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해 울산 연안해역 SSDP-105 심부코어 지점의 지음향 모델

        양우헌,이광수,한주영 한국지구과학회 2018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9 No.2

        Geoacoustic model comprises physical and acoustic properties of submarine bottom layers influencing sound transmission through sea water and underwater. This study suggested for the first time that we made a geoacoustic model of long-coring bottom layers at the SSDP-105 drilling site of the Ulsan coastal area, which is located in the southwestern inner shelf of the East Sea. The geoacoustic model of 52 m depth below seafloor with three-layer geoacoustic units was reconstructed in the coastal sedimentary strata at 79 m in water depth. The geoacoustic model was based on the data of a deep-drilled sediment core of SSDP-105 and sparker seismic profiles in the study area. For actual modeling, the geoacoustic property values of the models were compensated to in situ depth values below the sea floor using the Hamilton modeling method. We suggest that the geoacoustic model be used for geoacoustic and underwater acoustic experiments of mid- and low-frequency reflecting on the deep bottom layers in the Ulsan coastal area of the East Sea. 지음향 모델은 수중과 해저 음파의 전파에 영향을 미치는 해저 지층의 물성과 음향 특성을 포함한다. 이 연구는 동해 남서부 내대륙붕에 위치한 울산 해역의 SSDP-105 시추 지점에서 심부 지층의 지음향 모델을 처음으로 제시하였 다. 수심 79 m의 연안 퇴적 지층에서 52 m 심도의 3개 지음향 모델을 구성하였다. 지음향 모델은 연구 해역의 SSDP- 105 심부시추 코어 자료와 스파커 탄성파 단면 자료에 근거한다. 실제 모델링을 위해, 모델의 지음향 특성값은 Hamilton 모델링 방법을 이용하여 해저면 하부 현장 심도의 특성값으로 보정하였다. 이 지음향 모델은 동해 울산 연안 해역에서 심부 지층의 지음향 특성을 반영하는 중·저주파수 지음향/수중음향 실험을 위해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동해 한국대륙주변부 정동진 연안 지층의 지음향 모델

        양우헌,김성필,김대철,한주영 한국지구과학회 2016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7 No.4

        Geoacoustic modeling is used to predict sound transmission through submarine bottom layers of sedimentary strata and acoustic basement. This study reconstructed four geoacoustic models for sediments of 50 m thick at the Jeongdongjin area in the western continental margin of the East Sea. Bottom models were based on the data of the highresolution air-gun seismic and subbottom profiles (SBP) with sediment cores. P-wave speed was measured by the pulse transmission technique, and the resonance frequency of piezoelectric transducers was maintained at 1MHz. Measurements of 42 P-wave speeds and 41 attenuations were fulfilled in three core sediments. For actual modeling, the P-wave speeds of the models were compensated to in situ depth below the sea floor using the Hamilton method. These geoacoustic models of coastal bottom strata will be used for geoacoustic and underwater acoustic experiments reflecting vertical and lateral variability of geoacoustic properties in the Jeongdongjin area of the East Sea. 지음향 모델링은 퇴적층과 기반암의 해저 지층을 통해 전파되는 음파 특성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연구는 동해 한국대륙주변부의 정동진 해역에서 50 m 퇴적층 심도의 4개 지음향 모델을 구성하였다. 지층 모델은 고해상 에어건 탄성파 자료, SBP 자료, 퇴적물 코어에 근거한다. P파 속도는 신호투과법에 의해 측정되었고, 압전기 트랜스듀서의 공진 중심 주파수는 1 MHz를 유지하였다. 42개 P파 속도와 41개 음감쇠 측정이 세 개 코어 퇴적물에서 수행되었다. 실제 모델링을 위해, 모델의 P파 속도는 Hamilton 방법을 이용하여 해저면 아래 현장 심도 속도로 보정하였다. 연안 지층의 이 지음향 모델은 동해 정동진 해역에서 지음향 특성의 수직/수평 변화를 반영하는 지음향/수중음향 실험을 위해 활용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