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생활계 온실가스 배출과 인식 조사 연구

        명수정 한국환경연구원 2022 수시연구보고서 Vol.2022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기후변화 대응이 시급해짐에 따라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시민들의 탄소중립 달성 노력 참여 필요 ㅇ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이 심각해지면서 탄소중립 달성이 시급해짐 ㅇ 탄소중립 사회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시민들의 친환경 녹색생활의 실천과 확산을 통해 비산업 분야의 온실가스 감축을 유도할 필요가 있음 □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하기 위해, 시민들의 녹색생활 관련 인식과 실천 및 생활계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추정하여 향후 관련 정책 개발의 기초자료 제공 필요 ㅇ 본 연구에서는 국가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하고자 대국민 설문조사를 통해 우리 나라 국민들의 녹색생활 관련 현황을 파악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Ⅱ. 기후변화 및 생활계 온실가스 관련 동향 1. 전 지구적 기후변화와 온실가스 배출량의 지속적 증가 □ 전 세계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생활과 관련된 온실가스 배출량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ㅇ 생활과 관련된 주거 산업 및 서비스 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8% 정도에 달하며, 교통과 건물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도 상당한데 건물의 경우 특히 감축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됨 2.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 □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1인당 배출량도 빠르게 증가해 왔음 ㅇ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으며, 2019년 기준 전 세계 배출량 순위 9위를 차지하는 주요 배출국에 해당함 □ 가정 부문의 에너지 소비와 온실가스 배출 ㅇ 2019년 가정 부문의 에너지 소비량을 조사한 결과 21,050천toe를 소비한 것으로 집계되었는데, 2016년 에너지 소비량 20,780천toe에 비해 연평균 약 0.4% 증가 ㅇ 가정뿐 아니라 시민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상업 및 공공 부문의 에너지 소비도 상당함 ㅇ 전력소비는 생활계 온실가스의 주요 배출원이며, 녹색생활의 실천은 에너지 사용, 소비, 수송, 자원순환 등 다양한 부문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 - 환경부는 생활 주요 부문의 주요 생활양식에 따른 배출량을 소개하고 탄소중립 생활의 실천을 유도하고 있음 Ⅲ. 탄소중립 생활의 실천과 인식 및 생활계 온실가스 배출 추정과 시사점 1. 우리나라 국민들의 탄소중립 관련 현황 조사 □ 설문조사를 통한 탄소중립과 녹색생활 관련 인식 ㅇ 녹색생활 관련 인식 조사의 주요 결과 - 탄소중립에 대한 인지 정도를 알아보는 문항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76%가 탄소중립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녹색생활을 실천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구체적인 실천 방법을 몰라서라고 답함 - 녹색생활과 관련한 정보 경로는 주로 인터넷과 TV였으며, 사람을 통한 인지 경로는 친구, 직장동료, 부모의 순으로 나타남 - 녹색생활 확산 노력의 주체는 국민 개개인이라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며, 정부 및 공공기관이 그 뒤를 이어, 2010년 조사 결과와 비교했을 때 개인 실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많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남 2. 녹색생활의 실천과 배출량 추정 분석 결과 □ 설문조사를 통한 부문별 녹색생활의 실천도 ㅇ 녹색생활 실천에 대한 조사의 주요 결과 - 녹색생활을 가장 잘 실천하는 장소 중 1위는 가정이었고, 그 뒤를 이어 직장 또는 학교, 공공건물, 공공장소, 상업시설 순으로 나타남. 어디서도 실천하지 않는 비율이 6%에 달함 - 의생활, 식생활, 가정에서의 에너지 사용 및 구매 및 자원순환 부문의 항목별 실천 정도는 <그림 2>~<그림 6>과 같음 - 녹색생활의 실천도는 일부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집단 요인은 <표 1>과 같음 □ 설문조사를 통해 산정한 생활계 주요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결과 ㅇ 생활계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선행연구 및 최신 현황을 반영한 배출량 추정 방법론을 개발하여 생활 속 주요 부문의 배출량을 추정함 - 설문조사에서 획득한 자료로 정량화가 가능한 연료, 전력, 수도사용과 쓰레기 배출, 그리고 교통의 다섯 부문에 대해 생활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추정함 - 부문별로는 교통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133.17kgCO<sub>2</sub>eq/인·월로 가장 높았으며, 그 뒤를 이어 가정 내 전력 사용 43.24kgCO<sub>2</sub>eq/인·월, 난방 연료 사용 42.56kgCO<sub>2</sub>eq/인·월, 쓰레기 배출 4.59kgCO<sub>2</sub>eq/인·월, 그리고 수도 소비 3.74kgCO<sub>2</sub>eq/인·월 순으로 나타남(그림 7 참조) - 생활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은 일부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집단 요인은 <표 2>와 같음 3. 결론 및 녹색생활 확산을 위한 정책 방향 제안 □ 결론 ㅇ 본 연구의 설문 조사를 통해 녹색생활의 제1 주체가 국민 개개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실생활에서의 실천 강화로 이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함 ㅇ 녹색생활 실천 강화를 이를 위해 개인의 실천 독려와 더불어, 교통이나 건물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을 도모할 수 있도록 대중교통 체계의 개선과 함께 건물의 단열 등 인프라와 하드웨어적인 정책도 추진하여야 하며, 넛지도 활용할 필요가 있음 ㅇ 앞으로 국민들의 녹색생활을 보다 증진하기 위해 대중교통 인프라와 가정용 전력 공급체계의 에너지 전환 및 친환경 소비생활 여건 조성 생활 속 온실가스 감축이 유도되는 인프라 구축과 제도 정비가 이루어져야 할 것임. ㅇ 녹색생활의 실천을 통한 국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녹색생활에 대한 인지를 넘어 실천으로 이어져야 함 □ 녹색생활 확산을 위한 정책 방향 ㅇ 녹색생활 확산을 위한 환경교육 강화 - 녹색생활 실천의 장애 요소로 ‘녹색생활을 실천하는 방법을 몰라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만큼, 녹색생활에 대한 환경교육을 강화해 나가야 함 - 실천으로 이어지는 환경교육 추진: 개인의 가치와 신념 및 개인적 규범을 확고히 하는 실효성 있는 환경교육을 추진해야 함 - 실천도가 낮은 집단을 중심으로 교육 및 홍보·캠페인 강화: 녹색생활의 실천에서 생활의 주요 부문과 인구통계학적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만큼, 실천도가 저조한 집단을 중심으로 탄소중립과 녹색생활에 대한 홍보·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 녹색생활 확산을 위한 관련 정보 제공 및 관련 툴을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음 ㅇ 시민이 참여하는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 - 탄소중립 녹색생활 확산에 시민들의 영향력과 사회적 네트워크를 활용해야 함 - 사회 모든 장소에서의 녹색생활 확산: 가정뿐 아니라 학교와 직장 및 상가와 