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트라우마의 개성화와 치유를 위한 미디어 테라피 가능성 연구: 융(Jung)의 집단 무의식과 개성화 사유를 중심으로

        류숙,강진숙 한국언론정보학회 201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81 No.1

        This study examined the social trauma experienced by direct victims of accidents and each member of the society affected by grand-scale disasters based on the concepts of collective unconsciousness, archetype, and individuation from Jung’s analytical psychology, and their experience of therapy through media. For this purpose, the survivors of the disaster of Sewol that occurred on April 16, 2014, family of the deceased, psychological professionals, and general volunteer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for one-on-one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are suffering from different forms of social trauma such as seclusion and anxiety due to primary/secondary incidents, but there is possibility for them to overcome the social trauma as a social community. Second, the archetypes of life and death, mourning and remembrance are showing in the subjects’ everyday live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various archetypes are appearing symbolically through the craft activities in which the survivors are participating most actively. Third, the media therapy program for the victims of the Sewol has limitations in various aspects. However, the fact that the craft activities that are not bound by time and space are highly effective manifests that anyone can take advantage of trauma therapy through digital media that are easily found around them. Finally,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verified the possible individuation of social trauma and identified the limitations of media therapy to suggest its development direc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세월호 참사로 인한 사회적 트라우마 현상을 분석하고, 미디어를 통한 트라우마 테라피의 의미와 한계가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융의 집단 무의식과 원형, 개성화의 개념을 적용했고, 세월호 참사의 유가족, 심리상담 전문가, 일반인 자원봉사자와 일대일 심층인터뷰 및 초점 집단인터뷰를 진행했다. 그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일차적/이차적 피해 경험에 따라 고립감, 불안 등 각기 다른 형태의 사회적 트라우마를 겪고 있으나, 공동체로서 사회적 트라우마를 함께 극복해나갈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의 일상생활에서 죽음과 삶, 애도와 기억 등의 원형이 표출되고 있었다는 점, 또한 테라피 활동을 통해 다양한 원형들의 상징이 포착되었다는 점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세월호 참사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한 미디어 테라피 프로그램은 여러 측면에서 한계가 있지만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공예 활동의 테라피 효과가 높다는 점은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트라우마 테라피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트라우마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개성화를 통한 치유와 미디어 테라피의 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구소련 고려인 디아스포라 시 연구 -양원식의 시 세계를 중심으로-

