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지피복 변화탐지에서 국가 토지피복도의 활용과 한계-충청남도를 사례로-

        박종철 ( Jong Chul Park ),김장수 ( Jang Soo Kim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4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4 No.1

        공공기관에서 배포한 토지피복도는 토지피복 변화탐지를 위한 기초 자료이다. 본 연구는 환경부에서 배포한토지피복도를 토지피복 변화탐지에 활용할 때에 유의할 점을 파악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에서 배포한 2000년과 2009년 토지피복도를 충청남도의 토지피복 변화탐지에 활용하고 오류 유형과 원인을 분석하였다. 환경부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토지피복 변화탐지에서 몇몇 시·군의 시가화·건조지역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몇몇 시·군에서는 산림지역과 농업지역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시가화·건조지역이 농업지역 또는 산림지역으로 변화하는 비현실적인 토지피복 변화 사례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있었다. 이는 환경부 토지피복도가 토지피복 변화탐지에 제한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자들은 환경부 토지피복도를 활용할 때 비현실적인 토지피복 변화에 대한 보정을 수행한 후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나아가 변화탐지 결과를 통계연보와 비교한 후 토지피복도의 활용 여부를 결정할 필요도 있다. National Land-cover map is fundamental data for land-cover change detection. This study focused on analysis of the limitation in land-cover change detection using land-cover map leased from the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In this study, 2000 and 2009 national land-cover map applied for land-cover change detection on Chungcheongnam-do, South Korea, and then this study analyzed the limitation in the land-cover change detection and causes of it. The results of land-cover change detection using the national land-cover map show that urban area decreased in some administrative areas. Whereas forest and agricultural area increased in some administrative areas. These changes were closely related to unrealistic land-cover change such as a agricultural area was transformed from a urban area. It means that there are limitations in applying of the map for land-cover change detection. Researchers need to correct the unrealistic land-cover change when it comes to utilizing the map. Future more, a use for the national land-cover map needs to decide after a comparison with the statistical yearbook published by the government.

      • 역사지도 데이타베이스 구축을 통한 한국 비무장지대(DMZ)와 독일 그뤼네스반트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 분석 (II)

        ( Oh Seok Kim ),( Marco Neubert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9 기본연구보고서 Vol.2019 No.-

