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세 왜구의 경계침탈로 본 한·일 관계

        김보한(Bo-han Kim) 한일관계사학회 2012 한일관계사연구 Vol.42 No.-

        우리는 역사에서 어떤 국가의 내부 혼란이 주변의 다른 국가의 정치와 정책 결정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한 가지 예로서 왜구의 출몰로 시작된 고려와 조선의 대왜(對倭)정책을 들 수 있다. 13세기 이후 왜구의 등장은 고려와 조선으로 하여금 왜구의 경계침탈을 막기 위한 대왜 외교를 적극 추진하게 만들었다. 왜구의 경계침탈과 그로 인해 전개된 외교의 양상을 몇 가지로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가마쿠라 왜구는 조큐의 난의 발발과 관련되어 있으며, 고려군과의 군사적 충돌을 염두에 두지 않은 소규모 집단의 약탈에서 출발하였다. 또 가마쿠라 왜구가 고려에 등장하는 시점과 마쓰우라당이 고려의 경계를 침탈하는 시점이 거의 일치한다. 따라서 가마쿠라 왜구는 마쓰우라당이 주도적으로 가담한 약탈 행위였다. 둘째, 다자이후는 가마쿠라 왜구의 경계침탈을 막아줄 것을 요구하는 고려의 왜구 금지 사신이 도착하였을 때, ‘악당’ 을 참수하거나 약탈한 물품을 변상하는 등의 매우 호의적인 자세로 임하였다. 셋째, 무로막치 막부는 조선에 보낸 첩장에서 무로마치 왜구가 남북조 내란기의 규수의 정치 혼란과 직접 관련되어 있음을 스스로 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무로막치 막부는 고려와 조선에서 왜구의 경계침탈 금지를 요구하는 사신이 오자, 고려에 능동적으로 답례의 사신을 파견하였다. 이 러한 무로마치 막부의 적극적인 대(對)조선 외교 자세에도 불구하고 왜구의 경계침탈이 즉각적으로 사라지지 않았다. 넷째, 무로마치 왜구의 금지는 해적 금지령의 공포와 같은 막부의 의지와 재지세력의 자구적 노력, 그리고 조선의 대(對)왜인 강온정책 등의 상호 촉매 작용을 통하여 그 결실을 보게 되었다. In general, the certain situation of a country influenced on foreign relations among neighbor countries. For example, this problem belongs with the diplomacy between Japan and Goryeo and Joseon that are related to Wakou. The diplomacy between Korea and Japan is as follows. Firstly, Wakou in the early Kamakura Bakuhu age is related to the rise of Joqui’s rebellion and is the small group that is not related to the military confrontation between Goryeo and Wakou. Also, the time that Matsuura Tou disseise the boundary of Goryeo. Therefore, Wakou in the Kamakura Bakuhu age means that Matsuura Tou plunder autonomously Goryeo kingdom. Secondly, When the envoy of Goryeo kingdom come and demand to resist the boundary disseisin of Wakou, Kamakura Bakuhu decapitate Ackutou and reimburse looted goods. Thirdly, Wakou in the Muromachi Bakuhu age was related to the political crisis of Kyushu in Japanese North and South Dynasties according to the letters to Joseon from Muromachi Bakuhu. When envoys of Goryeo and Joseon kingdoms came and demanded to resist the boundary disseisin of Wakou, Kamakura Bakuahu sent replying envoys to Goryeo and Joseon. Nevertheless, the boundary disseisin of Wakou was perfectly eradicated. Fourthly, Wakou in the Muromachi Bakuhu age was annihilate through the volition and political stability of Bakuhu, and Joseon’s policy based on toughness and moderateness. Moreover, Muromachi Bakuful has been announced a low prohibiting pirate from plundering and tried to annihilate Wakou.

