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도덕과 기본적 교수⋅학습 과정 및 단원 체제 개선 방안

        송영민 한국철학사연구회 2019 한국 철학논집 Vol.0 No.60

        Moral education is a instruction based on abstract moral values. The process of moral education expressing abstract moral values ​​is a very difficult task for teachers. In order to reduce the difficulties of moral education and to maintain the lesson appropriate for moral education, guidances should be provided. The basic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f moral education, the stage of unit organization system, and the main models of moral education are a kind of guidances. The main purpose of these process, stage, and models is a convenient and efficient moral instruction. However, moral education requires creativity of teachers with convenience and efficiency. Therefore, manualization of guidances are necessary to secure the openness which enables the creative instruction in the way of maintaining the efficiency. In terms of convenient efficiency, six processes of basic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nd four stages of unit system in the current moral textbooks need to be unified numerically.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basic process, unit system and main moral instruction models should be analyzed in detail and its relevance should be informed. In terms of creative openness, preferential considerations should be avoided the terms of the sequential and linear concept of the basic process and unit system. The sequential linear concept restricts teacher's choice. Therefore, guidance of the text books should be presented in a nonlinear way that does not restrict the teacher's choice. In addition, the composition of unit should be based on the way that each stage of unit should be presented as an independent stage while the whole unites should have content cohesiveness. In short, the basic process and unit system should be convenient and efficient for the moral education, and openness for the creative teaching. In order to do this, we firstly need to find out the numerical consensus of the basic process and unit system, secondly, the clarification of the relation among the basic process and unit system and the main teaching models, thirdly, the introduction of nonlineal processes and stages, and fourthly, construction of unit emphasizing the independence in the context of contents coherence.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basic process and unit system of selective type for elementary moral education considering these aspects. 도덕과 수업은 추상적인 도덕적 가치를 주제로 표현하는 어려운 일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줄이면서 도덕 교과의 특성에 합당한 수업을 위해서는 적절한 안내와 조력이 있어야 한다. 그러한 안내와 조력으로서 편람화되어 제시된 것이 바로 도덕과 수업의 기본 과정⋅절차, 단원 구성의 단계, 주요 모형 등이다. 이처럼 편람화된 과정, 단계, 모형의 목적은 편리하고 효율적인 도덕과 수업을 구성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도덕과 수업의 구성은 편리성 및 효율성과 더불어 교사의 창의성도 요구한다. 따라서 편람화라는 방식은 효율성을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창의적 수업이 가능한 개방성도 확보해야 한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안내와 조력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현행 도덕과 교과용 도서에 제시된 6가지 도덕과 수업의 기본적 과정⋅절차와 단원 구성의 4단계는 수적으로 일치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주요 도덕과 수업 모형과 도덕과 수업의 기본적 과정⋅절차의 관계가 구체적으로 안내될 필요가 있다. 창의적 개방성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순차적이고 선형적인 순서로 제시된 도덕과 수업의 기본 과정⋅절차 및 단원 구성의 단계는 지양되어야 한다. 순차적인 선형적 순서는 교사의 선택지를 축소하고 제약하기 때문에, 교과용 도서의 차시 구성 및 운영은 비선형적인 방식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더불어, 단원 구성 및 운영의 개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도덕성의 개념에 근거한 선형적 단계보다는, 학습 내용에 근거하여 차시별 수업 간에 내용적 결속성은 있지만, 각 차시가 독립적 단위도 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도덕과 수업의 기본적 과정⋅절차 및 단계는 합당한 도덕과 수업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안내하면서도, 교사의 창의적 수업 구성을 위한 개방성도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도덕과 수업의 기본적 과정⋅절차와 단원별 차시 구성 단계의 일치, 도덕과 수업의 기본적 과정⋅절차와 주요 수업 모형의 관련성 명료화, 비선형적이고 비순차적인 기본적 과정⋅절차 및 단원 체제의 도입, 내용적 결속성의 틀 속에서 차시별 독립성이 강조된 단원 구성 단계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이를 반영하기 위해 초등 도덕과의 선택형 기본 과정 및 단원 체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중학생의 기초 탐구 기능 이해를 위한 명시적 교수,학습 전략의 개발 및 적용 사례 분석

