하고자 하는 흐름이 확산되었다. 삼교합일 사상과 교화적 내용을 담은 권선서는 명대(明代)의 민중교화 정책에도 부합되어 그 흐름이 이어지게 되었으며, 동시대인 조선에도 영향을 미쳤다. 권선서를 통한 백성교화는 세종 때 『삼강행실도』의 편찬을 시작으로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는 왕실뿐만 아니라 사찰과 개인까지 간행에 참여하게 되었다. 조선 후기 대내외적인 위기와 함께 윤리의식의 다변화 과정에서 권선서는 하나의 윤리서로 유통되었다. 권선서가 민간교화의 목적으로 유통되는 역사적인 흐름은 개인윤리로서의 ‘효제충신(孝弟忠信)’이나 ‘예의염치(禮義廉恥)’와 같은 사회적 윤리의식을 강조하는 민화문자도의 확산과 그 흐름을 같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조선 후기의 민화문자도가 유행한 경위를 살펴보면 조선 후기 민중들의 윤리의식을 담고 있는 민화문자도는 지도층의 직접적인 개입 없이 민중들의 자발적인 선택에 의해 형성되어 확산된 것으로 교화와 계몽으로 선행을 실천하게 하려는 도교 권선서의 유행과도 흐름을 같이하고 있다. 이것은 조선 후기 민중들의 윤리사상적 동향이었으며, 대내외적인 위기와 모순을 극복하고자 하는 조선사회 민중들의 사회적 응전양상이었다. This paper is aimed at examining the ethical consciousness manifested in the pictorial ideographs in folk paintings (minhwa munjado, 民畵文字圖) and the Daoist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gwonseonseo, 勸善書) ― which contained the thoughts of the confluence of the three religion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idea of the Daoist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aimed at edifying the public, was written as a result of the confluence of the three religions in the mid-Tang dynasty and thereafter. In China,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new Daoist Order in the Song dynasty, the scriptures were actively produced and the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that fused the three religions became popularized. There was an increasing tendency that people practiced ethical virtues whose models were presented in the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The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containing the thoughts of unifying the three religions and the contents of edifying the public in the Joseon dynasty had been largely influenced by the policy of educating and civilizing the public in the Ming dynasty. The edification of the people through the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started in earnest with the compilation of the Samgang haengsildo (Illustrated Conduct of the Three Bonds, 三綱行實圖)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in the Joseon dynas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not only the royal families but also the Buddhist temples and the individual public participated in the publication of the books. In the process of the diversification of the ethical consciousness along with the internal and external cris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were circulated as the codes of ethics among the general public. When we reconsider the historical trend that Daoism-based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prospered for the purpose of edifying the people, we can see that the popularity of the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and the pictorial ideographs in folk paintings ― which emphasized social and ethical consciousness such as filial piety (孝), brotherhood (悌), loyalty to the nation (忠), trust (信) or individual sense of ethics such as proprieties (禮), righteousness (義), uprightness (廉) and a sense of shame (恥) ― can be understood under the same context. The popularity of the pictorial ideographs in folk paintings which convey the ethical consciousness of the peop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produced voluntarily in society among the public without any direct intervention of the ruling class. The popularity of the pictorial ideographs shares the similar tren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Daoist books for promoting the performance of virtuous deeds by edifying and enlightening the people and encouraging them to do so. This not only coincides with the trend of the ethical thoughts among the public in the late Joseon society but also manifests the way how the people of Joseon took up the challenges as they were overcoming the internal and the external crises and coming up with social irregularities and absurd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