      • KCI등재

        여말~선초 왜구 발생의 메카니즘 -왜구의 실체에 관한 용어 분석을 중심으로-

        이영 한국중세사학회 2012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34

        There are ‘the traitorous subject of Kyushu area(九州乱臣)’, ‘the stubborn people of western seaside area(西辺海道の頑民)’ and ‘the people who fled to escape arrest by the Muromachi Bakuhu(逋逃)’ that are the terminologies concerning to the truth of Waegu of late Goryeo dynasty. Above all, ‘the traitorous subject of Kyushu area(九州乱臣)’ and ‘the people who fled to escape arrest(逋逃)’ have a political significance. These two terminologies indicated the troops of Seiseifu(征西府) which had invaded to the Korean Peninsula for plundering the provisions before the beginning of the battle of Chihu(千布)·Ninauchi(蜷打) in the suburb of Saga(佐賀) city Kyushu in 13th day January 1377 year. In other words, it was the truth of Waegu of late Goryeo(高麗) dynasty that ‘the traitorous subject of Kyushu area’ had fled from Kyusyu mainland to the islands of Tsushima(対馬) and Iki(壱岐), and they had made it there own base to attack Korean peninsula. The mechanism of invasion of Waegu in early Chosun dynasty had not changed. As Syogun(将軍) Ashikaga yoshimitsu(足利義満) dismissed the Imakawa Ryousyun(今川了俊) in the year of 1395 and dispatched new one Shibukawa Mitsuyori(渋川満頼), the rebellion come to the fore again. At the same time, the Waegu which had kept in the lull in the invasion, start to reborn. About these Waegu, 『The History of Goryeo(高麗史)』 and the diplomatic documents between China(明) and Japan described ‘the people who fled to escape arrest by us(=Muromachi Bakuhu, 逋逃)’. And this was the official terminology(公式用語) of Muromachi Bakuhu(室町幕府). Goryeo and Chosun dynasty and Ming dynasty called the Japanese pirates ‘Waegu’, which Muromachi Bakuhu explained the people who fled to escape arrest, so-called ‘podo(逋逃)’. And the ‘podo(逋逃)’ made base in two islands off the coast of Kyusyu, Tsushima(対馬) and Iki(壱岐). The Waegu from late Goryeo to early Chosun dynasty has a two-sideness, which are the military force group taken on a political character and the pirates, it means 'corsair' of western history. Finally, the mechanism of the invasion of Waegu from late Goryeo to early Chosun dynasty. which is ‘firstly the battle occurred in kyusyu mainland’-secondly the traitorous subject were defeated-thirdly they fled to the islands of Tsushima and Iki-fourthly they invade Korea and China as a pirates(Waegu), has not changed. There are ‘the traitorous subject of Kyushu area(九州乱臣)’, ‘the stubborn people of western seaside area(西辺海道の頑民)’ and ‘the people who fled to escape arrest by the Muromachi Bakuhu(逋逃)’ that are the terminologies concerning to the truth of Waegu of late Goryeo dynasty. Above all, ‘the traitorous subject of Kyushu area(九州乱臣)’ and ‘the people who fled to escape arrest(逋逃)’ have a political significance. These two terminologies indicated the troops of Seiseifu(征西府) which had invaded to the Korean Peninsula for plundering the provisions before the beginning of the battle of Chihu(千布)·Ninauchi(蜷打) in the suburb of Saga(佐賀) city Kyushu in 13th day January 1377 year. In other words, it was the truth of Waegu of late Goryeo(高麗) dynasty that ‘the traitorous subject of Kyushu area’ had fled from Kyusyu mainland to the islands of Tsushima(対馬) and Iki(壱岐), and they had made it there own base to attack Korean peninsula. The mechanism of invasion of Waegu in early Chosun dynasty had not changed. As Syogun(将軍) Ashikaga yoshimitsu(足利義満) dismissed the Imakawa Ryousyun(今川了俊) in the year of 1395 and dispatched new one Shibukawa Mitsuyori(渋川満頼), the rebellion come to the fore again. At the same time, the Waegu which had kept in the lull in the invasion, start to reborn. About these Waegu, 『The History of Goryeo(高麗史)』 and the diplomatic documents between China(明) and Japan described ‘the people who fled to escape arrest by us(=Muromachi Bakuhu, 逋逃)’. And this was the official terminology(公式用語) of Muromachi Bakuhu(室町幕府). Goryeo and Chosun dynasty and Ming dynasty called the Japanese pirates ‘Waegu’, which Muromachi Bakuhu explained the people who fled to escape arrest, so-called ‘podo(逋逃)’. And the ‘podo(逋逃)’ made base in two islands off the coast of Kyusyu, Tsushima(対馬) and Iki(壱岐). The Waegu from late Goryeo to early Chosun dynasty has a two-sideness, which are the military force group taken on a political character and the pirates, it means 'corsair' of western history. Finally, the mechanism of the invasion of Waegu from late Goryeo to early Chosun dynasty. which is ‘firstly the battle occurred in kyusyu mainland’-secondly the traitorous subject were defeated-thirdly they fled to the islands of Tsushima and Iki-fourthly they invade Korea and China as a pirates(Waegu), has not changed.

