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산국 관련 설화의 특징과 성립 시기

        박찬흥 한국역사민속학회 2019 역사민속학 Vol.0 No.56

        The Story of Usanguk is ‘Legend of the King Woohae and Pungminyeo’, ‘Sajabawi Rock’, ‘Tale of Bipasan Mountain and Hakpo Village’, ‘Tale of Napalbong and Tugubong Peak’ and ‘Gooksu Mountain and Hakpo, Sajabawi Rock and Napaldeung’. These folktales are based on the times when Usanguk was submissed to Silla in the early 6th century. ‘Legend of the King Woohae and Pungminyeo’ means that the cause of Usanguk and Tsushima was allied through marriage and attacked Silla, and it was destroyed by Silla. Inside Usanguk, there were forces in favor of the Silla attack, and the opposing forces. ‘Gooksu Mountain and Hakpo, Sajabawi Rock and Napaldeung’ is the same as the plot. ‘Sajabawi Rock’ depicts the two battles between Usanguk army and the Silla army in a relatively detailed way. If the records of Samguk Sagi and Samguk Yusa are records of Silla center, the story of ‘Sajabawi Rock’ is a story reflected in the center of Usanguk. The fact that Usanguk won in the first battle reflected the situation at the time when Silla could not easily subdue Usanguk. The fables such as ‘Sajabawi Rock’ and ‘Tale of Bipasan Mountain and Hakpo Village’ illustrate the origins of place names such as Sajabawi Rock, Bipasan Mountain, Hakpo Village, Tugubong Peak, Napalbong Peak. Originally due to the appearance of the rocks and peaks, it was named, but it seems to have been made of a new place-name narrative with the addition of the elements of the narrative of ‘Legend of the King Woohae and Pungminyeo’. Most of these names are distributed in Namyangri area. Perhaps this was the central area of Usanguk, where the battle of Silla and Usanguk had taken place in the early 6th century. For that reason, a story about the rocks and peaks of this place, based on the case where Silla submits Usanguk, would have been made. It is difficult to see that the contents of these tales reflect the situation of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These folk tales are based on the historical fact that Silla is the Usanguk submission, and may have been made for the first time by people on the East Coast who moved to Ulleungdo early in the Joseon Dynasty. Since that time, various contents have been added and modified. In particular, it seems that concrete names have been added since 1882, when Ulleungdo was pioneered, and changed into narratives related to place names. 울릉도에 남아 전하는 우산국 관련 설화는 ‘우해왕과 풍미녀’․‘사자바위’․‘비파산과 학포’․‘나팔봉과 투구봉’과 ‘국수산과 학포, 사자암과 나팔등’ 등의 설화이다. 모두 6세기 초 우산국이 신라에 복속되었을 때를 시대적 배경으로 하고 있다. ‘우산국과 풍미녀’ 설화는 우산국과 대마도의 왜가 혼인을 통해 연합하여 신라를 공격했고, 그 과정에서 우산국 내부에서 신라 공격에 찬성하는 우해왕 중심 세력과, 우해왕의 신라 침략에 반대하는 세력이 대립하고 있었다는 내용이다. ‘국수산과 학포, 사자암과 나팔등’ 설화도 큰 줄거리는 같다. ‘사자바위’ 설화에는 우산국 군대와 신라의 이사부 군대 사이에 벌어졌던 두 번의 전투가 비교적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기록이 신라 중심의 기록이라면, ‘사자바위’ 설화는 우산국 중심의 관점이 투영된 口傳설화이다. 첫 전투에서 우산국이 승리했다는 내용도 신라군이 쉽게 우산국을 복속시키지 못했던 당시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사자바위’ 설화와 함께 ‘비파산과 학포’, ‘나팔봉과 투구봉’, ‘투구산(봉)과 남양’, ‘학포와 학의 머리’ 설화 등은 사자바위, 투구봉, 비파산, 학포 등의 지명 유래를 설명하고 있다. 원래 바위나 봉우리의 생김새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었지만, ‘우해왕과 풍미녀’ 설화의 요소가 추가되어 새로운 지명 유래 설화로 만들어진 듯하다. 이들 지명은 거의 모두 울릉군 서면 남양리 일대에 분포하고 있다. 남양리 일대는 울릉도 고대 취락의 중심지역으로 추정되는 지역으로, 아마도 이곳이 우산국의 중심 지역이었고 신라 군대와의 전투가 벌어졌던 지역이었을 것이다. 그런 이유로 울릉도 사람들은 이곳의 바위와 봉우리 등에 대해 신라의 우산국 복속을 배경으로 한 설화를 공유하고 있었을 것이다. 이 설화들의 내용이 6세기 초 당시의 상황을 그대로 반영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사부에 의해 우산국이 멸망되었다는 내용의 설화들은, 고려 현종 때 우산국이 멸망된 이후 고려 말 조선 초 왜구의 활동이 반영되어 대마도의 왜와 울릉도의 우산국이 함께 신라를 노략질했다는 이야기로 만들어진 듯하다. 즉 신라의 우산국 복속을 토대로, 아마도 조선 초기에 처음 울릉도에 왕래․이주했던 동해안 지역 사람들을 중심으로 처음 그 원형이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이후 내용이 추가․변형되었고, 특히 1882년 개척 이후 구체적인 명칭이 추가되거나 지명과 관련된 내용의 설화로 변화되었던 것 같다.

