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古代韓國의陪墓 - 嶺南地域을中心으로

        김광명,정은정 한국문화유산협회 2009 야외고고학 Vol.0 No.6

        陪墓는 일반적으로‘한 무덤 옆에 딸린 무덤’으로 정의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배묘가 발생하는 시기는 청동기시대부터인 것으로 추정된다. 배묘는 자체적인 주검보호시설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殉葬(墓)과 차별화 된다. 청동기시대의 배묘는 주로 지석묘 주변에서 확인되며, 1기에서 3~4기까지 다양한 배치형태를 가지며 나타난다. 이후 木棺墓段階에서는 배묘의 존재를 찾을 수 없고, 木槨墓段階에 이르러서야 배묘는 다시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게 된다. 이때의 배묘는 목곽묘(主墓) 주변에서 주로 甕棺의 형태로 축조된다. 石槨墓(高塚)段階의 배묘는 주로 고총이나 대형 석곽묘의 봉토내에 혹은 호석열 주변, 또는 호석열에 잇대어 배치되기도 한다. 이때 배묘는 石槨, 橫口式石槨, 石槨甕棺, 甕棺등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진다. 石室墓段階는 석곽묘단계와 유사한 배치양상을 보이며, 배묘의 형태는 석곽옹관, 옹관 등으로 축조된다. 삼국시대의 배묘는 新 와 伽倻지역이 많은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단위지역 배묘의 형태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은 당시 시기별로, 지역별로 다양한 장례문화가 존재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배묘는 그 외형적인 면에 있어 主墓와 전혀 다를 바 없고, 부장유물도 역시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순장과 달리 자체적인 매장주체시설을 갖추고 있다는 점, 위신재 등의 유물을 다수 부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배묘의 피장자는 순장자보다는 높은 위계를 지닌 사람으로 볼 수 있다. 즉 배묘의 피장자는 당시 한 집단의 최상위계층 또는 차상위계층에 해당하는 지위를 가진 자들이거나 혹은 이런 사람들과 혈연적 또는 정치·사회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가진 사람들로 생각된다. 따라서 우리는 배묘의 존재를 통해 당시 사회구조의 일면을 이해할 수도 있을 것이다. A subordinate tomb is usually defined as 'a tomb attached to another tomb'. In the Korean peninsula, subordinate tombs are thought to have emerged in the Bronze Age. Subordinate tombs differ from sunjang (sacrificial) burials in that they had separate compartments used to protect the deceased. In the Bronze Age, subordinate tombs are found around dolmens and vary in the nature of their composition (subordinate tombs can number from one to up to three or four). Subordinate tombs are not found with wooden coffin tombs, and re-appear with the use of wooden outer cist tombs. In this case, subordinate tombs consist of jar coffins which are located around the wooden outer cist. Subordinate tombs of the stone lined tomb period consist of other stone lined tombs which can be located within the earthen mound of the central burial, or around or attached to the surrounding stone circle. Subordinate tombs of this period appear in various forms, such as the stone lined burial, stone lined burial with horizontal entrance, stone lined jar coffin burial, and jar coffin burial. The layout of subordinate tombs is similar in the stone chamber tomb period, with stone lined jar coffin burials and jar coffin burials used as subordinate tombs. The subordinate tombs of Silla and Gaya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differ significantly. These differences, which exist on a large scale, indicate the presence of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in terms of burial practices. Subordinate tombs and central tombs show similarities in terms of external appearance, as well as grave goods. In addition, the fact that subordinate tombs have their own burial compartments, unlike sacrificial burials, and contain prestige objects, illustrates that the deceased was of higher rank than those buried in sacrificial burials. It therefore appears that the deceased of subordinate tombs consisted of individuals of the highest or second highest rank or those closely related to them in terms of blood or political and social ties. Consequently, the presence of subordinate tombs may give us insight into the nature of past social structure.