        홍용희 한국근대문학회 2010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1 No.2

        구소련 고려인 디아스포라의 역사는 한국 근대사의 질곡이 가장 함축적으로 스며있는 대표적인 경우이다. 고려인 디아스포라에는 구한말 사회적 혼란과 절대 가난 속에서 연해주로 이주한 유이민의 삶, 국권 상실기 독립운동의 전진기지로서의 부침, 스탈린의 민족 강제 이주 정책에 의한 희생 등이 복합적으로 중첩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 한반도의 분단체제 이후 망명자들이 가세하면서 고려인 디아스포라에 대한 논의는 해방 이전은 물론 해방 이후의 분단시대까지 포괄되는 비극적인 한국 근대사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일이 된다. 2000년대 들어 구소련 고려인 디아스포라는 약 52만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들 구성원의 유형은 크게 세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앞에서 개략적으로 살펴본 연해주에 살던 고려인들로 1937년 스탈린의 강제이주정책에 의해 이주된 약 20만 명의 한인과 그 후손들이다. 둘째, 일본군에 징용되었던 일본 식민통치하의 한인들과 그들의 후손으로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사할린에 잔류되었다가 1970년대 말 구소련으로 이주한 사람들이다. 셋째, 1950년 이후 조선의 국비 장학생으로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유학하던 학생들 가운데 소련으로 망명한 이후 정착한 사람들이다. 물론, 이들 부류 중 두 번째와 세 번째는 소수이고 첫 번째가 절대 다수를 이룬다. 한편, 고려인 문학의 본격적인 출발은 1923년 블라디보스톡에서 전연맹 공산당 원동변강위원회와 원동변강 직맹 소비에트 기관지인 선봉이 창간되면서부터이다. 그러나 1937년 구소련지역으로의 강제 이주와 함께 선봉이 폐간되고 레닌기치(1938.5)에 문예페이지가 마련되면서 고려인 문학의 명맥이 면면히 이어지게 된다. 또한,  레닌기치는 소련의 해체와 함께 폐간(1990.12.30)되고 고려일보(1991.1.1)가 창간되면서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의 언어문화 정책을 추종하던 레닌기치와는 달리 고려일보의 제작방침에 상응하는 친한국적인 변화의 양상이 급격하게 일어난다. 한편, 여기에서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양원식 시인은 레닌기치의 문학예술부장과 레닌기치의 후신인 고려일보를 직접 운영하며  구소련 고려인문학을 2000년대까지 중심부에서 선도해온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가 구소련 지역에 거주하게 된 내력은 앞에서 살펴 본 1950년 이후 조선의 국비 장학생으로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유학하던 학생들 가운데 소련으로 망명해 중앙아시아 지역에 정착한 유형에 속한다. 그는 1932년 평안도 에서 태어나 유년기를 보냈으며 1953년 한국전쟁 직후 국비 유학생 자격으로 소련으로 유학하였으나 대학 졸업 후 북한으로 돌아가지 않고 망명하였다. 그는 주로 다큐멘터리 영화연출에 몰두하다가 레닌기치 문학예술부장과 고려일보 주필 겸 사장(1994∼2000)을 역임하는 등 언론인과 시인으로 활동하였다. 이 논문은 그가 간행한 한글 시집 카자흐스탄의 산꽃(시와진실, 2002)을 중심으로 하여 구소련디아스포라 시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는 구소련지역에서 한국어를 자유롭게 구사하는 얼마 되지 않은 시인 중의 한 명이다. 그래서 그의 시 세계는 중앙아시아 고려인으로 살아가는 디아스포라의 정서가 능숙한 모국어를 통해 생생하게 노래되고 있는 특성을 보인다. 그의 시적 삶은 중앙아시아 강제 이주의 직접적인 당사자는 아니지만 그것이 자기 정체성의 집단적 무의식의 트라우마로 작동하고 있음 ... The history of former Soviet Union Korean diaspora is the representative case where ordeal of Korean modern history has pervaded full of implications. Lots of things are piled up on Korean diaspora, which are social disorder in the latter era of the Choson Dynasty and life of emigrants moved to village of maritime province in Russia in absolute hunger, ups and downs of life as an advance air base during independence movement in national sovereignty lost period, sacrifices by national immigration policy forced by Stalin. Also, refugees were joined after divis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and the discussion on Korean diaspora has become the center of tragic Korean modern history including division era after liberation as well as before liberation. Korean diaspora in the former Soviet Union in 2000s counted about 0.52 million people. There are three types of members. First, they are the Korean lived in the village of maritime province in Russia, they are about 200 thousands Korean and their descendants moved by the forced movement policy of Stalin in 1937. Second, they are Koreans and their descendants under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drafted by Japanese army and they had lived in Sakhalin after the World War Ⅱ and moved to Central Asia in the late 1970s. Third, they were students studied in Moscow, Russia as state scholarship students after 1950 and settled down in Central Asia after asylum to the Soviet Union. Of course, second and third kinds of people are minor and the first consists the most. Meanwhile, the real beginning of Korean literature starts from the birth of Sunbong, a Soviet paper of Communist Wondongbyungang committee and Wondongbyungang in Vladivostok in 1923. But Sunbong had ceased publication with forced movement to Soviet Union in 1937 and literature pages were provided in Lenin Banner(May, 1938) so that Korean literature had barely kept itself in existence. Also, Lenin Banner had ceased publication with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Dec. 30, 1990), Korea Ilbo(Jan. 1, 1991) was published the first edition and there was dramatical changes in aspect of favor corresponding to publication policies of Korea Ilbo different from Lenin Banner following language culture policies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DPRK). On the one hand, the poet, Wongsik Yang, the focus of the paper was the head of culture and art department of Lenin Banner and managed Korea Ilbo after Lenin Banner, and he has led Korean humanities of Central Asia until 2000s. He was one of the students studied in Moscow, Russia as state scholarship students after 1950 and settled down in Central Asia after asylum to the Soviet Union. He was born in 1932 and spent childhood in Pyongan-do, studied in the Soviet Union as a state scholarship student after Korean war in 1953, did not go back to North Korea after graduation of university and defected to the Soviet Union. He mainly immersed himself in directing for documentary movie and he was a journalist and also a poet holding various positions such as a head of culture and art department of Lenin Banner, chief editor and president of Korea Ilbo(1994~2000). This paper would insp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viet Union diaspora poem focused on Korean poem, Wild Flowers of Kazakhstan(Poem and the Truth, 2002) published by Wonsik Yang. He is one of the poet who can speak Korean fluently in the Soviet Union. So his world of poem shows the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emotion of diaspora living in the Central Asia as a Korean appears vividly in his poem in fluent Korean. His poem shows he is not the person directly involved in forced movement to Central Asia but it is working as a collective unconscious trauma of his identity and also he shows adaptation to live in the Central Asia and at the same time feel nostalgia for mother country. Beautiful nature of Kazakhstan and nostalgia for mother country in his poem shows divided twofolded attributes. The more beautiful the Kazakhstan's...

