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古代韓國의陪墓 - 嶺南地域을中心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950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陪墓는 일반적으로‘한 무덤 옆에 딸린 무덤’으로 정의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배묘가 발생하는 시기는 청동기시대부터인 것으로 추정된다. 배묘는 자체적인 주검보호시설을 갖추고 있...

      陪墓는 일반적으로‘한 무덤 옆에 딸린 무덤’으로 정의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배묘가 발생하는 시기는 청동기시대부터인 것으로 추정된다. 배묘는 자체적인 주검보호시설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殉葬(墓)과 차별화 된다. 청동기시대의 배묘는 주로 지석묘 주변에서 확인되며, 1기에서 3~4기까지 다양한 배치형태를 가지며 나타난다.
      이후 木棺墓段階에서는 배묘의 존재를 찾을 수 없고, 木槨墓段階에 이르러서야 배묘는 다시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게 된다. 이때의 배묘는 목곽묘(主墓) 주변에서 주로 甕棺의 형태로 축조된다. 石槨墓(高塚)段階의 배묘는 주로 고총이나 대형 석곽묘의 봉토내에 혹은 호석열 주변, 또는 호석열에 잇대어 배치되기도 한다. 이때 배묘는 石槨, 橫口式石槨, 石槨甕棺, 甕棺등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진다. 石室墓段階는 석곽묘단계와 유사한 배치양상을 보이며, 배묘의 형태는 석곽옹관, 옹관 등으로 축조된다.
      삼국시대의 배묘는 新􆦯와 伽倻지역이 많은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단위지역 배묘의 형태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은 당시 시기별로, 지역별로 다양한 장례문화가 존재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배묘는 그 외형적인 면에 있어 主墓와 전혀 다를 바 없고, 부장유물도 역시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순장과 달리 자체적인 매장주체시설을 갖추고 있다는 점, 위신재 등의 유물을 다수 부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배묘의 피장자는 순장자보다는 높은 위계를 지닌 사람으로 볼 수 있다. 즉 배묘의 피장자는 당시 한 집단의 최상위계층 또는 차상위계층에 해당하는 지위를 가진 자들이거나 혹은 이런 사람들과 혈연적 또는 정치·사회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가진 사람들로 생각된다. 따라서 우리는 배묘의 존재를 통해 당시 사회구조의 일면을 이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ubordinate tomb is usually defined as 'a tomb attached to another tomb'. In the Korean peninsula, subordinate tombs are thought to have emerged in the Bronze Age. Subordinate tombs differ from sunjang (sacrificial) burials in that they had separate...

      A subordinate tomb is usually defined as 'a tomb attached to another tomb'. In the Korean peninsula, subordinate tombs are thought to have emerged in the Bronze Age. Subordinate tombs differ from sunjang (sacrificial) burials in that they had separate compartments used to protect the deceased. In the Bronze Age, subordinate tombs are found around dolmens and vary in the nature of their composition (subordinate tombs can number from one to up to three or four). Subordinate tombs are not found with wooden coffin tombs, and re-appear with the use of wooden outer cist tombs. In this case, subordinate tombs consist of jar coffins which are located around the wooden outer cist.
      Subordinate tombs of the stone lined tomb period consist of other stone lined tombs which can be located within the earthen mound of the central burial, or around or attached to the surrounding stone circle. Subordinate tombs of this period appear in various forms, such as the stone lined burial, stone lined burial with horizontal entrance, stone lined jar coffin burial, and jar coffin burial. The layout of subordinate tombs is similar in the stone chamber tomb period, with stone lined jar coffin burials and jar coffin burials used as subordinate tombs.
      The subordinate tombs of Silla and Gaya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differ significantly. These differences, which exist on a large scale, indicate the presence of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in terms of burial practices. Subordinate tombs and central tombs show similarities in terms of external appearance, as well as grave goods. In addition, the fact that subordinate tombs have their own burial compartments, unlike sacrificial burials, and contain prestige objects, illustrates that the deceased was of higher rank than those buried in sacrificial burials. It therefore appears that the deceased of subordinate tombs consisted of individuals of the highest or second highest rank or those closely related to them in terms of blood or political and social ties. Consequently, the presence of subordinate tombs may give us insight into the nature of past social struc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배묘의 개념 및 형식분류
      • 1. 배묘의 개념
      • 2. 형식분류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배묘의 개념 및 형식분류
      • 1. 배묘의 개념
      • 2. 형식분류
      • Ⅲ. 배묘의 전개양상@
      • 1. 목곽묘 단계
      • 2. 석곽묘(고총) 단계
      • 3. 석실묘 단계
      • Ⅳ. 배묘의 지역적 특성
      • 1. 신라지역의 배묘
      • 2. 가야지역의 배묘
      • V. 배묘의 사회적 의미
      • Ⅵ.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星, "호우총·은령총의 구조와 성격" 국립중앙박물관 2006