같이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모든 장소에서 녹색생활을 실천 유도할 필요가 있음 ㅇ 녹색생활 유도를 위한 제도 및 인프라 도입 - 인센티브 제도의 활용: 인센티브가 소멸되더라도 녹색생활의 실천을 지속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생활 속 넛지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 유도: 시민들이 억지로 노력하지 않아도 무의식중에 녹색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함 - 생활계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인프라 조성: 교통이나 가정에서의 연료 소비의 경우 개인의 실천 노력만으로는 온실가스 감축에 한계가 있으므로, 온실가스를 덜 배출하는 교통 체계와 건물의 단열 강화 등 인프라 조성과 정책을 함께 추진해 나가야 함 Ⅰ. Background and Aims of the Research □ As the response to climate change becomes more urgent, it is necessary for citizens to participate in achieving carbon neutrality ㅇ Achieving carbon neutrality is urgent as the adverse effects of climate change become more serious around the world. ㅇ In order to transform our society into a carbon-neutral one,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es even in the non-industrial sectors through the practice and spread of environment-friendly, carbon-neutral green lifestyles of citizens. □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achievement of the carbon neutrality goals, it is necessary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future policy development by estimating citizens’ awareness and practices of green lifestyles and the current status of daily life-related greenhouse gas emissions. ㅇ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carbon-neutral green lifestyle practices in Korea and draw policy implications through a public survey. Ⅱ. Trends Related to Climate Change and Daily Life-related Greenhouse Gas 1. Global increase in greenhouse gas emissions □ Globally, greenhouse gas emission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along with life-related greenhouse gas emissions. ㅇ The greenhouse gas emission from the transportation and building sectors is also significant and evaluated as having high reduction potential. 2. Greenhouse gas emissions in Korea □ Korea’s greenhouse gas emissions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and per capita emissions have increased rapidly. ㅇ Korea’s greenhouse gas emission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and as of year 2019, it is a major emitter that ranks 9th in the world. □ Energy consump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e household sector ㅇ According to the survey on energy consumption in the household sector in 2019, 21,050 thousand toe was consumed, with an average annual increase of about 0.4%, compared to the energy consumption of 20,780 thousand toe in 2016. ㅇ Electricity consumption is a major source of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green lifestyle practices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ields such as energy use, everyday consumption, transportation, and resource circulation. -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 notifies the amount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major lifestyles and promotes green lifestyle practices. Ⅲ. Practice and Perception of the Green Lifestyle and Greenhouse Gas Emission Estimation Associated with Daily Life and Its Implications 1. The current status of green lifestyle practices in Korea □ Awareness survey on carbon neutrality and green lifestyle practices ㅇ Key results - When asked about the level of awareness of carbon neutrality, 76% of the total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had heard of carbon neutrality, and the biggest reason for not practicing low carbon green lifestyle was that they did not know how to practice it. - Information pathways related to carbon-neutral green lifestyles were mainly the Internet and TV, and the cognitive pathways through people were found to be friends, co-workers, and parents, in descending order. - The majority of respondents said that the main entity that should put effort in promoting green lifestyle practices was the individual, which was followed by the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Compared with the 2010 survey results,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practice appeared to have greatly increased. 2. Result of analysis of green lifestyles and emission estimation □ Survey on practices of green lifestyles by sector ㅇ Key findings of a survey of green lifestyle practices - Among the places where green lifestyles is best practiced, “home” was the first, followed by workplace or school, public buildings, public places, and commercial facilities. 