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리운동 지도자의 소진요인 탐색

        양지혁 ( Jeehyuk Yang ),이재환 ( Jaehwan Le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5

        이 연구는 심리운동 현장의 지도자가 소진을 경험하는 요인을 탐색하여 심리운동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심리운동 지도자의 소진요인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였으며, 연구는 약 6개월 간 진행되었다. 유목적 표집을 통해 심리운동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심리운동 지도자 10명을 선정하였으며, 문헌 및 관련자료, 심층면담, 필드노트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Van Kaam(1969)의 4단계 분석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54개의 의미있는 진술과 부 주제 18개, 주제 7개가 도출되었고 내재적 소진요인(18)과 대인적 소진요인(18), 환경적 소진요인(18)으로 범주화되었다. 결론적으로 심리운동 지도자는 소진을 경험하기 쉬운 상황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심리운동사의 소진요인을 개선하기 위한 제도적 개선에 관련된 후속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burnout factors of instructors in the Psychomotoric domain and thereby to provide a fundamental material for promoting Psychomotoric. To achieve that, this researcher applied phenomenological research approach and conducted in-depth analysis on burnout factors of Psychomotoric instructors. This stud had been conducted for about six months. Through purposeful sampling, ten Psychomotoric instructors who were providing Psychomotoric service were selected. A variety of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ocument research, relevant data research, in-depth interview, and field note. For data analysis, the four-step analysis method of Van Kaam (1969) was utilized. As a result, 54 meaningful statements, 18 sub categories, and 7 categories were drawn. They were classified ito intrinsic burnout factors (18), interpersonal burnout factors (18), and environmental burnout factors (18). In conclusion, Psychomotoric instructors are exposed to the situation where they can easily undergo being exhausted. Therefore, it is expected to continue follow-up studies in terms of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burnout factors for Psychomotoric instructors.

      • KCI등재

        심리운동사의 안전공간 인식과 활용에 대한 고찰

        박인용 ( Park In Young ),김승용 ( Kim Seung Ryong ),이성규 ( Lee Sung Kyu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9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한국 심리운동사들의 안전공간에 대한 인식과 적용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아동을 지원하는 새로운 과제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안전공간에 대한 독일의 문헌을 검토하고 국내 심리운동 전문가를 면담하여 그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한국의 심리운동사들은 독일 연구자들이 제시한 안전공간 개념을 인식하고 현장에서 실천하고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심리운동사들은 안전공간의 의미에 대해 공통적으로 인식하였고, 아동의 안전공간과 치료사 자신의 안전공간에 대해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아동의 안전공간과 그 외부적 요인을 반영하여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심리운동 이론에서는 이를 ‘심리운동적 대화’ 라고 명명하고 있으며, 국내 현장에서 중요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음을 경험적으로 알 수 있었다. 독일 심리운동의 안전공간 개념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실천적 노력이 필요하며, 심리운동사들을 위한 관련 교육내용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new support project for children in the field of Korean Psychomotor by analyzing the experience of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the Safe Place through Korean therapist of Psychomotor. Method: Performed interviews with six therapists of Korean psychomotor and made a qualitative research and analysi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Five main subjects were resulted from the analysis as follows; (1) meaning of Safe Place (2) Children’s experience in the Safe Place (3) Therapists’ experience in the Safe Place (4) Practice examples reflecting Safe Place (5) Practice examples reflecting the external factors of the Safe Place. Korean therapists of Psychomotor were utilizing the Safe Place regardless of the recognition on the concept of Safe Place as the Safe Place had a same meaning with psychomotor. Therefore, a follow-up study on the specific measure and education development should be made to apply the concept of the Safe Place in German psychomotor to that of the Korean psychomotor.