      • 신라의 于山國 정벌과 통치

        채미하 한국이사부학회 2014 이사부와 동해 Vol.8 No.-

        본 논문에서는 신라가 우산국을 정벌한 이유와 우산국이 신라에 歸服한 이후 신라의 우산국 통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신라는 독자적으로 발전해 온 정치체인 우산국을 정벌하기 위해 오랜 기간 준비하였다. 이와 같이 신라가 우산국을 정벌한 이유는 지증왕이 그 전 시기와는 다른 지배체제 정비를 통해 독자적인 세계관을 구축하였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우산국이 지니고 있는 경제적인 측면 역시 정벌 이유의 하나였다. 이 중 대표적인 것이 가지어피≒해표피=반어피라고 하였다. 이와 같은 신라의 우산국 정벌은 신라의 실직․하슬라 지역에 대한 진출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우산국이 신라에 귀복한 이후 이 지역에 대한 신라의 통치 역시 실직․하슬라 지역 지배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었다. 신라는 일찍부터 실직․하슬라 지역을 지배하였고 통일 이후에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실직․하슬라, 명주 지역은 신라 하대 김주원과 그 후손에 의해 일정 정도 지배되었다. 우산국은 신라에 귀복된 이후 자치권을 행사하면서 신라에 토산물을 바쳤다. 이것은 신라와 탐라와의 관계에서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우산국은 신라 멸망 전에 고려에 귀복하였는데, 이것은 명주 지역의 정세 변동과 연동한 것이었다. 따라서 신라 하대 어느 시기부터 우산국은 명주지역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었고 신라의 통치력은 우산국에 미치지 못하였다고 하였다. This study has examined the reason of the Usanguk conquest as well as the reign of Shilla over Usanguk after Usanguk submitted to Shilla. Shilla prepared for a long time to conquest Usanguk, the political organization that had developed independently. As such, the reason Shilla conquered Usanguk is because King Jijeung built an independent perspective of the world through political reform that was different from former times. Also, the economical aspect of Usanguk was also said to be another reason for the conquest. The most representative of it is known to be Gajieopi (Haepyopi or Baneopi) (sealskin).Shilla's conquest over Usanguk was closely related to Shilla's advance to the area of Siljik or Haseula. Also, Shilla's reign over this area after Usanguk's submission to Shilla was indivisibly related to Shilla's domination of Shiljik or Haseula area. Shilla took control of Shiljik or Haseula earlier on and this continued after the unification as well. However, the area of Shiljik (Haseula), and Myeongju were dominated partly by Kim Ju-won and his descendants in the Late Shilla era. After the submission to Shilla, Usanuk offered local products to Shilla while exerting its right of autonomy. This is also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illa and Tamra (currently Jeju Is.). However Usanguk submitted to Goryeo before the collapse of Shilla, and this was linked to the political change in Myeongju area. Therefore, this shows not only that Usanguk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Myeonju area, but also that the control of Shilla did not reach to Usanguk.