      2 박정화, "현풍-김천간 고속국도 건설구간 내 성주 시비실유적" 慶尙道文化財硏究院 105 : 2008

      3 주용립, "한국고대순장고" 연세대학교 1982

      4 한국고고미술연구소, "한국고고학개정용어집" 1984

      5 相吉, "청동기시대무덤에대한일시각" 碩晤尹容鎭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刊委員會 1996

      6 윤용진, "여주-구미간 중부내륙고속도로 13공구 구간내 나구역尙州屛城洞古墳群" 慶尙道文化財硏究院 8 : 2001

      7 이기문, "동아새국어사전" 동아출판사 1989

      8 金星, "대가야고총의상장례 in : 대가야의정신세계" 고령군대가야박물관 2009

      9 김일구, "금관가야의순장" 釜山大學校 2006

      10 權五榮, "고대 영남지방의 殉葬" 駕國史蹟開發硏究院 4 : 1992

      1 金星, "호우총·은령총의 구조와 성격" 국립중앙박물관 2006

      2 박정화, "현풍-김천간 고속국도 건설구간 내 성주 시비실유적" 慶尙道文化財硏究院 105 : 2008

      3 주용립, "한국고대순장고" 연세대학교 1982

      4 한국고고미술연구소, "한국고고학개정용어집" 1984

      5 相吉, "청동기시대무덤에대한일시각" 碩晤尹容鎭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刊委員會 1996

      6 윤용진, "여주-구미간 중부내륙고속도로 13공구 구간내 나구역尙州屛城洞古墳群" 慶尙道文化財硏究院 8 : 2001

      7 이기문, "동아새국어사전" 동아출판사 1989

      8 金星, "대가야고총의상장례 in : 대가야의정신세계" 고령군대가야박물관 2009

      9 김일구, "금관가야의순장" 釜山大學校 2006

      10 權五榮, "고대 영남지방의 殉葬" 駕國史蹟開發硏究院 4 : 1992

      11 南文化財硏究院, "경부고속철도경주덕천리건설구간내慶州德泉里遺蹟發掘調査Ⅱ in : 현장설명회 자료집 38" 2006

      12 曺永鉉, "高靈池山洞第73·74·75號墳發掘調査 in : 대가야의 정신세계" 고령군대가야박물관 2009

      13 金昌鎬, "高靈池山洞44·45號墳의殉葬制說에대하여" 伽倻文化硏究院 (9) : 1996

      14 김재현, "韓國의 殉葬硏究에 대한 檢討"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01 (01): 105-123, 1997

      15 金廣明, "靑銅器時代陪墓에 대하여" 石心鄭永和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刊委員會 2007