      • KCI등재

        구소련 고려인 디아스포라 시 연구 : 양원식의 시 세계를 중심으로

        홍용희(Hong Yong-hee) 한국근대문학회 2010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1 No.2

        구소련 고려인 디아스포라의 역사는 한국 근대사의 질곡이 가장 함축적으로 스며있는 대표적인 경우이다. 고려인 디아스포라에는 구한말 사회적 혼란과 절대 가난 속에서 연해주로 이주한 유이민의 삶, 국권 상실기 독립운동의 전진기지로서의 부침, 스탈린의 민족 강제 이주 정책에 의한 희생 등이 복합적으로 중첩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 한반도의 분단체제 이후 망명자들이 가세하면서 고려인 디아스포라에 대한 논의는 해방 이전은 물론 해방 이후의 분단시대까지 포괄되는 비극적인 한국 근대사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일이 된다. 2000년대 들어 구소련 고려인 디아스포라는 약 52만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들 구성원의 유형은 크게 세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앞에서 개략적으로 살펴본 연해주에 살던 고려인들로 1937년 스탈린의 강제이주정책에 의해 이주된 약 20만 명의 한인과 그 후손들이다. 둘째, 일본군에 징용되었던 일본 식민통치하의 한인들과 그들의 후손으로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사할린에 잔류되었다가 1970년대 말 구소련으로 이주한 사람들이다. 셋째, 1950년 이후 조선의 국비 장학생으로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유학하던 학생들 가운데 소련으로 망명한 이후 정착한 사람들이다. 물론, 이들 부류 중 두 번째와 세 번째는 소수이고 첫 번째가 절대 다수를 이룬다. 한편, 고려인 문학의 본격적인 출발은 1923년 블라디보스톡에서 전연맹 공산당 원동변강위원회와 원동변강 직맹 소비에트 기관지인 ??선봉??이 창간되면서부터이다. 그러나 1937년 구소련지역으로의 강제 이주와 함께 ??선봉??이 폐간되고 ??레닌기치??(1938.5)에 문예페이지가 마련되면서 고려인 문학의 명맥이 면면히 이어지게 된다. 또한, ??레닌기치??는 소련의 해체와 함께 폐간(1990.12.30)되고 ??고려일보??(1991.1.1)가 창간되면서 조선 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의 언어문화 정책을 추종하던 ??레닌기치??와는 달리 ??고려일보??의 제작방침에 상응하는 친한국적인 변화의 양상이 급격하게 일어난다. 한편, 여기에서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양원식 시인은 ??레닌기치??의 문학예술부장과 ??레닌기치??의 후신인 ??고려일보??를 직접 운영하며 구소련 고려인문학을 2000년대까지 중심부에서 선도해온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가 구소련 지역에 거주하게 된 내력은 앞에서 살펴 본 1950년 이후 조선의 국비 장학생으로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유학하던 학생들 가운데 소련으로 망명해 중앙아시아 지역에 정착한 유형에 속한다. 그는 1932년 평안도 에서 태어나 유년기를 보냈으며 1953년 한국전쟁 직후 국비 유학생 자격으로 소련으로 유학하였으나 대학 졸업 후 북한으로 돌아가지 않고 망명하였다. 그는 주로 다큐멘터리 영화연출에 몰두하다가 ??레닌기치?? 문학예술부장과 ??고려일보?? 주필 겸 사장(1994∼2000)을 역임하는 등 언론인과 시인으로 활동하였다. 이 논문은 그가 간행한 한글 시집 ??카자흐스탄의 산꽃??(시와진실, 2002)을 중심으로 하여 구소련디아스포라 시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는 구소련지역에서 한국어를 자유롭게 구사하는 얼마 되지 않은 시인 중의 한명이다. 그래서 그의 시 세계는 중앙아시아 고려인으로 살아가는 디아스포라의 정서가 능숙한 모국어를 통해 생생하게 노래되고 있는 특성을 보인다. 그의 시적 삶은 중앙아시아 강제 이주의 직접적인 당사자는 아니지만 그것이 자기 정체성의 집단적 무의식의 트라우마로 작동하고 있음을 드러내면서 동시에 현지 삶에 대한 적응과 고국에 대한 향수를 노래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그의 시적 삶에 나타나는 카자흐스탄의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조국에 대한 향수는 분열된 이중적 속성을 지닌다. 카자흐스탄의 경관이 아름답게 느껴질수록 조국에 대한 향수가 강렬하게 달아오르고 조국에 대한 향수가 강할수록 악몽과 같은 조국의 현실이 부각된다. 이것이 구소련 고려인 디아스포라의 시적 삶의 중요한 특성인 것이다. The history of former Soviet Union Korean diaspora is the representative case where ordeal of Korean modern history has pervaded full of implications. Lots of things are piled up on Korean diaspora, which are social disorder in the latter era of the Choson Dynasty and life of emigrants moved to village of maritime province in Russia in absolute hunger, ups and downs of life as an advance air base during independence movement in national sovereignty lost period, sacrifices by national immigration policy forced by Stalin. Also, refugees were joined after divis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and the discussion on Korean diaspora has become the center of tragic Korean modern history including division era after liberation