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면역억제제를 복용 중인 환자에서 안구표면 편평상피세포암의 안구 내 침범 1예

        박은우(Eu Noo Bak),류진숙(Jin Suk Ryu),곽상인(Sang In Khwarg),오주연(Joo Youn Oh)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3

        목적: 면역억제제를 복용 중인 환자에서 발생한 안구표면 편평상피세포암의 안구 내 침범에 대한 임상적, 조직학적 소견과 치료 경과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신장이식 후 17년간 면역억제제를 복용 중인 59세 남자 환자가 재발하는 우안 결막의 하얀 병변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병변의 절제적 생검 후 절제부위에 mitomycin C 점적 및 양막이식술을 시행하였다. 조직학적 검사상 편평상피세포암으로 확인되었다. 당시 시행한 안와 전산화 단층촬영검사상 특이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술 후 6개월간 Interferon alpha 2b 안약을 점안하였다. 술후 1년째 우안 결막 병변이 재발하여 절제적 생검과 mitomycin C 점적, 반복적 냉응고요법, 양막이식술을 시행하였다. 같이 시행한 안와 전산화 단층촬영검사에서 우안 내측에 1.9 cm의 고밀도 종괴가 관찰되어 편평상피세포암의 안구 내 침범으로 진단하고 우안안와내용물제거술을 시행하였고, 조직학적 검사상 편평상피세포암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면역억제제 복용 환자에서 발생한 안구표면 편평상피세포암은 빠르게 다른 부위로 침범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수술적 완전절제 후에도 적극적인 경과 관찰이 필요하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ocular surface squamous cell carcinoma with intraorbital extension in a patient with renal transplantation and long-term immunosuppressive therapy. Case summary: A 59-year-old Korean male presented with a whitish mass in the medial limbus and conjunctiva of the right eye. The patient had undergone renal transplantation 17 years prior due to lupus nephritis and was on systemic immunosuppression with daily prednisolone (10 mg), tacrolimus (5 mg), and mycophenolate sodium (720 mg). The complete excision of the mass was performed and mitomycin C application and amniotic membrane transplantation on the excised area were combine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the mass was squamous cell carcinoma. There were no abnormal findings on the orbit computed tomography (CT). The patient was additionally treated with topical interferon alpha 2b 6 months postoperatively. One year later, a mass recurred at the same site in the right eye. The complete excision of the mass, mitomycin C application, cryotherapy, and amniotic membrane transplantation were performed. Orbit CT showed a 1.9 cm-sized intraorbital mass involving the medial rectus of the right eye. The orbital exenteration was performed and the intraorbital mass was histologically proven to be squamous cell carcinoma. Conclusions: Ocular surface squamous neoplasia in patients with renal transplantation and long-term immunosuppressive therapy should be monitored closely for the possibility of orbital invasion.

      • KCI등재

        안구표면 편평상피세포 암종의 임상양상과 예후 인자에 대한 분석

        정현호,양지명,윤경철,Hyun Ho Jung,Jee Myung Yang,Kyung Chul Yoon 대한안과학회 2014 대한안과학회지 Vol.55 No.4

        Purpose: To analyze the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tic factors of ocular surface squamous neoplasia (OSSN). Methods: A total of 31 eyes of 31 patients with suspected OSSN who were treated with excision and biopsy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Clinical features such as patient symptoms, invasion type, morphologic feature and size of lesion were analyzed.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simple excision or mitomycin C combination therapy. Factors affecting recurrence were evaluated. Results: The most common symptom, invasion type, morphological feature, lesion size and histological diagnosis were foreign body sensation (38.7%), combined conjunctiva and cornea type (71.0%), gelatinous type (74.2%), 5 - 10 mm in largest diameter (45.2%) and intraepithelial neoplasia (51.6%), respectively. Age, sex, morphological features, lesion size and histological diagnosis had no effect on recurrence. Mitomycin C combination therap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creased recurrence compared to simple excision (<em>p</em> < 0.05). Conclusions: In OSSN, intraepithelial neoplasia was the most common subtype. Mitomycin C combination therapy was effective in decreasing recurrence.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4):506-512

