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를 위한 정신화 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경숙(Gyeong-sook Lee),변소연(So-yun Byun),김은영(Eun Young Kim)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23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32 No.1

        본 연구는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의 정신화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정신화 효과를 검증하였다. Fonagy와 동료들의 정신화 발달 이론, 청소년 및 가족 정신화 프로그램을 기초로 하여 정신화 자세 이해, 명시적 정신화 수행, 정신화 억제요인 탐색, 효과적 정신화 강화의 4단계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G시와 P시에 거주하는 학부모 18명을 모집한 후 실험집단을 대상으로정신화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은 부모의 비정신화 감소와 정서조절, 자녀관계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며, 정신화 하위요인인 확실성과 관심 및 호기심에는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양적 분석을 보완하기 위해 회기별 녹취록과 소감문 내용을 분석한 결과, 정신화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부모는 자녀..를 자신과 분리된 인격체로 인식하게 되었다. 그리고 각자의 정서적 신호를 민감하게알아차리고 타당화 하는 과정을 통해 각성수준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신과 자녀의 감정에 쉽게 매몰되지 않고 자녀와 상호작용할 수 있게되었다. 이것은 자녀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할 자신감의 회복과 더불어 자녀로부터 다시 공감받는 긍정적인 선순환으로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a mentalization training program for parents with adolescents. Based on mentalization development theory and the mentalization-based treatment for adolescents and families by Fonagy and his colleagues, a program with four stages of understanding the mentalization attitude, practicing explicit mentalization, exploring mentalization inhibitory factors, and reinforcing effective mentalization was developed. 18 parents in G and P cities were recruited; the program was conducted on the experiment group and no treatment was given on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analysis, the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parental non-mentalization and improving emotional regulation and relationships with adolescents,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certainty, interest and curiosity, which are sub-factors of mentalization. A supplementary analysis of the sessions and comments indicated that the program led parents to perceive their children as separate individuals from themselves. And through the process of sensitively recognizing and validating each other's emotional signals, the level of arousal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so that they can interact without being easily immersed in their own and children's emotions. It leads to a positive virtuous cycle of gaining empathy from children as well as restoring confidence in maintaining close relationships with children.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정신화가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고태순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ization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nd to explore the influence of mentalization on parenting stress. The participants were 199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ttending a kindergarten in Seoul and a daycare center in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Pearsons'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on the SPSS 25.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entalization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ll the sub-factors of mentalization, excluding emotional awareness, were foun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ub-factors of parenting stress. Among the sub-factors of mentalization, regulation of affect and non-psychic equivalence mode were the significant variables explaining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The regulation of affect was the largest predictive variable explaining parenting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mentalization-based program to reduce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nd to positively chang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young children.

      • 정신화 기반치료와 정신역동적 심리상담: B 군 성격장애를 중심으로 통합적 관점에서

        조난숙 ( Cho Nhan Sook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4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11 No.0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활발한 정신화 연구 경향을 이해하고, 이를 인간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와 기독교 상담에 적용하기 위해 정신역동적 심리상담과 정신화 기반 치료(MBT)에 대한 통합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국내외의 문헌 연구를 통하여 정신역동적 심리상담과 의 통합적인 관점에서, MBT를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경계선 성격장애를 중심으로 B 군 성격장애에 대한 심리상담으로의 적용을 모색하였다. MBT는 통합적 접근 방식을 위한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정신분석에서 출발한 애착 이론에서 나온 치료이면서 인지행동치료와 인본주의 치료와도 연결점이 많기 때문이다. 또한, 기독교 상담적 접근도 통하는데, 가장 근본적인 인간과 하나님을 이해하는 과정이 사실상 정신화 과정이기 때문이다. 정신화와 그 유사 개념, 정신화의 인지행동과 인본주의적 관점 등을 제시하며 B 군 성격장애에 대한 MBT의 임상적 적용을 네 가지 정신화 차원에서 고려하였으며 MBT가 어떻게 심리상담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In this study, an integrated review of psychodynamic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mentalization-based therapy(MBT) was attempted to understand the recent trend of active mentalization research and apply it to in-depth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Christian counseling.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research, psychodynamic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MBT are explained from an integrated point of view, and its application to group B personality disorder psychological counseling is sought focusing o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MBT can be an important tool for an integrated approach. The reason is that it is a treatment derived from attachment theory, which originated from psychoanalysis, and is closely related to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humanistic therapy. In addition, since the most fundamental process to understand human beings and God is actually a process of mentalization, a Christian counseling approach also works. The discussion will be presented in the order of mentalization-like concept, humanistic perspective of cognitive behavior and mentalization, and clinical application of MBT to type B personality disorder.

