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활독일어 교재에 나타나는 어휘적 강조수단

        임성우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0 獨語敎育 Vol.47 No.-

        In der vorliegenden Arbeit versuche ich, die wichtigsten lexikalischen Hervorhebungsmittel in der umgangssprachlichen Situation zusammenzustellen. Als Grundlage der Arbeit dient ein Textkorpus von durchweg direkter Rede entnommenen Auszügen vom deutschen Lehrwerk 『Schritte International』. Dabei geht es um die Funktionen und Wirkungen der Hervorhebung, worunter ich hinsichtlich der Austinschen Sprechakttheorie Verstärkung und Abschwächung verstehe. Danach zeigt sich, dass die Hervorhebung mit ihren Funktionen der Verstärkung und der Abschwächung durch lexikalische Mittel bewirkt werden kann. Die Darstellung der lexikalischen Hervorhebungsmittel erfolgt auf dem Hintergrund der traditionellen Grammatik. Bei der Darstellung unterteile ich zunächst nach den Verstärkungsmitteln und dann nach den Abschwächungsmitteln. Die hier behandelten lexikalischen Hervorhebungsmittel bestehen meistens in der Hinzufügung bzw. im Austausch lexikalischer Elemente. Ein interessantes Ergebnis der vorliegenden Untersuchung ist die Vielfalt der Hervorhebungsmittel. Wegen der unübersehbaren Weite des hehandelten Gebietes der Hervorhebung bleibt die Arbeit noch unvollständig. 최근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교육 현장에서 화용적 요소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독일어 학습자가 일상적 대화상황을 잘 이해하고 교재를 좀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언어적 강조수단들에 대해서 관심을 좀 더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교수자는 학습자에게 단계별로 어느 정도의 언어 사용 능력을 전달할 것이며, 언어적 수단들이 어떠한 화용적 측면에서 사용되는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독일어 학습자가 언어적 강조현상을 인식한다는 것은 발화의 정확한 맥락뿐만 아니라 발화의도와 화자의 정서적 측면까지도 구분해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어적 강조현상은 의사소통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이한 현상이 아니라 오히려 전적으로 보편화되고 전형적인 일상적 담화의 필수 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 KCI등재

        참여와 관찰의 동시성 —가다머의 “놀이” 개념과 로렌쩌의 “장면적 이해”—

        최고원 범한철학회 2008 汎韓哲學 Vol.51 No.4

        In der Hermeneutik Gadamers ist das Verstehen nichts anderes als die Bestimmung unseres Seins, und man kann also daraus folgern, dass die Teilnahme am Verstehen und die Erfahrung darüber für uns universal ist. In dieser Universaltät ist vorausgesetzt, dass die Teilnahme und die Beobachtung sich nicht gleichzeitig ereignen können, und diesen Inhalt erklärt Gadamer ausführlich mit dem Begriff “Spiel”. Im Gegensatz dazu ist Habermas, der der Verstehenbegriff Gadamers kritisch reflektieren wollte, fest davon überzeugt, dass die Teilnahme und die Beobachtung sich gleichzeitig ereignen können. Und im szenischen Verstehen Lorenzers bemerkt er, dass der Fall passieren kann, in dem der Analytiker das Symptom seines Patienten beobachtet und gleichzeitig an der Situation teilnimmt, die mit der symptomatische Situation identisch ist. Im Verlauf der Analyse wiederholt der Patient seinem Analytiker ab und zu sein Symptom, und der Analytiker wird als Gegenstand des Symptoms seines Patienten an der Situation dieses Symptoms teilnehmen, wärend er als Analytiker das Symptom seines Patienten analysiert. Infolgedessen, wenn man diesen Inhalt auf die Gadamer—Habermas Debatte anwenden könnte, wäre es unvermeidlich, die Universalität der Hermeneutik Gadamers teilweise begrenzt zu werden. Deswegen, wenn Gadamer immer weiter diese Universalität behaupten wollte, müsste er unbedingt das szenische Verstehen Lorenzers überschreiten können. 가다머의 해석학에서 ‘이해함’(Verstehen)은 우리 존재에 대한 규정이며, 그에 따라 이해함에의 ‘참여’와 그에 대한 ‘경험’은 우리에게서 보편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보편성 주장 안에는 이해함에 대한 참여와 관찰이 동시에 발생할 수 없음이 전제되어 있는데, 그에 대해서는 그의 “놀이”(Spiel) 개념으로부터 상세하게 설명되고 있다. 반면에 이해함에 대한 비판적 반성을 시도하는 하버마스는 참여와 관찰의 동시발생이 전혀 불가능한 것이 아님을 확신하고 있다. 그는 로렌쩌의 ‘장면적 이해’에서 분석가가 환자의 증세를 관찰하는 동시에 그 증세와 동일한 상황에 참여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음을 보게 된다. 즉 분석의 과정에서 이따금 환자는 자신의 증세적 상황을 분석가에게 그대로 반복하게 되는데, 그때 분석가는 분석가로서 환자의 증세를 관찰하면서 환자의 증세의 대상으로서 그 증세에 직접 참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내용이 가다머—하버마스 논쟁에 적용될 경우, 가다머가 주장하는 해석학의 보편성은 불가피하게 제한될 수 밖에 없으며, 가다머가 만약 이전과 같은 의미의 보편성을 주장하려 한다면, 그는 반드시 로렌쩌의 장면적 이해를 넘어설 수 있어야만 할 것이다.

