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신학과 이야기치료의 문헌고찰을 통한 목회상담의 방향성 제언

        김인숙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3

        본 연구는 공공신학과 이야기치료의 문헌고찰을 통한 목회상담의 방향성 제언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에 한국목회상담 분야에서 공공신학과 이야기치료에 대한 담론들 이 논의되면서 이 두 학문에 대한 간학문적 관심이 늘고 있다. 두 학문의 영역이 사 회구조에 대한 비평적 시각과 공공영역 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제간의 대화와 연구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공공신학과 이야 기치료가 내포하고 있는 의미를 문헌고찰 연구를 통하여 살펴 볼 것이다. 또한 목회 상담과 이야기치료의 간학문적 대화를 통해서 목회상담을 위한 대안적인 방향성을 제 언하도록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세 분야로 진행될 것이다. 첫 번째는 목회신학과 공공신학을 살펴볼 것 이다. 보니 밀러-맥레모어(Bonnie Miller-McLemore)는 “살아 있는 인간망”(living human web)이라는 메타포를 사용하며 공공신학을 발전시켰다. 무엇보다 공공신학을 이해하려면 밀러-맥레모어의 신학적 메타포에 영향을 준 안톤 보이슨(Anton Boisen) 의 “살아 있는 인간문서”(living human document)의 목회신학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에, “살아 있는 인간문서”의 함축적 의미를 다루고 뒤이어 “살아 있는 인간망”을 다룰 것이다. 두 번째는 마이클 화이트(Michael White)에 의해 발전된 이야기치료의 발전 과정과 기료기법을 살펴본다. 이야기치료는 거대담론(권력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만 들어진 이야기로 사람들을 통제하고 제약하는 권력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담론)의 통 제와 제약으로 말할 수 없던(들려지지 않은) 개인의 숨겨진 이야기에 주목한다. 이 과 정에서, 개인은 사회권력, 힘, 억압에 대해 비평적 사고를 가지며, 개인이 추구하였던 삶의 이야기를 재구조화한다. 세 번째는 공공신학과 이야기치료의 공통적인 의미를 고찰하며 목회상담을 위한 방향성을 세 가지 측면으로 제언한다. 첫째, 개인의 영역 을 넘어 공공영역으로의 확장을 요청한다. 둘째, 지배적인 사회구조에 대한 비평적 해 석을 가진다. 셋째, 공공의 재원을 활용하는 네트워크 중심의 돌봄과 상담을 구축한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pastoral counseling through the literature consideration of public theology and narrative therapy. Looking at the recent discourse on public theology and narrative therapy in the field of pastoral counseling in Korea, we can see that interest in these two studies is increasing. A researcher recognizes that there has not been enough interdisciplinary dialogue between public theology and narrative therapy even though these two theories have critical view about social construction and publicness as common ground. This study will consider the implications of public theology and story therapy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ry to have a conversation between public theology and narrative therapy. A researcher will suggest alternative directions for pastoral counseling through the dialogue for pastoral counseling and narrative therap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consists of three parts. First, this study will review pastoral theology and public theology. Bonnie Miller-McLemore has developed public theology using the metaphor “living human web.” Above all, it is required to consider “living human document” developed by Anton Boisen to understand Miller-McLemore’s living human web because “her metaphor has been constited and developed based on living human document.” Second. this study will consider narrative therapy developed by Michael White. Narrative therapy has a critical view of the social structure which has the power, listening to the stories of individuals who are not told due to the dominant discourses(the story that has power and restricted individuals). This study will review narrative therapy and address the representative treatment techniques of narrative therapy. Third, this study will reconsider the implications of public theology and narrative therapy, and propose alternative perspectives for the direction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First,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aims to expand beyond the private sphere to the public area. Second,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pursues to have a critical view of the dominant social structure. Third,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establishes network-centered care and counseling that utilizes public resources.

