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 교육 방안 연구

        임민철(Minchul Im) 마인드교육융합학회 2022 마인드 교육 Vol.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develop effective leadership life skills education plans through looking at how biblical figures can be used when educating leadership life skills for teenagers. Moreover, I would like to pioneer a new research field by converging and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leaders, which are strong beliefs, future orientation, sacrifice, humility, and serving, to general leadership research.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first established through Previous studies related to leadership life skills and Bible-based pedagogy. Then, Moses, Joseph, David, and Apostle Paul, the representative leaders in the Bible, were selected to examine how the factors of leadership life skills were expressed and how they affected their members. Each scholar presents various sub-factors of leadership life skills, but four factor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ing two internal factors and two external factors. As the next step, the characters in the Bible who presented the selected sub-factors of leadership life skills were suggested. Finally, the study showed how each of the character gained the leadership life skills, how they led others successfully, and how the results were changed through their leadership.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Bible is worth using as a positive educational content in educating adolescents on leadership life skills. The reason is that, first, Christians account for about one-third of the Korean people. Due to the religious nature, education based on common beliefs is bound to be highly effective. Second, the Bible has a value as a historical book in addition to its religious value. It can be a desirable way to educate leaderships that adolescents should have in the future through the leadership of historical figures. Third, the Christian spirit can be the basis for effective leadership. Christianity basically encourages people to have a humble mind by discovering their own inadequacies in front of God, and teaches them to respect others without easily judging them by their own standards. Fourth, the Bible describes various kinds of leaders in great detail. The process by which successful leaders acquire leadership life skills and the results when acquired leadership is expressed are recorded in the Bible in detail. Through these narratives, modern researchers would be able to approach and draw the ideal leadership life skills from various angles. Considering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past and present and between present and future are repeated and developed, a new research field will be created if Christian leadership and leadership life skills studied in general social science can be fused and complemented. Therefore, Christian leadership must differentiate its own unique characteristics. At the same time, this should be accompanied by general leadership research to the extent applicable to youth education through social science methods such as interviews, statistics, and quantification. This leaves a task to be studied further in the future. I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educate adolescents about the values of faith, trust, consideration, and service necessary for modern society beyond religion. 이 논문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리더십생활기술을 교육함에 있어 성경의 인물들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서 효과적인 리더십생활기술 교육 방안 개발에 일조하고자 함이다. 더불어 기독교리더십이 가지는 특징, 즉 강한 신념, 미래지향성, 희생, 겸손, 섬김 등의 모습들을 일반적인 리더십 연구 분야에 융합 적용함으로서 새로운 연구의 장을 개척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리더십생활기술, 그리고 성경과 현대교육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통해 이론적 배경을 정립하였다. 이어 성경 속 대표적 지도자인 모세, 요셉, 다윗, 사도바울 선택하여 이들을 통해 리더십생활기술의 요인들이 어떻게 발현되고 구성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았다. 학자마다 리더십생활기술의 다양한 하위 요인을 제시하지만, 대체로 공통적으로 언급하는 요인 중 중 인간관계기술, 자기이해기술의 내면적 요소 2가지, 의사결정기술, 그룹활동기술의 외부적 요소 2가지 총 4가지 요인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리더십생활기술의 요인들이 잘 발현되는 성경 속 인물과 발현 과정 및 그 결과를 각 요인과 매치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성경이 청소년들에게 리더십생활기술을 교육함에 있어 긍정적인 교육 콘텐츠로서 활용 가치가 있음을 보았다. 그 이유는 첫째, 기독교인이 우리나라 국민의 약 1/3을 차지한다는 점이다. 종교적인 특성상 공통된 믿음과 신념을 바탕으로 하는 교육은 효과가 높을 수밖에 없다. 둘째, 성경이 종교적 가치 외에 역사서로서의 가치도 지닌다는 점이다. 역사적 인물들의 리더십을 통해 미래 청소년들이 가져야 할 리더십을 교육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셋째, 기독교 정신이 효과적인 리더십의 바탕이 된다는 점이다. 기독교는 기본적으로 신 앞에 자신의 부족함을 발견하여 낮은 마음의 자세를 가지도록 권유하고, 자신만의 기준으로 타인을 쉽게 판단하지 않고 존중하도록 가르친다. 넷째, 성경에는 다양한 종류의 지도자들이 매우 상세히 묘사되어 있다는 점이다. 성공한 지도자들이 리더십생활기술을 습득하게 되는 과정과 습득된 리더십이 발현되었을 때의 결과가 상세히 기록되어 있으며 이러한 서사를 통해 현대 연구자들은 이상적인 리더십생활기술의 모습을 다양한 각도에서 접근하고 그려볼 수 있을 것이다. 과거와 현재, 그리고 현재와 미래가 유기적 관계 속에서 반복 및 발전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성경을 바탕으로 하는 기독교적 리더십과 일반 사회과학 속에서 연구되는 리더십생활기술이 상호보완적 관계 및 융합학문으로서의 관계를 이루어나갈 수 있다면 지금까지의 연구와는 다른 새로운 연구의 장이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기독교리더십은 일반 리더십과의 공통점과 함께 기독교 리더십만의 고유한 특성들을 차별화함과 동시에 인터뷰, 통계, 수치화 등의 사회과학적 방법을 통해 실생활 및 청소년 교육에 적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연구되어야 할 것이며 이는 앞으로 더욱 연구되어야 할 과제를 남긴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가 종교를 초월하여 현대사회에 필요한 믿음과 신뢰, 배려와 섬김의 가치를 청소년에게 교육하는 데 일조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에 대한 신체활동과 자아존중감의 역할

