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SCISCOPUSKCI등재

        Peace Treaty versus Democratic Peace as a Peace Building Measure in Northeast Asia

        Chae-Han Kim 한국학술연구원 2021 Korea Observer Vol.52 No.3

        This paper compares and reviews the dissolution of wartime alliances and the promotion of democracy as a measure to build peace in Northeast Asia. First, since the Korean War remains in armistice without an official ending, a peace treaty to dismantle wartime alliances has been argued to establish a peace regime. Yet peace treaty is a doubleedged sword; although the treaty sometimes contributes to peace, it sometimes breaks down the deterrent of war and goes against peace. Second, democratic peace is a measure to establish a peace regime through the spread of democracy. Democratic peace, however, does not work in a simple manner. In order to pursue peace, democracy needs to be accompanied by the measure of historical peace that past affairs must be reconciled for peace. Shared values such as democracy and collective security will contribute to peace in Northeast Asia.

      • KCI등재

        평화와 통일, 순례를 위한 DMZ Peace Road의 구상

        오기성,주우철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9 평화학연구 Vol.20 No.4

        The Korean Peninsula DMZ is a symbol of conflict. As cooperation and reconciliation began in 2018, various discussions on the use of the DMZ have begun. Opinions are divided over whether it is the path of peace or the way of ecology. This study focuses on the notion of crack and destruction of relationships, wounds, healing and recovery on the road to peace. It is assumed that the keyword ‘relation’ is located to the road. The path to making peace begins with a fundamental refle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s, human relations, human relations, South and North relations, and community relations for global peace. It is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DMZ on the Korean Peninsula can be a bridge of peace, based on the restoration of the correct relationship between life and nature and human beings, humans and humans, humans and communities. The DMZ occupies a core position in the peaceful life of nature and human beings who conceive and nurture lif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also serve as a bridge to build peace in relations with others around the world. In this space, this study envisions the path of peace and peace in the DMZ, and the path of life and pilgrimage. 한반도 분단선 DMZ는 분쟁과 갈등의 상징이다. 2018년 남북화해와 협력이 시작되면서 DMZ의 활용방안에 대해서 다양한 논의를 시작하고 있다. 평화의 길이냐 생태의 길이냐를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 본 연구는 평화를 향한 길에서 ‘관계’의 균열과 파괴, 상처, 치유와 회복이라는 개념에 주목한다. 여기에 ‘관계’라는 키워드가 자리 잡고 있음을 전제하고자 한다. 평화를 만들어 가는 길에는 우선 그동안의 비평화적 현상으로 인해 왜곡되고 굴절된 자연과 인간의 관계, 인간과 인간의 관계, 남과 북과의 관계, 전지구적 평화를 이루기 위한 공동체간의 관계에 대한 근본적 성찰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시각에서 한반도의 DMZ는 생명과 자연과 인간, 인간과 인간, 인간과 공동체간의 올바른 관계회복에 기초하여 평화의 거점이자 교량일 수 있다. DMZ는 한반도에서 생명을 잉태하고 가꾸어 가는 자연과 인간의 평화로운 삶에 핵심적 위상을 차지한다. 또한 지구촌의 타자와의 관계에서 평화를 일구기 위한 교량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의미의 공간인 것이다. 그 공간을 본 연구는 DMZ에서 평화를 일구는 길, 지구촌의 평화를 이어주는 길이라는 의미부여하면서 스페인의 산티아고처럼 생명과 순례의 길이 되기를 구상한다.

      • KCI등재

        비전(非戰), 반군국주의, 비핵화로서의 평화: 일본 평화 개념사의 핵심

        이찬수(Yi, Chan Su)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8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3 No.2