        본 연구는 한반도의 비무장지대(Demilitarized Zone, 이하 DMZ)와 독일의 그뤼네스반트 또는 그린벨트(Grünes Band 또는 Green Belt, 이하 GB) 일부 및 인근 지역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를 비교·분석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비교연구를 통해 인간과 자연 간의 지속가능한 공존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한반도와 독일은 각각 국가 분단을 경험한 역사적 공감대가 있다. 한국과 북한 사이에는 DMZ가 1953년부터 놓여져 있어 왔고, 과거 구동독과 구서독 사이에는 ‘죽음의 띠’ 또는 ‘철의 장막’이라 불리우는 무장지대가 있었다. 1990년, 독일의 재통일 이후 해당 지역은 GB로 탈바꿈해 현재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으로 보존되어 왔다. 하지만, DMZ는 군사적 목적에 의해 아직 접근이 어려울 뿐이지 체계적인 보존 대책이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전년도 연구는 한반도와 독일의 분단 상황에서의 경관변화를 분석하였다면, 금년도 연구는 활발한 교류 또는 통일 상황 하에서 예상되는 경관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독일의 경우와는 다르게 한반도는 아직 통일이 되지 않았으므로 여기에 미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를 전망할 수 있는 모델링을 적용해 미래의 상황을 체계적으로 유추할 필요가 있다. 모델링 기법 적용 시 다양한 토지이용 시나리오를 도입하면, 미래의 불확실한 상황을 모의하는데 있어 더 유리한 점이 있다. 단 하나의 경우만 고려하기에 DMZ의 미래가 너무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한편, 독일의 경우는 재통일이 된지 30년 가까이 지났으므로 변화탐지분석을 적용하여 경관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연구질문은 아래와 같다. 첫째, 독일 재통일 이후, 25년 간 세 시점(1990, 2000, 2014년)의 토지피복지도를 근·현대지도와 위성영상에 근거해 구축하고 시계열 변화를 분석해 본 결과, 구동독과 구서독 중 어느 지역이 더욱 많이 변화하였는가? 둘째, 재통일 이전·이후의 변화 패턴이 같은가? 만약 다르다면, 어떻게 다른가? 마지막으로 셋째, 전년도에 구축한 1951년과 2015년 시점의 토지피복지도에 근거하여, 50년 이후의 DMZ 미래를 ‘현 상태 유지’와 ‘독일 그뤼네스반트’ 시나리오로 모의했을 때, DMZ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는 각각 어떻게 나타나는가? 분석결과, 독일은 재통일 이후에도 구동독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가 구서독보다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통일 이전과 이후의 변화 패턴은 변화감지분석 결과만 고려하였을 때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겉으로 드러난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 패턴이 비슷해 보여도 문헌조사, 현지답사, 인터뷰 등을 통해 정성적으로 조사해 본 결과, 구동독의 경관변화를 야기하는 시기별 기저요인은 각기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재통일 이전에는 공산·사회주의 체제 하의 집단농장 구축과 군사진지화로 인한 경관변화가 주를 이루었다. 재통일 이후에는 시장경제로 인하여 기존의 농지가 대농장화되면서 많은 변화가 발생하였다. 시가화지역은 재통일과 크게 상관없이 꾸준히 증가해왔고, 습지는 꾸준히 감소해왔다. 재통일 이후에 발생한 주된 변화는 크게 두 가지이다. 먼저, 과거 구동독과 구서독의 접경지역이었던 ‘죽음의 띠’ 또는 ‘철의 장막’이 GB로 변화한 것을 토지피복지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이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아우토반)이 개통된 것이 커다란 변화인데, GB를 지나는 구간에 터널을 설치하여 자연환경의 훼손을 최소화한 점이 괄목할 만하다. 한반도 연구지역에 시나리오 모델링을 적용한 결과를 제시하기에 앞서, 본 연구에 사용한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 모델의 수리적인 알고리즘과 미래 토지이용변화 시나리오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모델의 이름은 Land Change Modeler(이하, LCM)로 미국 클락대학교의 지리공간정보분석연구소인 클락랩스(Clark Labs)에서 개발한 털셋(TerrSet)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 시뮬레이션을 담당하는 모듈이다. LCM은 변화의 면적과 위치를 양분하여 미래의 상황을 모의한다. 면적의 총량은 마코프 체인(Markov Chain)에 근거해 전망하였고, 변화 위치 정보는 다층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을 활용하여 파악하였다. 다층퍼셉트론의 입력자료로 철도, 주요 도로, 해발고도, 경사도, 향, 토지피복 등을 고려하였다. ‘현 상태 유지(Business-As-Usual, 이하 BAU)’ 시나리오는 한반도 분단 이후로 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토지이용 경향을 미래 상황에 투영한 것이다. 환경영향평가를 생략한 개성공단 제2,3,4지구 완공, 경의선 및 국도 제1호선 개보수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더 나아가, 고려시대 역사유적인 나성 성곽 및 그 주변 지역과 DMZ에 행위제한 법제가 존재하지 않는 시나리오이다. 기존의 지속가능하지 않은 개발의 압력을 저감할 수 없는 상황을 의미한다. 이와 대비되는 상황인 ‘독일 그뤼네스반트(Grünes Band Deutschland, 이하 GBD)’ 시나리오는 DMZ와 고려시대 유적지에 행위제한을 설정해 해당 토지이용변화를 전적으로 지양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이것은 독일의 튜링기아(Thuringia) 주정부에서 GB를 국가자연기념물(National Nature Monument)로 지정해 보존하고 있는 점을 벤치마킹한 것이고, 이는 국제적 차원에서 IUCN(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보호지역 범주에 포함된다. 고려시대의 수도였던 개성은 2013년 다수의 문화유적지를 UNESCO(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세계유산으로 등재하였고, 나성 성곽도 이에 포함된다. GBD 시나리오는 DMZ와 나성 성곽에 법제를 통한 엄격한 행위제한을 가정해 온전히 보존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더 나아가, 대규모 개발사업인 개성공단의 나머지 계획을 전면 백지화한 상황을 가정해 미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를 모의하였다. 그 결과, BAU 시나리오 하에서는 DMZ 내에 지속해서 경관변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추가적인 환경훼손의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개성 시 가지는 개성공단 제3지구와 연계되어 개발이 집중될 것으로 나타났다. 고려 나성성곽은 이들 지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현 상태의 개발경향이 계속 유지된다면 추가적인 훼손이 불가피한 것으로 보인다. GBD 시나리오 하에서는 DMZ와 나성 성곽은 변하지 않으므로 이들과 관련해서는 추가적인 환경훼손의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법제를 통해 행위제한을 엄격하게 제한한 공간역을 벗어나면 바로 난개발이 만연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개성공단 제1지구와 DMZ 사이 지역이 개발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 지역은 개성공단 제1지구 뿐만 아니라 경의선, 국도 제1호선과도 인접해 있고 대부분이 평지로 이루어져 있어 개발하는 데 있어 유리하기 때문이다. 한편, 해당지역은 DMZ와 인접하는바 환경적으로도 민감한 지역이라고도 볼 수 있으므로 이는 개발과 보전이 상충하는 공간역의 대표적인 예시인 셈이다. 본 연구가 정책적인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개발을 중요하게 여기는 BAU 시나리오와 환경보존을 중하게 여기는 GBD 시나리오 모두 DMZ와 인근의 자연환경 및 역사경관을 효과적으로 보전하는 데 있어 각자의 한계점을 드러냈다. 남북 관계가 개선되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 적용한 시나리오의 한계를 보완한 지속가능한 DMZ 토지이용 계획 마련이 시급하다. 미래의 계획은 최우선적으로 남북이 동의할 수 있는 내용이어야 하는바, 이를 위해서는 한국과 북한의 개발수요와 환경보전 수요를 균형있게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국제연합(United Nations, UN)의 지속가능 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UN SDGs)는 국제사회 차원에서 이미 합의를 본 내용이므르 UN SDGs에 명시된 틀을 활용해 DMZ와 인접 지역에 지속가능한 토지이용 계획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mainly compares and analyzes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in the Demilitarized Zone (DMZ)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parts of the German Green Belt (GB). The Korean peninsula and Germany have the historical similarity that they have both experienced divisions of the state. The DMZ has been emplaced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ince 1953. In the past, there was a strongly fortified border zone called the “Death Strip” or the “Iron Curtain” between East Germany and West Germany. In 1990, after German reunification, the area was converted into the so-called “Green Belt” and is still conserved systematically to the present day. However, no systematic conservation measures yet exist for the DMZ. Our 2018 study analyzed landscape changes in the situation of the separated Korea and Germany. In this follow-up report, the landscape changes are compared and examined under the condition of reunification. Unlike in the case of Germany, the Korean peninsula has not yet been reunified, so it is necessary to apply a predictive modeling approach to forecast future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and infer the future situation systematically. The introduction of land-use scenarios in the application of modeling techniques has the advantage of simulating multiple futures, given that the DMZ’s future is too unclear to consider only one prediction. In contrast, it has been already 30 years since the German reunification. That is, for the German case, a predictive modeling approach is not required, so a change detection analysis can be applied instea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ich part of Germany (either former East or West) has experienced more change than the other, after the reunification based on the three land-cover maps of 1990, 2000, and 2014? (2) Before and after the reunification, do the change patterns differ? If so, how? (3) Based on the Korean land-cover maps of 1951 and 2015, the two scenarios, namely “Business-as-usual” and “Grünes Band Deutschland”, are simulated for the next 50 years for the case on the Korean peninsula. How do the simulated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of the two scenarios differ? Following reunification,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in East Germany have been more intensive than those in West Germany. Change patterns showed littl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reunification, only when the results of the change detection analysis were considered. However, even though the patterns of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seemed to be similar, qualitative investigations through literature reviews, field trips, and interviews showed that the underlying forces causing the changes in East Germany were different over time. Before the reunification, the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in the East German border region were mainly caused by the establishment of collective farms and by the expansion of military border fortification under the communist and socialist regimes. After the reunification, a market economy and capitalism were introduced. The introduction changed the underlying forces, and the change triggered the conversion from older collective farming to privatized large-scale agriculture, which uses lands intensively. Besides, settlement areas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but wetlands have been steadily decreasing regardless of separation and reunification. Two major changes have been noticeable since the reunification. The changedetec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rotective strip―or so-called “Death Strip”― was converted into a GB largely. The other major change was the opening of the highway (Autobahn) across the former border region, and, remarkably, the damage to the natural environment was minimized by installing a tunnel in the section passing through the GB. Before presenting the results of the scenario modeling application to the study area on the Korean peninsula, the details and scenarios of modeling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are summarized as follows. Developed by Clark Labs, the Land Change Modeler (LCM), an analytical module that simulates the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was used to simulate the future of the study area. LCM divides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into two components: the amount of change and the spatial allocation of change. The former was estimated based on the Markov Chain, while the latter (the spatial allocation) was identified using a multi-layer perceptron (a type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Input data include railways, major roads, elevation, slope, and aspect, in addition to the land-cover maps for two points in time. The two land-use scenarios are applied in this research and explained as follows. The Business-As-Usual (BAU) scenario reflects the historical trend of land use projected to the future. This scenario considered the pro-development tendency of the Korean peninsula. The BAU scenario includes completing the 2nd, 3rd, and 4th districts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as planned and renovating the existing railways and major roads. It is likely that a prope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ill be omitted. Furthermore, this BAU scenario assumes no law enforcement regarding the conservation of the DMZ and historical castle walls. It means that the pressure of existing unsustainable development cannot be reduced. In contrast, the Grünes Band Deutschland (GBD) scenario consists mainly of setting restrictions on the DMZ and the ruins of the Goryeo Dynasty to limit the changes in land use and land cover in the region. This idea was borrowed from the state of Thuringia, Germany, as that state legally designated the GB as a National Nature Monument, which is also regarded as the protected area by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In 2013, Kaesong, the capital of the Goryeo Dynasty, was registered as World Heritage by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The GBD scenario assumes that the DMZ and ruins of the Goryeo Dynasty are fully preserved under strict legal protection. Furthermore, we assumed that the remaining plans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were no longer taking place. As a result, under the BAU scenario,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continue to occur within the DMZ, which is expected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further environmental damage. The existing built areas of Kaesong downtown will be expanded further as these will connect with the 3rd district of Kaesong Industrial Complex. Such a connection will lure more concentrated development than when not connected. Because the ruins of the Goryeo Dynasty are located between downtown Kaesong and the 3rd district of Kaesong Industrial Complex, further damage appears inevitable. Under the GBD scenario, the DMZ and historical sites remain unchanged because they are legally well protected, so little damage would be expected in these areas. However, unplanned development will prevail for those areas that are not under legal protection. In particular, the region between the 1st district of Kaesong Industrial Complex and the DMZ appears to be genuinely vulnerable to development. This region is flat in nature, is adjacent to existing development such as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and is close to the major transportation network that cuts through the DMZ, connecting the two Koreas. However, this region is essential in an environmental sense because of its adjacency to the DMZ. That is, the region is a clear illustration of conflicts between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The research outcomes demonstrate a vital policy implication. Both scenarios, whether one is pro-conservation or not, were not able to conserve the landscape of the DMZ successfully. As inter-Korean relations improve, it is critical to develop a sustainable land-use plan of the DMZ region that complements the limitations of the two scenarios applied in this research. A future plan cannot be realized without a consensus between the two Koreas, and it is essential to balance the needs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both conservation and development-wise. As the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UN SDGs) provide a compelling list of agendas and have already reached an agreement at the international level, making good use of the UN SDGs may be beneficial to both South and North Korea. If successful, we may indeed be able to come up with a sustainable land-use plan for the DMZ and adjacent areas.