        박세윤,서금란 한국체육과학회 2022 한국체육과학회지 Vol.31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physical activity (PA) and self-esteem in leadership life skills of youth. Based on ‘Research on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2018)’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NYPI), 6,772 elementary-middle-high school-aged youth who participated in activities related to leadership life skills were selected to research participants. The survey data of PA participation level, self-esteem, and leadership life skills were utilized in this study. Those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and bivariate correlation using IBM SPSS and mediation analysis conducted using PROCESS Macr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steem and leadership life skills by the PA participation level. The PA participation level was correlated with self-esteem and leadership life skills. Also, self-esteem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leadership life skills. The PA participation level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leadership life skills in mediating self-esteem. In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increasing self-esteem by PA played a crucial role in improving leadership life skills in youth. This implies that PA-based youth leadership programs will contribute positively to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leadership life skills.

      • KCI등재

        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리더십 생활기술과의 관계

        이희영(Lee Hee-Yeong),임재생(Lim Jae-Sae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7 No.-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리더십 생활기술과의 관련성을 밝히는 것이다.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T 중학교 3학년 31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이 중 286명(남학생, 146; 여학생, 140)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리더십 생활기술은 외국의 자료를 참고하여 최창욱(2001)이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재구성한 것을 토대로 김선경(2002)이 개발한 리더십 생활기술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부모의 양육행동은 허묘연(2000)이 개발한 부모양육 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남녀로 구분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의 양육행동과 중학생 자녀의 리더십 생활기술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며, 예외가 있기는 하지만 거의 모든 리더십 생활기술에서 가장 설명력이 있는 부모의 양육행동은 ‘애정’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볼 때 커뮤니케이션 기술에 대한 애정적 양육행동을 제외하고는 청소년 자녀의 리더십 생활기술에 대한 부모의 양육행동의 영향력은 크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가 청소년 지도 및 교육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였고, 본 연구의 제한점을 지적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behavior and leadership life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obtain this purpose, two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 and leadership life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what influence does parenting behavior have on leadership life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ee hundred and ten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though 31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tudents and collected. Because of incomplete or dishonest answers, two hundred eighty six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by excluding 24 questionnaires. Self-reported measures used in this study. Leadership life skills were measured using Leadership Life Skills Measurement developed by Choi and reconstructed by Park, Parenting behaviors were measured using Parental Rearing Behavior Measurement developed by Heo.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ignificant relationships exist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leadership life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affec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parenting behavior that explains leadership life skills with some exceptions. Nevertheless, generally speaking, the influence of parenting behavior on leadership life skills was not big with the exception of affectionate rearing behavior to communication skill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on guidance and education of adolescents were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commented, and finall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made.