      • NCS 기반 심리운동사 양성 방안

        김보민,문장원 한독심리운동학회 2016 심리운동연구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training program of psychomotor specialist based on NCS, which was required by the government to satisfy a mini- mum level of competence. For the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psychomotor specialist’s duties and the core competencies, and then suggested a training pro- gram for them. This study suggested six factors in their duties, such as diagnosis/assessment, counseling, interventio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case management in performance. It also suggested five factors in the core competencies, which were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psychomotor, ther- apeutic relationship, planned intervention, intervention implementation, intervention assessment and treatment. In terms of the training program for psychomotor specialist, this study suggested six strategies. First, we should decide on transition from psychomotor specialist’s certification in current system to new system. Second, we should decide on position of psychomotor in NCS classification system. Third, we should classify behavior duties and form their competencies unit according to their performance. Fourth, we should decide the minimum base level and content of job function area in psychomotor. Next, we should decide job performance and competencies unit according to eligibility level and rule. Finally, we should decide educational training time required to foster the psychomotor specialist.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가 요구하는 최소한의 능력 요구 수준을 제시하고 있는 NCS에 기반한심리운동사 양성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심리운동사의 직무와 핵심 능력을 검토하여, 심리운동사의 양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심리운동사의 직무로서 진단/평가, 상담, 중재, 개별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사례관리를 핵심 직무로 제안한다. 심리운동사가 갖추어 하는 최소한의 핵심 능력으로는 심리운동의 이론적 기초, 치료관계, 중재계획, 중재수행, 중재평가와 처치등 6가지로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심리운동사 양성 방안에 대해서는 첫째, 심리운동사 자격제도를 신자격으로 할 것인지 구자격으로 할 것인지를 먼저 결정하여야 한다. 둘째, NCS 분류체계에서 심리운동의 위치를 결정해야 한다. 셋째, 심리운동사의 직무를 분류하고, 직무에 따른 능력단위를 구성하여야 한다. 넷째, 직업기초기능 영역의 내용과 수준을 결정하여야 한다. 다섯째, 심리운동사의 자격 등급에 따른 직무와 능력단위를 결정하여야 한다. 여섯째, 심리운동사 양성에 필요한 자격 등급별 교육훈련 시간을 결정하여야 한다.

      • KCI등재

        심리운동사가 발달재활서비스 기관에서 체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고찰

        조가람,정기천 한국특수체육학회 2022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sychomotor instructors ‘difficulty’ experienced in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A total of 17 psychomotor instructor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henomenological method of Krueger(1998). As results, three categories were derived: First, main theme ‘The lack of clear definition and confusion in psychomotor’ was consisted of three sub theme : ‘An identity that cracks in academic ambiguity’, ‘Pressure that can interfere with the performance of complete psychomotor’, ‘Ignorance or misunderstanding about psychomotor’. Second, ‘Ablism prevailing in the field’ was consisted of two sub theme: ‘Excessive interest in short-term effects : the person who is treated like a game character’, ‘Child’s disabilities that can’t embrace : Wouldn't our child become the able-bodied?‘. Lastly, third main theme ’Meaning of difficulties in psychomotor instructors : compromise and consequences’ was derived.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necessary for the domestic psychomotor field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국내 심리운동사가 지도현장에서 경험하고 있는 ‘어려움’의 내용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국내 심리운동지도 현장에 내재해 있는 사회적, 문화적 맥락의 측면에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기획되었다. 이를 위하여 현재 국내 심리운동 지도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지도자를 유목적으로 모집하여 포커스그룹인터뷰 방식의 심층 면담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귀납적 범주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 첫째, ‘심리운동의 명확한 정의의 부재 그리고 혼돈’이라는 주제가 도출되었다. 해당 연구주제는‘학문적 모호성 속에서 금이 가는 정체성’과 ‘자신이 온전한 심리운동 실현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부담’ 그리고 ‘심리운동에 대한 무지 또는 오해의 현장’으로 세부화해 볼 수 있었다. 둘째, 국내 심리운동지도현장의 맥락을 이해할 수 있는 주제로는 ‘현장에 만연한 비장애 중심주의’가 도출되었으며 해당 주제는‘단기적 효과로의 매몰 : 게임 캐릭터처럼 다루어지는 아이들’과 ‘품을 수 없는 자녀의 장애 : 우리 아이가 비장애 아이가 되지 않을까?’라는 소주제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심리운동사가 경험하는 어려움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를 다룬 ‘심리운동사의 어려움의 의미 : 타협과 결과’라는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심리운동 현장에 필요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심리운동사의 경험연구