        메이지 시대부터 전후에 이르는 일본의 주요 사상가들에게 평화는 ‘비전(非戰)’, ‘반군국주의(反軍国主義)’, ‘비핵(非核)’으로 대변되는 이상적 가치였다. 전쟁을 통한 군국주의적 팽창과 그로 인한 무력적 살상을 반대하면서, 각종 물리적 폭력의 가능성을 줄이거나 없애기 위한 메시지가 일본적 평화 담론의 요지였다. 20세기 후반에는 일본의 전쟁 책임을 반성적으로 의식하고, 핵무기와 같은 전쟁 병기를 거부하면서, 전쟁포기를 선언한 ‘헌법9조 수호 운동’ 및 반핵운동으로 확장되어가는 중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평화를 비전, 반군국주의, 비핵 등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것은 현실에서는 전쟁, 군국주의, 핵발전 등 그 반대의 흐름이 더 컸다는 뜻이다. 실제로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부터 패전 때까지 78년 동안 각종 전쟁이 끊이지 않았다. 전쟁은 정당화되었고, 정의로운 것으로까지 치부되었다. 현실에서는 ‘힘에 의한 평화론’이 늘 득세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록 ‘비’전(非戰), ‘반’군국주의(反軍国主義), ‘비’핵(非核)에 담긴 부정[非], 반대[反] 등의 언어가 주류였던 적은 없지만, 일본에서 평화와 관련된 목소리는 물리적, 특히 군사적 힘의 확대를 경계하고 비판하면서 오늘도 지속되고 있는 중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사정과 상황을 염두에 두고서 일본 내 평화 개념의 역사(the history of the concept of peace)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일본에서는 평화 혹은 그에 해당하는 가치를 누가 제기하고 어떻게 계승해 왔는지, 일본인은 지난 수세기에 걸쳐 평화의 의미를 어떻게 상상해왔는지, 일본적 평화의 원류에 해당하는 개념이 있다면 무엇이었는지 등을 역사적 흐름을 따라 정리해보려는 것이다. 특히 일본 평화론의 기념비적 역작인『日本平和論大系󰡕에 등장하는 안도 쇼에키, 요코이 쇼난, 나카에 초민, 우에키 에모리, 고토쿠 슈스이, 우치무라 간조 등은 물론, 요시노 사쿠조, 야나이하라 타다오, 가가와 도요히코, 일본국헌법(평화헌법), 마루야마 마사오 등의 사상가가 평화를 어떻게 상상했는지도 살펴보겠다. 이를 통해 일본 평화주의자들은 대체로 제국주의, 군국주의, 자본주의, 독재정치 등을 비판하고, 자유, 민권, 사회주의, 기독교 등에 입각한 비전/반전, 징병거부 등의 목소리를 높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헌법 9조 수호 운동 및 반핵 혹은 탈핵 등으로 세분화해온 일본 평화론의 현주소도 짚어보도록 하겠다. For major Japanese thinkers from the Meiji period to the postwar period, peace was an ideal value that had been represented by the ideas of “no- war”(非戰), “anti-militarism(反軍國主義),” and “non-nuclear(非核)”. The voices to eliminate, or reduce, the possibility of physical violence were a key to the Japanese peace discourse, while opposing the expansion of militarism through war and its violent killing. The concept of peace of Japan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can be summarized not only as a process of anti-nuclear movement but also as a campaign to defend Article 9 of the Constitution which renunciation of war was expressed while reflective awareness of Japan’s responsibility for the war arose and the renunciation of weapons, such as nuclear, was proclaimed. Understanding peace as no-war, anti-militarism, and denuclearization means that, in reality (of the 20th century of Japan), the opposite trends, such as war, militarism, and nuclear power, were superior. Practically, Japan continued to wage wars for 78 years from the Meiji period to the defeat in the Pacific War. The war was justified and even, regarded as just. In reality, ‘peace by power always prevailed. Although the negative prefixes such as ‘no-’, ‘non-’, and ‘anti-’ as in no-war, non-nuclear, and anti-militarism have never been mainstream; nevertheless, peace-related voices in Japan has been continuing to have a say in warning and criticizing the expansion of physical - and in particular, military - power. With these circumstances in mind, this paper would like to summarize the history of the concept of peace in Japan. This paper will examine historical streams to see who raised and inherited the peace or its values, how Japanese have imagined the meaning of peace over the past centuries, and what the concepts that correspond to the origin of Japanese peace were. Especially, this paper will look at how Japanese thinkers(Yoshino Sakuzo, Yanaihara Tadao, Kagawa Toyohiko, Article 9 of the Japanese Constitution(日本国憲法第9条), Maruyama Masao as well as Ando Shoeki, Yokoi Shonan, Nakae Chomin, Ueki Emori, Kotoku Shusui, Uchimura Kanzo and so on) in『A Compendium of Japan Peace Theory』(日本平和論大系), a monument to Japan s pacifism, imagined peace. This shows that Japanese pacifists have generally criticized imperialism, militarism, capitalism, and dictatorship, and raised voices toward no/anti-war and rejection of conscription based on freedom, civil rights, socialism, and Christianity. This paper will also look into the present state of Japanese pacifism, which has been subdivided into the movement for the defense of Article 9 of the Constitution, denuclearization, and/or anti-nuclear movements.