6% do not practice carbon neutral green life style anywhere. - The following Figure 2 to 6 show the degree of practice for each item in the areas of clothing, diet, energy use and purchase at home, and resource circulation. - The degree of practice of green lifestyl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me groups, and the groups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are as in Table 1. □ Estimation results of major greenhouse gas emissions estimated through the survey ㅇ Emissions from major areas of daily life were estimated by developing an emission estimation methodology that reflects the current status and prior research on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e daily life. - Estimated daily life greenhouse gas emissions in five sectors: fuel, electricity, water use and waste emissions, and transportation, which can be quantified with data obtained from the survey. - By sector, the transportation sector generated the highest GHG emissions at 133.17kgCO<sub>2</sub>eq/person/month, followed by household electricity use at 43.24kgCO<sub>2</sub>eq/person/month, heating fuel use at 42.56kgCO<sub>2</sub>eq/person/month, and garbage emission at 4.59kgCO<sub>2</sub>eq/person/month, and water consumption at 3.74kgCO<sub>2</sub>eq/person/month (see Figure 7). -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eenhouse emissions by the major sector among some groups, and the group factors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are as in Table 2. 3. Conclusion and suggestions for setting the policy direction to promote green lifestyles □ Conclusion ㅇ Through the survey of this study, it is confirmed that Koreans recognize that the major player in promoting carbon neutral green lifestyles is individual citizens, so it is necessary to make this recognition lead to actual practice. ㅇ In order to strengthen the practice of green life, in addition to encouraging individuals to practice, it is necessary to promote policies from an infrastructure and hardware perspectives (e.g. insulation of buildings) along with the improvement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e transportation and building sectors. ㅇ In order to promote green lifestyle of people in the future, energy conversion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nd household electricity supply system, the creation of environment-friendly consumer living conditions, and infrastructure and system improvement that promotes greenhouse gas reduction in daily life should be carried out. ㅇ In order to achieve the national carbon neutrality goals through practicing green lifestyles, it is necessary not only to recognize its importance but carry out actions. □ Policy direction for the spread of carbon-neutral green lifestyles ㅇ Reinforce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to spread green lifestyles - As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I do not know how to practice green lifestyles” as an obstacle, environmental education on green lifestyles should be strengthened. - Promo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leading to practice: Effective environmental education that establishes an individual’s values, beliefs, and personal norms should be promoted. - Reinforcing education, public relations, and campaigns centered on low-practicing groups: As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major areas of life and demographic groups in the practice of green lifestyles, publicity campaigns on carbon neutrality and education focusing on low-practicing groups need to be strengthened. - It is necessary to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and develop tools for the spread of green lifestyles. ㅇ Transition to a carbon-neutral society in which citizens participate - The influence of citizens and social networks should be utilized to promote green lifestyles. - The spread of green lifestyles in all places in society: It is necessary to lead a green life in every place where daily life takes place, not only at home, but also in schools, workplaces, and shopping malls. ㅇ Introduce systems and infrastructure to promote green lifestyles. - Utilization of an incentive system: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centives so that the practice of green lifestyles can be continued even when the incentives no longer exist. - Promoting greenhouse gas reduction through nudges in daily life: Encouraging citizens to practice green lifestyles unconsciously without forcing efforts. -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to reduce greenhouse gas in daily life: In the case of fuel consumption in transportation or at home, there is a limit to reducing greenhouse gas only by individual efforts. - Therefore,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policy development must be promoted simultaneously,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a traffic system that emits less greenhouse gases and enhancing the insulation of buildings.