      • KCI등재

        DaF-교재에 나타난 독일어 입말의 규범 파괴에 대한 교수법적 제고- 『Menschen A1』와 『das Leben A1』를 중심으로

        민향기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21 獨語敎育 Vol.80 No.80

        Handelt es sich um fremdsprachliche Kompetenz in der alltäglichen Kommunikation, steht die gesprochene Sprache in verschiedenen Situationen ständig im Vordergrund des wissenschaftlichen und praktischen Interesses, weil sie als natürliche und alltägliche Kommunikation verstanden wird. Im Zuge dieses praktischen Bedarfs finden sich im Lehrwerk auch umgangssprachliche Äußerungen, die von der Standardsprache grammatisch und lexikalisch abweichen. In diesem Aufsatz werden zwei Lehrwerke ‘Menschen A1’ und ‘das Leben A1’ zur didaktischen Analyse ausgewählt. Die Untersuchung ergab, dass sich die sprachlichen Inhalte der beiden Lehrwerke stark voneinander unterscheiden. Während in das Leben A1 kaum umgangssprachliche Ausdrücke zu finden sind, enthält Menschen A1 hingegen relativ viele Ausdrücke, die gegen die sprachliche Konvention verstoßen. Deutschlernende Schüler in Korea lernen etwa seit den 90er Jahren nicht mehr für eine schulische Prüfung, sondern für das Leben in einem deutschsprachigen Land. Aus diesem Grund sollten koreanische DaF-Lehrwerk-Autoren in Erwägung ziehen, ob auch die im Alltag gesprochene Sprache ins koreanische Lehrwerk und in den Unterricht für DaF eingeführt werden sollte, damit koreanische Deutschlernende ihre kommunikative Kompetenz verbessern und erweitern können. 본 논문에서는 독일에서 발행되고 한국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독일어 학습교재에 입말이 얼마나 적용되고 있는지를 고찰한다. 그 범위는 언어의 체계적인 측면인 발음 Phonetik, 형태 Morphologie, 문장 Syntax 그리고 의미 Semantik 중에서 발음을 제외한 정서법, 문법 그리고 의미의 변이를 고찰하고, 화용적인 측면에서는 일상생활에서 해당 언어가 어떻게 발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언어사용의 추이를 분석한다. 분석할 교재는 『Menschen A1』와 『das Leben A1』 로 두 교재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분석한다.

      • KCI등재

        가다머의 해석학과 정신분석

        최고원(Choi Go-won) 대한철학회 2008 哲學硏究 Vol.108 No.-

        이 글의 목적은 ‘가다머의 해석학과 정신분석 사이에 어떤 관계가 형성될 수 있는가’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다. 가다머는 그의 해석학에서 인간을 이해하는 존재, 즉 ‘이해함’으로 규정했으며, 그에 대한 논의의 과정에서 이해함이 언어 그 자체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해함으로서 언어는 그에게서 예외 없이 일반언어, 즉 일상언어인데, 그것은 곧 이해함이 보편적으로 일상언어의 차원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그러한 견해는, 하버마스의 지적과 같이, 일상언어가 왜독될 가능성이 제기되는 곳에서 언제나 매우 심각한 곤란에 봉착하게 된다. 왜냐하면 가다머의 해석학에는 그러한 왜곡을 예방하거나 극복하기 위한 어떠한 계기도 담겨 있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에 왜곡 극복의 대표적인 사례로서 하버마스가 제시했던 정신분석 역시 해석학의 영역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 있다고 할 수 없는데, 그것은 분석가의 작업이 무엇보다 그 자신의 해석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분석가는 환자로부터 증세에 관련된 진술을 듣고 그것을 해석하며, - 그 해석에 환자가 동의할 경우 - 그의 증세는 극복되게 된다. 이것이 정신분석의 기본적인 골격이라고 한다면, 증세에 대한 분석가의 작업은 명백하게 해석학의 영역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런 면에서 하버마스의 주장도 마찬가지로 가다머의 견해에 대해서 일정한 한계를 보이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가다머-하버마스 논쟁에 관한 한, 어느 한편의 견해를 일방적으로 따라가기보다는 각각의 견해에 담긴 장점들이 상대방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 생각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