      • KCI등재

        정신화(mentalization) 개념을 통한애착 이론과 정신 분석의 재조명: 정신화의 경험적 기반과 측정의 임상적 함의

        차혜명,김은영 한국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5 No.1

        From the perspectives of psychoanalysis, the development of the attachment theory has been paradoxical in itself. Bowlby’s theory of attachment has been initially derived from the Kleinian psychoanalytic tradition focused on ‘internal world’ and ‘mother as a representation.’ However, it has been detached from its origin and found its place within empirical tradition of social science with developmental psychology concentrating on ‘external world’ and ‘real mother,’ and further developed into more empirical tradition in the field of psychology. Interestingly enough though, Fanagy representing modern attachment theory stresses the fact that the series of empirical studies on attachment have been reversed its academic trajectory, through rounds of revisions, back to ‘internal world.’ Fonagy’s attempt to reestablish ties between the two academic trends shows its effort clearly in his concept mentalization stemming from the idea of evolution. This study looks into ‘mutual regulation’ that is a revised hypothesis of mentalization and attachment theory in relation to the psychoanalytic tradition, and reviews current neurobiological finding on attachment and mentalization. Lastly, this study covers various operational measurement schemes of mentalization and discusses clinical implications of mentalization in the contexts of evidence-based treatment and of South Korean. 정신분석과의 관계에서 볼 때, 애착이론의 시작과 발전은 그 자체로 역설적이라 할 수 있다. Bowlby의 애착이론은 ‘정신 내적 세계’와 ‘표상으로서의 어머니’에 집중하고 있던 Kleinian 정신분석학적 전통에서 잉태되었지만, 이러한 전통에서 떨어져 나와 또 다른 경험과학, 즉 ‘외부 세계’와 ‘실제 어머니’에 주목하는 발달심리학의 주요한 하나의 거점으로 자리잡았고, 나아가 작금의 경험 과학(empiricism)적 심리학의 풍토에 성공적으로 안착하였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현대 애착 이론을 대표하는 Fonagy는 ‘실제 현실’의 경로를 추적하던 애착이론의 경험적 연구들이 거듭된 수정과 재수정을 통해 ‘표상으로서의 내적 세계’에 접근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이와 같이 정신분석적 시각에서 애착 연구의 성과를 재해석하고, 결별한 두 이론적 흐름을 재결합시키는 Fonagy의 이론적 시도는 정신화 개념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본 논문은 먼저 Fonagy의 정신화 개념 및 애착이론의 수정된 가정인 상호조절(mutual regulation) 개념을 정신분석적 전통과의 대비선상에서 조명하고, 정신화 개념을 뒷받침하는 신경생물학적 연구들을 개관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정신화의 조작적 측정 도구로서의 성찰 기능 척도를 개관하고, 근거 기반 치료(evidence-based treatment)라는 최근 흐름에서의 임상적 함의와 국내 상황에서의 시사점을 탐색한다.