      • 여말~선초 왜구 발생의 메카니즘

        이영(Yi Young)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2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제학술회의 Vol.2012 No.11

        There are ‘the traitorous subject of Kyushu area(九州亂臣)’, ‘the stubborn people of western seaside area(西?海道の頑民)’ and ‘the people who fled to escape arrest by the Muromachi Bakuhu(逋逃)’ that are the terminologies concerning to the truth of Waegu of late Koryo dynasty. Above all, ‘the traitorous subject of Kyushu area(九州亂臣)’ and ‘the people who fled to escape arrest(逋逃)’ have a political significance. These two terminologies indicated the troops of Seiseifu(征西府) which had invaded to the Korean Peninsula for plundering the provisions before the beginning of the battle of Chihu(千布)ㆍNinauchi(?打) in the suburb of Saga(佐賀) city Kyushu in 13th day January 1377 year. In other words, it was the truth of Waegu of late Koryo(高麗) dynasty that ‘the traitorous subject of Kyushu area’ had fled from Kyusyu mainland to the islands of Tsushima(對馬) and Iki(壹岐), and they had made it there own base to attack Korean peninsula. The mechanism of invasion of Waegu in early Chosun dynasty had not changed. As Syogun(將軍) Ashikaga yoshimitsu(足利義滿) dismissed the Kyusyu tandai(九州探題) Imakawa Ryousyun(今川了俊) in the year of 1395 and dispatched new one Shibukawa Mitsuyori(澁川滿賴), the rebellion come to the fore again. At the same time, the Waegu which had kept in the lull in the invasion, start to reborn. About these Waegu, 『The History of Koryo(高麗史)』 and the diplomatic documents between China(明) and Japan described ‘the people who fled to escape arrest by us(= Muromachi Bakuhu, 逋逃)’. And this was the official terminology(公式用語) of Muromachi Bakuhu(室町幕府). Koryo and Chosun dynasty and Ming dynasty called the Japanese pirates ‘Waegu’, which Muromachi Bakuhu explained the people who fled to escape arrest, so-called ‘podo(逋逃)’. And the ‘podo(逋逃)’ made base in two islands off the coast of Kyusyu, Tsushima(對馬) and Iki(壹岐). The Waegu from late Koryo to early Chosun dynasty has a two-sideness, which are the military force group taken on a political character and the pirates, it means ‘corsair’ of western history. Finally, the mechanism of the invasion of Waegu from late Koryo to early Chosun dynasty. which is ‘firstly the battle occurred in kyusyu mainland’ - secondly the traitorous subject were defeated - thirdly they fled to the islands of Tsushima and Iki - fourthly they invade Korea and China as a pirates(Waegu), has not changed.

      • KCI등재

        고려 우왕 원년(1375)의 羅興儒 일본 使行의 외교적 성과

        이영 한국중세사학회 2016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47

        The diplomatic effort of Goryeo dynasty to solve the Japanese pirates problem has been regarded ineffective by the Japanese and Korean scholars. This perception is based on the false recognition about the Na Heung-You’s special mission to Japan in the year of 1375. But the Muromachi Bakuhu of Japan expressed the willingness to cooperate for solving the pirates problem by letter. It reads as follows. First, Japan has been in the state of civil war for 20 years. Second, rebellious forces were the identity of Japanese’s pirates. Third, Japan’s governmental authority has exerted military effort to solve this problem. Fourth, it was said that if Japan’s governmental authority could establish security of the Kyushu region, there would be more pirates invasion. This letter, because of its contents, exposed their own weakness to Goryeo dynasty and it could bring the armed aggression of foreign country. However, from Goryeo’s standpoint, the delivery of this letter meant that it’s not the sign of national invasion but just a pirates’ action of rebellious forces. Goryeo, which was encountering with military threat by the Yuan(元) and Ming(明) Empire from the north at that time, could feel secure by receiving this letter.

