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엇(그림씨)’과 ‘언(매김씨)’의 계승 관계 -주시경, 김두봉, 최현배를 중심으로-

        남경완 ( Nam Kyoung-woan ) 우리어문학회 2017 우리어문연구 Vol.59 No.-

        본고에서는 주시경의 ‘엇’과 ‘언’의 체계가 김두봉의 ‘얻’과 ‘언’을 거쳐 최현배의 ‘그림씨’와 ‘매김씨’로 어떻게 계승되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주시경(1910)에서 처음으로 독립된 품사로 제시된 ‘언’은 ‘엇’과의 연관성 속에서 그 개념과 하위 유형이 설정되어 왔고, 김두봉(1916)과 최현배(1937)을 거치면서 보다 정밀하고 체계적인 모습으로 변화되어 왔다. 주시경(1910)에서는 ‘엇’과‘언’에서 모두 ‘物品, 物貌, 行品, 行貌, 때, 헴, 견줌’이라는 유형이 체계적으로 대응되고 있는데, 이는 수식이라는 기능을 공유하는 것에 따른 것으로 여전히 형용사의 활용형과 관형사를 구분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한, 두, 세’를 ‘헴언’으로 제시함으로써 수관형사를 최초로 설정하였다. 김두봉(1916)에서는 ‘物品, 物貌, 行品, 行貌’의 ‘언’을 ‘얻’의 ‘딸림꼴’로 처리함으로써 비로소 용언의 활용형과 구분되는 ‘언’의 범위를 제시할 수 있게 되었고, 아울러 ‘셈언, 가리침언, 물음언’ 역시 ‘엇’과 구분되는 형태를 제시하여 오늘날 관형사의 기초를 제시하게 되었다. 최현배(1937)에서는 ‘그림씨’와 ‘매김씨’ 모두에서 이전 주시경, 김두봉에서는 시도되지 않았던 매우 세분된 하위 유형 체계를 제시하였으며, 이로써 ‘性狀(속겉), 數量(셈숱), 指示(가리킴)’의 유형이 ‘그림씨’와 ‘매김씨’에서 체계적으로 대응된다. 이와 같이 주시경(1910)로부터 김두봉(1916), 최현배(1937)로 이어지는 ‘엇(그림씨)’과 ‘언(매김씨)’의 하위 유형설정을 살펴보면 ‘엇’과 구분되는 ‘언’이라는 범주의 특수성에 대해 공통적으로 인식하면서 그 세부적인 내용에 있어서는 끊임없이 수정, 보완이 이루어져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how the system of ‘엇(adjectives)’ and ‘언(pre-nouns)’ in Ju Si-Kyung(1910) has been handed down through the Kim Du-Bong(1916) and Choi Hyun-Bae(1937). The concept and subtype of pre-noun, which was first presented as an independent part of speech in Ju Si-Kyung(1910), has been set up in association with the adjective and has been changed to more precise and systematic form through Kim Du-Bong(1916) and Choi Hyun-Bae(1937). In Ju Si-Kyung(1910), there was a systematic correspondence between adjectives and pre-nouns, but there was a limitation that the prepositional-adjectives and pre-nouns were not distinguished. Since then, Kim Du-Bong(1916) has come to distinguish between these categories and to present the basis of the pre-nouns of modern Korean grammar. Next, Choi Hyun-Bae(1937) presented a very detailed subtype of adjectives that were not attempted in the previous. As a result, the types of “attributive, demonstrative, and numeral” are systematically matched in adjective and pre-noun and this subclassification is leading to modern Korean grammar. In this way, the subtypes of adjectives and pre-nouns leading from Ju Si-Kyung(1910) to Kim Du-Bong(1916) and Choi Hyun-Bae(1937) can be seen that they recognized commonality of these two categories. However, it has been constantly revised and supplemented beyond simple repetition and duplication, and it can be seen that it aims to establish a new system of subtypes of adjectives and pre-nouns.

      • KCI등재

        한국어 지시관형사의 사용 양상 연구

        박병선(Park Byung Sun) 언어과학회 2004 언어과학연구 Vol.2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quantitative methodology for demonstrative pre-nouns by co-occurrence in Korean. This paper shows the quantitative method for the study of collocation and colligation in Korean. For this study, the paper uses the Sejong part-of-speech tagged corpus on a 5,500,000 word scale. For the exact and objective quantitative study, this paper uses most suitable statistic formula which are examined in the previous study. By demonstrative pre-nouns 이(I-this), 그(GUE-that), 저(JEO-that), this paper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adjacent co-occurrence of base word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e different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words in the same PO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 new methodology in the Korean quantitative research is presented for collocation and colligation.

      • KCI등재

        지시사 수식 명사구의 유형 및 특징에 대하여

        민경모 국어학회 2011 국어학 Vol.60 No.-

        지시사 수식 명사구는 주로 관형사 수식 명사구와 동격 명사구의 구조로 파악되어 왔으나, 통사적 특징과 응집 관계를 살펴보면, 관형사 수식 명사구, 대명사 수식 명사구, 대명사 동격 명사구의 세 가지 하위 유형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관형사 수식 명사구와 대명사 수식 명사구는 관형격 구성으로의 교체 여부, 복수 표지 ‘들’이 결합하였을 때의 구조 분석, 피수식 명사(구) 내부의 병렬 구성적 확장 여부에서 차이를 보이며, 대명사 수식 명사구와 대명사 동격 명사구는 피수식 명사(구)를 생략하였을 때의 의미 해석, 조사 ‘의’의 실현 여부, 피수식 명사(구)의 복수 해석, 피수식 명사(구) 내부의 병렬 구성적 확장 여부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유형별 차이는 응집 관계의 차이에서 기인하는데, 관형사 수식 명사구는 피수식 명사(구)가 어휘적 응집 관계를 이루어 두 개의 응집 묶음을 가지게 되며, 따라서 명사구 전체의 의미 해석에 선행 문맥이 영향을 미친다. 반면 대명사 수식 명사구는 참조(reference)라는 하나의 응집 묶음만을 가지기 때문에 후행 명사(구)는 선행 문맥의 영향에서 비교적 자유롭다. 대명사 동격 명사구의 경우에는 관형사 수식 명사구와 같이 두 개의 응집 묶음을 가지지만, 지시사와 후행 명사(구)의 지시 대상이 동지시 관계에 있다는 점에서 관형사 수식 명사구와는 그 특징을 달리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