as well as before liberation. Korean diaspora in the former Soviet Union in 2000s counted about 0.52 million people. There are three types of members. First, they are the Korean lived in the village of maritime province in Russia, they are about 200 thousands Korean and their descendants moved by the forced movement policy of Stalin in 1937. Second, they are Koreans and their descendants under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drafted by Japanese army and they had lived in Sakhalin after the World War Ⅱ and moved to Central Asia in the late 1970s. Third, they were students studied in Moscow, Russia as state scholarship students after 1950 and settled down in Central Asia after asylum to the Soviet Union. Of course, second and third kinds of people are minor and the first consists the most. Meanwhile, the real beginning of Korean literature starts from the birth of ??Sunbong??, a Soviet paper of Communist Wondongbyungang committee and W ondongbyungang in Vladivostok in 1923. But ??Sunbong?? had ceased publication with forced movement to Soviet Union in 1937 and literature pages were provided in ??Lenin Banner?? (May, 1938) so that Korean literature had barely kept itself in existence. Also, ??Lenin Banner?? had ceased publication with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Dec. 30, 1990), ??Korea Ilbo??(Jan. 1, 1991) was published the first edition and there was dramatical changes in aspect of favor corresponding to publication policies of ??Korea Ilbo?? different from ??Lenin Banner?? following language culture policies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DPRK). On the one hand, the poet, Wongsik Yang, the focus of the paper was the head of culture and art department of ??Lenin Banner?? and managed ??Korea Ilbo?? after ??Lenin Banner??, and he has led Korean humanities of Central Asia until 2000s. He was one of the students studied in Moscow, Russia as state scholarship students after 1950 and settled down in Central Asia after asylum to the Soviet Union. He was born in 1932 and spent childhood in Pyongan-do, studied in the Soviet Union as a state scholarship student after Korean war in 1953, did not go back to North Korea after graduation of university and defected to the Soviet Union. He mainly immersed himself in directing for documentary movie and he was a journalist and also a poet holding various positions such as a head of culture and art department of ??Lenin Banner??, chief editor and president of ??Korea Ilbo??(1994~2000). This paper would insp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viet Union diaspora poem focused on Korean poem, ??Wild Flowers of Kazakhstan?? (Poem and the Truth, 2002) published by Wonsik Yang. He is one of the poet who can speak Korean fluently in the Soviet Union. So his world of poem shows the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emotion of diaspora living in the Central Asia as a Korean appears vividly in his poem in fluent Korean. His poem shows he is not the person directly involved in forced movement to Central Asia but it is working as a collective unconscious trauma of his identity and also he shows adaptation to live in the Central Asia and at the same time feel nostalgia for mother country. Beautiful nature of Kazakhstan and nostalgia for mother country in his poem shows divi