      • KCI등재

        고려 말 왜구와 남조-경신년(1380)의 왜구를 중심으로

        이영(Yi Young) 한일관계사학회 2008 한일관계사연구 Vol.31 No.-

        〈경신년 왜구〉는 경인년(1350)이후 31년 동안 침구해온 왜구 중 최대규모였다. 진포구에서 고려군의 화포 공격을 받아 타고 돌아갈 배가 불타버리자, 왜구들은 이후 수 개 월 동안 고려 내륙을 전전하면서 고려 사회에 막대한 인적·물적 피해와 엄청난 충격을 안겨 주었다. 기존의 일본 측 연구는 이 〈경신년 왜구〉에 관한 고려사 의 기록을 신뢰하지 않았기 때문에 구체적인 고찰을 시도하기는커녕 오히려 소위 〈고려 말 왜구=고려·조선인 주체〉설 내지는 〈고려 말 왜구=고려·일본인 연합〉설의 근거로 삼기도 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신년 왜구〉와 관련해, 최초로 일본 측 문헌 사료에 입각해, 그 실체와 침구 배경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 〈경신년 왜구〉는 규슈탄다이 이마가와 료슌의, 예상되는 공격에 대하여 규슈의 남조 세력이, 다카기·아마쿠사 일대의 선박을 대피시키기 위해, 그리고 남조의 본거지 기쿠치 일대가 포위당한 상황 속에서 병량미를 얻기 위해 침구했던 것임을 밝혔다. 그러한 〈경신년 왜구〉 중에는, 다카기·아마쿠사 지역의 수군 세력은 물론, 규슈 최남단의 오오스미 지역의 호족 네지메씨 주변의 남조 세력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상과 같은 고찰을 통해서,〈경신년 왜구〉를 근거로 하여 제기된 소위 〈왜구=고려·조선인 주체〉설 내지 〈왜구=고려·일본인 연합〉설은 입론(立論)부터 잘못되었음을 입증했다. 그리고 〈경신년 왜구〉 역시, 고려 말의 왜구가 규슈 지역의 무장 세력이 병량미의 확보와 일시적인 도피를 목적으로 침구해간 것이라는 필자의 일관된 견해를 입증하는 또 하나의 좋은 사례임을 밝혔다. 〈The Waegu of 1380 years〉 was the largest scale among the others invaded for 31 years after Gyeong-in(A.D. 1350). Waegu with its burned vessel from Jinpo distinct wandered around Korea inland for several months. It committed an act of brutality leaving Korea massive loss of manpower, material resources, and great shock. The existing studies of Japan did not trust records about 『The History of Goryeo dynasty』 in〈The Waegu of 1380 years〉 so that they never tried concrete examination, but put foundation on the theories of〈Waegu=the korean people〉 or〈Waegu=the korean·Japanese union〉. This study examines these documentary records relating to〈The Waegu of 1380 years〉 for the first time, considering its entity and backgrounds of invasion. That is, 〈The Waegu of 1380 years〉 happened for kyushu’s nancho(南朝) sway to take shelter vessels of Takagi and Amakusa from the attack of Imagawa ryousyun(=the commander of the muromachi bakuhu at kyushyu region). Also, to gain rices(兵糧米) in the situation of nancho(南朝)’s headquarter-kikuchi(菊池) soldiers got surrounded by enemies. Among〈The Waegu of 1380 years〉, not only naval forces of Takagi Amakusa distinct but also, kyusyu’s furthest southern extremity-the clan of Osumi distinct nancho(南朝) sway of Nejime was involved. Through examination mentioned above, theories such like〈Waegu=Korean people〉 or〈Waegu=Korean·Japanese union〉 based on〈The Waegu of 1380 years〉 was not only wrong from the build up, but also prove my opinion about the fact that Waegu-military power invaded for the gain of rices(兵糧米) and temporary escape in the end of Goryeo dynasty.