      • 울릉도의 고대 유적유물과 고고학적으로 본 우산국

        노혁진 한국이사부학회 2014 이사부와 동해 Vol.8 No.-

        우산국의 고고학적 실체규명은 한국고고학의 중요한 미해결 과제의 하나이다. 1950년대부터 지금까지 진행중인 울릉도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를 통하여 우산국의 실체에 대한 외연을 좁혀가고 있으나 향후 조사연구를 통하여 해결해야할 핵심과제가 많이 남아있다. 지금까지 울릉도에서 고고학적으로 확실하게 밝혀진 모든 유적과 유물은 이사부의 우산국 정복이후에 해당하는 신라고분과 신라토기 등이며, 당연히 존재했던 요지와 취락주거지 등의 흔적은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는데, 이것은 목표지향적이고 체계적인 학술 조사가 시행되지 않은 데서 비롯한 것이다. 현재까지 이사부정복이전의 시기에 해당하는 유적과 유물로 거론된 바 있는 추정고인돌과 타제어망추와 지석 및 무믄토기편 들만으로는 신라복속 이전시기의 고고학적 해석이 어려우며, 따라서 신라복속이전시기에 해당하는 선사시대와 5세기대까지의 고고학적 증거를 찾아내는 조사는 우산국연구의 필수불가결한 과제로서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단계에 이르렀다. 지금까지 발견된 신라고분들도 울타리로 구획한 극소수외에는 대부분 방치되어 있으며, 일주도로와 활주로건설에 따른 위락지개발과 경작지 확대과정에서 급속도로 파괴인멸될 처지에 놓여있다. 따라서 이러한 신라고분들의 보호대책은 우산국의 고고학적 규명을 위한 조사와 병행해서 추진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유관행정기관과 조사연구자와 긴밀하고 항시적인 협조가 이루어 져야한다. 울릉도의 유적보존과 고고학적 연구는 우산국의 실체를 규명하는 학술적 의의뿐만 아니라 독도에 대한 일본의 영토시비를 종식시키는 총체적인 작업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시기적으로 시급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파악된 토기산포지를 중심으로 주거지나 요지 등의 지하유구를 찾기위한 체계적이고 연차적인 시발굴을 실시하여 신라복속이전의 독자적인 유적과 유물을 찾아내고 이를 근거로 우산국의 성격과 형성과정 및 주민 등 총체적인 고고학적 사실을 규명해야 할 것이다. The identification of the archaeological fact on Usanguk is one of the important unsolved tasks in Korean archeology. Through the archaeological study on Ulleungdo Island that is still in process since the 1950s, the true nature of Usanguk is slowly being revealed, but there still are numerous crucial tasks that need to be solved through future studies. All relics and ruins that are clearly found and revealed archaeologically in Ulleungdo until now include old tombs and earthenware of Shilla that corresponds to the time after Isabu's conquest over Usanguk. The kiln sites and traces of dwellings of colony that surely existed are not discovered for now and this is due to lack of goal-oriented systematic study. Dolmen and other relics and remains that are said to be from the period before Isabu conquest are insufficient for the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 about the period before Shilla submission. Therefore, study discovering the archaeological evidence of prehistoric times period and the 5th century, which are the period before submission to Shilla, is indispensable project for study on Usanguk. Most ancient tombs of Shilla found until present are left by themselves except an extremely small amount that is comparted with a fence and they are in the situation where they might be destroyed rapidly due to the expansion of arable land and road development. therefore, protection measures for ancient tombs of Shilla must be combined with study on archaeological identification of Usanguk, and close and open cooperation is needed between the related administration agency and the researchers. As the preservation of relics in Ulleungdo and archaeological study not only have academical implication in terms of identifying the true facts on Usanguk, but these are related to the overall task on terminating the territorial conflict on Dokdo with Japan as well. On top of that, this is an urgent matter, therefore, systematic and continuous excavation to discover dwellings or kiln sites based on earthenware dispersed area that are found until now must be carried out in order to discover relics and remains representing times prior to submission to Shilla. And based on these, the overall archaeological fact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process of Usanguk and more, must be identified