      • KCI등재

        한국의 평화 연구 동향: 명칭에 ‘평화’가 포함된 KCI 등재 학술지를 중심으로

        김상래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21 평화학연구 Vol.22 No.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cademic trends of peace studies, targeting five academic journals registered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with ‘peace’ in the title. The result shows that the research on ‘negative-passive peace’ focusing on unification or security is still the mainstream in those journals. However, the research on ‘positive-active peace’ is becoming more wide-spread due to the scholarly use of the irenological approach. In this context, two tasks in the future of peace studies in Korea are presented. One task is that not only ‘peace for unification’ but also ‘unification for peace’ must be studied. This means that ‘peace’ must go beyond ‘means value’ to become ‘purpose value.’ The other task is that not only ‘peace …ology (eg. peace psychology)’ but also ‘…-peaceology (eg. psycho-irenology)’ must be explored. Thus, the future trend of peace studies is not to study ‘peace’ with a specific academic approach, but to study a specific phenomenon with the irenological approach. 이 연구는 평화를 제목에 포함한 5개의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를 대상으로 평화연구의 학문적 동향을 탐색한 것이다. 결과는 그 학술지들에서는 여전히 통일이나 안보를 중심으로 한 ‘부정적-소극적 평화’ 연구가 대세임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평화학적 방법론에 대한 이해의 확대로 ‘긍정적-적극적 평화’ 연구도 확산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향후 한국의 평화학이 나아가야 할 두 가지 과제를 제시하였다. 첫째는 ‘통일을 위한 평화’뿐만 아니라 ‘평화를 위한 통일’도 연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평화가 ‘수단 가치’를 넘어 ‘목적 가치’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는 ‘평화 〇〇학’과 함께 ‘〇〇 평화학’도 연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평화심리학’뿐 아니라 ‘심리평화학’도 해야 한다. 이는 어느 특정한 학문적 접근법으로 평화를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평화학적 접근법으로 특정 현상을 연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평화교육의 장으로서의 신앙공동체에 관한 비판적 이해 : 평화공동체로서의 교회와 실천 과제를 중심으로