        전지수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2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심리운동사들의 심리운동치료과정에 대한 경험의 실체와 의 미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참여자는 심리운동치료 경력이 4년 이상 있는 9명의 심리운동사들로 2021년 11월 2일 부터 15일까지 전화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반구조화 개방형의 6개 질문을 사용하였고, 한 명당 2-3시간 의 인터뷰 시간이 소요되었다. 결과는 Van Kaam의 심리현상학적인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4개의 범주와 11개의 주제, 88개의 부주제를 도출하였다. 4개의 범주는 심리운동을 지속하게 하는 요소, 심리운동사의 자질, 심리운동 치료 과정에서의 어려움, 심리운동사의 업무환경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심리운동사들이 현장에서 끊임없이 치료를 위해 고민하고 앞으로 더 나아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연구 결과를 통해 심리운동사의 고충에 대한 이해와 개선방안을 마련하여 심리운동사들이 더욱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ubstance and meaning of Psychomotors' experiences in the Psychomotor treatment proces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nine Psychomotor history with more than four years of experience in Psychomotor therapy, and a telephone interview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 to 15, 2021. To this end, six semi-structured open-ended questions were used, and each person took 2-3 hours of interview time. As a result, Van Kaam's psychological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o derive 4 categories, 11 topics, and 88 sub-themes. The four categories consisted of elements that sustain Psychomotorik, qualities of psychomotor,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Psychomotorik therapy, and work environment of Psychomotor. This study showed that psychological activists are constantly thinking about treatment in the field and trying to move forwar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hope to lay the foundation for Psychomotor to grow further by understanding and improving their grievances.

      • KCI등재후보

        심리운동사의 현황과 실태

        마주리 ( Ju Lee Ma ) 대한아동복지학회 2010 아동복지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최근 심리운동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그 동안 배출된 심리운동사의 일반적인 특성과 활동현황, 그리고 심리운동사 자격 및 유지의 적합성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여 우리나라 심리운동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설문에 응답한 심리운동사 4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4개의 소주제에 총 37문항으로 구성한 설문지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운동사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연구대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57%, 남자가 43%, 연령은 30대가 38%, 40대가 31%, 학력은 학사 53%, 석사 이상인 자가 39%로 나타났다. 전공영역은 체육관련 전공자가 23%로 가장 많았으며, 직업은 심리운동사가 21%, 치료사가 19% 순으로 나타났다. 거주 지역은 서울·인천·경기도에 81%가 집중되어 있었다. 둘째, 심리운동사의 활동현황을 살펴보면, 연구대상자들 가운데 심리운동이 주 업무인 경우는 26%에 그쳤으며, 60%가 주 업무에 심리운동을 도입하여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운동에 대한 만족도는 주 업무가 심리운동인 경우, 응답자 모두가 만족하였으며, 주 업무에 심리운동을 도입하는 경우는 만족도가 77%로 나타났다. 심리운동을 실시하는 지역은 70% 이상이 서울·인천·경기도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대상은 유아가 67%, 아동이 56%로 나타났으며, 실시대상의 특성으로는 장애인이 79%로 나타났다. 실시기관은 복지관이 가장 많았고, 심리운동을 실시하는 시간은 주당 5시간 미만이 49%로 가장 많았다. 심리운동을 할 때의 어려운 점은 슈퍼비젼 부재와 정보부족이 각각 42%로 가장 많았다. 셋째, 심리운동사 자격 취득 및 유지에 대한 의견은 현재의 취득조건이 적절하다가 58%, 부족하다가 38%로 나타났으며, 자격 취득을 위해 보강해야 할 유형은 슈퍼비젼 시간이 35%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심리운동사의 자격유지를 위한 규정은 약 80%가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필요한 규정으로는 임상시간이 44%, 세미나 시간이 42%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위의 결과를 기초로 심리운동의 발전방향으로 독립된 치료 및 교육 방법으로의 자리매김, 지역 및 대상의 다양화, 심리운동사 자격 취득 및 유지를 위한 조건 강화, 연구활동의 지원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proposes future directions for psychomotor therapists in Korea, by carrying out a significant survey. This survey show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ctivities of psychomotor therapists and evaluates the appropriateness of qualification criteria that is used to acquire their certificate and to maintain their status. There were 43 subjects and 37 questions in this survey.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57% of subjects were women and 43% were men and 38% were in their 30s and 31% were in their 40s. 53% of subjects held bachelor`s degree and 39% held master`s degree. 23% of subjects majored in sports- related fields, and 21% of subjects worked as psychomotor therapists and 19% worked as other therapists. 81% of subjects liv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Only 26% of subjects were full-time psychomotor therapists, but 60% had other full-time jobs, but they combined psychomotor therapy into their full-time jobs. Their satisfaction of combining psychomotor therapy into their full-time jobs amounts to 77%. Psychomotor therapy was conducted more than 70%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Psychomotor therapy was applied to babies and children, but most of them were handicapped. The major organizations that carry out psychomotor therapy were Welfare centers, and 49% of subjects were carried out less than 5 hours a week. 42% of subjects had difficulty because of absence of supervision and lack of information. In adequacy of qualification criteria, 58% of subjects felt appropriate and 35% felt insufficient. In a type of reinforcement for qualification criteria, 35% of subjects responded in supervision time, and 80% of subjects were aware of necessity of rules for qualification maintenance. In a type of rules for qualification maintenance, 44% of subjects responded in clinical time and 42% responded in seminar time. In method of development of psychomotor therapy, 50% of subjects responded in public rela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future directions of psychomotor therapists were suggested. First, psychomotor education needs its own therapy and education method. Second, psycho therapy has to acquire more diversity of locality and subjects. Third, it requires reinforcement and maintenance of qualification criteria. Fourth, support for further research activities is needed.