      • KCI등재

        조리 교육생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약선음식 이용 특성 및 약선음식 교육 참여의사

        송연미(Yeon-Mi Song),조미나(Mi-Na J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9

        본 연구는 직업전문학교에서 조리교육을 전문적으로 받고 있는 조리 교육생을 대상으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약선음식 이용 특성 및 약선음식 교육 참여의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리 교육생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유형별로 편의추구형, 안전추구형, 건강안전추구형, 건강추구형, 미각추구형의 5개 집단으로 나누어 인구통계학적 특성, 약선음식 이용 특성, 약선음식 교육 참여의사, 약선음식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각 유형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다. 편의추구형은 남자, 학생이 많고 조리경력이 2년 미만으로 짧고 서울, 경기 거주자가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구이류, 국·찌개류에 대한 선호는 높았지만 죽에 대한 선호는 매우 낮게 나타났고, 약선음식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게 나타났다. 안전추구형은 여자가 많고 관리사무직, 전업주부 비율이 높았으며 조리경력이 짧은 사람부터 긴 사람까지 다양하고 서울보다 경기도 거주 비율이 높았으며, 죽에 대한 선호 비율이 높고 다른 메뉴들에 대해서도 선호도가 두루 높았으며, 약선음식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게 나타났다. 건강안전추구형은 남녀 비율이 유사하고 전문기술직이나 판매서비스직이 많고 조리경력이 2년 이상~5년 미만, 5년 이상이 많고 경기도 거주 비율이 높았으며, 국・찌개류와 나물류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죽류, 밥류, 구이류에 대한 선호는 매우 낮게 나타났고, 약선음식의 건강 특성에 대해 높게 평가하고 부정적 인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추구형은 여자가 많고 전업주부, 학생이 많았고 조리경력이 5년 이상으로 길거나 2년 미만으로 짧고 서울 거주 비율이 높았으며, 죽에 대한 선호도가 매우 높고 나물류, 밥류, 찜류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구이류, 국・찌개류에 대한 선호가 낮게 나타났으며, 약선음식의 건강 특성, 부정적 인식 모두 낮게 평가하였다. 미각추구형은 남자가 많고 판매서비스직이 많았으며, 조리경력이 2년에서 5년 사이가 많았고 서울, 경기 거주자가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밥류, 구이류, 찜류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났지만 죽류, 국·찌개류, 나물류에 대한 선호도가 낮게 나타났고, 약선음식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낮게 나타났다. 조리 교육생의 약선음식 교육기관에 대한 선호도는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관계없이 문화센터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약선음식 교육기간은 3개월 미만의 짧은 교육기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선음식 교육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실생활에서의 활용도로 나타났고 식재료, 수업내용, 음식의 맛, 강사의 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조리 교육생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약선음식 이용 특성 및 약선음식 교육 참여의사에 차이를 나타냈으므로, 약선음식 교육프로그램 개발 시 교육생의 특성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문화센터 등에서 한국 약선음식 교육과정을 단기 과정으로 개설할 경우 교육받고자 하는 메뉴 등에 대한 구체적인 커리큘럼 개발이 필요하며 선호하는 식재료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consumption of medicinal food and the intent to participate in medicinal food education by food-related lifestyle. A total of 264 samples were conveniently selected from students enrolled in culinary education at the Seoul Institute of Technology and Education from September 5, 2014 to September 20, 2014.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actor analysis showed five factors in food-related lifestyle named as adventure-seeking factor, taste-seeking factor, health-seeking factor, convenience-seeking factor, and safety seeking factor. There were three factors in awareness of medicinal food named as health characteristic, negative perception, and intent to purchase. The cluster analysis showed five dimensions for food-related lifestyle named as convenience-seeking group, safety-seeking group, health & safety-seeking group, health-seeking group, and taste-seeking group. Amo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cooking career, and households by food-related lifestyle group. Among intent to participate in education regarding medicinal foo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dicinal food educational institution preferences by food-related lifestyle group. Among medicinal food awarenes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egative perception by food-related lifestyle group.