      • KCI등재

        『海東諸國紀』로 본 中世日本의 國王觀과 日本國王使의 성격

        신동규(Shin Dong-Kyu) 한일관계사학회 2007 한일관계사연구 Vol.27 No.-

        본고에서의 주된 논점은 海東諸國紀에 수록된 일본의 國王觀, 그리고 일본에 國王이라는 용어가 외교적 측면으로 정착되면, 탄생한 日本國王使라는 사절단이 海東諸國紀가 편찬된 1471년을 전후해서 과연 어떠한 성격을 가지고 변화되고 있었는가라는 것인데, 이를 몇 가지 점에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海東諸國紀에 수록된 일본의 國王이라는 용어와 국왕관에 대한 의미 부여로서 일본에서의 國王의 의미는 대외적 대내적인 양면성을 띠고 있었고, 이것은 일본의 외교적 양면성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라는 점이다. 대외적인 면에서 國王(=日本國王)을 내세워 동아시아 국제질서라는 틀 속에서 일본을 위치시키고, 대내적인(=국내적) 면에서 본다면, 天皇이라는 표면적 권위를 인정하며, 國王이라는 명칭 대신에 征夷大將軍=쇼군이라는 武威를 내세워 국내 권력을 장악하고 있었다. 둘째, 조선 측의 입장에서 海東諸國紀의 國王觀을 본다면, 일본 ‘최고의 정치적 실력자’로서 미나모토씨(源氏)=征夷大將軍(將軍, 쇼군)=국왕이었다. 이러한 인식은 海東諸國紀가 편찬된 1471년을 전후한 중세 이후 조일관계 속에 일본의 정치권력 주체를 규정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의미가 크다. 셋째, 일본에서는 외교적인 차원에서 國王이라는 용어가 정착이 되어, 일본국왕사라는 사절단을 조선에 파견하게 되는데, 이는 1471년 海東諸國紀 편찬을 전후하여 그 성격이 크게 변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본문의 일본국왕사의 파견 목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海東諸國紀가 편찬된 1471년을 전후한 시기 일본국왕사의 목적은 왜구금압이 중요했으나, 이후부터는 무역액의 증가를 위해 일본국왕사의 명의를 사칭한 僞使가 급증하게 되었다. 여기에는 海東諸國紀에 의해서 정립된 일본국왕사에 대한 특권적인(諸巨酋使보다 실리적인 특권) 규정이 전제하고 있었으며, 결국, 이러한 특권은 사절 파견의 명의로서 일본국왕사의 가치를 높여주었고, 이것이 1470년 이후 일본국왕사 사칭의 僞使를 증가시키는 하나의 배경이 되었던 것이다. 넷째, 일본국왕사의 명의로 파견된 사절 중에 僞使들이 많다는 것을 조선 정부도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었으나, 이를 접대한 것은 조선의 大國觀에 의해 일본을 회유?기미하기 위한 정책의 발현이었다는 점이다. 더욱이 僞使였던 일본국왕사는 전술한 國王이라는 용어가 일본의 외교적 양면성을 설명해 주듯이, 일본국왕사 또한 표면적인 책봉국가 간에 공식적인 관계의 교린과 내면적으로 실리추구라는 양면성을 가지고 발생하였던 것이며, 이것이 일본국왕사의 또 하나의 성격으로 규정지을 수 있겠다. The main points at issue in this writing are the view to the king in Japan, and characteristic and evolution of the envoy of the Japanese king both are described in Hedongjegukgi which was written around 1471. The clarifications of a few points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terminology of king in Japan written in Hedongjegukgi, and the significance given to the view to king in Japan have both aspects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which is an example showing the dualism in the Japanese diplomacy. In the external aspect, the Japanese king was brought out to establish the nation of Japan in the international rule of the East Asia, and in the internal aspect, while the superficial authority of emperor was recognized, the tile of “Shogun” was represented instead of the tile of king to rule the nation. Second, from the view point of the Chosun dynasty to the view to king in Hedongjegukgi, “Minamoto” as the highest political influencer in Japan was the king. It has a great significance in perception that defining the main body of the political power in Japan in the relation between Chosun and Japan around 1471 in the mid ages when Hedongjegukgi was published. Third, the term of king was established in the diplomatic sense in Japan, and the envoy of the Japanese king as delegates was dispatched to Chosun whose characteristic was tremendously changed in 1471 when the time Hedongjegukgi was published. Therefore, as purpose of dispatch of the envoy of the Japanese king is reviewed, repelling of the Japanese pirates was very important to the Japanese king and number of the envoys of the Japanese king under false statement rapidly increased as the volume of trading increased. The privilege for the envoy of the Japanese king was premised by Hedongjegukgi, and the privilege therefore increased the value of the envoy of the Japanese king under the national dispatch and caused to increase the envoys of the Japanese under false statement after 1470. Four, the Chosun government also perceived a large number of the envoys of the Japanese king in false statement but they entertained for their grandeur in foreign policy and conciliation of Japan. Furthermore, as the envoy of the Japanese king under false statement and the term of king aforementioned had a significance in dualism in the Japanese diplomacy, the real envoy of the Japanese king also had a role for the dualism in the Japanese diplomacy of relation with a superficial installed nation, and their striving for internal interest. It is defined as an additional characteristic of the envoy of the Japanese king.