      • KCI등재

        대구 구암동고분의 구조와 특징

        홍대우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022 야외고고학 Vol.- No.43

        The guam-dong tombs is a representative tomb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located in the northern part of Daegu, and it is known that 379 tombs exist. In this articl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uam-dong tombs were extracted by analyzing the structure of the three tombs excavated in the tombs and comparing them with other tombs in the reg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ructure of the tomb is the stone mound using a large amount of stone in the clay in the powdered form, and the stone column on the stone shaft is formed radially around the main body part inside the clay. The single tombs connected to the tombs are divided into the form of connecting the tombs to the tombs and the tombs, which are all symbolic of the hierarchies of the tombs. A subordinate tombs are formed along the stone lined main tomb, and the stone lined of subordinate tomb is attached to the main tomb and is formed in a long-slope circle. It was newly revealed that the center of the tomb range is not subordinate tomb but the appearance of the main tomb. This aspect was interpreted as refl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ordinator and the master in the tomb composition. All 11-character main and sub burial type in the tomb type, and the homogeneity of the tomb structure and excavated artifacts suggests that the friendship with the tombs in the Dasa area in Daegu area is assumed, and the quantity and hierarchy of the tombs suggest that the Guam-dong group had a certain influence on the construction of tombs in the Dasa area. The plane shape of the store main body is a characteristic micro-length shape in the tombs of Daegu are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main and the sub tomb, the length of the main and the gap between the main and the sub burial were reduced. Finally, the use of stone shafts in the construction of tombs is to reinforce the tombs of ground-type tombs,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y are related to the central forces of Silla through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tombs in Gyeongju. The structure analysis of the excavations in the Guam-dong tombs revealed that the stone-mound, stone-shaped sectional stone column and micro-length-shaped tomb shape are distinguished from other regions, and the tomb layout is homogeneous in the Nakdong River mesosphere. 구암동고분군은 대구의 북부지구에 위치한 삼국시대 대표 고분군으로 379기의 봉토분이 유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글에서는 고분군 내에서 발굴조사된 3기의 봉토분을 대상으로 그 구조를 분석하여 권역 내 여타 고분과의 비교를 통해 구암동고분의 특징을 추출한 것이다. 분석 결과, 고분의 구조는 분형에 있어 봉토에 대량의 석재를 사용한 적석봉토분이며, 봉토 내부에는 석축상의 구획석열이 주체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조성되어 전체 봉분을 완성한 형태이다. 봉토분에 연접된 단독고분들은 선축분에 연접하는 형태와 선축분 사이를 연결하는 형태로 구분되며, 이는 모두 후축된 고분의 위계를 보여주는 상징성으로 파악하였다. 배장분들은 본분의 호석을 따라 조성되는데, 배장분 호석이 본분의 호석에 붙여 장타원형으로 마련되고 있어 묘역의 중심이 배장고분이 아닌 본분의 외형임이 새롭게 밝혀졌다. 이러한 양상은 본분 피장자와 배장자와의 관계성이 고분 조성에 반영되어 나타난 것으로 해석하였다. 묘형에 있어 단독분은 모두 11자형 주부곽식인데, 고분의 구조와 출토유물의 동질성으로 보아 대구권역 다사지역 고분과의 친연성이 상정되며, 고분의 수량과 위계로 보아 구암동집단이 다사지역 고분 축조에 일정한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매장주체부의 평면형태는 대구지역 고분군 내에서도 특징적인 극세장방형이며, 주곽과 부곽과의 규모와 위치를 분석한 결과 주곽 대비 부곽의 길이가 줄고 양자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시간성이 확인되었다. 끝으로 묘곽 구축에 있어 석축이 사용된 것은 지상식 묘형의 묘곽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대구지역의 여타 고분에서도 확인되며, 묘형의 동질성을 갖는 지역적 특색을 반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구암동고분군 내 발굴분의 구조분석을 통해 나타난 적석봉토, 석축상 구획석열과 극세장방형 묘형은 다른 지역과는 구분되는 요소이며, 묘곽 배치는 낙동강 중유역권에 포함되는 동질성을 가지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