      • 생활주제에 따른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동작활동 능력과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강혜정 한독심리운동학회 2015 심리운동연구 Vol.1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sychomotor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activities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More specific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pecific effects of the improvement of activities based on psychomotor program according to various daily life tasks performed by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pecific effects of the improvement of social skills based on psychomotor program according to various daily life tasks performed by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is observa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ly delays attending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N and J cities, Jeollabuk province. A group of 40 children was either in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according to chronological age (CA), intelligence quotient (K-WPPSI-Ⅲ), adaptive behavior quotient (KISE-SAB), which was calculated based on children’s intelligence quotient, adaptive behavior quotient, and sociality quotient. A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in evaluating the effects of the psychomotor program. The psychomotor program is derived from the theory and practice of psychomotor promotion of children (R. Zimmer, 1993) which is related to active topics included in health and social areas of kindergarten curriculum to improve children’s work activities and social skills. For this study, the program was modified based on study interests and featur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research study applied MOT 4-6(Motoriktest fur vier- bis sechsjahrige kinder) to evaluate the physical education and coordination proficiency of the psychomotor program. In addition, the Rating System-Teacher Form Elementary Level (SSRS) was used to evaluate the acquisition of interpersonal skills. The study was conducted over a period of 16 weeks from October, 2010 to January 2011 at the gym of the kindergarten in N city. The study consisted of 32 sessions and each session took 30 minutes.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Version 19.0)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sychomotor program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sychomotor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the activit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Second, the psychomotor program showed positive effects on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Future studies need to further examine a variety of skills which can be used in the psychomotor program. Thus, the program can help developmentally delayed children develop necessary skills both physically and interpersonally. Furthermore, a collaborative effort of parents and researchers need to develop a comprehensive list of general, necessary skills for the succes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in both home and school environments. 본 연구는 유치원교육과정에서의 생활주제에 따른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를 적용하여 발달지체유아의 동작활동 능력과 사회적 기술향상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 내 N시, J시에 선정된 발달지체 유아 20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동작활동 능력의 네가지 하위요소와 사회적 기술향상측정의 세가지 하위요소별로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행은 매회 30분씩 16주에 걸쳐 32회기를 N시내 단설유치원 체육실에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첫째, 심리운동 프로그램은 발달지체유아의 동작활동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심리운동 프로그램은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기술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볼 때 본 연구에서 적용한 생활주제에 따른 심리운동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동작활동 능력과 사회적 기술이 향상되었음이 검증되었고, 긍정적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나타났다.