        박우영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79

        To deal with the theme of peace means to take care of the multi-layered problems of life. Through this process,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quality of relationships and to continue new relationships based on the community. Since the subject of peace is related to all areas of life, all people should become a peace-agent in achieving just peace. In particular, the church as a community of faith should not only become a peace-agent, but also form active moral agents through a peace education. It should responsibly pursue the common good and participate in the movement of realizing peace for the social transformation. By educating students about changing attitudes and behaviors that prioritize the value of peace, we aim to make real behavioral changes, that is, an active participation in building new relationships. The church has developed peace as a way of life in relation to various other people,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God who is the basis of existence and the center of values. In particular, we try to understand the church as a practical arena of peace education by redefining the new understanding of forgiveness, the emphasis on the relationship of life,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value of worldly power into the sharing and empowering power. Reading and naming the structure of social sin and evil is a very essential starting point of learning and pursuing peace as a way of life. It must be followed by concretely creating completely different relationships that recognize the intrinsic value of all beings. In addition, when the church accepts the responsible task of peace education, it will be possible to emphasize peace as a way of life in the public realm, motivating from the particularity of Jesus' peace ethic. This is directly related to the formation of a more just and humane community of life. 평화의 주제를 다룬다는 것은 삶의 다층적인 삶의 문제를 다룬다는 것이며, 이를 통해 공동체를 바탕으로 관계의 질을 증진시키고 새로운 관계성을 지속해가는 것을 중요시 하는 일이다. 평화의 주제는 삶의 모든 영역과 관계되어 있기에, 그 누구라도 ‘정의로운 평화’를 이루는 일에 평화 주체가 되어야 한다. 특히 신앙공동체로서의 교회는 평화의 주체가 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평화교육을 통해서 도덕적 주체를 형성하고, 평화를 이루는 공동의 실천을 통해서 공공선과 사회변혁을 책임적으로 지향해 나가야 한다. 평화를 최우선 가치로 여기는 태도와 행동의 변화에 관해 교육함으로써 실질적인 행동의 변화, 즉 새로운 관계를 맺어가는 참여를 목표로 삼는다. 교회는 존재의 근거와 가치의 중심이 되는 하나님과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다양한 타자와의 관계성 속에서 평화적 삶의 방식을 발전시켜왔다. 특히 용서에 대한 새로운 이해, 생명관계성의 강조, 그리고 세상적 힘의 가치를 힘의 공유와 부여로 전환시킴으로써 교회를 평화교육의 실제적 장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평화적 삶을 배우고 지향함에 있어서 사회적 죄와 악의 구조를 읽어내는 일은 매우 핵심적인 출발점이며, 모든 존재의 본래적 가치를 인정하는 전혀 다른 관계성들을 구체적으로 창출하는 것이 뒤따라야 한다. 또한 평화교육이라는 책임적 과제를 교회가 수용함으로써 예수의 평화윤리의 고유성으로부터 출발하여 보다 공적인 영역에서 평화적 삶의 방식을 책임적으로 강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보다 정의롭고 인간다운 삶의 공동체를 형성하는 일과 직결된다.

      • KCI등재

        독일의 평화 지향 역사교육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중등 II 역사 핵심교수계획(2014)의 사례-

        정용숙 역사교육학회 2020 역사교육논집 Vol.74 No.-

        This study examines Germany's peace-oriented history education, focusing on the state of North Rhine-Westphalia (NRW). In Germany, peace education in history courses was inspired by the social movement for peace in the 1970s and has been integrated into the school curriculum since the 1990s. This study analyzes the Core Curriculum for Secondary School II History, a revised curriculum for history in upper secondary school, presented by NRW in 2014. Among the seven essential fields of contents in this curriculum, which were reconstructed as historically comprehensive, the last field, “Peace treaties and peace regimes in the modern era,” categorized the capacity for peace-building as an inevitable element of history education. The content runs through modern Europe’s peace history—from the Peace of Westphalia, Vienna Settlement, Treaty of Versailles, Cold War, and German unification to European integr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following: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e Curriculum with regards to structure, goal, and detail; second, the innovations and problems, especially with the last theme “Peace treaties and peace regimes in the modern era,” and finally, its application in school lessons, focused on the teaching model presented by the state. In conclusion, the Core Curriculum systematically introduced “peace” as an essential element of history education. However, this resulted in some challenges, for example, keeping abreast with the latest trends in peace studies and addressing them through the methodology of history education. In this regard, dialogues among historical studies, education of history, and history teachers are ongoing. Thus,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peace practice and history education is an ongoing challenge.

      • KCI등재

        What’s So Peaceful about Asian Peace?

        Blake Hoffman,Paul F Diehl,Andrew Owsiak,Gary Goertz,Yahve Gallegos Institute for International Trade and Cooperation, 2018 Asian International Studies Review Vol.19 No.1

        Previous work on an Asian peace has been imprecise on where, when, and why it occurs. This study examines different levels of state-based peace starting with the absence of war; unlike other treatments, however, we examine the incidence of civil war as well as the traditional interstate war. We then consider a more stringent threshold for peace, focusing on the absence or diminution of violent conflicts short of war, specifically incidents of militarized disputes and lesser conflicts. Finally, we look a broader conception of peace (“positive peace”) and examine all state relationships in Asia along a peace scale, which ranges from serious rivalries to negative peace to integrated security communities. Our findings indicate the strongest evidence for Asian peace with respect to avoiding interstate war. Nevertheless, there are significant conflicts involving violence and the threat of military force that persist in the region. A number of rivalries, many of them long-standing, continue to raise the specter of war. In addition, positive peace in Asia is rare for interstate relations and isolated to a few states for internal peace.