      • 新羅의 東海岸 方面 進出과 于山國

        鄭雲龍 한국이사부학회 2016 이사부와 동해 Vol.12 No.-

        이 글은 4〜6세기 신라의 동해안 방면 진출 과정을 검토하면서, 특히 이사부의 우산국 정벌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에 2세기 초 悉直谷國과 音汁伐國의 ‘爭疆’ 기사는 삼척의 悉直國과는 무관한 기록으로 판단하였다. 이는 실직곡국의 명칭에 ‘谷’이 들어가 있음에 비해, 삼척 실직국 관련 기사는 들판을 의미하는 ‘原’ 과 관련하여 등장하는 것에 주목한 결과이다. 따라서 신라의 동해안 방면 진출은 4세기 신라 토기가 출토하는 포항·영덕·울진 일원에 대한 고고 자료와, 4세기 후반으로 보이는 강릉 일원의 신라 토기 출토 상황을 주목하였다. 특히 4세기 말 동해안 방면 何瑟羅(강릉)의 가뭄과 메뚜기 피해로 인하여, 신라가 그 지역에 1년 간 租調를 면제하여 주었다는 기록은 그 의미가 매우 크다. 이 기록은 신라가 강릉 일원에서 토지에 기반하여 수취하는 세금인 租와 지방 특산 물에 해당하는 調를 거두어 왔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는 이 시기 삼척·강릉 지 역이 신라의 완전한 행정적 직접 지배 아래 놓여 있었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이러한 상황은 근래 강릉 안현동 고분군과 하시동 고분군의 편년 문제와도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사안이다. 이와 같은 상황은 신라로 하여금 5세기 중반 삼척·강릉 일원을 둘러싼 고구려와의 각축을 무난히 극복하고, 6세기 중반 황초령·마운령 지역까지 진출이 가능하게 하였다. 진흥왕은 568년에 황초령과 마운령을 순수하였다. 그 해에 比列忽 州(안변)가 達忽州(고성)로 移置됨으로써 신라의 북방 영토가 위축된 것으로 이해 하여 왔다. 그러나 황초령과 마운령의 순수비는 진흥왕의 巡狩 몇 년 이후에 건립한 것으로 이해한다. 따라서 달홀주로의 州治 이동을 영토의 위축으로 파악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과정에서 異斯夫의 于山國 정벌이 이루어졌다. 실직주와 하슬라주 軍主 를 역임한 이사부는 512년에 우산국을 정벌하였다. 4세기 후반 신라가 삼척·강릉 지역으로 진출한 이후, 신라는 우월적 지위에서 우산국과 교류를 하고 있었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이사부의 정벌은 우산국의 驕慢에 대한 ‘治罪’의 의미로 이루어진 군사적 무력 시위로 이해한다. 이를 통해 신라는 우산국 특산물인 水牛[물 개]를 공납으로 징수할 수 있었으며, 이는 후일 唐과의 교류에서 신라에게 유용하게 활용되었다.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process of Shill’s expansion to the eastern coast from the fourth to the sixth century, and particularly, explored the meaning of Isabu’s conquering Usanguk. The record of ‘janggang(爭疆)’ of Siljikgokguk and Eumjeupbeolguk in the early second century was considered irrelevant to the record of Siljikguk of Samcheok. This was because whereas Siljikgukgok has a character ‘谷, gok’ in its name, the records on Samcheok Siljikguk contain ‘原, won’, meaning a field. Therefore, as for the expansion of Shilla to the eastern coast, I focused on the archeological references on Pohang, Yeongdeok and Uljin, where Shilla potteries of fourth century were excavated, and excavations of Shilla potteries in Gangreung from the late fourth century. Especially the record in the late fourth century that Shilla exempted Haseulla (Gangreung) from ‘租調, jojo (grain tax)’ for 1 year after the area suffered from severe drought and damage from locusts exhibits much significance. This reveals that Shilla had been collecting ‘租, jo’, a tax based on land and ‘調, jo’, a regional indigenous product from the Gangreung region, proving that, at that time, those regions, Samcheok and Gangreung, were completely under the control of shilla administratively. This is also directly related to the recent chronological issues arisen between the ancient tombs from Anhyeon-dong and Hasi-dong, Gangreung. Such situation enabled Shilla to easily overcome the fierce competition on and around Samcheok and Gangreung in the fifth century against Goguryeo and advance toward the regions of Hwangchoryeong and Ma’unryeong by the mid-sixth century, where in 568AD, King Jinheung reconnoitered. It was considered that the northern territory of Shilla was contracted that year as Biryeolholju (Anbyeon) was absorbed to Dalholju (Goseong), but it is considerde that Campaign Monuments of Hwangchoryeong and Ma’unryeong were built a few years after King Jinheung travelled these areas. Therefore, the transition to Dalholju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interpreted a contraction in territory. In the midst, Isabu went on a conquest of Usanguk. In 512AD, Isabu, who held the positions of monarch in Siljikju and Haseullaju, conquered Usanguk. In the late fourth century, after the expansion was made to the Samcheok and Gangreung regions, It seems like Shilla traded with Usanguk in a dominant position. Therefore the conquest carried out by Isabu is regarded as a retribution by military force against Usanguk’s arrogance. Through it, Shilla was able to collect seals, a regional indigenous product of Usanguk, as a tributary payment which were utilized in the future trading with China.

      • KCI등재

        신라의 東北方 진출과 異斯夫의 于山國 정복 출항지

        김창겸(Kim, Chang-Kyum) 한국사학회 2011 史學硏究 Vol.- No.101

        이 연구는 신라의 동북방 진출과 이사부의 우산국 정복 출항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신라는 중고기에 이르러 비약적인 발전을 하면서 대외적으로 영토를 확장해 나갔는데, 동북방으로 진출은 동해안 연근해 항로를 활용하여 북방의 거점 확보에 노력하면서, 동시에 육로로 진격으로 영역을 확장해 나가는 육해 공동작전을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실직주를 설치하고 이사부를 군주로 임명하여, 최전방 군사기지이며 한반도 중부의 동해 바다로 나가는 출항지를 확보하여, 우산국 정복의 기반을 구축하였다. 이사부는 505년 실직군주에 임명되자 중앙 정부에 선박 이용의 중요성을 건의하여 관련 제도를 정하게 하였다. 또 이보다 앞선 시기에 지방관으로서 금관가야의 일부 지역을 점령한 공로로 받은 가야계 사람들을 실직지역으로 사민시켜 그들이 보유한 선진 해양기술을 접합시키고, 수군을 양성하고 조련하여 수군기지를 구축하였다. 그러다 512년 하슬라군주로 옮기고, 우산국을 정복하여 동해의 해상권을 장악하였다. 필자는 이사부의 우산국 정복의 출항지는 삼척지역이 타당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사부가 실직군주에서 하슬라군주로 옮긴 우산국 정복에 성공한 것은 이미 실직주에 양성한 잘 조련된 수군들이 출정한 것이다. 둘째, 이사부는 당시 고구려와의 대치상황에서 신라 동북단 지역의 최전방 군사ㆍ행정 중심지로 건설하기 시작한 하슬라의 병력을 동원할 수 없었을 것이고, 그보다는 하슬라의 배후지역으로 위험과 부담이 덜한 실직정의 병력을 출동시켰을 것이다. 셋째, 이사부가 우산국을 정복코자 출항한 시기가 남동 계절풍이 부는 시기라, 지리적 위상과 여건에서 울릉도와 가장 가까운 지점인 삼척지역이 적합하다. 넷째, 삼척의 풍어제에 이사부를 神으로 모셔오고 있다. This study is about Silla’s advancement into the Northeastern area for territorial expansion and the harbour from which Isabu sailed to conquer Usanguk(Mondern day Ulleungdo). Silla carried out its advancement into the Northeastern area by obtaining a strategic foothold in the East Sea coastal route and movement(of troops) through an overland route. In this process, Silla secured a port toward the East Sea by establishing Siljikju in Samcheok and by appointing Isabu as Governor(Gunju), by which, Sill a formed a substructure to conquer Usanguk. Isabu was appointed as Siljik-Gunju in 505. Before that, he had conquered some villages in Geumgwan Gaya and let the Gaya people migrate to this area. Subsequently Isabu built a naval base in Siljik by using Gaya’s advanced marine technologies to this place. In 512, he became a Haseulla Governor(Gunju) and finally conquered Usanguk. I have identified that Samcheok is an outport for the conquest of Usanguk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e well-disciplined naval forces under the command of Isabu joined the war. Secondly, Siljikjeong-military forces could be mobilized because they were free from the military pressure of Goguryeo. Third, in the view of geographical conditions, Samcheok is the most accessible place to reach Ulleungdo by using the monsoon wind from the Southeast during that season. Fourthly, Isabu’s apotheosis, as is evident in his invocation in the extant Shaman Rite for Good Fishing in Samcheok until today, may be cited as one of the reasons.