      • KCI우수등재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과 성취동기가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박영배(Park, Young Bae),김명숙(Kim, Myoung Sook) 한국간호행정학회 2017 간호행정학회지 Vol.23 No.5

        Purpose: Nursing students are expected to show self-leadership. For this study, leadership life skills and achievement motivation were examined for their influence on self-leadership in student nurses. Methods: A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completed by 239 nursing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 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0.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for self-leadership was 3.49, for leadership life skills, 3.65, and for achievement motivation, 3.4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leadership according to task orientation (β=.25, p<.001), responsibility (β=.24, p<.001), challenge spirit (β=.22 p<.001), future orientation (β=.16, p=.001), leadership life skills (β=.08, p=.009),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β=-.09, p<.001). The explanation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was 51.1%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41.87, 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actors influencing self-leadership are leadership life skills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rvention programs to improve self-leadership in nursing students for enhancement of task orientation, responsibility, challenge spirit, future orientation, and leadership life skills.

      • KCI등재후보

        교장의 리더십 생활기술이 교사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우상기(Sang Kee Woo)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07 지방교육경영 Vol.12 No.-

        본 연구는 교장의 리더십 생활기술이 교사들의 수업, 학생, 학교조직 헌신성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를 규명해 보는 데 목적이 있는 실증적인 조사 연구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장의 리더십 생활기술에 대해 인간관계 기술 능력을 가장 높게 평가하였고, 그 다음으로 조직관리기술, 학습능력기술, 의사소통 및 의사결정기술 순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 학생, 학교조직에 대한 헌신성을 분석한 결과, 수업에 대한 헌신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평균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학교조직 헌신, 학생에 대한 헌신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가 지각한 교장의 리더십 생활기술과 교사 헌신성에 대한 관계를 분석한 결과, 리더십 생활기술과 교사 헌신성간에 비교적 높은 정적상관을 나타내었고 더불어 리더십 생활기술은 교사 헌신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how the skill of principal`s leadership life skill affects on the commitment of teaching, student and school organization. The subjects of study for this aim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ny meaningful difference of the recognition which teachers perceive the life skill of principal`s leadership? Second, there is any meaningful difference of the recognition which teachers perceive the commitment of teaching, student and school organization? Third, how the life skill of principal`s leadership which is perceived by teachers is related with the commitment of teaching, student and school organization and affects the commitment of teaching, student and school organiz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life skill of the principal`s leadership, teachers recognized the technique of human relation as most highly and the technique of organization management, learning ability, communication and decision making as relatively highly in order. Second, in the case of the commitment of teaching, student and school organization, teachers recognized the commitment of teaching as most highly and the commitment of school organization and student as relatively highly in order. Third, the life skill of principal`s leadership and the commitment of teaching, student and school organization were shown the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life skill of principal`s leadership affects positively the commitment of teaching, student and school organization.

      • KCI등재

        초등학생의 리더십생활기술, 정서지능, 도덕지능, 친사회적 행동 간의 인과구조 분석

        강승희 ( Seung Hee Ka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2 아동교육 Vol.21 No.3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도덕지능, 친사회적 행동 및 리더십 생활기술 간의 인과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해보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초등학교 5-6학년 465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정서지능, 도덕지능, 친사회적 행동, 리더십 생활기술 검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도덕지능, 친사회적 행동 그리고 리더십 생활기술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밝히기 위해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연구목적에 맞게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및 구조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의 결과, 정서지능, 도덕지능, 친사회적 행동, 리더십 생활기술 변인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변인들 간의 관계 모형 검증 결과, 도덕지능,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은 리더십 생활기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도덕지능은 친사회적 행동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지능, 도덕지능, 친사회적 행동이 리더십 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력의 순서는 도덕지능, 친사회적 행동, 정서지능의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mor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s variables on children`s leadership life skills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465 5th and 6th graders(5th: 224, 6th: 241). To acquire the data, leadership life skills test, emotional intelligence test, moral intelligence test and prosocial behaviors test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mor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s and leadership life skills.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 mor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s directly affected the children`s leadership life skills. Third, moral intelligence variables indirectly affected leadership life skills. From the results, it is expected to use as basic materials for consisting of the appropriate leadership life skills program for children.