      • KCI등재

        한국판 정신화 불균형 척도 타당화

        김은석 한국발달지원학회 2023 발달지원연구 Vol.12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Mentalization Imbalance Scale(Gagliardini, Gullo, Caverzasi, Boldrini, Blasi, & Colli, 2018) as a Korean version. The MIS enables a multidimensional assessment based on recent consensus on the dimensional classification of mentaliz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elf-reporting scales by conducting it in a way that the clinician evaluates the client’s mentalization.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92 responses of counselors evaluating their client with the mentalization imbalance scale and the personality disorder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and 254 data excluding which did not satisfy some of the subject condition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condition of client was who had a personality disorder or clinically meaningful personality problem, but did not show any psychological symptoms in the past six months, and was liited to those aged 18 or older who received at least five sessions of counseling.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21 items except for one item with a low item-total score correlation, K-MIS was confirmed to consist of 6 factors consistent with the original scale: imbalance toward self, imbalance toward others, cognitive imbalance, affective imbalance, automatic imbalance, external imbalance.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K-MIS was .88 and the reliability of each subscale was .55-.80. To examine criterion-related validity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and the symptoms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was verified through Poisson regression analysis. 본 연구의 목적은 Gagliardini, Gullo, Caverzasi, Boldrini, Blasi와 Colli(2018)에 의해 개발된 정신화 불균형 척도(Mentalization Imbalances Scale)를 한국판으로 타당화하는 것이다. 정신화 불균형 척도는 정신화의 차원 분류에 대한 최근의 합의에 기초하여 다차원적 평가를 가능케 한다. 또한 임상가가 내담자의 정신화 체계를 평정하는 방식으로 실시하여 기존 척도들의 자기보고식 평가 방법이 갖는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담자를 대상으로 정신화 불균형 척도와 성격장애 질문지를 활용하여 자신의 내담자에 대해 평정하게 한 응답자료 총 292부를 수집하였으며, 이 중 대상자 조건 일부를 충족시키지 않는 자료를 제외한 254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평정 시 내담자는 성격장애가 있거나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성격 문제를 가지고 있으나 최근 6개월 사이에 정신증적 증상을 보이지 않았으며 최소 5회기 이상 상담을 받았으나 상담 기간이 최대 18개월을 넘지 않은 18세 이상 내담자로 한정하였다. 문항-총점 상관이 낮은 1개 문항을 제외한 21개 문항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원척도와 동일하게 자기에 치우친 불균형, 타인에 치우친 불균형, 인지적 불균형, 정서적 불균형, 외부적 불균형, 자동적 불균형의 6요인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판 정신화 불균형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88이고, 하위척도별 신뢰도는 .55-.80로 나타났다. 준거관련타당도를 살피기 위해 각 하위요인과 경계선 성격장애 증상 및 자기애성 성격장애 증상 간의 관계를 포아송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 KCI등재

        상담 및 심리치료 성과의 효과적 핵심 요인

        이수림(Su Lim Lee),이문희(Mun Hee Lee)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4 인간연구 Vol.0 No.27

        정신화는 최근 심리치료 성과에 효과적인 핵심 요인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개념으로서 그동안 치료가 힘들었던 성격장애에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검증되어 주목받고 있다. 또한 정신화는 폭력, 비행 등 청소년 문제 상담 프로그램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신화를 소개하고 관련 문헌과 연구들을 개관하여 향후 정신화와 관련된 연구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화를 대인 관계 상황에서 자신과 타인의 행동 기저에 있는 정신 상태(신념, 동기, 정서, 바람, 욕구)를 상상하여 사회적 세계를 이해하는 활동으로 정의하고, 정신화에 대한 개념 및 유사 개념들 간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신화의 발달 및 손상 과정,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측정의 문제를 살펴보았으며, 마지막으로 정신화기반치료의 치료 모형, 과정 및 효과에 대해 소개하였다. 끝으로 정신화에 대한 국내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몇 가지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Mentalizing has been regarded as an essential factor for achieving a effective psychotherapy outcome for pati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Mentalizing is also applied in counseling programs for youths with violence problems. This paper attempt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mentalizing and its related research and suggest future areas of study with regard to mentalizing. Mentalizing is defined as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mental states that underlie overt behavior in both oneself and others(e.g., the needs, desires, feelings, beliefs, goals, purposes, and reasons). This paper reviews the concept of mentalizing and its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with related concepts. Also, this paper reviews the development of mentalizing as well as its defects, relation to mental health, measurement, and mentalization-based-therapy.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included in the discussion section

      • KCI등재

        Analysis of Korean Children’s Developmental Pattern on the Social Brain Related to Mentalization Ability: An fNIRS Study

        권승혁(Seung-Hyuk Kwon),박진선(Jin-Sun Park),권용주(Yong-Ju Kwon) 한국교원대학교 뇌기반교육연구소 2021 Brain, Digital, & Learning Vol.11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Korean children’s developmental pattern of the social brain related to mentalization ability. For this study, a mentalization task and the prefrontal brain activity measurement using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fNIRS) were administered to a total of 163 subjects in kindergarte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As the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ntalization ability score among preschoolers, lower elementary students, upper elementary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mentalization ability score.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mentalization performance and brain activity, it was shown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right hemisphere orbitofrontal cortex (OFC) and the left hemisphere dorsal lateral prefrontal cortex (DLPFC). Specifically, the correlation was analyzed 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OFC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DLPFC. These results provide quantitative analysis information by taking a cross-sectional approach to the children’s developmental pattern on the social brain and mentalization ability in kindergarten, lower elementary, uppe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might be provide an alternative educational implication to children’s development on social brain and mentalization.