      • 悉直谷國과 異斯夫의 于山國 정복에 대한 새로운 이해

        배재홍 한국이사부학회 2018 이사부와 동해 Vol.14 No.-

        이 글에서는 상고기 신라의 발전과정에서 동해안 진출, 悉直谷國과 悉直國의 실체, 또 중고기 신라의 동북방 진출과 悉直州 설치, 異斯夫의 해양활동과 于山國 정벌군의 출항지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삼척의 실직국이 안강의 음즙벌국 인근에 실직곡국이라는 변진과의 무역중계지를 운영하다가 영토분쟁이 생겨 상실하였다. 하지만 음즙벌국은 신라의 공격을 받 아 멸망하였고, 영일만 일대는 신라에 편입되었다. 그러자 실직국은 해상활동과 함께 영일만 일대를 활용하고자 신라에 자진 항복하였다. 실직국이 항복한 이후 신라는 이 지역을 재지세력이 독립성을 유지한 채 통치 하는 간접지배 방식으로 계속 통치하다가, 5세기 말에 직접지배단계에 들어갔으며, 505년(지증왕 6) 실직주를 설치하였다. 이로써 삼척지역은 신라의 동해안 북변으로 진출의 중요한 군사적 전진기지가 되었다. 신라는 중고기에 이르러 동북방으로 진출은 동해안 연근해 해로를 최대한 활용 하여 북방의 거점 확보에 노력하면서, 동시에 육로로 진격하여 영역을 확보해 나가는 육해 양동작전을 수행하였다. 이사부는 505년 실직군주에 임명되자 중앙 정부에 선박 이용의 중요성을 건의하여 관련 제도를 정하게 하였다. 또 지증왕대 낙동강유역 금관가야 지역을 점령한 공로로 받은 가야계 사람들을 동북방 지역으로 사민시켜, 그들이 보유한 선진 해양기술을 접합시키고, 실직지역에서 군대를 양성 하여 수군기지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512년 하슬라군주로 옮긴 뒤 우산국을 정복 하였다. 우산국 정벌군의 주력 부대가 출항한 곳은 삼척지역이다. 결국 이사부는 우산국을 정복함으로써 그곳의 토산물 수취와 동해 해상권을 장악하여 경제적 부를 확보하였고, 그 결과 정치군사적 영웅이란 명망과 함께 곧이어 중앙 정계에 화려하게 복귀하였다. This study will reveal the substance of Siljikgokguk(悉直谷國) and Siljikguk(悉直國) and illustrate with Silla’s expansion to North-east, installation of Siljikju(悉直州), Isabu(異斯夫)’s marine activity, and the departure of an expeditionary force to Usanguk (于山國). Siljikguk lost its intermediate trade in Siljikgokguk near Eumjeupbeolguk(音汁伐國) because it became embroiled in a territorial dispute. Silla occupied the region of Yeongil Bay(迎日 灣) after it overthrew Eumjeupbeolguk. Hence Siljikguk surrendered by itself to Silla in order to maintain its power in the bay for its marine activities. After its submission, Silla governed this region under the indirect rule. At the end of 5th century, it changed its governing style to direct rule and it also installed Siljikju in 505. Finally, Samcheok(三陟) region became an important military advance base for Silla’s expansion toward north boundary on its eastern seaboard. Silla utilized littoral sea on its eastern seaboard to gain a strategic foothold and, at the same time, it advanced by land for territorial expansion. Since lsabu was appointed as Siljilgunju(悉直軍主), he requested the system of determining the usage of vessels to the central government. Furthermore, he transplanted people from Gaya(加耶) to the northeast region in order to absorb their advanced knowledge of maritime technique for its military training and establishment of its naval forces. Its consequence is Silla’s invasion of Usanguk in 512 with an expeditionary force from military bases in Samcheok region. Eventually, Isabu conquered Usanguk, he secured economic wealth by rulling the maritime power and taking possession of indigenous product from Usanguk. Also he returned to the center of political arena with the fame as a political-militarily hero.