      • KCI등재

        Narrative and Minjung Theology

        권진관 한국민중신학회 2015 Madang: Journal of Contextual Theology Vol.0 No.23

        This article discusses the possible reasons for the recent decline or marginalization of minjung theology. The author first suggests that excessive particularism and exclusive argumentations in minjung theology have contributed to ill effect on it. The recent absence of narratives and stories in minjung theology also has left negative effect on it. Because of exclusive tendency and the absence of narratives, the author claims, minjung theology has lost its public and political dimension and has taken comfort in abstractions and conceptualizations. The process of ghettoization has been undergoing in this theological movement. In order to overcome the marginalization of minjung theology, the author suggests that narrative strategy instead of conceptual strategy must be newly employed, and that thusly literary studies on story and narrative must be emphasized. This article deals with the problem of the recent absence of narrative and story and seeks to find the reasons of it. The probable reason for it may lie in the lack of deeper understanding of narrative and story as tools for understanding the reality. The author claims that we must distinguish between story and narrative. The author attempts to show how the distinction brings about good results not only for understanding of our conflict-ridden society, but also for interpreting the stories in the Bible. It has attempted to illustrate how story-telling can also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political and public theology. Finally,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Kingdom of God spoken by Jesus Christ can be understood, in modern terms, as the public realm. Just like the public realm denotes a space where people as equals deliberate on the matters of society, the Kingdom is also a space that can be widened by the participation of people as equals. The Kingdom in the Jesus’s stories is not a substantial object like a state or a country. It is a space of interaction and freedom. Jesus, as the hero of communicative action, in modern terms, came to create and widen this space.

      • KCI등재후보

        토라! 율법인가, 이야기인가?

        김선종(Sun-Jong Kim)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1 신학논단 Vol.64 No.-

        According to Wellhausen’s historical criticism, law and narrative could be combined into the Torah by its final redactor in the postexilic period. This exegetic position postulates that the narratives described in the Torah are the fictional background of the laws. Therefore, the commentators need to find the actual background that exists behind the text. However, in order to grasp the author’s intent to present the law as a part of the narratives, it is recommended that the biblical reader should interpret the laws in the light of the narrativ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Torah as law and narrative, we examine the sabbatical year law in Leviticus 25 as an example. This text is not a simple law but has the narrative elements. Moreover, we may interpret this law in comparison with several narratives: Joseph story (Gen 47), the Manna story (Exod 16; Num 11), and the creation narrative (Gen 1). It is certain that this exegetic attitude helps to understand the text of the sabbatical year well. However, we need to pay attention to its literary genre as a law. We are commanded to practice this law in real life. By being put in the final section (Lev 25-26) of the Holiness Code, it comes to have a special meaning that actualizes the creation order in thε human history. Although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law and narrative by means of one sample of the sabbatical year, we may reflect once again on the definitions of the Torah, law, and narrative. The Torah is not just a combination of law and narrative. While law reflects the real life of people, narrative confirms the authenticity of the law. By practicing the laws, the reader is involved with the faith of the past. By telling the narratives, he is able to trace the origin and formation of the law. The Torah is not a dead law code but interpreted and innovated in order to vivify the dying society and creatures. According to Wellhausen’s historical criticism, law and narrative could be combined into the Torah by its final redactor in the postexilic period. This exegetic position postulates that the narratives described in the Torah are the fictional background of the laws. Therefore, the commentators need to find the actual background that exists behind the text. However, in order to grasp the author’s intent to present the law as a part of the narratives, it is recommended that the biblical reader should interpret the laws in the light of the narrativ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Torah as law and narrative, we examine the sabbatical year law in Leviticus 25 as an example. This text is not a simple law but has the narrative elements. Moreover, we may interpret this law in comparison with several narratives: Joseph story (Gen 47), the Manna story (Exod 16; Num 11), and the creation narrative (Gen 1). It is certain that this exegetic attitude helps to understand the text of the sabbatical year well. However, we need to pay attention to its literary genre as a law. We are commanded to practice this law in real life. By being put in the final section (Lev 25-26) of the Holiness Code, it comes to have a special meaning that actualizes the creation order in thε human history. Although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law and narrative by means of one sample of the sabbatical year, we may reflect once again on the definitions of the Torah, law, and narrative. The Torah is not just a combination of law and narrative. While law reflects the real life of people, narrative confirms the authenticity of the law. By practicing the laws, the reader is involved with the faith of the past. By telling the narratives, he is able to trace the origin and formation of the law. The Torah is not a dead law code but interpreted and innovated in order to vivify the dying society and creatures.