      • KCI등재

        동북아시아 지역에서의 최근 12년간 (2001-2012) MODIS 토지피복 분류 자료의 특성

        박지열 ( Ji Yeol Park ),서명석 ( Myoung Seok Suh ) 대한원격탐사학회 2014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0 No.4

        본 연구에서는 12년(2001-2012)간의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토지피복 자료를 이용하여 동북아시아 지역에 대한 토지피복 유형별 통계적 점유율과 연변동을 조사하였다. MODIS 토지피복 자료의 공간해상도는 500 m이며 토지피복 유형의 수는 17개이다. 12년 평균에서 농지(36.96%), 초지(23.14%) 그리고 혼합림(22.97%) 3가지 유형이 분석 영역의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 농지와 자연 식생의 혼합유형(6.09%), 낙엽활엽수림(4.26%), 도시 (2.46%) 그리고 사바나(1.54%) 유형이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자료의 사용 기간이 짧지만 단순회귀분석에서 상록침엽수림, 낙엽활엽수림, 혼합림은 유의수준 5%에서 점유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사바나 유형은 유의수준 5%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토지피복 유형이 매년 다르게 분류되는 화소의 비율이 10% 이상이며 토지피복 유형별 점유율의 연변동은 농지(1.41%), 혼합림(0.82%), 초지(0.73%)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12년 동안 토지피복 유형이 1개로만 분류된 화소의 비율은 단지 57%이며, 나머지 화소들에서는 2개 이상으로 분류되었으며 최대 9개 유형으로 분류된 화소도 존재했다. 공간적으로 균질하게 1개 유형만 분포하고 있는 중국 동부와 북서부 지역을 제외한 전체 지역에서 토지피복 유형이 연도별도 다르게 분류되고 있다. 따라서 토지피복 변화에 소요되는 시간적 규모를 고려할 때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MODIS 토지피복 자료를 이용할 시 주의가 필요하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tatistical occupations and interannual variations of land cover types over Northeast Asian region using the 12 years (2001-2012)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MODIS) land cover data sets. The spatial resolution and land cover types of MODIS land cover data sets are 500 m and 17, respectively. The 12-year average shows that more than 80% of the analysis region is covered by only 3 types of land cover, cropland (36.96%), grasslands (23.14%) and mixed forests (22.97%). Whereas, only minor portion is covered by cropland/natural vegetation mosaics (6.09%), deciduous broadleaf forests (4.26%), urban and built-up (2.46%) and savannas (1.54%). Although sampling period is small,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occupations of evergreen needleleaf forests, deciduous broadleaf forests and mixed forests are increasing but the occupations of woody savannas and savannas are decreasing. In general, the pixels where the land cover types are classified differently with year are amount to more than 10%. And the interannual variations in the occupations of land cover types are most prominent in cropland (1.41%), mixed forests (0.82%) and grasslands (0.73%). In addition, the percentage of pixels classified as 1 type for 12 years is only 57% and the other pixels are classified as more than 2 types, even 9 types. The annual changes in the classification of land cover types are mainly occurred at the almost entire region, except for the eastern and northwestern parts of China, where the single type of land cover located. When we take into consider the time scale needed for the land cover chang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ODIS land cover data sets over the Northeast Asian region should be used with caution.