      • KCI등재

        특수아동 부모의 심리운동 프로그램 선택 속성에 대한 우선순위 분석

        서덕원,정기천 한국특수체육학회 2017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lection attributes of special children's parents in psychomotor programs and perform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priorities of the attributes. For this purpose, the parents who participate in the psychomotor programs of their special children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research methods in analyzing the priorities of selection attributes was used in the order of data collection through open questionnaires, which were created by literature analysis and expert group meetings, and inductive content analysis. The importance of selection attributes was analyzed by using AHP Expert Choice 200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sychomotor program comprises three types of attributes; psychomotrician attributes (3), physical attributes (6), and psychomotor program attributes (5). Second, the importance and priority attributes of parents in selecting psychomotor programs for their special children are as follows: The importance of selection attributes was determined in the order of psychomotrician attributes (.687), physical attributes (.203), and psychomotor program attributes (.110).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iorities of the detailed selection attributes, the professionalism of the psychomotrician was determin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llowed by the reputation, kindness of the psychologist, specialty of the educational tools, safety and comfort of the facilities, distance between homes and facilities, convenience of program space and transportation, interest in and diversity of psychomotor programs, time and frequency of participation, appropriate attendance, and education costs.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reflecting the educational viewpoints of psychomotor programs pursuing the physical activity education and subject-oriented physical development, and they can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application of psychomotor programs in the field.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아동 부모의 심리운동 프로그램 선택 속성에 관하여 파악하고 속성간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특수아동을 심리운동 프로그램에 참여시키는 부모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분석과 전문가 집단 회의를 통해 개방형 질문지를 제작, 자료수집, 그리고 귀납적 내용분석 순으로 선택 속성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선택 속성들의 중요도 분석은 계층분석법(AHP) Expert Choice 20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아동 부모의 심리운동 프로그램 선택 속성으로 심리운동사 속성(3개), 물리적 속성(6개), 그리고 심리운동 프로그램 속성(5개)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아동 부모의 심리운동 프로그램 선택 속성들의 중요도및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다. 선택속성의 중요도는 심리운동사 속성(.687), 물리적 속성(.203), 그리고 심리운동 프로그램 속성(.110) 순으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세부 선택 속성들의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심리운동사의 전문성이 가장 중요한 속성으로 결정되었으며, 다음으로 평판조회, 심리운동사의 친절성, 교구의 전문성, 시설의 안전성, 시설의 쾌적성, 주거지와 근거리와 공간 그리고 교통이용의 편리성, 심리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 심리운동 프로그램 다양성, 참여시간 및 빈도, 적절한 참여인원, 교육비 순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움직임교육과 대상자 중심의 신체적 발달을 추구하는 심리운동의 교육적 관점이 반영된 결과라고 보여지며, 현장에서의 심리운동 프로그램 적용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한국 심리운동사 자격 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김윤태,김수경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5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5 No.4