      • KCI등재후보

        개혁주의생명신학의 관점에서 본 한국 교회 예배갱신과 내러티브 예배

        김준식 ( Kim Jun Sik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8 생명과 말씀 Vol.21 No.-

        한국 교회가 위기라고 한다. 이런 위기감에 여러 타개책들이 한국 교회에 선을 뵈는 가운데 백석학원에서 펼치고 있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이 주목을 받고 있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단순히 루터와 칼빈으로 시작된 종교개혁과 개혁주의의 신학적 명맥을 잇겠다는 의지를 넘어, 그들의 초심 안에 품고 있던 영적 생명력을 재현해내고 한국 교회에 수혈하고자 하는 자생적 신학과 신앙 운동으로서, 그 연구범주에 포함된 한 분야가 바로 예배이다. 한국 교회의 위기는 생명력을 잃은 예배와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많은 예배학자와 목회자의 공통된 전언이기 때문이다. 이에 논자는 예배에 생명력을 불어넣을 방안을 내러티브라는 문학적 도구를 통해 찾고자 한다. 내러티브는 이야기와 플롯(Plot)이 접목된 것으로서, 논자가 주목한 것은 바로 이야기의 뼈대를 이루는 플롯이라는 구조이다. 특히 플롯 내에 존재하는 이야기 진행의 네 단계인 사중구조는 문학과 성경의 일반적인 이야기 전개 구조이며, 이야기에 역동성을 불어넣는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논자는 내러티브 플롯의 사중구조를 예배의 보편적인 사중구조에 접목하여‘도입’-‘전환’-‘절정’-‘적용’이라는 새로운 예배학적 사중구조를 제시하여 예배의 역동성을 담아내고자 하며, 이를 내러티브 예배라고 지칭하고자 한다. 이러한 내러티브 플롯을 적용하여 예배의 역동성을 추구하는 내러티브 예배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이 지향하고 있는 생명과 맥을 같이하는바, 논자의 견해인 내러티브 예배는 한국 교회의 위기 타개 특히 예배갱신에 있어 새로운 가능성과 방향성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It is called that Korean church faces a crisis. In the midst of this crisis, several countermeasures have been shown to Korean church. Among them Reformed Life Theology of Baekseok Schools is attracting attention. Reformed Life Theology goes beyond just the theological line of Reformation and reformed theology that began with Luther and Calvin. It is a native theology and faith movement that has a will to reproduce the spiritual vitality that was in their(Luther and Calvin) beginnings and to transfuse it into Korean church. One area that is included in the study category is worship. This is because the crisis of the Korean church has a deep connection with worship that has lost its vitality. That is a common message among many worship scholars and pastors. Therefore, the researcher seeks the way to bring vitality to worship through the literary tool of the narrative. Narrative is a combination of story and plot, and what the researcher has noticed is a plot that forms the skeleton of the story. In particular, the quadruple structure of the four stages of story progression in the plot is a general storytelling structure of literature and the Bible, and it can be a key element to bring dynamics into the story. In this context, the researcher intends to present the dynamics of worship by presenting a new liturgical quadruple structure of 'introduction'-'transformation'- 'climax'-'application' by combining the quadrature structure of the narrative plot with the universal quadrature structure of worship, and the researcher calls this a narrative worship. The narrative worship that pursues the dynamics of worship by applying this narrative plot coincides with the 'life' which the Reformed Life Theology is aiming at, and the researcher is confident that narrative worship, which is the viewpoint of the researcher, can be a new possibility and direction in the crisis of Korean church, especially in renewal of worship.