      • KCI등재

        2009년 국가 토지피복도와 통계연보의 지목 자료를 활용한 2000년 토지피복별 면적 추정 방법

        박종철,김장수 한국지도학회 2014 한국지도학회지 Vol.14 No.2

        한국의 환경부에서 제작하여 배포한 국가 토지피복도(2000, 2009년)는 수문, 생태, 자연재해 취약성 평가 등 다양한 연구의 기초정보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2000년 국가 토지피복도의 정확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국가토지피복도를 활용하여 토지피복 변화를 분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통계연보의 지목 자료와 환경부의 2009년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여 2000년 토지피복별 면적 추정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본 연구에서 설계한 방법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그 방법을 덕유산 인근에 위치한 6개 읍·면의 2000년 토지피복별 면적을 추정하는데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추정한 2000년 토지피복별 면적은 통계연보와 전반적으로 6.12km2의 차이를 보였다. 이에 비해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여 산정한 토지피복별 면적은 통계연보와 전반적으로 13.10km2의 차이를 보였다. 토지피복도만을 이용하여 분석한 2000~2009년 토지피복별 면적 변화 경향은 통계연보와 54.2% 일치하였다. 반면에 본 연구에서 추정한 변화 경향은 통계연보와 95.8%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토지피복도만을 활용했을 때에 비해 2000년 토지피복별 면적을 추정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The national land-cover maps (2000 and 2009) produced by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are used as a basic information in various studies such as hydrological, ecological study, and vulnerability assessment of natural hazard. However, the difficulty lies in using the national land-cover maps for analysis of land-cover change due to the lack of accuracy in the national land-cover 2000 map. This study aimed to make a method to estimate the area about each land-cover in the year 2000 using a national land-cover 2009 map and land categories data of statistical yearbooks. We applied the method to estimate the area of each land-cover classification for evaluating the efficiency of the method in 6 sites near the DukYuSan (mountain). In the resul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stimated area of the year 2000 and the area in a statistical yearbook was overall 6.12 km2, compared to 13.10 km2 between a national land-cover 2000 map and the area in a statistical yearbook. Trends of land-cover changes (2000~2009) in the national land-cover maps correspond to the trends in the statistical yearbooks 54.2%, compared to 95.8% for the estimated changes. The results show that suggesting estimation method in this study can be useful to estimate the area about each land-cover in the year 2000 rather than using only national land-cover maps.