      • KCI등재

        사회적 트라우마의 개성화와 치유를 위한 미디어 테라피 가능성 연구

        유숙(Sook Yoo),강진숙(Jin Suk Ka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1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8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세월호 참사로 인한 사회적 트라우마 현상을 분석하고, 미디어를 통한 트라우마 테라피의 의미와 한계가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융의 집단 무의식과 원형, 개성화의 개념을 적용했고, 세월호 참사의 유가족, 심리상담 전문가, 일반인 자원봉사자와 일대일 심층인터뷰 및 초점 집단인터뷰를 진행했다. 그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일차적/이차적 피해 경험에 따라 고립감, 불안 등 각기 다른 형태의 사회적 트라우마를 겪고 있으나, 공동체로서 사회적 트라우마를 함께 극복해나갈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의 일상생활에서 죽음과 삶, 애도와 기억 등의 원형이 표출되고 있었다는 점, 또한 테라피 활동을 통해 다양한 원형들의 상징이 포착되었다는 점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세월호 참사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한 미디어 테라피 프로그램은 여러 측면에서 한계가 있지만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공예 활동의 테라피 효과가 높다는 점은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트라우마 테라피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트라우마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개성화를 통한 치유와 미디어 테라피의 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social trauma experienced by direct victims of accidents and each member of the society affected by grand-scale disasters based on the concepts of collective unconsciousness, archetype, and individuation from Jung’s analytical psychology, and their experience of therapy through media. For this purpose, the survivors of the disaster of Sewol that occurred on April 16, 2014, family of the deceased, psychological professionals, and general volunteer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for one-on-one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are suffering from different forms of social trauma such as seclusion and anxiety due to primary/secondary incidents, but there is possibility for them to overcome the social trauma as a social community. Second, the archetypes of life and death, mourning and remembrance are showing in the subjects’ everyday live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various archetypes are appearing symbolically through the craft activities in which the survivors are participating most actively. Third, the media therapy program for the victims of the Sewol has limitations in various aspects. However, the fact that the craft activities that are not bound by time and space are highly effective manifests that anyone can take advantage of trauma therapy through digital media that are easily found around them. Finally,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verified the possible individuation of social trauma and identified the limitations of media therapy to suggest its development directions.