      • KCI등재

        아동기 애착 외상이 여자 청소년의 자해 경험에 미치는영향: 정신화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상순,권해수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3 상담심리교육복지 Vol.10 No.6

        본 연구는 아동기 애착 외상이 여자 청소년의 자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신화의 매개효과를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및 소아청소년정신의학과를 방문한 여자청소년 192명에게 아동기 외상 질문지(CTQ-SF), 정신화 척도(MentS), 자해 기능 평가지(FASM)를실시하였으며,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 외상과 자해 경험 간에 정적 상관이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 외상과 정신화 간에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정신화와 자해 경험 간에도부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신화가 애착 외상과 자해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애착 외상 경험은 아동의 정신화 발달을 어렵게 하며, 정신화 능력이 결핍되거나 약화될수록 자해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정신화 기반 상담 개입으로 정신화 능력을 발달시킴으로써 여자 청소년의 자해 행동을 예방할 수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on the effectsof childhood attachment trauma on self-injurious behavior in adolescent girls. The participantsof the study were 192 female adolescents who visited the youth counseling welfare center and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and they responded to the childhood traumaquestionnaire-short form, mentalization scale, and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self-mutil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mentalization has been shown to partially mediate the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trauma and self-harm. These results showed that attachmenttraumatic experiences made difficult for children to develop mentalization, and deficiencies orweakening of mentalization skills could significant impact on self-injurious behavior. The resultsof this study suggest that mentalization-based counseling interventions can prevent self-injuriousbehaviors in adolescent girls by developing mentalization skills.

      • KCI등재

        불안정 성인애착과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정신화의 매개효과

        고미나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resilience. A total of 468 data were collected by requesting a survey to an online research company.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The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mentalization, and resilience.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resilience, an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was found.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resilience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resilience was reconfirmed, and the role of mentaliz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as also confirmed.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정 성인애착과 회복탄력성과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리서치 회사에 설문을 의뢰하여 총 468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5.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정신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불안, 애착회피, 정신화, 회복탄력성 간에 모두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불안과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애착회피와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불안정 성인애착과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를 재확인하였으며, 이들 간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정신화의 역할 또한 확인하였다.

      • KCI등재

        기독교인의 외재적 종교성향과 내재적 종교적 성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정신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옥길,박재우 한국심리치료학회 2020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religious orientation on depres- sion, one of the negative variables in humans. Intrinsic religious inclinations, which are distinguished by the motives and attitudes that individuals have toward religion, a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path to depression by setting mentalization as a mediator as a psychological protective factor. To this end, 400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50s in 16 cit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s were used to examin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orientation, depression, and mentaliz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of mentalization. The path co- efficient was calculated by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does not directly affect depression. Second, intrinsic reli- gious orient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In other words,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which is a mature religious orientation, plays a role in reducing depress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intrinsic religious tendency did not go through mentalization and did not mediate it by directly negatively correlating to depression.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religious status and mentalization, and it is meaningful to set out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external religious tendency and intrinsic religious tendency to broadly grasp the religious tendency in psychological counseling 이 연구의 목적은 종교성향이 인간의 부정적 변인 중 하나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개인이종교에 대해 가지는 동기와 태도에 의해 구분되는 외재적 종교성향과 내재적 종교성향을 각각 독립변인으로설정하였다. 또 최근 심리적 보호요인으로 부각되는 정신화(mentalization)를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여 우울에미치는 경로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16개 도시의 20대에서 50대에 이르는 성인남녀 40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방법을 사용하였고, 종교성향과 우울, 정신화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정신화의 매개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검증하여 경로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외재적 종교성향은 우울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둘 째, 내재적 종교성향은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즉 성숙한 종교성향인 내재적 종교성향은 우울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셋 째. 매개효과검증 결과, 내재적 종교성향이 정신화를 거치지 않고 우울에 직접 부적 상관을 맺음으로써 이를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재적 종교성향은 정신화와 부적 상관을 맺고, 정신화 역시 우울과 부적 상관을 맺고 있음을 확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종교성향과 정신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과 외재적 종교성향, 내재적 종교성향이라는 독립변인을 설정하여 종교성향을 폭넓게 파악하는데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