      • 환경평가 지원을 위한 지역 환경현황 분석 시스템 구축 및 운영 : 개발사업에 따른 생물 서식지의 질적 변화 Ⅲ

        전동준 한국환경연구원 2021 사업보고서 Vol.2021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은 내륙으로는 농업지역이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해안으로는 갯벌이 잘 발달되어 있음.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을 포함한 주변 지역은 갯벌, 논, 호소, 하천 등의 습지가 매우 잘 발달되어 있어 다수의 법정보호종을 포함한 이동성 조류의 중간 기착지인 동시에 중요 철새도래지 중 한 곳이며, 습지서식 생물을 포함하여 다양한 동·식물들의 서식공간이 분포하고 있음 □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은 매립사업과 간척사업은 물론 산업단지개발사업, 도시 개발사업등의 다양한 개발사업이 추진된 바 있으며, 지금도 다양한 개발사업 계획이 수립되고 있어 추진 시 친환경적인 개발과 보전이 필요한 공간임 □ 본 연구에서는 1980년대 이후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을 중심으로 해당 공간의 시대별 토지피복 변화를 알아보고, 생물 서식지의 변화를 시기별로 분석하여 개발계획 수립 시 생물 서식공간과의 조화를 위한 생물보전 전략을 모색하고자 함 □ 또한 토지이용 변화에 대한 시나리오별 분석을 토대로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미래 토지피복 변화를 예측하고, 생물 서식지의 질 및 탄소저장량의 변화를 예측함으로써 지속가능한 관리정책의 수립을 위한 정책 지원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특히 탄소 중립을 위한 국가적 기후정책과 기후영향평가 도입 및 분석의 사례를 제공하고, 연구 대상지가 보유하고 있는 시대별 탄소저장량의 변화와 시뮬레이션을 통해 net-zero를 지향하는 환경평가 정책의 과학적 도구를 제공하자 함 1. 연구 내용 및 방법 □ 본 연구에서는 토지피복 변화 분석을 위해 환경부 국토환경정보센터 정보시스템15)에서 제공하는 대분류 토지피복도를 활용함. 최근의 대분류 토지피복도는 2019년 전후 공간정보를 토대로 2020년에 제공되어 이를 활용함 □ 생물 서식지 질 분석은 InVEST Habitat Quality Model(3.6.0)을 활용하여 실시함. 생물 서식지 질 분석에 적용한 서식지 적합성, 민감성, 접근성, 위협요인, 최대영향거리 등의 여러 입력변수에 대한 가중치는 이현우 외(2015)에서 제시된 값들을 이용함 □ 탄소저장량 분석은 InVEST Carbon Model(3.6.0)을 사용함. Carbon Pool 계수는 추인교 외(2021)의 연구에서 제시된 자료를 입력자료로 활용함 Ⅱ.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결과 □ 금강 중·하류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조사지역 중 장항해안, 유부도, 금강하구, 옥녀 저수지, 옥구저수지, 만경강, 백산지, 능제, 동진강, 조류지, 청호저수지, 고마제 등 12개 조사지역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음. 영산강 중·하류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조사지역 중 압해도, 영산호, 영암호, 금호호, 랑초저수지, 고천암호, 군내간척지 등 7개 조사지역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음 1. 금강 중·하류 지역의 겨울철 조류 도래 현황 분석 □ 2010년 이후 금강 중·하류 지역에 대한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조사 결과를 전체 조사대상지역과 비교하여 살펴보면, 금강하구, 만경강 및 동진강의 경우 매년 2만여 개체에서 9만 여에 가까운 개체가 도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음. 금강하구, 만경강 및 동진강의 경우 매년 20여 종에서 60여 종에 이르는 조류종이 도래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2.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겨울철 조류 도래 현황 분석 □ 2010년 이후 영산강 중·하류 중 영암호, 금호호, 영산호, 고천암호의 경우 매년 적게는 5만여 개체에서 50만에 가까운 개체가 도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음. 금강하구, 만경강 및 동진강의 경우 매년 30여 종에서 70여 종이 넘는 조류종이 도래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Ⅲ.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토지이용 변화 1.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토지이용 변화 □ 금강 중·하류 지역 연구대상지는 낙동강과 한강의 하류·하구 지역과 비교하여 토지피복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음(전동준 외, 2019; 전동준, 2020). 특히 유형별 토지 피복의 변화 중 낙동강 및 한강과 비교하여 농경지의 면적 감소가 크지 않음. 다만 수역의 면적 감소에 비례하여 농경지의 면적이 늘어나고 있어 간척사업 등으로 인한 새로운 농경지의 조성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판단됨 □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경우 금강 중·하류 지역과 비교하여 습지의 면적 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 이러한 토지피복의 변화는 1990년대 후반 농경지 면적의 증가와 지속적인 시가화용지의 증가 추세가 반영된 것으로, 하류·하구지역의 습지가 농지 혹은 개발용지로 개발·전용됨으로써 나타난 현상이라고 판단됨 2.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토지이용 변화 예측 □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에 대한 미래의 토지피복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InVEST Scenario Generator를 이용하였으며, 총 6개의 시나리오를 적용하였음 ○ 개발사업 증가에 따른 미래 시가화건조지역의 확대를 10%, 20%, 30%로 설정하여 각각 적용하였음 ○ 보호지역에 대한 행정규제를 현재와 같이 적용하여 보호지역의 개발 가능성을 배제한 경우와 보호구역에 대한 개발행위가 가능할 경우를 적용하였음 Ⅳ.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생태계서비스 분석 및 예측 1. InVEST를 활용한 생물 서식지 질 평가 및 탄소저장량 평가 □ 본 연구에서 활용한 생물 서식지의 질 분석(Habitat Quality Analysis) 모델은 InVEST 모델의 하위 모델로서 생물 서식지에 대한 공간계량화가 가능하며, 토지피복 및 토지이용을 연동하여 생물 서식지의 민감도와 생물 서식환경에 미치는 위협요인을 입력변수로 하여 생물 서식지 질을 공간정보화하여 표현하게 됨. 생물 서식지 질 평가는 토지피복 유형별 서식지로서의 적합성과 각 서식지를 위협하는 위험요인에 반응하는 민감도 및 접근성 등에 따라 분석됨 □ InVEST 모델의 여러 하위 모델 중 InVEST Carbon 모델은 토지피복도와 토지이용별 탄소계수를 토대로 하여 탄소저장량을 추정하는 모델임. InVEST Carbon 모델은 토지피복도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과거 대상지역이 보유하고 있는 탄소저장량을 산출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지피복의 미래 변화 예측을 기반으로 대상지역의 탄소저장량 변화를 예측할 수 있어 기후영향평가의 도구로 활용이 가능함 2. 시대별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생물 서식지 질 평가 □ 2019년 전후 금강 중·하류 지역의 생물 서식지 질의 경우 상대적으로 우수한 5등급 지역은 전체 연구대상지역 면적 대비 11.1%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다음으로 4등급 지역은 44.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이 해양과 하천을 모두 포함하는 수역에 해당함. 수역의 면적 감소는 새만금에서 현재 진행 중인 대규모 간척사업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 □ 2019년 전후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생물 서식지 질은 1998년 전후 시기와 비교하여 등급별 면적의 변화가 크게 없으며, 1등급 지역이 다소 증가된 것이 특징임. 생물 서식지 질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5등급 지역의 경우 전체 연구대상지역 면적 대비 29.8%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전과 비교하여 큰 면적 변화는 없는 것으로 판단됨 3.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생물 서식지 변화 예측 □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생물 서식지 질적 평가를 위해 사용된 InVEST 모델의 하위 모델인 InVEST Habitat Quality Model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연구대상지역 의 생물 서식지 그룹 중 질적으로 가장 우수한 생물 서식지인 5등급 지역의 경우 해안가에 연접한 5등급 지역이 생물 서식지 질이 가장 나쁜 1등급 지역으로 변경될 것으로 예측되었음 4. 시대별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탄소저장량 평가 □ 금강 중·하류 연구대상지의 1988년 전후 탄소저장량은 757만 5,936.19Mg of C로 산출되었으며, 2008년 전후 682만 8,760.83Mg of C로 다소 줄어들었으나 최근 2019년 전후 730만 8,642.25Mg of C로 다시 탄소저장량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되었음. 이러한 탄소저장량의 시대별 증감 현상은 연구대상지인 금강 중·하류 특히 새만금에서의 토지이용이 시대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됨 □ 영산강 중·하류 연구대상지의 1988년 전후 탄소저장량은 1,313만 7,060.86Mg of C로 나타났으며 1998년 전후는 1,251만 1,916.82Mg of C, 2008년 전후는 1,248만 5,021.60Mg of C로 산출되었음. 2019년 전후의 최근 탄소저장량은 1,250만 5,506.45Mg of C로 분석되어 연구대상지의 탄소저장량이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가 확인되었음 5.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탄소저장량 변화 예측 □ 금강과 영산강의 중·하류 지역에 대한 탄소저장량의 미래 변화 시뮬레이션은 개발사업의 증가에 따른 시가화건조지역이 10%와 20% 각각 증가한다는 가정을 설정하고 분석을 실시하였음. 연구대상지의 특성상 시가화건조지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전체 연구대상지 면적과 비교하여 크지 않아 탄소저장량의 변화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음 □ 금강 중·하류 연구대상지의 2019년 전후 토지피복으로부터 시가화건조지역이 10%와 20% 각각 증가한다고 가정할 때,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탄소저장량은 718만 4,175.00Mg of C와 709만 108.70Mg of C로 각각 산출되었음 □ 영산강 중·하류 연구대상지 역시 2019년 전후를 기준으로 시가화건조지역이 10%, 20% 각각 증가한다고 가정했을 때, 탄소저장량은 각각 1,242만 3,217.65Mg of C와 1,235만 4,422.01Mg of C로 예측되었음 Ⅴ. 결론과 제언 □ 본 연구에서는 1980년대 이후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을 중심으로 연구대상지에 도래하는 이동성 조류의 시기별 변화를 분석하고, 해당 지역 토지피복의 시계열적 변화와 함께 생물 서식지의 질적 변화를 시대별로 분석하였으며, 각 시대별 연구대상지의 탄소저장량 변화를 분석하여 개발에 따른 조류군집, 생물 서식공간의 질 및 탄소저장량의 변화를 확인하였음. 또한 토지피복에 대한 시나리오 분석을 토대로 변화가 예상되는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토지이용을 예측하고, 생물 서식지의 절적 변화와 탄소저장량의 정도를 분석하고 예측하고자 하였음 □ InVEST 모델의 Scenario Generator를 활용하여 토지피복의 미래 변화를 분석한 결과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은 향후 개발의 정도에 따라 시가화건조지역이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었음. 