      • KCI등재

        통합과 귀납의 패러다임, 실천신학의 실천신학적 이해

        한재동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5

        본고는 근대 이후 확립된 교육체계의 뒷받침을 받아 형성되고 현재에 이르도록 신학 연구 및 교육 종사자들의 의식을 암암리에 지배하고 있는 이론과 실천의 이원론적이고 계층적인 분할주의의 문제를 실천신학의 내부적 관점으로부터 다루고 있다. 이론과 실천, 의식과 행동, 학문과 삶의 이원론적 분할은 근대주의의 가장 부정적 산물의 하나이다. 이론과 실천의 이분법적이고 계층적인 분할은 전인성을 추구하는 유대-기독교 전통은 물론이고 실천성을 강조하는 현대적 사조와도 조화되지 않는다. 지난 세기 60년대를 전후에서 북남미와 유럽의 신학계에서 근대주의적 왜곡에 대항해 새로운 실천신학적 패러다임을 찾으려는 운동이 일어났다. 특히 북미의 내러티브 신학과 남미의 해방신학은 그 전제와 접근방식은 서로 달랐지만 신학 일반의 실천적 성격과 과제를 인식하도록 돕는 선도적 역할을 하였다. 80년대에 접어들면서는 신학의 실천적 목적과 과제를 넘어 신학 자체를 실천신학적으로 재구성하려는 일련의 노력들이 등장하였다. 이어서 90년대 이후로는 다양한 실천신학 분야들 사이의 관계와 실천신학 고유의 방법론을 통합적으로 체계화하려는 작업이 계속되어 오고 있다. 실천신학의 고유성, 중심성, 포괄성의 확보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 과정은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나누어졌는데, 하나는 교회의 전통과의 대화, 다른 하나는 현대적 문제의식과의 대화를 통해서 각각 문제해결의 단서를 구하려는 방향이다. 전자는 변증법적, 내러티브적, 문화-언어적 접근으로 명명되는 방향이고 후자는 상관적, 은유적, 수정주의적, 경험-표현적 접근으로 명명되는 접근이다. 그러나 양자는 공히 실천을 신학 자체의 전제이자 맥락이자 원천으로 규정하고 신학 전반을 실천적 패러다임으로 재구성하려는 의도를 보였다.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실천신학이 탄생한 것이다. 이 새로운 실천신학은 실천의 새로운 의미는 물론이고 신학 자체의 이해에 관한 새로운 시야를 열어 주었다. 그러나 그 같은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접근은 추상적이고 연역적 성향 때문에 그 대전제인 구체적인 실천적 맥락의 원천적 위치를 모호하게 만들었다. 본고는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실천신학이 이룩한 업적을 부정하지 않으면서 그 결함의 보완 방안으로 구체적 실천적 맥락에의 참여로부터 일어나는 귀납적 접근을 제시하고 있다. 이의 사례로서 특히 예배-설교적 관점을 다룬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problematics of the dualistic and hierarchical divisionism of theory and practice in terms of the intra-perspective of practical theology. That dualism arose in the Enlightenment and, supported by the established educational system, has implicitly dominated the consciousness of those who are engaged in theological studies and educations. The dualistic divisio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consciousness and act, and study and life, is one of the negative by-products of modernism. Such a division is not harmonized not only with the Judeo-Christian tradition, which envisions a holistic personhood, but also with the contemporary trend of though, which emphasizes praxis as the matrix of thought. Around the 60s of last century in the North-South American and European theological world arose new theological movements seeking for a new paradigm of practical theology against the modernistic distortion. Especially, North America's narrative theology and South America's liberation theology, though they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ir presuppositions and approaches, played the role of a harbinger to help see the practical nature and tasks of theology in general. Along with the dawning 80s, a series of efforts to restructure theology itself in terms of practical theology beyond practical goals and tasks of theology were attempted. Since the 90s, a group of practical theologians have aimed at integrally systemizing the relations among various areas of practical theology and the proper methodology of it. The above historical development is a step-by-step process for securing the uniqueness, centrality, and comprehensiveness of practical theology. The process is developed largely by the two different directions: on the one hand, the attempt to find out clues for the solution through the dialogue with the ecclesiastical traditions, and on the other, through the dialogue with the contemporary consciousness. The former is the direction named as dialogical, narrative, culture-linguistic approaches; the latter the direction called as correlational, metaphoric, revisionist, experience-expressive approaches. But both together suppose practice to be the presupposition, contexts, and sources of theology itself, and intend to restructure theology as a whole in terms of a practical paradigm. A comprehensive and integral practical theology came into being. This new practical theology has opened a new vision about the understanding of theology itself, in addition to a new meaning of practical theology. But such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pproaches tend to make obscure the place of the concrete practical contexts as its major premise because of their abstract and deductive tendency. This article is not to deny the achievements of th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practical theology, but to suggest an inductive approach generated from participating in concrete practical contexts, as a complementary approach for the former.

      • KCI등재

        Narrative Therapy for Pastoral Theology, Care, and Counseling

        이효주 한국기독교학회 2017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5 No.-

        This study suggests a future direction for the field of pastoral theology and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PT and PCC) by recommending narrative therapy, which was developed by Michael White and David Epston, as an insightful conversation partner. The field of PT and PCC has long conversed with other disciplines, such as psychology, sociology, liberation theology, and feminism, in order to make pastoral practices more relevant to the various lived experiences of people today. When we take into account that we are living in a postmodern era, narrative therapy appears to be a particularly compatible conversation partner. Pastoral practices stemming from the type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that solely relies on individualistic psychologies are not enough to enable today’s people to discover theological meaning in their own complex and multifaceted experiences. Narrative therapy will empower pastoral theologians and counselors to analyze care–seekers’ stories from multiple perspectives. Further, this kind of analysis will help caregivers empower care–seekers to retrieve their right to tell their truths using their own languages. In this essay, I describe the paradigmatic shifts within the field of PT and PCC from the clinical to the communal to the contextual paradigm. Then I explain narrative theory by situating it in the context of cultural development from modernity to postmodernity. Lastly, I explore the narrative approach by consulting pastoral theologians who perceive pastoral care practice as narrative. This will help readers understand the potential contributions of the narrative approach to the field of PT and PCC.