        This study is the professionalism promotion of the Psychomotor specialist and mental state exercise related department new establishment is reqired as the interest about the psychological sports and demand increases recently. Accordingly, This study studies the Korea Psychomotor specialist model of curriculum development arou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trial sports education accomplished in the Psychomotor specialist acquisition of capacity agency and there is the purpose. Local and foreign literature and precedent researches related to the Psychomotor specialist and course of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re analyze. The curriculum of the domestic mental state exercise entitlement management organ and Germany Psychomotor specialist curriculum an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ental state motor area development rehabilitation subject was analyze with the research result and Korea Psychomotor specialist model of curriculum and it confirmed in the body, that is the mental state exercise outline and basic course, experience, material experience, social experience and movement observation, movement diagnosis, and side of the field application to be the part consistent. Finally, Korea Psychomotor specialist model of curriculum (not) was presented based on the contents of research of the acquisition of capacity of the Psychomotor specialist and keeping light. 본 연구는 최근 심리운동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심리운동사의 전문성증진과 심리운동 관련 학과 신설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심리운동사가 이수해야 할교육과정을 구체적으로 규명하고, 심리운동사 자격 취득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심리운동교육의 전반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 심리운동사 교육과정 모형 개발을 연구하는데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심리운동사, 교육과정과 관련된 국내외 문헌과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심리운동사 교육과정 모형으로 국내 심리운동 자격 관리 기관의교육과정과 독일 심리운동사 교육과정과 보건복지부 심리운동 영역 발달재활과목을 분석하여 심리운동 개론과 기본과정인 신체경험, 물질경험, 사회경험 그리고 움직임 관찰, 움직임진단, 현장적용의 측면에서 일부 부합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의 연구내용을 기초로 전문적인 심리운동사의 자격 취득 및 유지 등을 위해한국 심리운동사 교육과정 모형(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심리운동 프로그램 선택 속성에 대한 우선순위 분석

        서덕원 ( Seo Dukwon ),정기천 ( Jeong Kichon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7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심리운동 프로그램 선택 속성에 관하여 파악하고 속성간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아동을 심리운동 프로그램에 참여시키는 부모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분석과 전문가 집단 회의를 통해 자료수집, 개방형 질문지를 제작, 그리고 귀납적 내용 분석 순으로 선택 속성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선택 속성들의 중요도 분석은 계층분석법(AHP) Expert Choice 2000을 이용하여 자료처리 하였다. 분석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심리운동 프로그램 선택 속성으로 심리운동사 속성(3개), 물리적 속성(6개), 그리고 심리운동 프로그램 속성(5개)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심리운동 프로그램 선택 속성들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다. 선택 속성의 중요도는 심리운동사 속성(.687), 물리적 속성(.203), 그리고 심리운동 프로그램 속성(.110) 순으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세부 선택 속성들의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심리운동사의 전문성이 가장 중요한 속성으로 결정되었으며, 다음으로 평판조회, 심리운동사의 친절성, 심리운동 교구의 전문성, 시설의 안전성, 시설의 쾌적성, 주거지와 근거리와 공간 그리고 교통이용의 편리성, 심리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 심리운동 프로그램 다양성, 참여시간 및 빈도, 적절한 참여인원, 교육비 순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움직임교육과 대상자 중심의 신체적 발달을 추구하는 심리운동의 교육적 관점이 반영된 결과라고 보여 지며, 심리운동사들은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심리운동에 대한 질적인 향상을 위하여 지속적인 노력과 발전적 방안 모색이 필요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lection attribute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ents in psychomotor programs and perform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priorities of the attributes. For this purpose, the parents who participate in the psychomotor programs of their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research methods in analyzing the priorities of selection attributes was used in the order of data collection through open questionnaires, which were created by literature analysis and expert group meetings, and inductive content analysis. The importance of selection attributes was analyzed by using AHP Expert Choice 200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sychomotor program comprises three types of attributes; psychomotrician attributes (3), physical attributes (6), and psychomotor program attributes (5). Second, the importance and priority attributes of parents in selecting psychomotor programs for their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as follows: The importance of selection attributes was determined in the order of psychomotrician attributes (.687), physical attributes (.203), and psychomotor program attributes (.110).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iorities of the detailed selection attributes, the professionalism of the psychomotrician was determin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llowed by the reputation, kindness of the psychologist, specialty of the educational tools, safety and comfort of the facilities, distance between homes and facilities, convenience of program space and transportation, interest in and diversity of psychomotor programs, time and frequency of participation, appropriate attendance, and education costs.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reflecting the educational viewpoints of psychomotor programs pursuing the physical activity education and subject-oriented physical develop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psychomotricians need to take continuous efforts, and develop plans to improve the quality of psychomotri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