      • KCI등재

        동해안 항포구의 자연환경 입지분석을 통한 우산국 정벌의 출항지 검토

        장동호 ( Dong Ho Jang ),김장수 ( Jang Soo Kim ) 한국지형학회 2010 한국지형학회지 Vol.17 No.3

        In this study, location evalu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of ports in the Joseon Dynast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utport of east coast for the conquest of Usanguk. As a result of study, there were 55 ports and naval stations in the Joseon Dynasty, including the Yeongokpo, Aninpo, Samcheokpo, Susanpo, and Wolsongpo. As a result of the restoration work in the sea level that was done in the sixth century, the sea level at that time was about 1m higher than that at present. In terms of the location type, three types were identified via natural-environment analysis. Location type I consists of a total of 21 ports suitable for defense due to the sand spit in all the sides and because it is located in the bay of small and medium rivers. Location type D is composed of 22 ports close to the open seas, and location type ill consists of a total of 12 ports centering on the bay. A total of nine ports satisfied the location factor in the shortest distance analysis(targeting location type 0, 15 ports in the slope analysis, 13 ports in the hinterland analysis, 13 ports in the visibility analysis, and 11 ports in the ocean current analysis. It was found in the final evaluation that the I level regions consist of two ports(Obunjin and Mangyangjin). Obunjin has a location characteristic that is advantageous for defense and that makes it suitable to serve as an anchorage harbor for a large-scale fleet as its water level is deep and as it has a wide embayment. In conclusion, Obunjin is considered the oulport that has the highest possibility of serving as lsabu`s departure port for the conquest of Usanguk.

      • KCI등재

        신라 지증왕대 동해안 지배와 우산국 정복

        임평섭(Lim, Pyeong-Seob) 부산경남사학회 2016 역사와 경계 Vol.99 No.-

        지증왕대 이루어진 우산국 정복은 신라의 첫 번째 해양을 통한 대외원정이었다. 이에 대해서 기존의 연구들은 우산국 정복을 주도한 이사부에 초점을 맞추거나 울릉도나 독도 점유권의 역사성을 강조하는 논지들이 주로 논의되었다. 하지만 우산국 정복은 5세기 이래 신라의 변화가 반영되어 이루어진 중장기적인 사건의 결과였다. 이는 동해안에 대한 신라의 영향력이 강화되는 시점에서 우산국에 대한 조치가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주목되는 것이 지증왕대 강조된 지방통치체제의 정비와 함께 수운에 대한 통제와 관련한 조치들이다. 이러한 변화는 동해안 세력과 교류를 통해 독자적인 생활을 유지하던 우산국의 상황과 대치되었다. 이에 우산국은 동해와 동해안에서 신라의 영향력을 약화시키고자 하였다. 결국 신라는 방어적인 전략에서 나아가 적극적인 확장을 통해 우산국에 대한 정복을 단행하였다. 이와 같은 사안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신라의 관점에서 전하고 있는 사료에 대한 해석을 재검토하고, 당시의 정황을 함께 고려함으로써 그 양상을 균형 있게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이는 신라를 중심으로 해석하는 관점에서 나아가 신라와 관계한 동해안 재지집단, 우산국의 상호 관계를 강조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신라에게 있어서 우산국 정복은 동해안에 대한 통제권을 안정시켰으며, 우산국은 정치경제적 고립을 벗어나 육지와의 교류를 지속할 수 있게 되었다는 의미를 지닌 사건이었다. Conquest of Usanguk in the reign of King Jijeung was first military expedition to foreign country through the sea in Silla dynasty. In regard to this,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on Isabu who led conquest of Usanguk or dealt with point to emphasize historical legitimacy of control over Ulleungdo or Dokdo. However, conquest of Usanguk was a result of mid and long term event. Silla strengthened military defence for the East sea coast. As a result, the area became stabilized gradually. The increase of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5th century made in the process brought surplus products. Accordingly, move and exchange of products to the capital city increased. This was led by marine activity with the medium of the East sea. To continue this, Silla strengthened control over supporting groups in the East sea coast. This change collided with situation of Usanguk that had continued independent life through exchanges with groups in the East sea coast. Usanguk plundered the East sea coast to reduce influences of Silla on the Est sea coast. Silla aimed at expanding to the sea to conquer Usanguk going beyond existing defensive strategy.