      • KCI등재

        기쁨의 신학적 서사에 대한 소고

        박형국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7 신학과 사회 Vol.31 No.4

        This article is an investigation into a theology of joy and the renewal of Christian narratives against the backdrop of the eclipse of joy in the contemporary world. Posing the questions of where one can find the locus of the root of the faith of joy and how one can cultivate joy, which is a cornerstone of Christian faith, the author argues to ground theologically the faith of joy into the biblical and theological narrative. Biblical narratives may be regarded as the matrix to understand Christian joy. The author attempts to explicate the nature of the joy of the earliest Christian community displayed in the narratives of the Resurrection, the Pentecost, and the new-creation to reflect the theology of joy,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biblical narratives. In addition, the author examines theological reflections on joy suggested in three paradigmatic contemporary theological narratives. It is never desirable for the future of life to reduce a grand narrative of life to scientific-technological narratives. Therefore, contemporary Christian theologies might have to enhance an imagination to create more relevant theological narratives, thereby to develop the height, depth, and width of their ontological meanings without losing the vitality of life which the biblical and theological narrative deliver. Furthermore, contemporary Christians should bear witness to and practice the Gospel of the Kingdom of God by creating Christian narratives in terms of conversing with variegated contemporary secular narratives. 필자는 본 연구에서 기쁨을 상실한 오늘날의 지구촌 현실을 배경으로 삼고 기쁨의 신학과 기독교 서사의 갱신에 대해 고찰한다. 기독교 신앙의 초석이라 할 수 있는 기쁨의 신앙적 뿌리를 어디에서 발견하고 또 어떻게 기쁨을 배양해야 할지를 질문하면서, 필자는 기쁨의 신앙과 신학의 근거를 성서와 신학의 핵심적인 서사들에 정초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성서의 서사들은 그리스도인의 기쁨을 이해하기 위한 심오한 모체라고 할 수 있다. 필자는 기쁨의 신학에 대해 숙고하기 위해서 성서의 서사들에 주목하면서도 특별히 신약성서의 부활절, 오순절, 그리고 바울의 새 창조 서사에 나타나는 초기 그리스도인 공동체들의 기쁨의 성격을 해명한다. 아울러 성서의 서사를 모체로 하고 신학적인 해석을 통해 발전시킨 현대의 세 가지의 신학적 서사들을 범례로 선택하여 그 가운데 기쁨에 대한 신학적 성찰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고찰한다. 생명의 대서사를 과학의 담론으로 축소하는 것은 생명의 미래를 위해서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므로 오늘날 기독교 신학자들은 성서의 서사들과 후대의 신학의 서사들이 담아내는 기쁨의 생명력을 잃지 않고 그 서사들의 존재론적 의미의 높이와 깊이와 너비를 계승하고 더욱 발전시키는 보다 적실한 신학적 서사를 위한 상상력을 키워야 할 것이다. 나아가 오늘날의 맥락을 수놓고 있는 다양한 서사들과 대화하면서 창의적인 신앙의 서사를 창출하여 하나님께서 온 창조세계를 다스린다는 복음을 힘차게 증언할 뿐만 아니라 삶 속에서 실천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스 프라이의 초기 내러티브 신학에 대한 연구

        전창희 ( Chang Hee Jeon ) 한국조직신학회 2015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3 No.-