      • KCI등재

        안구표면 편평상피세포 암종의 일차 치료로 국소점안 화학요법의 효과

        김임규,유성,이광자,이규원,박영정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2

        목적: 안구표면 편평상피세포 암종의 일차 치료로 국소점안 화학요법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임상과 전안부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안구표면 편평상피세포 암종으로 진단과 치료받은 10명(10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자는 0.02% Mitomycin C (MMC)를 하루 4회 점안 치료하였다. MMC 치료에 저항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1%5-Fluorouracil (5-FU)을 하루 4회로 점안 치료하였다. 대상환자는 치료 전과 후에 전안부 빛간섭단층촬영기로 병변부위를 촬영하였다. 임상과 전안부 빛간섭단층촬영기를 이용하여 국소점안 화학요법의 치료효과와 부작용을 조사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는 10명(남:여=8:2)으로 평균연령은 76.7세였다. MMC만으로 관해된 경우가 80% (8안)였고, 5-FU를 추가해 관해된 경우가 20% (2안)였다. 완전 관해는 평균 4.3주에 이루어졌고, 평균 17.5개월 동안 재발이 없었다. 전안부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촬영한 병변부위의 두께는 치료 전 315.0 μm에서 관해 후 105.3 μm로 의미있게 감소하였고 병변의 상피는 정상화되었다. 합병증으로는 결막충혈 60.0% (6안), 알레르기반응 30.0% (3안), 표층각막염 20.0% (2안), 각막미란 20.0% (2안) 순으로 발생하였으나 심각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안구표면 편평상피세포 암종의 일차 치료로 국소점안 화학요법은 치료효과가 우수하고 부작용이 적었다. 또한 전안부 빛간섭단 층촬영기는 안구표면 편평상피세포 암종의 비침습적 진단과 치료효과 판정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iveness of topical chemotherapy for the primary treatment of ocular surface squamous neoplasia (OSSN) was evaluated. Methods: We enrolled 10 patients (10 eyes) diagnosed with OSSN who received both clinical examination and anterior segm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S-OCT) imaging. The patients were administered topical 0.02% mitomycin-C (MMC) 4 times/day in the affected eye. The patients with MMC-resistant OSSN received topical 1% 5-fluorouracil (5-FU) 4 times/day. AS-OCT imaging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Clinical examination and AS-OCT were used to monitor the efficacy of topical chemotherapy, recurrence and side effects. Results: The mean age of the 10 patients (8 males, 2 females) was 76.7 years. The proportion of complete remission resulting from topical treatment with MMC was 80.0% (8 eyes) and 20.0% (2 eyes) when 5-FU was changed to MMC. The average duration of complete remission was 4.3 weeks and the average duration of no recurrence was 17.5 months. The epithelial thickness of the lesions, measured using AS-OCT,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315.0 μm (pretreatment) to 105.3 μm (after complete remission). Additionally, the epithelial lesion appeared normal after treatment. The most common side effect was conjunctival hyperemia(60.0%, 6 eyes), followed by ocular allergy (30.0%, 3 eyes), superficial punctate keratitis (30.0%, 3 eyes) and corneal erosion (20%, 2 eyes). No serious complications were reported. Conclusions: Topical chemotherapy is as effective and well tolerated as a primary treatment for OSSN. Additionally, AS-OCT is a useful noninvasive adjunctive tool i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OSSN.

      • KCI등재

        재발한 안구표면 편평세포 암종에서 인터페론 Beta-1b, 마이토마이신 병합 치료 1예

        이준규,손보권,진경현 대한안과학회 2022 대한안과학회지 Vol.63 No.8

        목적: 수술적 절제 후 재발한 안구표면 편평세포 암종에서 interferon beta-1b (IFN-β1b)와 mitomycin-C (MMC) 병합 치료 1예를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72세 여자 환자가 우안 내측 결막의 흰색 종괴를 주된 소견으로 내원하였다. 우안 내측 각막 윤부에 젤라틴 모양의 흰색결절 병변이 관찰되어 편평세포 암종 의심 하에 수술적 절제 및 냉동 응고 요법을 시행하였다. 조직학적 검사상 편평세포 상피내암으로 확인되었다. 1년 뒤 우안 각막 병변 재발하여 재발한 편평세포 상피내암 진단 하에 IFN-β1b (1 mIU/mL) 및 0.02% MMC를 하루에4번씩 4주 동안 점안하였다. 병합 치료 1개월 후 재발한 병변은 사라졌으며 이후 MMC는 중단하고 IFN-β1b만 하루에 2번 점안으로1개월 유지 후 중단하였다. 병합 치료 완전 중단 후 12개월째 시행한 검사에서 재발한 소견 보이지 않았으며 약제에 의한 합병증도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수술적 절제 후 재발한 안구표면 편평세포 암종에서 IFN-β1b와 MMC의 병합 치료는 매우 빠르고 우수한 치료 효과를 가지며큰 합병증 없이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