      • KCI등재

        ‘완장 단 사람’의 특성으로 본 ‘지역빨갱이’의 모방서사와 트라우마

        김정은(Kim, Jeong-Eu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9

        본 논문은 한국전쟁체험담에 나타나는 ‘지역빨갱이’의 특성을 ‘완장 단 사람’의 서사적 구조와의 연관성으로 새롭게 살펴보았다. 전쟁체험담을 조사해 보면, 빨간완장을 단 ‘지역빨갱이’는 북에서 내려온 인민군이나 중공군과 비교되며, 한국전쟁에서 가장 비난을 받는 세력이다. 전쟁의 파괴와 폭력의 정점에 있는 사람들이 ‘지역빨갱이’인데, 그들은 ‘완장 단 사람’들의 권력성과 폭력성, 모방성을 답습하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전쟁에서 가장 큰 분노와 적개의 대상이 되고 있는 지역빨갱이의 특징을 ‘완장을 단 사람’으로 일반화해 그 권력의 성격을 서사적으로 풀어보고, 지역빨갱이에게 가지는 분노와 두려움이 어떻게 극복될 수 있을지 모색해 보고자 했다. 먼저 ‘지역빨갱이’와 ‘완장 단 사람’의 서사적 특성은 ‘맺힘과 누림의 역설적 관계’로 이념적 성향보다는 전쟁 이전의 벌어졌던 갈등의 구조에서 생긴 반목과 한 맺힘을, ‘완장’이라는 대중적 무의식의 권력을 가지게 되고 힘을 누리게 되면서, 폭력적으로 그 맺힘을 풀어내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결국 이들의 말로는 파국으로 되풀이 된다. ‘완장 단 사람’은 완장을 달기 전에 권력을 가진 세력과 늘 비교가 되며 진짜 권력의 주체로 인식되지 않는 가짜의 권력으로 치부되는데, 6.25전쟁에서는 공산당에 대해 내재화(internalization)된 좋은 이미지는 중공군이나 정규군으로 이야기 되는데 반해, ‘지역 빨갱이’는 진짜가 될 수 없는 가짜의 삶으로 서사화 된다. 이렇게 ‘지역빨갱이’에서 보이는 ‘완장 단 사람’의 서사적 특성은 비단 전쟁시기만이 아니라, 모든 인간 안에 있는 권력과 파시즘의 욕망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 이 논문의 시각이다. ‘완장’을 달았을 때는 권력의 가면을 쓴 페르소나로, ‘지역빨갱이’에 대한 분노를 표출할 때는 대극의 받아들일 수 없는 그림자로 나타난다. ‘지역빨갱이’를 전쟁에 대한 두려움과 폭압에 대한 우리 내면의 ‘완장’을, 모방하고 싶은 그림자의 일부로 받아들일 때, 전쟁이 남긴 트라우마를 드러내고 넘어설 수 있는 단초가 마련될 것이다. This paper researched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ies" associated with narrative structure of "person who wore an armband" in the Korea War Stories. A "local commies" is the people who stand in the midst of the destruction and violence of war, they follow with a power, a violence and an imitation of "person who wore an armband". This paper narratively researched the character of the power by generalizing about local commies"s characteristics which is the subject of anger and hostility in the Korea War with a "person who wore an armband", and sought to overcome anger and fear for local commies.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a "local commies" and "person who wore an armband" can be explained from paradoxical relationship with a "harboring resentment and enjoying power". It shows that person who wore an armband violently resolved their antagonism and resentment from discord structure that occurred prior to the Korean War with "armband" which can enjoy the power of the unconscious as the public. But in the end, their last have ended up collapsing. "Person who wore an armband" always compared with forces with the power before worn an armband, and became regarded as a fake power that was not recognized as a real power. So, in the Korean War, a good image which was internalized about the Communist Party was recognized as the communist Chinese troops or a regular army, on the other hand, "local commies" was narrated as a fake life which can not be the real.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person who wore an armband" that appears in a "local commies", even if it is not the war time, can be seen as a desire of power and fascism in us. When people wearing an armband, it was recognized as a persona of the masked power, and when people expressed anger at "local commies", it was recognized as a shadow of unacceptable antipole. When we have recognized a "local commies" as a parts of shadow which we want to imitate an "armband" in our inner by the fear and coercion of war, the clues which to overcome the trauma of war will b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