        한스 프라이는 그의 초기 저작 『성경의 서사성 상실』을 통해 현대의 신학자들과 종교 철학자들에게 내러티브라는 개념에 대해 영감을준 독보적인 학자임이 분명하다. 내러티브에 대한 그의 초기 사상은이야기에 대한 논의를 격발시켰다. 프라이가 주장하는 것은 기독교인들은 성경 본문 자체가 의미가 있도록 본문을 읽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은 그 내러티브가 내포하는 내적인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이다. 왜냐하면 내러티브의 의미는 내러티브의 형태와 긴밀한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내러티브의 형태는 내러티브의 의미를 전달하는 수단일 뿐만 아니라 내러티브의 의미는 내러티브의 형태를 통해 드러나기 때문이다. 프라이는 칼 바르트의 신학적인 입장을 견지하면서 성서가 하나님의 계시 자체임을 주장한다. 그러므로 성서의 내러티브는 하나님의 실재성과 현존성이 드러나는 장이다. 성서 내러티브가 가지는 서사성은 18세기 나타난 역사 비평적 방법으로 인해 위협되었다. 사실 20세기 중반 논의가 재점화 되기까지오랫동안 축소되어지고 잊혀져 왔던 것이 사실이다. 역사 비평은 성서의 역사성을 증명하기에는 좋은 도구였으나 성경이 전하는 믿음의 문제나 통일성을 거부하면서 증명되는 특별한 상황과 사건에 집중하였다. 그러므로 기독교가 18세기 이전 오랫동안 가져왔던 성경의 문자적-사실적 읽기의 상실을 가져왔다. 프라이가 제안하는 성서 내러티브에 관계된 세 가지 선비평적 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선비평적 읽기가 가지는 요소는 ‘사실적’ 방향성이다. 18세기 이전의 선비평의 시대에 가지고 있던 본문의 읽기에서는, 본문을 읽는 것은 이 본문이 지시하는 실제의 역사적 사건을 지시하는 것을 의미했다. 그러나 프라이는 성서의 내러티브를 단순한 역사 보고서로 간주하지 않았다. 역사 비평적 접근에 대항하여 그는 ‘역사 같은’ 그리고 ‘실제 같은’ 본문 읽기를 주장한다. 두번째 요소는 성서에 등장하는 각각의 내러티브들은 하나의 축적된거대한 내러티브의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구약성서의 이야기들과 신약성서의 이야기들은 하나의 거대한 축적된 이야기의 완성으로써 서로 읽혀지고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프라이에게 나사렛 예수는 이러한 축적된 거대한 이야기의 중심이다. 이러한 이유로 그는 성서의 문자적 읽기에 대한 출발로 공관복음을 읽을 것을 제안한다. 세 번째는 하나의 축적된 이야기로써의 성서의 내러티브를 이야기하는 것이 현재의 시대와 독자들의 경험과 협조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요소들을 기반으로 프라이는 그의 초기 사상에서 상서 내러티브 해석을 위한 문자적-사실적 읽기 제안한다. 프라이가 궁극적으로제안하는 것은 성서의 내러티브는 ‘역사처럼’ 혹은 ‘천진난만하게(혹은고지식하게)’ 읽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의 이러한 충고는 비단 성서본문을 읽는데에만 한정되지 않고 설교를 위해서도 유효하다. 프라이는그의 『성경의 서사성 상실』에서, 19세기 이전의 기독교 설교자들과 신학적은 주석가들은 사실 성서의 이야기들이 전해주는 이야기 방식과 내용에 의해서 형성된 세계를 그들의 인식가운데 상상하고 기대하였다. 이러한 한스 프라이의 초기 사상은 실제적으로 후기에 입장에서 후기자유주의 학자들에 의해서 간과되는 경향이 있다. 이 논문이 한스 프라이의 초기 내러티브에 대한 입장이 결코 후기에 전향된 것이 아니며 그고유의 가치와 교훈을 주고 있음에 대해 기술하려고 한다. Hans Frei is a prominent scholar who, through his ground-breaking work The Eclipse of Biblical Narrative gives inspiration of the concept of narrative to contemporary theologians and religious philosophers in literally reading of the biblical narrative. Frei`s argument was that Christians should try for “a reading in which the text itself is the meaning” so that they understand the text internally, since “the narrative form indispensable to the narrative`s meaning. Following Karl Barth`s theological position, Frei argues Scripture, itself, is the revelation of God such as proclamation and sacraments. In fact, its way of literal reading of the biblical stories seriously threatened with the emergence of historical critical approach. The emergence of critical historical approaches in which literal and historical reading broke apart demanded it to be proved as “a historical-factual argument” in terms of unifying the canon. According to critical historical eyes, figural interpretation was not an appropriate instrument to demonstrate the unity of the canon. Furthermore, historical critics were not concerned with the unity out of the Bible itself. Rather, the specific historical sequence in which specific texts and specific historical circumstance were formed was importantly dealt within the arena of historical demonstration. Frei suggests three elements related to the pre-critical realistic interpretation of the biblical narratives that has been broken up by the modern historical critical approach. The first significant element of pre-critical reading was its “realistic” orientation. To read a biblical narrative automatically meant that “it referred to and described actual historical occurrences.” Yet, for Frei, it was far from the acknowledgement that it followed the fact that biblical narrative was a reliable historical report. The second element is that several biblical narratives could be put together as one cumulative narrative. Particularly, the narratives of the Old and New Testaments must be seen as a fulfillment in one large cumulative narrative. For Frei, Jesus of Nazareth is at its center. For this reason, he advises starting with the synoptic Gospels. Thirdly, since this one cumulative story of narrating biblical narratives in sequential penetration is established in the one and only real word, it has to incorporate “the experience of any present age and reader.” Based on these three elements, Frei suggest the literal-realistic reading to interpret biblical narratives. What Frei ultimately suggests through describing the process of The Eclipse, as Barth does, is that “we must be naive as our forebears were before the rise of criticism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and as naive as the Bible itself.”