      • KCI등재

        한반도의 지속가능한 평화와 평화연결

        홍용표,모춘흥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23 문화와 정치 Vol.10 No.1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peace connecting as an alternative perspectiv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peace discourse and practice on the Korean Peninsula. Peace connecting aims to increase the sustainability of peace by acknowledging “peaces” based on different dimensions and perceptions, and connecting various peaces. This is because sustainable peace can be achieved and consolidated through connection, not through a disconnected process. Attempts to approach sustainable peace building based on connecting peace place various peace building activities within the broader process of conflict, thereby transforming the various roles, functions, and dynamics between activities into a more peaceful relationship. The above awareness of the problem can be actively utilized to achieve sustainabl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f the approach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so far focused on creating and establishing peace on the premise that peace is absent, this study believes that it is important to connect peace ideas and practices that have already existed but have not been visibly revealed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situation. 이 연구는 기존 한반도 평화담론과 실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시각으로서 평화의 연결(connecting peace)에 주목한다. 평화연결은 서로 다른 차원과 인식에 기초한 평화들을 인정하고, 다양한 평화들을 연결함으로써 평화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지속가능한 평화는 단절적 과정이 아닌 연결을 통해서 달성되고 공고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평화의 연결에 기초하여 지속가능한 평화구축에 다가가려는 시도는 다양한 평화구축 행위를 갈등의 광범위한 진행 속에 위치시켜, 다양한 역할과 기능, 그리고 행위들 간의 역학관계를 좀 더 평화적인 관계로 전환시키는 일련의 과정이다. 이상의문제의식은 한반도의 지속가능한 평화를 이루어 나가는 데에도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한반도 평화의 논의가 평화가 부재하다는 것을 전제로 새롭게 평화를 창출하고 구축하는 데 주목했다면, 이 글은 이미 존재했지만 가시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던 평화구상과 실천들을 현재 상황에 맞게 연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 KCI등재

        옹기 김수환 추기경의 평화사상

        박일영 ( Park Il-young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8 통일과 평화 Vol.10 No.1