      • KCI등재

        성장기 생활습관 관련 교육과 복합운동 참여자들의 신장, 신체조성 및 유연성과의 관계

        김남익(Nam Ik Kim) 한국발육발달학회 2011 한국발육발달학회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lationship among heigh, body composition and flexibility for lifestyle related education complex exercise program participants. 32 boys aged 11 to 14 were grouped into the exercise group and have carried on exercise program composed of aerobic exercise,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training, elasticity band, posture correction and stretching, around one hour a day about three times a week for six month. Another 32 boys of same ages were grouped into control group and haven`t done any exercise program for six month. In measurements index, Height and weight were determined by height and weight measures. %body fat were determined by InBody. And flexibility(sit and reach test) were determined by flexion-D. meas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ing: In the height, exercise group was showed more increase than control group in all ages. In the body composition, exercise group was showed more decrease than control group in all ages. In the flexibility, exercise group was showed more increase than control group in all ages. In the correlation among height, weight, %body fat, BMI and flexibility, 11 age was showed related BMI, 12 age was showed related %body fat and flexibility, 13 age was showed related weight, %body fat, BMI and flexibility, 14 age was showed related %body fat. These data suggest that lifestyle related education and complex exercise program in boys is an effective to improve youth growth.

      • KCI등재

        대학 교양체육수업이 대학생들의 건강관련 체력 및 생활습관병 관련 지표들에 미치는 영향

        김주원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대학 교양체육수업을 통해 대학생들의 건강관련 체력(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및 생활습 관병 관련 지표(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의 변화를 검증하는데 있다. 대상자는 대학생 20명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건강관련 체력(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은 유의하게 나타났고, 둘째, 생활습관병 관련 지표(중성지방) 에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양체육수업을 통해 대학생들의 건강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낸다. This study, university students on physical fitness level(muscular strength, muscle endurance, cardiovascular endurance, flexibility) and lifestyle related disease-related indicators(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through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class. Subjects were composed of paired sample t-test with 20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physical fitness levels(muscular strength, muscle endurance, cardiovascular endurance, flexibility) are significant. Second, lifestyle related disease-related indicators (triglyceride) are significant. Consideration all of these results,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class shows a positive effect on university students' health care.

      •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Eating Behavior and Health-Related Lifestyles of Korean College Students

        Kwon, Woo-Jung,Chang, Kyung-Ja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0 Nutritional Sciences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trient intake, eating behaviors and health-related lifestyles of Korean non-nutrition major college students after they took a nutrition course. The subjects were 40 male and 147 female students at a university in Inch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verage height of male and female students was 176.2 and 162.0 cm, respectively. Average weight was 66.2 and 52.3 kg, respectively. Average intake of calories, protein, vitamin A, vitamin C, vitamin $B_1$, vitamin $B_2$, niacin, and Ca was lower than Korean RDA. Fe intake of female students was lower than Korean RDA. Most students have had dietary problems such as overeating, eating unbalanced meals, and skipping meals. More than 60% of the students skipped breakfast. The main reason for skipping meals was lack of time. Most students didnt exercise regularly. About 40% of the students took vitamin or mineral supplements. As for smoking and alcohol use, 11.3% of the students drank alcohol and smoked, and 74.2% of them only drank alcohol. More than 30% of the students drank alcohol once a week. Most students ate out twice a week, and chose their based on taste rather than nutritional value. The main reason for eating out was simply to enjoy a meal. More than 60% of the students ate at places in or around campus. After taking the nutrition course, intake of milk and other dairy products, vegetables, fruits and protein-rich foods increased in female students.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intake of fat, sugar, processed foods, soft drinks, fried foods and spices decreased. Therefore, nutrition education had effect on non-nutrition major students, suggesting that proper nutrition education encouraged healthy eating habits on the part of colleg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