      • KCI등재

        하나님 심정(心情)과 설교학 2.0

        전창희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39

        과연 우리는 ‘심정의 신학’이 필요한가? 사실 기독교는 오랫동안 이성 중심의 신학을 해왔다. 특히 조직신학은 이러한 신학의 첨병에 서 있던 것이 사실이다. 이것은 나쁘지 않다. 오히려, 이러한 신학하기는 좋은 것임에 틀림없다. 그리고 이 이성의 신학은 생각하는 신앙을 만들었다. 그러나 설교와 연관하여서 이러한 생각하기의 신학은 포스트모던 시대의 기독교인들에게 그리고 사람들에게 부족해 보인다. 무엇이 더 있을까? 조직신학자인 박종천 교수는 최근의 자신의 책 『하나님 심정의 신학: 교회 교훈학으로서의 조직신학』에서 하나님 심정의 신학을 제안한다. 그의 신학적 주제는 자유주의 신학과 신정통주의 신학의 먼 그리고 명백한 거리 사이를 풀어보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그에 의하면 이것은 단순히 두 개의 신학을 섞어 놓는 것이 아니라, 두 개의 신학이 가지는 한계들을 극복하는 새로운 방식이다. 그가 주장하는 것은 오늘날의 포스트모던 신학이 ‘신학 2.0’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신학 2.0이 바로 그가 주장하는 ‘하나님 심정의 신학’이다. 그의 하나님의 심정에 대한 조직신학적 입장은 설교학에도 도전을 주고 있다. 이글은 하나님 심정의 신학에 반응하면서, 성서 본문에 대한 해석학과 그 해석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과 관계된 설교학 2.0으로써의 설교학적 주제를 발전시켜보고자 한다. De we need a theology of the heart? In fact, Christianity has a theology of the head for a long time. It is not bad. Rather, it must be good. A theology of the head produces a faith that is a thinking faith. However, in post-modern era, it seems that a thinking faith is deficient for preaching. What’s more? A professor Jong-Chun Park, as a systematic theologian, suggests a theology of the heart. His theology of heart tries to solve the long and obvious distance between the liberal theology and neo-orthodox theology. He insists that the post-modern theology need to be a theology 2.0. It is his theology of God's heart. His systematical idea of God's heart gives another challenge to a post-modern preaching. based on a theology of heart, this article develops homiletical subject as preaching 2.0 related to exegesis of the biblical text and delivery of the interpreted message.

      • KCI등재

        The Story of the Trinity according to Jürgen Moltmann

        Yong Won Song(송용원)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21 신학논단 Vol.106 No.-