      • KCI등재

        중세의 왜구

        김보한(Kim Bo-Han) 한일관계사학회 2008 한일관계사연구 Vol.30 No.-

        동아시아 해역에서 활동하던 왜구에 관한 일본학자의 학술사적 연구는 19세기 말부터 시작되었다. 왜구의 발생 원인에 대해서 초기 왜구 연구에서는 일본 해적의 활동으로 파악하였다.그런데 왜구의 연구가 심화될수록 왜구의 발생을 고려 내부의 문란한 정치적ㆍ경제적 혼란 상황으로 설명하는 이중적 분석이 출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왜구의 주체를 고려인ㆍ일본인으로 규정하는 일본학자의 견해의 출발은 인용한 사료의 선택에 있다. 일본 측 사료의 인용을 등한시하고 고려측 사료에만 의존한 인용이 논리의 편향을 불러왔던 것이다. 이러한 고려측 사료만의 전적인 인용은 왜구의 발생 원인을 고려 내부의 혼란 상황과 연결하고 고려 내부의 문제로만 제한시켰던 것이다. 이렇게 자의적인 사료 인용과 비논리성이 왜구사 연구에 커다란 걸림돌로 작용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하겠다. 근래 일본학자의 논리는 왜구의 주체가 고려의 천민이고, 왜구의 활동을 이들의 활약인 것으로 규정함으로써, 왜구의 발생 원인보다는 ‘왜구 주체론’으로 관심을 유도하고 있다. 그럼에도 우리가 일인학자들의 논리를 뒤집지 못하는 이유는 반대로 일본의 정치상황과 해적 활동 사이에 유기적인 관계를 분석해 내지 못한 것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료의 자의적 선택과 인용문의 편파적 해석으로 성립된 일본학계의 왜구 논리가 일선의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에는 어떻게 접목되어 있는가를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먼저, 왜구의 근거지, 왜구의 발생원인, 왜구의 주체와 관련하여 약 2/3정도가 비교적 객관적인 논지로 서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둘째로 대부분의 일본 역사 교과서가 고등학교 학습지도 요령 대로 왜구를 교류사와 교역사의 범주에 넣어 기술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마지막으로 왜구의 근거지와 왜구의 주체와 관련해서 일부 일본학자의 왜곡된 견해가 그대로 반영된 예가 존재한다는 점이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는 방법으로서 우선 한?일 학자 간의 정기적인 상호 교류와 토론을 통해서 학술적 성과를 조율하고, 교사와 민간단체의 적극적인 교류와 자료교환을 병행하여 공동의 연구성과를 도출해 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Historical study of the Japanese scholar about Wakou(倭寇) which moved into action in East Asia sea area began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the early Wakou study grasped the activity of the Japanese pirate about the origin of the Wakou. By the way, analysis of the doubleness to explain in the confusion situation of the economy and the politics to be disturbed of the Korea dynasty inside appeared so that the study of the Wakou was deepened. The opinion of the Japanese scholar who prescribed the subject of the Wakou with an alliance of the Korean and Japanese were began by the choice of the historical materials. The quotation that leaned on only historical materials of the Korea dynasty caused an inclination of the logic. The full-scale quotation only for suchthe Korea dynasty side historical materials was able to be connected by the internal confusion situation to stew the origin of the Wakou. It is natural for so arbitrary historical materials quotation and illogicalness to act on a history of Japanese pirates study with a big obstacle. And the Japanese logic guides the interest of the circumference to ‘The Wakou subject theory’ than the origin of the Japanese pirates these days. We overturn the logic of Japanese scholars, and the reason is still because that cannot let the Wakou company form newly cannot analyze organic relations between the politics situation and pirate activity adversely. A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shows quotation of such logic. The first, the foothold, origin, the subject of the Wakou are done by an objective point of argument about 2/3 rank. The 2nd, most Japanese history textbooks belong to history of interchange and a category of trade company according to <The course of study in the high school> in the Wakou. Finally, it was the point that there was the example that a distorted opinion was just reflected of some of the Japanese scholar. Therefore, as a method to improve this, at first change periodical mutual interchange and document between the scholars and lead joint results of research and must start it.