      • KCI등재

        울릉도의 고분을 통해서 본 신라중대의 지방통치

        한준수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논총 Vol.41 No.-

        울릉도는 적어도 청동기 시대부터 인간이 거주하기 시작했으며, 독자적인 해양문화를 형성했다. 고고학적 연구를 통해 의미있는 성과가 나왔는데, 6세기 중반부터 10세기를 하한선으로 하는 토기편년이 제시되었다. 대체로 신라 중·하대와 궤를 같이 한다. 우산국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나타난다. 고구려 등 한반도 북부의 국가들과 교류가 있었던 것으로 여겨지며, 중국측 기록에는 3세기 무렵부터 등장한다. 사료를 보면 우산국은 전래된 대륙문화를 토대로 하여 일정한 수준의 문화를 향유하며 정치체를 형성하였고 남으로는 왜 등과 교류를 하였다. 이 무렵 신라는 5세기 후반의 국력신장을 바탕으로 지증왕대 이사부를 보내 우산국을 정복하였다. 정복 이후 직접적인 지방통치를 시도하였고, 행정실무를 수행하는 촌주를 설치하였다. 직접지배에 따른 지역민의 반발과 반신라적 정서를 차단한 것이다. 외형적으로 기존 사회정서를 유지하면서 실질적으로 신라의 통치력을 침투시킨 것이다. 문헌에 보이는 석불, 석탑, 쇠종은 이 곳에 불교가 존재했음을 보여주는데 지역민의 삶과 신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8∼9세기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청동제 불상의 존재는 그러한 가능성을 높여준다. 신앙은 지역민과 병사들에게 결속과 안정을 제공했다. 신라는 사찰을 세우고 불교를 포교하며 그들을 신라인으로 동화시키고자 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사찰이 존재했던 곳이 우산국의 치소(治所)였을 것인데, 현재의울릉도 서북부 현포지역으로 추정된다. 기와 조각 등의 유물이 출토된 사실은 이를 뒷받침한다. 고대사회에서 기와는 관청에서만 소비된다는 점에서 근거는 충분하다. 서북쪽의 현포, 북동쪽의 천부, 남서쪽의 남양은 모촌(母村)으로 추정되며,주변으로 자촌(子村)이 분화되어 갔다. 그런데 삼국통일 이후 전개된 한반도 정세와 일본의 동향은 변화를 촉발했다. 신라가 당군을 몰아내면서 나당연합이 나당전쟁으로 변질되어, 배후세력인 일본은신라에게 위협이 되었다. 성덕왕대 당과 발해가 전쟁을 하면서 당과 신라가 우호관계로 전환되자, 발해는 일본과 친선관계를 조성하여 견제하였으므로 이들의 밀착을 방관할 수만은 없었다. 특히 경덕왕대 일본은 신라정벌계획을 추진했다. 이에 따라 동해에 위치한 우산국은 군사적 해양거점으로 운용되었다. 발해의 일본사행로는 ‘함경도-동해연안-울릉도-독도-오키섬-산인’으로 연결되는 항로가 기본 루트였다. 이는 대양항해의 위험성을 줄여주는 동시에, 울릉도와독도 등 명확한 조타목표가 존재하여 항해의 효율성도 높았다. 주요항로가 울릉도를 조타목표로 했으므로 신라는 능동적으로 대응했다. 선박통행을 감시하거나 군사력을 이용하여 상호 교섭을 차단하였다. 동시에 고립된 해양공간으로 외부의 침략에 취약한 이 곳을 지키기 위한 대비책도 시행하였는데 신라본토의 통치질서와근본적으로 다르지 않았다. 우산국은 지리상 고립되어 있었지만 신라의 영역으로서 중·하대 지방통치체제 내에 존속하며 동시대에 존재하고 있었다. In Ulreungdo(울릉도), people have been residing since at least the BronzeAge, and they created an independent marine culture. Meanwhile, meaningfuloutcomes were produced from archeological research, and earthenwarechronicles that ranged from the mid-sixth century to the tenth century wereproposed. Overall, there is a similar type of appearance to that from themiddle and later Silla periods. The perception of Usanguk(于山國) appears from a relatively early period. Usanguk(于山國) is believed to have made exchanges with countries in thenorth of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Goguryeo(高句麗), and this countryappears in Chinese literature from around the third century. In looking intohistoric literature, Usanguk(于山國) formed its political system while enjoying acertain level of culture based on Chinese culture that had been passed down. Then, it was involved in exchanges to the south with Japan. Around this period, Silla conquered Usanguk(于山國) by sending Isabu(異斯夫) during the reign of King Jijeung(智證王) as part of the extension of Silla’snational power around the fifth century. Silla attempted direct control overlocal regions after the conquest, and established administrative villages inwhich the village head stayed and carried out administrative affairs. This wasa means to block resistance from local residents and their anti-Silla emotionsfollowing direct rule. In this way, Silla was able to penetrate that area withtheir ruling power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social order externally. The stone Buddha, stone pagodas, and steel bells mentioned in literatureshow that Buddhism existed in this area; this affected greatly the lives andfaith of local residents. The existence of a bronze Buddha statue that isestimated to have been manufactured between the eight to ninth centuriesraised such a possibility. Faith offered unity and stability to local residents andsoldiers. Through the construction of Buddhist temples and propagation of166 … 한국학논총 (41)Buddhism, Silla tried to assimilate the residents as people of Silla. Also, the location of such Buddhist temples must have been the rulingcenter of Usanguk(于山國), and this is believed to have been the northwesternHyeonpo(현포) area of current Ulreungdo(울릉도). This is proven by theexcavation of remains such as the pieces of traditional roof tiles because rooftiles were only used for government offices in this ancient society. Hyeonpo(현포) in the northwest, Cheonbu(천부) in the northeast, and Namyang(남양) inthe southwest are estimated to be the main villages with minor villages spreadaround them. Meanwhile,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rend ofJapan, which had emerged since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prompted changes. As Silla expelled soldiers of Tang(唐), the alliance betweenSilla and Tang deteriorated into a war between Silla and Tang; while Japan,which was the de facto power, became a threat to Silla. As the relationshipbetween Tang and Silla became friendly along with the beginning of a warbetween Tang and Balhae(渤海)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deok(聖德王),Balhae formed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Japan in order to keep them incheck. As a result, Silla could not overlook such a close relationship betweenBalhae and Japan any more. In particular, Japan pursued a plan of conquesttowards Silla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deok(경덕왕). Accordingly,Usanguk, which was located in the East Sea, was used as a strategic, marinemilitary point. Concerning a diplomatic visit to Japan by Balhae, the basic sea route wasthat from Hamgyeongdo(함경도)–the coastal area of the East Sea(동해)–Ulreungdo–Oki Island(오키섬)–Sanin(산인). This reduced the risk of sailingon the open sea while also increasing sailing efficiency owing to the existenceof clear navigational goals such as Ulreungdo and Dokdo. Since the main searoute used Ulreungdo for navigation, Silla resp...