이는 생물 서식공간의 축소, 특히 조류의 취·서식 공간인 갯벌지역, 호소 및 하천습지 그리고 농업지역의 면적이 축소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됨. 향후 이 지역에서 조류를 비롯한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환경의 질저하가 예상되고 있어 대책이 필요함. 또한 토지피복의 변화로 인한 탄소저장량의 감소도 예상되므로 ‘2050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보전 대책이 요구됨 Ⅰ. Background and Aims of Research □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agricultural areas are widely distributed inland and tidal flats are well developed along the coast.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and Yeongsan Rivers and the surrounding areas are well-developed wetlands such as tidal flats, paddy fields, lakes, and rivers. The habitats of various animals and plants, including those living in wetlands, are distributed. □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industrial complexes and urban development, as well as reclamation projects, have been carried out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and Yeongsan Rivers.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hanges in land cover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since the 1980s, analyze the changes in habitats by period, and seek a biodiversity conservation strategy for harmonization with the living habitats when establishing a development plan. □ In addition, by predicting future land cover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through scenario analysis of land use changes, and predicting changes in habitat quality and carbon storage, we intend to provide policy support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sustainable management policies. Ⅱ. Migratory Birds Census Results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1. Migratory bird census results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ensus of migratory birds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since 2010, it was confirmed that between 20,000 and 90,000 individuals arrive each year in the Geum River Estuary, Mangyeong River, and Dongjin River. In the case of the Geum River Estuary, Mangyeong River, and Dongjin River, 20 to 60 bird species were found to visit these areas every year. □ Since 2010, it has been confirmed that from 50,000 at least to close to 500,000 individuals arrive at Yeongam, Geumho, Yeongsan, and Gocheonam lakes every year. It was found that between 30 and 70 bird species visit the Yeongsan River Estuary, Yeongam lake, and Geumho lake every year. Ⅲ. Land Use Changes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1. Land use change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land cover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However, the area of agricultural land is increasing in proportion to the decrease in the area of water bodies. It is believed that new agricultural land was created through reclamation projects. □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Yeongsan River, the area of wetlands is significantly decreasing. This change in land cover reflects the increase in agricultural land area and the continuous increase in urban areas in the late 1990s. Wetlands in the downstream and estuary areas were developed as farmland or development land. 2. Land use change simulation according to scenario analysis □ The InVEST Scenario Generator was used to predict land cover changes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and a total of six scenarios were analyzed. Ⅳ. Analysis and Prediction of Ecosystem Services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and Yeongsan Rivers 1. Assessment of habitat quality and carbon storage using InVEST □ Habitat quality evaluation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suitability of each type of land cover as a habitat and the sensitivity and accessibility to respond to risk factors that threaten each habitat. □ The InVEST Carbon model is a model that estimates the amount of carbon storage based on land cover and carbon coefficients for each land use. 2. Assessment of habitat quality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and Yeongsan Rivers □ In 2019, grade 5 regions, where the quality of biological habitats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is relatively excellent, took up 11.1% of the total area of the study area. The next grade 4 areas accounted for 44.5%, and most of them were waters containing both oceans and rivers. □ In 2019, the quality of habitats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Yeongsan River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by grade compared to the past. It is characterized by a slight increase in the 1st grade area. The grade 5 area with a relatively high quality of biological habitat occupies 29.8% of the total area of the study area. It is analyzed that there is little change in area compared to the past. 3. Scenario analysis of habitat changes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 It was predicted that the coastal area among the 5th grade areas with the best biological habitat quality would be changed to the 1st grade zone with the worst biological habitat quality. 4. carbon storage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and Yeongsan Rivers □ Assuming that the urbanized land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study site increases by 10% and 20%, respectively, the carbon storage according to the land cover change was analyzed as 7,184,175.00Mg of C and 7,090,108.70Mg of C, respectively. □ Assuming that the urbanized land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Yeongsan River increases by 10% and 20%, respectively, the carbon storage amount was analyzed as 12,423,217.65Mg of C and 12,354,422.01Mg of C, respectively. Ⅴ. Conclusion and Suggestions □ Qualitative changes in biological habitats were analyzed along with changes in land cover in the area. Changes in the bird community, habitat quality, and carbon storage in the study site were confirmed. In addition, land use changes were predicted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and Yeongsan Rivers through land cover scenario analysis, and changes in habitat quality and carbon storage were analyzed. □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future changes in land cover using the InVEST Scenario Generator, urbanization areas will gradually increase according to future development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This means the reduction of living habitats, especially the areas of tidal flats, lakes and river wetlands, and agricultural areas, which are the feeding areas of birds. □ In the future, as the quality of the habitats of various living creatures including birds is expected to decrease in this area, a conservation policy is required. In addition, since a decrease in carbon storage is expected due to changes in land cover, more active conservation measures are required to achieve 2050 carbon neutrality.