      • KCI등재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리더십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 교급차이

        현안나 한국청소년학회 2019 청소년학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이 자아존중감을 통해 리더십생활기술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을 검증하고, 이러한 경로에 있어 중·고등학교에 따른 교급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실시한「청소년 나눔활동의 실태 및 개선방안」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학교교육과정으로 계획된 봉사활동이 아닌 개인이 스스로 계획한 봉사활동 참여경험이 있는 중·고등학생 2,598명을 본 연구의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관련변수들에 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설정한 연구모형에 대해 구조방정식과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봉사활동만족도, 봉사활동시간, 봉사관련조직 참여경험은 리더십생활기술에 유의미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아존중감은 봉사활동만족도와 봉사활동시간이 리더십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봉사활동시간이 자아존중감을 통해 리더십생활기술에 이르는 직·간접 경로와 자아존중감이 리더십생활기술에 이르는 경로에서 유의미한 교급별 차이가 발견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리더십생활기술 함양을 위한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및 프로그램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youth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activities and leadership life skills, and to examine possible school level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A total of 2,598 cases from the survey data of 「State of Adolescent Sharing Activities and Improvement Plans」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hypothesized paths of the research model were test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time for volunteering and having a group experience were all significant predictors of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Both the satisfaction level and time for volunteering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via self-esteem. Results on the multi-group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school level differences on the path between time for volunteering and leadership life skills via self-esteem and the path between self-esteem and leadership life skills. Based on the study findings, implications for volunteer activities to promote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were discussed.

      • KCI등재

        아동의 정서지능과 리더십생활기술과의 관계

        윤지영 ( Ji Young Youn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5 아동복지연구 Vol.3 No.3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특성에 따라서 리더십생활기술의 수준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아동의 정서지능과 리더십생활기술과의 관계를 연구하여 정서지능이 가정, 학교 등 일상생활에서 발휘되는 아동의 리더십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생 12, 13세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5, 6학년 과정에 있는 아동을 말하며, 조사 대상은 총 350명이며, 이 중 330부가수거되었고, 기재가 부실하고 누락된 질문지를 제외한 312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SPSS 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ronbach α, T-test, ANOVA, Pearson의 상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특성에 따른 리더십생활기술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아동의 성별, 성적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동의 학년, 직책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정서지능과 리더십생활기술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리더십생활기술 전체와 정서지능 전체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아동의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리더십생활기술 수준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하위요인별로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거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논의 및 결론을 통해 본 연구의 제안점과 후속연구를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제안점으로는 본 연구가 서울, 경기도 내 일부 지역에 국한된 적은 수의 대상에서 얻은 결과이기 때문에 확대하여 해석하는 데는 무리가 따를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앞으로 후속연구에서는 아동의 리더십생활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된 연구와 우리나라의 문화적 환경에 맞게 개발된 아동의 리더십 척도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children`s leadership life skill according of child`s characteristics(sex, grade, record, duty), and the relationship of children`s leadership life skill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subjects were 312 children of 5-6 grade in elementary school liv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WIN computer program. Cronbach a,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of children`s leadership life skill according of child`s sex and record,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of children`s leadership life skill according of child`s grade, dut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leadership life skill and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intelligence was the prediction variable in children`s leadership life skill.

      • KCI등재후보

        중등학생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과 청소년활동 경험과의 관계 분석

        최창욱,신윤호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2 實科敎育硏究 Vol.1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학생 청소년들의 청소년활동 관련 시설이용경험 및 청소년활동 경험과 청소년 리더십생활기술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 중·고등학교 학생 7,098명을 층화이단계추출법으로 표집하였다. 청소년리더십생활기술 수준 진단도구는 커뮤니케이션기술, 의사결정기술, 인간관계기술, 학습능력기술, 조직관리기술, 자기이해기술, 그룹활동기술 등 7개 하위영역 30개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 신뢰도는 .94로 높게 나타났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청소년수련시설, 청소년이용시설, 청소년상담시설 등 청소년활동 관련 시설이용을 많이 한 청소년들의 리더십생활기술 수준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리더십생활기술의 하위영역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둘째, 청소년들의 경제 및 직업체험활동, 봉사활동, 자치·참여활동, 동아리활동, 교류활동 모두에서 활동경험이 많은 청소년들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보다 청소년 리더십생활기술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즉, 청소년활동 경험이 많은 청소년들이 높은 수준의 리더십생활기술 수준을 보여주었다. 또한 청소년들의 청소년수련시설 및 이용시설, 청소년활동을 수행하는 기타시설들의 활용도를 높일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활동경험을 제공해줄 필요가 있다.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활동이 청소년관련 다양한 시설들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프로그램이 운영된다면 더욱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ary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and their experienced activities. The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scale was consisted of 30 items(2 items on communication skills, 5 items on decision-making skills, 7 items on skills in getting along with others, 4 items on learning skills, 3 items on management skills, 6 items on skills in understanding by oneself, and 3 items on skills working with groups). Cronbach'⍺ of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Scale was .94.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7,09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SPSSWIN 12.0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ANOVA and LSD test for post-hoc interpretation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05.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sults of ANOVA revealed that experiences of using youth facilities influenced positively on the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2) The results of ANOVA revealed that youth activity experiences influenced positively on the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 KCI등재