      • 이사부 해양정신과 리더십

        정진술 한국이사부학회 2014 이사부와 동해 Vol.8 No.-

        The naval force of Shilla has been gradually fortified during the defense against Japanese invasion and Isabu conquered Usanguk at the beginning of 6th century by leading the fortified naval force of Shilla. The battleships of Isabu left the port of Samcheok in the afternoon and went towards Ulleungdo Island following the normal direction ocean navigation, which was safe ocean navigation in the primitive ocean navigation ages.The first aspect of maritime spirit of Isabu is the adventurous challenge spirit. The reason why young people of Shilla were not afraid of going out to the ocean is based on the navigation leading to conquest of Usanguk by Isabu, which was an adventure that needed a very special courage at that time. The second aspect of Isabu's maritime spirit is the pioneer spirit. Shilla developed rapidly during the reign of King Jijeung, Beopheung, Jinheung in the 6th century, annexed Usanguk with Gaya, and gained control of Hangang River basin. Isabu played the central role in this territorial expansion. The third aspect of Isabu's maritime spirit is the spirit of great commander of the ocean. The great commanders of the ocean who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our country's history include Yi Sun-Shin, Jang Bogo and Isabu. Isabu can be the first great commander of the ocean in our country. The first aspect of Isabu's leadership is establishment of the base of Shilla's naval force. The naval force of Shilla strengthened its base during Usanguk conquest, and repeated its development to demonstrate its ability during the battles that led to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The second aspect of Isabu's leadership is management of state based on "Chuljangipsang", which means that one becomes a general in battleground, and the prime minister in Royal Court. Isabu, who was good at both literary and military arts, laid the foundation of Shilla development through "Chuljangipsang" spirit during more than 60 years of service. 신라 수군은 왜의 침입에 대한 방어과정에서 점차 강화되었고, 이사부는 강화된 신라 수군을 거느리고 6세기 초에 우산국을 정벌하였다. 이사부의 전선들은 삼척포구를 오후에 출항하여 원시항해술시대의 안전한 대양항해술인 정방향 대양항해술에 따라 울릉도로 향했다. 이사부 해양정신의 첫째는 해양 진취적 도전정신이다. 신라 청년들이 바다로 나가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았던 배경에는 이사부의 우산국 정벌 항해가 있었다. 우산국 정벌 항해는 당시로서는 모험이었고 매우 특별한 용기를 필요로 했다. 이사부 해양정신의 둘째는 선구적 영토 개척정신이다. 신라는 6세기 지증٠법흥٠진흥왕 때에 비약적으로 성장하여 우산국과 가야를 병합하고 한강 유역을 장악했다. 이사부는 이러한 영토 확장의 중심에서 활약했다. 이사부 해양정신의 셋째는 계보를 잇는 수군 명장의 정신이다. 우리나라 역사의 전개방향에 큰 영향을 끼쳤던 수군 명장은 이순신, 왕건, 장보고, 이사부라 할 수있다. 이사부는 우리나라 최초의 수군 명장으로 자리매김 될 수 있다. 이사부 리더십의 첫째는 신라 수군의 기반 구축이다. 신라 수군은 이사부의 우산국 정벌작전에서 그 기반이 다져지고, 이후 발전을 거듭해 삼국통일전쟁기에 그 실력이 크게 발휘되었다. 이사부 리더십의 둘째는 출장입상의 국가운영 리더십이다. 출장입상은 전쟁터에 나가면 장수로, 조정에 들어오면 재상으로 활약한다는 뜻이다. 이사부는 문무를 겸전한 인물로 60여 년간 관직에 있으면서 출장입상하며 신라 발전의 초석을 쌓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