        김수환은 이 땅에서 천주교가 박해를 받던 시절부터 천주교 신앙을 지켜온 유서 깊은 신앙가문의 후손이다. 김수환이 천주교 신부로 사제서품을 받은 시기는 한국전쟁으로 우리 민족의 고통이 극에 달해 있던 바로 그 때이었다. 일본과 독일에서 유학한 그는 ‘그리스도교 사회론’을 전공하였다. 김수환은 1987년 이전에는 주로 인권회복과 정의구현에 관심을 기울였으며, 정치적 민주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진 1987년 이후에는 민족의 화해와 일치에 더 많은 관심을 가졌다. 인간이 되기까지 자신을 최대한 낮춘 하느님의 모습을 본받아 나 자신부터 평화(shalom)를 실천하고, 이 세상에 실현시키려는 것이 김수환이 평생 간직하였던 자세라고 할 수 있다. 김수환은 평화 이론가라기보다 생생한 삶의 현장에서 용기 있는 모범을 보여준 실천가였다. 김수환의 평화 개념은 ‘하느님의 [인간사랑이라는] 뜻이 온전히 실현된 상태’에 해당한다. 김수환은 스스로가 본보기를 보였듯이, 이러한 평화를 실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일상에서의 실천’을 강조한다. 김수환은 교회의 공식문헌을 인용하면서, ‘소극적 평화인 전쟁이 없는 상태’를 넘어서서 ‘정의의 실현’으로써 이룩되는 ‘적극적 평화’ 개념을 소개하며 그 실천 방안을 구체적인 사회적 맥락을 통하여 제시한다. 이런 맥락에서 김수환이 실천한 ‘평화감행’의 여정은 특정 종교라는 테두리를 넘어서서, 보편적 인간과 사회 전반에 걸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김수환이 참 평화의 구체적 내용으로 강조한 ‘인간의 존엄성과 권리, 생명의 소중함, 정의의 실현, 세계를 향한 개방, 생활 속의 실천,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등의 주요 원리는 단지 어느 종교단체의 교리나, 일부 정치 집단의 논리에 국한하지 않는다. 김수환의 평화 이해와 그 특징에 대한 정리와 실천적 사례에 대한 분석은 바야흐로 한반도에서 무르익고 있는 평화적 분위기의 진전과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향한 발자취에도 효용성 높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게 된다. Stephen Cardinal Kim is a descendant from a historically faithful family that had upheld Catholicism ever since Catholic was persecuted. He was ordained as a priest during the Korean War when the pain of Korean people was at its most. He studied abroad in Japan and Germany where he majored in ‘Christian Social Teaching’. Cardinal Kim mainly focused on recovery of humanity and realization of justice until 1987. Since then, with the nation politically democratized to a certain extent, he put more interest in the reconciliation and consonance of the nation. Following the example of God who lowered himself to become a human, Cardinal Kim started practicing peace (shalom) from himself and delivered it to the world. He was more of a practitioner than a theorist who showed a brave example from his real life. His concept of peace belongs to ‘the state of entirely realizing the love for human being by God’. As he demonstrated through his life, Cardinal Kim emphasizes ‘practice in everyday life’ to bring peace. Citing official references from church, he introduces the concept of ‘active peace’ that can only be achieved through ‘realization of justice’. It is beyond ‘passive peace’, a state referring to a no-war situation, and Cardinal Kim suggests ways to practice active peace through detailed social context. In this context, the journey of ‘dare to peace’ that Cardinal Kim practiced has a meaning across universal humanity and society beyond the framework of a specific religion. The basic principles that Cardinal Kim emphasized as detailed contents of truthful peace including ‘dignity and rights of human, preciousness of life, realization of justice, open to the world, practice in daily life and peace through peaceful means’ are not limited to the doctrines of a religion or the logics of a political group. Understanding the peace concept of Cardinal Kim, organizing the characteristics of active peace, and analyzing his practical examples are expected to be highly useful not only in accordance with the peaceful sentiment that has been ripening in Korea but as one step forward to the reconciliation and consonance of the nation.

      • KCI등재

        Peace and Gender : Toward the construction of "Peace as Human Rights" theory

        Tsujimura, Miyoko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0 이화젠더법학 Vol.1 No.1

        War, in itself, is a violation of human rights. Based on this principle, we will examine “peace as human rights” and its connection with gender from a comprehensive view on gender, human rights & peace.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ace and human rights, it is profitable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right to live in peace” guaranteed in the Preamble to the Japanese Constitution,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pacifist constitution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ace (or war, armed forces) and gender (or women’s human rights), many international documents have proved the oppression of women during wartime on one hand, and the increasing participation of women in military service on the other. In this antagonism (the thorny issues of feminism), what is women’s responsibility to peace? I hope we could contribute, even in a small way, to the building of a “gendering strategy for peace and women’s human rights” toward the construction of “Peace as Human Rights” theory. 전쟁은 본질적으로 인권에 대한 침해이다. 이 원칙에 기초하여, “인권으로서의 평화”에 관해 고찰하고, 젠더, 인권, 평화에 대한 포괄적인 관점에서 젠더와의 연관에 대해 고찰할 것이다. 평화와 인권의 관계에 대하여는, 평화헌법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를 통해 일본 헌법 전문에서 보장하는“평화롭게 살 권리”의 역사적 의미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좋다. 평화(또는 전쟁, 군대)와 젠더(또는 여성의 인권)의 관계에 대해서는 많은 국제 선언이나 협약(international document)들이 전쟁 기간 동안의 여성억압을 증명하는데, 다른 한편으로는 여성의 군 복무 증가 현상이 있다. 이와 같은 대립[페미니즘의 곤란한 문제(the thorny issues of feminism)]이라는 측면에서, 여성의 평화에 대한 책임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헌법 이론과 반전 이론에 대하여“평화와 여성 인권을 위한 젠더 관점에서의 전략(gendering strategy)”수립에 미약하게나마 기여하였으면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