        뇌교육 기반 대안학교 교육과정이 청소년활동역량과 리더십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

        강다원 ( Kang Da Won ),신재한 ( Shin Jae Han ),강윤정 ( Kang Yun Jeong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연구논총 Vol.39 No.4

        이 연구에서는 뇌교육 기반 대안학교의 교육과정이 청소년활동역량과 리더십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아일랜드 전환학년제를 적용하여 뇌교육 기반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B대안학교를 중점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가설을 분석하기 위해 양적분석과 심층면담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양적분석은 2017년 B대안학교에 입학한 275명 고등학생 대상으로 청소년활동역량 및 리더십생활기술 척도 측정을 교육 전 후로 실시하여 대응표본t검정으로 분석하였고, 심층면담분석은 재학생 20명의 면담자료를 바탕으로 의미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B대안학교 교육과정이 청소년활동역량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하위요인별 자아역량, 시민성역량, 신체역량, 성취동기역량, 대인관계역량, 리더십역량 순으로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B대안학교 교육과정이 리더십생활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하위요인별 인간관계기술, 커뮤니케이션기술, 자기이해기술, 의사결정기술 순으로 효과가 있었다. 셋째, B대안학교 교육과정의 의미는 ‘변화와 성장, 진로와 비전, 가치관 형성’ 3가지 영역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B대안학교 교육과정은 청소년활동역량과 리더십생활기술을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올바른 가치관을 함양한 건강한 시민으로 육성시키는 교육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B대안학교가 아일랜드의 전환학년제를 표방했다는 점에 주목하여 한국 고등학생에게 B대안학교의 교육과정을 적용할 것을 제언하였다. 둘째, 4차 산업혁명시대에 도래한 현대의 진로교육은 모든 각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지도받는 진로멘토링제도가 시행되기를 제언하였다. 셋째, 청소년들이 주도적인 삶을 살며 행복해지는 방안으로 청소년참여제도가 마련되기를 제언하였다. 넷째, 이 연구의 대안학교는 1개 학교와 1년 과정을 이수한 연구대상자라는 제한점이 있으므로, 후속 연구로는 다양한 대안학교와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여 연구할 것을 제언하였다. In this study, the education process of brain education-based alternative schools was investigated to verify the impact on youth activity skills and leadership life skills. The study focused on B alternative school that employs a brain education-based curriculum by mimicking the curriculum of the graded school system of Ireland. Quantitative and in-depth interview analyses were also conducted to analyze the theory of study. Quantitative studies were analyzed by determining pre-educational and post-educational measures of youth activity capability and leadership life skills for 275 high school students who entered the school in 2017. The in-depth interview analysis was based on the interview data of 20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B alternative school's curriculum was proven to enhance youth activity capability and it was found that the results were effective in order of self-capabilities, civic capacity, physical capacity, achievement, interpersonal skills, and leadership capacity. Second, B alternative school's curriculum was proven to improve leadership life skills, and to sub components was effective in order of human relations skills, communication skills, Self-understanding skills, and decision-making technology. Third, the meaning of B alternative school's curriculum was analyzed in three areas: change and growth, future jobs and vision, and formation of values. In sum, B alternative school's curriculum not only enhancs youth activity capability and leadership life skills, but also proves that education is education that promotes correct values and citizenship, and this is necessary for Korean yout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