      • KCI등재

        환경부 다중시기 토지피복도로 탐지한 토지피복 변화 지역의 정확도 평가 : 구량천 유역을 사례로

        박종철,김장수 한국지도학회 2014 한국지도학회지 Vol.14 No.1

        지구 표면의 물리적 형태를 표현한 토지피복도는 다양한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져 왔다. 따라서 토지피복도의 정확도는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환경부에서 배포한 2000년과 2009년의 다중시기 국가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여 전라북도에 위치한 구량천 유역의 토지피복 변화를 탐지하고, 그 결과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토지피복 변화 지역의 전반적인 정확도는 33.2%로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시기별 토지피복도의 전반적인 정확도는 44.2%(2000년)와 84.4%(2009년)이었다. 2000년 토지피 복도의 낮은 정확도는 토지피복 변화의 정확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이었다. 2000년 토지피복도의 정확도가 낮은 원인은 기하보정과 정사보정 같은 원시자료의 전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정확도 결여에 있었다. 정확도에 영향을 미친 또 다른 원인으로는 초지와 사력퇴 지역의 오분류가 있었다. 국가토지피복도의 토지피복 변화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원시자료의 전처리 정확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으며, 오분류 가능성이 높은 지역에 대한 검증을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land-cover maps, which represent the physical material at the surface of the earth, have has been used as a fundamental data in various studies. Therefore, the accuracy of land-cover maps is one of important issues. This study assessed the accuracy of the land-cover change area detected with multi-temporal national land-cover maps(2000 and 2009) produced by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The study area is 165.2km2 of the Guryang-cheon watershed, which is located in the mountainous area of central South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overall land-cover change accuracy was as low as 33.2%. While the land-cover map 2000 has 44.2% overall accuracy, the land-cover map 2009 has 84.6% overall accuracy. The low accuracy of the land-cover map 2000 affects the low accuracy of land-cover change. The major cause of low accuracy in the land-cover map 2000 was a lack of precision in pre-processing of raw data, such as geometric correction or orthometric correction. Another factor limiting higher accuracy appeared to be difficulty in distinguishing the context of grass and a point bar on the inside of a stream bend. In order to improve land-cover change accuracy of the national land-cover map, accuracy of pre-processing will need to be improved, and it will need to strengthen verification in the area of high probability for possible classification error.

      • KCI등재

        남한지역 토지피복 변화 예측을 위한 상대선호도함수 모델 적용

        김동우 ( Dongwoo Kim ),김장수 ( Jangsoo Kim ),김만규 ( Man-kyu Kim ) 한국지리학회 2018 한국지리학회지 Vol.7 No.3

        자연환경 보전과 인간의 지속가능한 삶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미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land-use and land-cover change, 이하 LUCC)를 예측하기 위해 다양한 LUCC 예측 모델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상대선호도함수(Relative Favorability Function, 이하 RFF)모델을 활용하여 남한지역 전체의 과거 LUCC 규칙성을 분석하고 미래 LUCC 예측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1990년과 2000년의 토지피복지도와 분석지표를 바탕으로 RFF 모델을 구축하여 2010년 토지피복을 예측하고, 실제 2010년 토지피복지도와 비교 분석 및 정확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정확도 검증을 위한 Kappa 계수는 82.3%로 나타나 RFF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지역별로 특정 토지피복 유형이 과소, 과대 추정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대표적으로 수도권과 지방의 대도시에서 도시와 나지의 면적이 과대 추정된 반면, 세종시와 같이 도시계획에 의해 토지피복이 변한 지역에서는 과소추정 되었다. 본 연구는 큰 지역적 규모인 남한전체를 대상으로 LUCC를 예측하는데 RFF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Various LUCC forecasting models are being used to predict future land-use and land-cover change (LUCC) as interest in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human sustainable life increases. This study analyzes the past LUCC regularities of the entire South Korean region using the Relative Favorability Function (RFF) model and evaluates the applicability of future LUCC predictions. Based on the Land Cover Map and Analysis Indicators in 1990 and 2000, the RFF model was developed to predict land cover in 2010 and compared with land cover maps and accuracy verification in 2010.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Kappa coefficient for accuracy verification was 82.3%, confirming the applicability of the RFF model. Certain types of land covering were under-estimated and over-estimated. Typically, the area of cities and bare land is over-estimated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and regional metropolises. It was under-estimated in areas such as Sejong City where land was changed to cover by urban planning.