        본 논문은 오늘날 하나님의 인격과 활동에 관한 근본 질문을 탐구하는 이야기 신학이라는 관점에서 몰트만의 삼위일체 이야기가 지니는 신학적 함의를 보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몰트만의 삼위일체 신학의 체계 전반을 ‘이야기’ 방식으로 재구성하는 가운데 고통과 자유의 이야기, 내재와 경륜의 상승과 하강의 이야기, 하나님 나라와 종말론적 삼위일체의 이야기라는 세 부분으로 직조된 주요한 신학 자리들(loci)을 차례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먼저, 삼위 하나님의 하나되심을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유일한 도구로 ‘개념’이 아니라 ‘이야기’가 제안되면서, 삼위 하나님의 자기계시 사건과 설명 또한 형이상학적 차원이 아니라 성서 안에 담긴 역사적 차원에서 일어난다는 주장에 적절성이 부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삼위일체 이야기’가 어떻게 하나님과 창조세계가 고통에서 자유로, 경륜에서 내재로, 현재에서 미래로 개방되어 가는지 교차 논증 방식이 지속적으로 채택된다. 그러한 가운데 몰트만은 삼위일체의 페리코레시스 유형으로 구성된 십자가 이야기를 기반으로 삼아 하나님과 인간의 고통과 자유를 수직과 수평 모든 차원에서 연결하면서 창조세계를 현재와 미래의 준-궁극 차원과 궁극 차원 모두에서의 회복으로 이끌고자 한다. 몰트만의 신학적 공헌은 현대 신학에서 이야기의 구조와 성격이 하나님의 삼위와 일치를 연결하는 데 매우 생산적이고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설득력 있게 제안하는 가운데 삼위일체 신학을 이야기 신학의 중심으로 떠오르게 했다는 점에 있다. 또한, 이야기 유형이 고통과 자유, 관계와 사람, 시간과 영원, 사랑과 주권, 역사와 존재와 같이 하나의 통합된 방식으로 연결되고 수렴되기 쉽지 않은 여러 대립 개념들을 삼위일체 하나님과 창조세계 사이의 페리코레시스 이야기 방식으로 화해되고 종합될 수 있다는 것을 성경과 역사만 아니라 현대의 맥락까지 고려하며 적절히 논증한 점에 있다. 결론적으로 몰트만의 이야기 신학에서 다시 주목해야 할 지점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영광스러운 신적 삶에 초점을 두는 삼위간 교제에 내재된 일치가 삼위일체 양식으로 ‘살아가는’ 그리스도교 공동체가 지향하는 하나님 나라의 종말론적 비전 가운데 이루어가는 일치와 상호 순환 관계를 구축한다는 데 있다. 그의 통찰은 고립과 배제의 고통에 처한 인류 공동체의 회복을 지향하는 교회 공동체의 대안적 이야기 재구성에 유효한 신학적 패러다임을 이미 제시했다는 점에서 현재 상황에도 적절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aims to show the theological implications of the story of the Trinity according to Jürgen Moltmann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theology which explores fundamental questions about God’s person and activity in modern day. The research method for this consists of three parts: (1) the story of suffering and freedom of the trinity, (2)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story between immanent and economic trinity, and (3) the story of the kingdom of God and the eschatological trinity. By reconstructing Moltmann’s trinitarian theology through a ‘story’ method, this article analyzes the major theological loci woven into one another. This analysis first suggests that a ‘story,’ not a ‘concept,’ is the only tool capable of clearly explaining the unity of the Triune God. In so doing, it is suggested that the self-revelation events and explanations of the Triune God were not on a metaphysical level but on a historical level contained in the Bible. Furthermore, a multifaceted argument method is adopted to see how the “Trinity Story” is open to God and the world from suffering to freedom, from economy to immanence, and from present to future. At the center of these thoughts, Moltmann connects God and human’s suffering and freedom in all dimension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based on the story of the cross composed of the trinitarian perichoresis type. Hence, Moltmann’s idea makes it possible to lead the world to recovery at both quasi-ultimate and ultimate levels in the present and future. Moltmann’s theological contribution lies in the fact that the structure and character of narratives are effective in linking the three persons and unity of God, thereby bringing Trinitarian theology to the center of narrative theology in modern theology. In addition, the narrative type binds several confrontational concepts—such as suffering and freedom, relation and person, time and eternity, love and sovereignty, history and existence—and reconciles and synthesizes in the way of perichoresis story. In this regard, Moltmann contributes to this line of reasoning, taking into account not only the biblical and historical context, but also the contemporary context. In conclusion, Moltmann’s narrative theology emphasizes the unity inherent in the Triune fellowship, which focuses on the glorious divine life of the Triune God, and builds a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unity in the eschatological vision of the kingdom of God, which the Christian community living in the triune style aims to resemble. Moltmann’s insight is to some degree relevant to today’s society in its current form as he has presented a theological paradigm that is effective for the reconstruction of an alternative narrative of the ecclesial community that aims to restore the human community suffering from isolation and excl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