      16 尹容鎭, "陜川댐 水沒地區發掘調査報告5 陜川苧浦里D地區遺蹟" 慶尙南道 4 : 1987

      17 鄭澄元, "陜川苧浦里E地區遺蹟" 釜山大學校博物館 11 : 1987

      18 釜山大學校博物館, "金海安里古墳群Ⅰ" 8 : 1985

      19 申敬澈, "金海大成洞古墳群Ⅱ-13·18·29號墳-" 慶星大學校博物館 7 : 2000

      20 박승규, "金泉帽岩洞遺蹟Ⅱ" 南文化財硏究院 57 : 2003

      21 박승규, "達城汶山里古墳群Ⅰ Ⅱ地區M1·M2 號墳" 南文化財硏究院 96 : 2005

      22 慶柱, "西漢諸調査與硏究" 科學出版社

      23 村多加史, "第二章唐 の構造と景觀, 第四節“唐會要”‘陪葬名位’補注" 學生社 2001

      24 金星, "皇南大塚南墳의代와被葬者檢討" 韓國上古史學會 42 : 2003

      25 安春培, "甕棺墓에 나타난 古代社會의 變遷" 東亞大學校博物館 16 : 2000

      26 김광명, "漆谷京釜高速鐵道建設區間漆谷深川里遺蹟發掘調査報告書" 慶尙道文化財硏究院 37 : 2004

      27 박승규, "永川淸亭里遺蹟" 南文化財硏究 39 : 2001

      28 金星, "新高塚의殉葬" 韓國大學博物館協會 59 : 2002

      29 恩碩, "慶州凰南大塚構造에 대한 一考察" 東亞大學校博物館 50 : 1999

      30 相吉, "慶南의 支石墓 in : 지석묘 조사의 새로운 성과" 한국상고사학회 2003

      31 趙仁成, "慕本人杜-高句麗의殉葬과守墓制에관한一檢討-" 史學會 87 : 1980

      32 在賢, "弁·韓社會의考古學的硏究" 釜山大學校 2003

      33 朝·中合同考古學發掘隊, "崗上· 上" 興出版 1988

      34 韓國文化財保護財團, "尙州新興里古墳群Ⅰ~Ⅴ" 7 : 1998

      35 熙濬, "太王의墓主는누구인가?" 韓國考古學會 59 : 2006

      36 金星, "大邱旭水洞古墳群-近隣生活施設敷地內-" 南大學校博物館 40 : 2002

      37 金廣明, "大邱·慶山地域支石墓硏究" 2001

      38 朴天秀, "大加耶圈墳墓의編年" 韓國考古學會 39 : 1998

      39 尹容鎭, "大伽倻古墳發掘調査報告書" 高靈 4 : 1979

      40 박종익, "固城內山里古墳群Ⅱ" 國立昌原文化財硏究所 30 : 2005

      41 金鍾徹, "古墳에나타나는三國時代殉葬樣相-加耶·新지역을중심으로-" 尹武炳博士回甲紀念論叢刊委員會 1984

      42 김세기, "古墳資料로본大加耶" 啓明大學校 2000

      43 朴鍾燮, "南地方의古代甕棺墓에대한一考察"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1992

      44 董眞淑, "南地域粘土帶土器文化期의甕棺墓檢討" 釜山博物館 9 : 2002

      45 徐男, "南地域三韓·三國時代幼兒墓硏究" 慶大學校 2003

      46 김세기, "加耶의殉葬과王權 in : 加耶諸國의王權" 신서원 1997

      47 姜仁求, "三國時代殉葬墓의再檢討 in : 古墳硏究" 學硏文化社 2000

      48 이병도, "三國史記(下)" 을유문화사 1997

      49 양하석, "5~6世紀新 石槨甕棺墓硏究" 계명대학교 2007

      50 李熙濬, "4~5세기 신라 고분 피장자의 服飾品 着裝 定型" 한국고고학회 47 : 63-92, 2002

      51 熙濬, "4~5세기新의考古學的硏究" 서울大學校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for Archaeological Heritage -> Korea Cultural Heritage Associatio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2-1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영문명 : Korea cultural properties investigation and research institute association -> Korean Association for Archaeological Heritage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5 1.229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