        홍석준 ( Seok Jun Hong ),손연아 ( Yeon A So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1 No.4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기초 탐구 기능 이해를 위한 명시적 교수·학습 전략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으며, 교수 학습 전략의 적용 효과와 학생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기초 탐구 기능 이해를 위한 명시적 수업 단계를 모색하였으며, 기초 탐구 기능의 수업 적용 준거를 설정하여 명시적 수업 단계에 접목함으로써 기초 탐구 기능 이해를 위한 명시적 교수·학습 전략을 개발하였다. 명시적 교수·학습 전략의 단계별 수업 분석결과, 학생들은 특히 명확하게 설명하기 단계와 독립적으로 연습하기 단계를 통해 기초 탐구 기능을 더 효 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고 진술하였으며, 현장 교사는 구체적 사례 시범 보이기 단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기초 탐구 기능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정도분석 결과, 대부분의 질문에서 긍정적 결과를 나타냈다. 다른 교과목, 또는 일상생활에서의 파급 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생 스스로 과학 탐구 기능을 활용하려는 태도를 가지게 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명시적 교수·학습 전략이 학생들의 기초 탐구 기능 이해에 효과적임을 연구 결과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과학 탐구 기능의 명시적 교수 학습 전략이 중등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하도록 지속적으로 연구 및 개발, 보급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explicit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for middle school students were developed to improve basic science process skills. After applying these strategy in an actual class, the eff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and change of students were analyzed. Explicit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to improve basic science process skills are developed based on analyzing preceding research. The use of application criteria for class of basic science process skills combined with explicit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it is sought for the explicit instructional procedures of said skills. After analyzing the class in which explicit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were demonstrated, students reported that they were able to comprehend basic science process skills more effectively through the stages of explicit explaining and independent practice. The showing demonstration stage was heavily emphasized by the teacher in this class. Analysis of students` understanding degree about basic science process skills, most of them show positive outcome. Another analysis of ripple effect on daily life and other subjects, it is found that students could have the attitude to make use of science process skills for themselves. Through the result of study, it is found that explicit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that are developed from this study are an effective way to comprehension students` basic science process skills. Thus, continued study is needed to develop and spread explicit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of science process skills to be applicable in actual classes in secondary schools.

      • KCI등재

        예비 과학 교사의 기초탐구과정기능에 대한 인식 및 명시적 수업 분석

        손연아 韓國生物敎育學會 2011 생물교육 Vol.3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nd their science class by explicit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on basic science process skills. For this study, researchers asked 15 pre-service teachers in college of education to write a reflective journal on meaning and application methods of the basic science process skills and to design and teach science topic applying explicit teaching methods on the skills for secondary school level. After the teaching practice in the condition of microteaching, the focus group discussion including science education experts and the pre-service teachers was executed to analyze difficulties and experiences on the explicit teaching of the skills. One of the critical results of this study was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had many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on the basic science process skills, as well as the explicit teaching practice of the skills. This study could help that pre-service science teacher and school science teacher realize a necessity and importance on explicit teaching of basic science process skills and have ideas of explicit teaching strategies on the skills.

      • KCI등재

        초등 안전교육에서 학습 지도의 기본 원리와 교수·학습의 일반적 과정·절차

        이언주 ( Lee Eon Ju ),유병열 ( Yu Byung Yul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1

        최근 우리 사회와 학교에서 안전교육은 대폭 강화되어 가고 있다. 더욱이 국가에서는 학교 안전교육을 혁신적으로 개선, 강화하기 위해 초등 1, 2학년 교육과정 속에 안전교육 시간을 별도로 설치해 놓고 이를 역점을 두어 지도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에서의 실제적인 안전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마땅하고 효과적인가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미미하며 특히 안전교육 학습 지도의 기본적인 과정 내지 절차 및 유용한 수업 모형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시피 한 것이 현실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 의식에 터하여 초등 안전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의 원리 및 일반적 과정·절차를 탐구하는 데 주안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먼저 국가적 수준과 안전교육 기관·기구 수준 및 학자·전문가들 수준에서 제시되고 있는 여러가지 안전교육 지도 이론들을 검토하여 초등 안전교육 학습 지도의 기본원리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어서 이러한 원리들에 기초하여 초등 안전교육 교수·학습의 일반적 과정·절차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하는지를 탐구하여 인지적 측면과 행동적 측면 및 정의적 측면을 통합적으로 추구하여 종합적 안전 능력의 함양을 지향하는 일반 모형을 제시한 후 이 모형의 전체적 및 단계별 운영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편, 이 연구에서는 앞으로 초등 안전교육 교수·학습을 보다 실효적으로 운영하는 데 긴요한 구체적인 하위 수업모형들 또한 연구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초등 안전교육을 위한 수업모형들은 적어도 실천체험 중심, 탐구 중심, 직접 교수 중심이라는 크게 세 가지 방향에서 수업모형들이 강구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다만, 초등 안전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수업모형 관련 탐구가 이 연구에서 논의된 것들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앞으로 보다 많은 이론적·실증적 연구들이 수행되어 안전교육의 적합성과 실효성을 더욱 제고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Recently, safety education has been strengthened in our society and schools. Furthermore, in order to innovate and strengthen the school safety education, the nation is requesting to set up the safety education time separately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 curriculum and emphasize it. However, there is little study on how effective and proper the safety education in schools should be made. In particular, there is almost no study on the basic processes and procedures of safety education instruction and useful teaching models. This study focuses on exploring the principles and general processes and procedures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elementary school safety education based on this problem.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d various safety education instruction theories which are presented at national level, safety education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level and scholar experts level, and examined basic principles of elementary school ㆍ safety education instruction. Then, based on these principles, the general process and procedure of teaching and learning of elementary safety education should be investigated to pursue the cognitive aspect, the behavioral aspect and the affective aspect integrally, After presenting the model, we discussed the overall and stepwise management plan of this model. This study explored the general process and procedures of elementary school safety education instructi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study specific subordinate instruction models that are important for more effective operation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future. Specific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instructional models for elementary school safety education should be modeled in at least three directions: practice and experience, inquiry, and direct instruction. However, it should not remain in the discussions of this study, and more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to further improve the suitability and effectiveness of safet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