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두만강 하류지역의 토지이용에 관한 연구-러시아 핫산지역과 녹둔도를 중심으로-

        안재섭 국토지리학회 2004 국토지리학회지 Vol.38 No.2

        본 연구는 두만강 하류지역 중 핫산지역과 녹둔도 지역의 토지이용상황에 대해 현장답사에서 수집한 자료와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해 분석한 토지이용자료를 기초로하여 토지개발 가능성에 대한 잠재력을 파악해 보기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결과 이 지역의 토지이용상황은 초지(pasture), 관목(bush), 습지(wetlands)등으로 대부분의 중심부분은 모두 초지와 습지로 구성되어 있다. 핫산지역은 3면서 아울러 가장 인구규모가 큰 중심지이다. 그리고 현재 북한의 나진-선봉지대와 중국의 훈춘과도 철도 및 육상교통의 연계망이 구축되어 있는 상황에서 이 지역이 현재의 엄격한 통제로부터 벗어나 보다 자유롭게 개방된다면 실질적인 지역 중심지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다. 녹둔도지역의 토지는 불규칙하게 발달한높고 낮은 사구지역, 사구와 사구 사이에 발달한 초지지역, 넓게 발달해 있는 저습지 등 모두 세가지 유형으로구분된다. 그리고 두만강 하류지역은 하천과 해양 환경이 접하는 곳으로 생물종의 다양성과 특이한 경관생태가나타나는 곳이다. 특히, 두만강 하구의 사구, 호수, . 이는 녹둔도지역이 생태관광 및 두만강지역 자연사박물관 건립과 같은 환경친화적인 지역개발로 진행될 경우, 중요한 자원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녹둔도 영속문제는 통일 후 우리나라가 제기해야 할 국경영토 문제이며, 이에대비한 지속적인 연구와 지리적 자료수집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The study has purpose that to analysis of landuse on the Khasan area and Nokdun-do in the lowerTumen river area using field work and artificial satellite image classification, to estimate potential developmentpossibility of this area. The most parts are consisted of all grasslands, marsh, pasture, bush, and wetlands. Themeasure of wetland is amount to 42.82% in study area. The west part of lower of Tumen river is evaluated thataccess is difficult to convention marsh place area that overflow in summer. Khasan area has possibility that candevelop into real area center if is opened freely possess. Nokdun-do area is place that variety and singular spectaclemode of life of biospecie appear to place that marine environment borders with rivers. So, it is important area thatcan be developed by eco-environmentally. The border territory problem of Nokdun-do in the lower tumen rivershould institute suer after unity, and can assert that Nokdun-do is our unique territory by historic and geographicviewpoint. Therefore, it is to persist that the study of lower Tumen river area and Nokdun-do, also to collect thegeographical data of that.

      • KCI등재

        이순신의 북방 지역 활동에 대한 사료적 고찰

        김경태(Kim, Kyong-tae) 호서사학회 2019 역사와 담론 Vol.0 No.90

        이순신은 임진왜란 이전에도 무장으로서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었다. 그의 주된 활동 무대는 동북방 지역이었다. 그러나 사료의 한계와 더불어, 그의 활동 지역이 현재 자유로운 조사가 불가능한 지역이라는 특징 때문에 다양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 글에서는 특히 녹둔도 전투를 둘러싼 이순신의 활동에 주목했다. 이를 위해 이순신의「행장」류와『선조실록』,『선조수정실록』과 같은 관찬 사료, 그리고『징비록』,『재조번방지』,『제승방략』을 비롯한 사찬 사료와 이일의「행장」등, 이 전투를 다루고 있는 사료들을 비교하여 기초적 분석을 시도했고, 사료 간 영향 관계 및 전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이순신의 북방 활동에 대한 기록은 해당 전투 직후부터 임진왜란이라는 이순신이 활약한 전쟁을 거쳐, 19세기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주요한 요소는 녹둔도 전투의 주역, 아군의 피해 규모, 이순신의 활약 지점, 이일과의 갈등, 백의종군의 전말, 우을기내 생포의 주체 등이었다. 이 요소들은 작성시대에 따라, 그리고 집필 주체에 따라 기술 양상이 달라지고 있었다. 또한 특정 요소는 작성 목적에 따라 앞선 사료로부터 선택적으로 전수되는 양상을 보였다. 각 사료 간에 상반되는 서술을 남겨둔 채, 이를 사료의 성립 시기나 특정 인물을 기준으로 삼아 무리하게 정렬할 수는 없다. 따라서 역사적 사실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쉽게 단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의도적인 변용과 추가 양상은 구분할 수 있었다. 나아가 녹둔도 전투 지점에 건립된「승전대비」의 정보를 반영하여 지리적인 환경도 함께 조사할 수 있다면, 지금까지의 성과를 기반으로 새로운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Even before the Imjin War(임진전쟁), Yi Sun-shin(이순신) was active as a military officer. At that time, his main stage of activity was in the Northeast. But there is a lack of historical data on his activities. And the area is currently difficult to conduct free academic research. In this article, particularly noted Yi Sun-shin’s activities during the Battle of Nokdun-do(녹둔도 전투).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irst analysis was made by comparing the Chungmugong Yi Collection(이충무공전서) and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analyzed the records related to Yi Il(이일) with various historical materials. Through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Yi Sun-shin’s record of his Northern activities changed considerably from immediately after the Battle of Nokdun-do to the 19th century. The main factors were the main role in the Battle of Nokdun-do, the scale of the damage to our army, the location of Yi Sun-shin’s performance, the conflict with Yi Il, Punishment and amnesty, and who captured the enemy. These factors were changing the narrative patterns, depending on the writing age and the writing subject. In addition, certain factors were optionally passed from prior writing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writing. We can’t arrange conflicting descriptions based on the period of creation of a book or a specific person.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re historical facts are located. However,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intentional variations and additional aspects. If we can also investigate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that reflects the “Sungjondae Monument” information built at the battle site of Nokdun-do, a new study is expected to be possible based on the achievements made so far.

      • KCI등재

        『대동여지도』 모사본의 형태와 유형 연구

        김기혁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2 문화 역사 지리 Vol.34 No.2

        이 연구는 국내·외에 소장된 『대동여지도』 모사본을 대상으로 형태와 내용 비교를 통해 목판본과의 관계를 파 악하고, 모사의 유형을 바탕으로 이의 사회적인 의미를 파악하였다. 지도는 목판본을 단순히 모사하는 경우도 있으 나 일부에서는 오류를 수정하였다. 첩 체제를 변형시키고, 목판본 지도에서 누락되었던 지명과 주기를 다시 수록한 경우도 있었다. 지도의 형태와 내용을 바탕으로 볼 때 모사본은 네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 지도 체제가 바뀌고 방면 지명과 주기가 추가된 4점의 지도가 확인되었으며, 이들 변형모사본은 크기와 채색, 장소 묘사 등에서 여러 공통 점을 지니고 있었다. 지도 내용은 일본국회도서관에 소장된 목판본 지도를 바탕으로 하였음이 밝혀졌다. 동해의 울 릉도 동쪽에 우산도가 그려진 것도 이 지도를 따르고 있다. 주기는 조선 강역에 대한 역사지리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일부 내용은 『청구도』에서 비롯되었다. 19세기에 만들어진 『대동여지도』 모사본이 적지 않게 남아 있다는 사실은 지 도의 수요가 목판본으로 충족되지 못하였음을 보여준다. 일부 지도에서의 내용 추가는 목판본 지도가 지녔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사료된다. 지도의 보다 상세한 분석은 19세기 지리정보가 편집되면서 사회에서 수용되는 모습 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