      • KCI등재

        동 아시아 국제 질서의 변동과 왜구

        이영 한일관계사학회 2010 한일관계사연구 Vol.36 No.-

        전근대 동 아시아의 국제관계를 진동시킨 <일본 침공>과 <왜구>는 서로 약 1세기의 시간적 간격 속에서도 상호 밀접한 인과관계를 지니고 있었다. 즉 <팍스 몽골리카>의 성립, 동요 붕괴와 <왜구의 공백기> <경인년 이후의 왜구> <왜구의 발호>는 각각 상호 대응하는 것임이 확인되었다. 이처럼 왜구의 여러 획기(劃期)가 중국 대륙 정세와 연동되어 나타나는 현상은, 왜구의 근거지와 발생지가 일본의 국경지역인 규슈 지방이었기 때문이었다. 그것은 대륙 정세에 관한 정보가 당시 중일간을 빈번하게 왕래하던 해상(海商)과 선승(禪僧)들에 의해 일본으로 전해졌고 그러한 정보 유입이 일본사회의, 대외적 요인에 기인한 사회적 긴장을 해체시켜갔다. 이러한 긴장완화는 사회 내부의 모순을 일거에 표출시켰으며 그것은 남북조 동란의 발발로 이어졌다. 그리고 왜구는 이러한 일본 사회의 내부 모순이 국경을 넘어 전개된 것이었다. 왜구의 발호(跋屋) 현상도, 원의 쇠락과 명의 등장으로 인해 차츰 변화되어간다. ‘왜구 금압’을 내세운 명의 고려와 일본에 대한 외교적 압력은 한편으로는 고려-일본 양국의 외교적 결속을 촉진시켰다. 최영의 요동정벌도, 박위의 대마도 원정도 이러한 양국 간의 신뢰관계가 있었기 때문에 추진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 시기,료순의 대 고려 외교는 고려-조선 왕조의 교체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고려는 명의 금왜 압력을 역으로 활용해 명으로부터 화약과 화포 지원을 이끌어 냈으며 또한 왜구의 근거지 대마도에 대한 군사공격으로 방향을 잡아갔다. 한편 명의 대일(對日) 압력은 막부의 정서부 소탕-요시노 조정(남조)의 항복(남북조의 합일)을 거쳐 쇼군의 일본 국왕화(책봉체제 편입)로 전개되어 갔다. 이처럼 명의 등장은 고려-일본 관계의 개선을 촉진시켰으며 이를 위해 일본의 막부에게는 필수 선결과제인 ‘왜구 금압’이 강하게 요구되었다. 또한 명-고려 관계 역시 왜구 금압이 강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고려로서는 명이 왜구 금압을 명분으로 내세워 침공해올지 모른다는 강한 위구심을 떨쳐버릴 수 없었다. 그것이 대마도 정벌로 구현된 것이다. 명-일본 관계에 있어서도 왜구 금압은 부언(附言)할 필요도 없이 최대의 외교적 과제였다. 막부의 입장에서 보면 명이 왜구 금압을 명분으로 내세워 일본을 침공할 것은 물론, 만약 그렇게 된다면, 정서부의 가네요시 왕자가 협조할 가능성에 대해 심각한 위협을 느끼고 있었다. 이처럼 명의 외교적 압력은 왜구(규슈 지역의 난신과 완고한 백성)에 대한 전방위적(全方位的)인 포위와 압력이 되어갔다. 그 결과 규슈 남조 세력(난신)은 소멸되어갔고 왜구도 진정되어 갔던 것이다. 이처럼 14세기 후반부터 15세기 초로 이어지는 동 아시아 국제 질서의 재편 과정에는 <팍스 몽골리카>의 동요 및 붕괴가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 과정에 한인군웅의 난(중국),반원자주 개혁(고려),남북조 내란과 왜구의 발호(일본)가 역사현상으로 표출되었고 그 결과물로 나타난 것이 새로운 중원의 지배자 ‘명의 등장(중국)’, ‘왕조교체(고려-조선)’,그리고 ‘왜구의 금압과 내란의 합일(일본)’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