      • KCI등재

        GIS 기반 토사유실 평가에서 지적정보 연계 방향

        이근상,송장기,조기성 한국지적정보학회 2019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1 No.2

        The land cover information used in the assessment of soil loss is used to calculate cover management factor and tillage factor. The land cover information construc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s used for the covering information constituting the surfac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pdate periodically due to problems such as budget. In this study, the amount of soil loss in Namwon city was calculated by using GIS. In particular, to check the up-to-date nature of the land cover, we used the cadastral map to examine the unit soil loss per land category. As a result, we found that some land cover showed abnormal soil los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land cover from 2003 to present, we confirmed by using aerial photographs of recently developed factory site and pond.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agricultural and industrial complex has been done in many areas from 2003 to the present, and some agricultural reservoirs have been built together. As such, in some area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not been able to reflect the latest land cover characteristics in reality because of the long time it takes to construct the land cover.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study some land cover information using the latest cadastral maps in the evaluation of soil loss. 토사유실 평가시 이용되는 토지피복 정보는 식생피복인자와 경작인자를 계산하는데 이용된다. 지표를 구성하는 피복정보는 환경부에서 구축한 토지피복도가 활용되지만 예산 등의 문제로 주기적인 갱신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를 활용하여 남원시의 토사유실량을 계산하였다. 특히 토지피복의 최신성을 확인하기 위해 연속지적도를 활용하여 지목별 단위토사유실량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일부 토지피복에서 비 정상적인 토사유실량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2003년부터 현재까지의 토지피복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최근 개발이 진행된 공장용지와 유지를 대상으로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2003년부터 현재까지 많은 지역에서 농공단지 건설 등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으며, 일부 농업용저수지도 함께 건설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일부 지자체의 경우 환경부 토지피복도 구축 시점이 오래되어 현실적으로 최신의 토지피복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토사유실 평가시 최신의 지적도를 활용하여 일부 토지피복 정보를 대체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SSCISCIESCOPUS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in soil respiration among different land cover types under wet and dry years in an urban park

        Bae, Jeehwan,Ryu, Youngryel Elsevier 2017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Vol.167 No.-

        <P><B>Abstract</B></P> <P>Soil respiration (<I>R<SUB>s</SUB> </I>) determines land surface carbon balance;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that measured <I>R<SUB>s</SUB> </I> in heterogeneous urban landscapes. Here, we investigated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in <I>R<SUB>s</SUB> </I> in six land cover types (mixed forest, deciduous broadleaf forest, evergreen needleleaf forest, lawn, wetland, and bare land) in Seoul Forest Park, Republic of Korea, between March 2013 and September 2014, which included a wet (2013) and an extremely dry (2014) summer. Spatially, there was a three-fold difference (0.48–1.45kgCm<SUP>−2</SUP>) in annual <I>R<SUB>s</SUB> </I> among the six land cover types. The soil organic carbon stock at a depth of 0.1m explained 72% of the spatial variation in the annual <I>R<SUB>s</SUB> </I> across the land cover types. During the entire study period, the soil temperature explained 82–97% of the temporal variation in <I>R<SUB>s</SUB> </I> among different land cover types. Comparing the two summers, the 2014 drought only resulted in a decrease in <I>R<SUB>s</SUB> </I> in the lawn plots (25%), which was driven by a reduction in the leaf area index and the fine root density. The temperature sensitivity of <I>R<SUB>s</SUB> </I> in 2014 (dry summer) compared to 2013 (wet summer) was significantly lower in mixed forest, deciduous broadleaf forest, and lawn, and did not change in evergreen needleleaf forest, wetland, or bare land. The differences in <I>R<SUB>s</SUB> </I> in these drought response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he careful selection of land cover type during park planning to better manage carbon cycles.</P> <P><B>Highlights</B></P> <P> <UL> <LI> Measured soil respiration (<I>R<SUB>s</SUB> </I>) in six different land cover types in an urban park. </LI> <LI> There is a three-fold difference in annual <I>R<SUB>s</SUB> </I> across different land cover types. </LI> <LI> Soil organic carbon stocks explain spatial variations in annual <I>R<SUB>s</SUB> </I>. </LI> <LI> Soil temperature explains temporal variations in <I>R<SUB>s</SUB> </I>. </LI> <LI> Certain land cover types exhibit a drought-reduced sensitivity of <I>R<SUB>s</SUB> </I> to soil temperature. </LI> </UL> </P> <P><B>Graphical abstract</B></P> <P>[DISPLAY OMISSION]</P>

      • KCI등재

        상대선호도함수를 이용한 천안,아산시의 미래 지면피복 변화 예측

        조자영 ( Ja Young Cho ),장동호 ( Dong Ho Jang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4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는 천안·아산시를 사례로 상대선호도함수를 이용해 지면피복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정보 자료들의 상대선호도지수를 구하여 미래 지면피복 변화를 예측하였다. 연구결과, 지면피복 변화 예측 알고리즘의 전체 정확도가 85% 정도로 비교적 정확한 예측 값을 구할 수 있었다. 상대선호도지수를 통합하여 지면피복 변화를 예측한 결과, 2020년에서 2040년의 지면피복 변화는 1989년에서 2009년의 지면피복 변화의 규칙성이 반영되어 2020년까지 산림지와 논이 밭과 도시로 변하였으며, 그 면적 역시 밭과 도시가 증가하였다. 2030년에는 산림지, 논 및 밭이 도시로 변하여 도시의 면적만 증가하다가, 2040년부터는 지면피복 변화율이 많이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지면피복변화율은 2020년부터 2040년까지 꾸준히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향후 지면피복 변화 요인 선정과 가중치 부여에 관한 연구 및 상대선호도 지수를 통합하는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예측의 정확도는 더 좋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used the relative favorability function to calculate the relative favorability score of spatial information data affecting land-cover change, in order to predict future land-cover changes at Cheonan and Asan City. Results show a relatively accurate prediction with an overall accuracy of 85% of the land-cover change prediction algorithm. The outcome obtained from predicting spatial land-cover change by combining relative favorability scores point to land-cover change from 2020 to 2040 indicates that the forests and paddies will be converted into dry fields and cities by 2020 according to the pattern of land-cover changes from 1989 to 2009. The surface area also displayed an increase in dry fields and cities. Forests, paddies and dry fields are predicted to change into cities by 2030 with a considerable increase in the surface area of cities. By 2040, almost no land-cover change is predicted. A constant decrease in the land-cover change rate is predicted during the years between 2020 and 2040. It is expected that the prediction accuracy will be improved due to further studies on the algorithm combining relative favorability scores and studies on added value and selection of future land-cover change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