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북미 4개 도시 커뮤니티가든 사례조사에 의한역할과 특성 비교 연구

        신명진,최정민 한국조경학회 2018 韓國造景學會誌 Vol.46 No.6

        As urban regeneration and revitalization project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in Korea, interests in residentialenvironment, landscape improvement and community activities have risen, resulting in increased interest in community garden,a type of urban agriculture. However, the concept of community garden in Korea is yet to be defined apart from the generalconcept of urban agriculture. Also, any discussion regarding a practical scheme for community gardens remains nascent. Therefore, in order to define and to understand community gardens, and to draw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communitygarden research in Korea, this study conducted a preliminary field survey of four North American cities from where theidea of community gardening originates. A total of 166 community gardens in Seattle, New York, Philadelphia and Vancouver were visited during this survey. Four community gardens from each city were selected for further analysis, with particular emphasis on spatial organizationand social func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mmunity gardens in each city perform a diverse array of functionsdepending on location, type and societal needs. Community gardens in Seattle and Vancouver, which may be classifiedas ‘uptown,’ focused on their roles as fields of ‘community participation.’ Those in New York and Philadelphia, whichare classified as ‘downtown,’ emphasized their function in ‘urban beautificat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communitygardens in North America serve their roles as urban amenities and multi-functional public spaces for the entire local population.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s is that considerations for the social roles the community gardens serve and the spatial elementsthat allow the space to perform such functions are necessary for the further developments in the community garden researchin Korea. 국내 주거재생 및 도시재생 사업이 활성화됨에 따라 주거환경 및 경관 개선, 그리고 공동체 활동에 대한 관심 증대로인해 도시농업의 일종인 커뮤니티가든에 대한 관심 역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커뮤니티가든에 대한 인식은 아직도시농업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실천방안 논의 역시 기초 단계에 머물러 있는 현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커뮤니티가든의 발상지인 북미 4개 도시 커뮤니티가든의 현황을 직접 현장 조사하고, 공간적 구성 및 사회적 기능을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사례 도시별 커뮤니티가든의 특성을 탐구하여 국내 커뮤니티가든 연구에 있어 유의미한 시사점을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커뮤니티가든이 활발하게 운영․관리되고 있는 시애틀, 뉴욕, 필라델피아와 밴쿠버등 4개 도시의 총 166개 커뮤니티가든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한 후, 각 도시별 커뮤니티가든 4곳을 선정하여 분석을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각 도시의 커뮤니티가든은 입지 성격 및 사회적 수요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이확인되었다. ‘근교외’ 도시인 시애틀과 밴쿠버 커뮤니티가든의 경우, ‘참여’의 장으로써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는 반면,‘도심’에 위치한 뉴욕과 필라델피아 커뮤니티가든은 ‘경관 미화’의 기능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북미 커뮤니티가든은 전체 지역사회를 위한 다목적 공공 공간으로써 도시 어메니티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고 있는데, 이는 국내커뮤니티가든 연구에서 커뮤니티가든의 사회적 기능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공간적 구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암시한다.

      • KCI등재후보

        OOH 광고 미디어로서의 디지털 사이니지에 관한 탐색적 연구

        문철수(Chul-Soo Moon) 한국옥외광고학회 2010 OOH광고학연구 Vol.7 No.4

        본 연구는 디지털 사이니지 형태의 OOH 미디어가 새로운 광고 매체로서 입지를 강화해 나가고 있는 현실 속에서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한 특성과 유형 등을 탐색해 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사이니지는 새로운 광고 미디어 뿐 아니라 새로운 마케팅 수단으로서, 더 나아가 새로운 문화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살펴보기 위해 현재 국내외적으로 시현되고 있는 주요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물들에 대한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디지털 사이니지가 새로운 광고매체로 주목받을 수 있는 요인은 다양한 멀티 미디어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 특정 장소와 시간에 따라 단말기별로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능력, 수용자와의 상호 접촉성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향후 개선해야 할 문제점으로는 송출 방식에 있어서의 기술적인 표준 마련, 광고효과 측정 방법의 개발, 주위 환경과 경관에 대한 배려 및 법규 준수 등을 꼽을 수 있겠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옥외 환경 개선 및 총체적인 도시 미관을 염두에 둔 한국적 현실을 감안한 디지털 사이니지 운영방안 전략 수립에 대한 제안을 담고 있다. This research has been studi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digital signage on OOH media as a new advertising media which is consolidating its position recently. Digital signage is spotlighted throughout the world not only as new advertising media but also as new marketing tools, furthermore as new culture means. To explore these conditions, the case study has been analyzed on major digital signage advertisements which manifested internationally and domestically. As a result, the primary factors of digital signage as a new advertising media are practical uses of various multimedia technologies, ability to control the specific time and place by each terminals, and interactivity with users. On the other hand, some points of view which need to be improved for the future are preparation of technical standards on transmission method, development of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consideration of surrounding environments and sceneries, and compliance with legal requirements. In conclusion, this study is offering strategies of digital signage operating plans considering situations of Korean reality of outdoor environmental improvements and overall urban beautification.

      • KCI등재

        「도시미화법」을 통해 본 김정은 체제 도시공간정책 의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강연주,권영상 한국도시설계학회 2019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0 No.6

        Kim Jong-un’s regime emphasizes the construction of a city to forge the Socialism-Fairyland, but the landscape of Pyongyang under the reign of Kim Jong-un is very similar to what we see in the capitalist c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of urban spatial policy based on the Socialism-Fairyland envisioned by the Kim Jong-un regime. This study analyzes the composition of the Urban Beautification Act, which was enacted when the reign of Kim Jong-un commenced, and confirmed that Kim Il-sung’s instruction emphasizes on the importance of urban management led to the enactment of the Urban Beautification Act. The Act stresses the importance of the city’s visual image, the green spaces, and entertainment facilities, and related urban spatial policies actively carried out. Kim Jong-un’s regime also seems to be using the Socialism-Fairyland as political propaganda while mai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a socialist city. This study has limitations when it comes to discussing the changes of urban spatial policy in Kim Jong-un regime, as they are based solely on laws. However, it is meaningful that Kim Jong-un’s regime has identified some features of urban spatial policy through the Urban Beautification Act, which was enacted for the purpose of realizing this Socialism-Fairyland. 김정은 체제는 사회주의선경을 만들기 위한 도시 건설을 강조하고 있으나, 김정은 집권 이후의 평양은 자본주의 도시의 경관과 크게 다르지 않다. 본 연구는 김정은 체제가 강조하는 ‘사회주의선경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토대로 김정은 체제 도시공간정책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김정은 집권 직후에 채택된 「도시미화법」을 중심으로 관련 법령의 흐름과 구성, 내용을 분석하고, 도시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한 김일성의 교시가 「도시미화법」을 포함한 관련 법령의 채택으로 이어졌음을 확인하였다. 각 법령은 특히 도시미관, 원림화, 공원과유원지를 중복적으로 강조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도시공간정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김정은 체제는 김일성과 김정일 시대를 계승하면서 체제의 유지ㆍ강화를 위해 ‘사회주의선경’을 정치적으로 선전ㆍ선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법이라는 문헌자료만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한 한계가 있으나, 사회주의선경의 조성을 목적으로 제정된 「도시미화법」을 통해 김정은 체제 도시공간정책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