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10년대 일본인의 조선사정 안내서 간행과 조선인식

        최혜주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4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1

        The purpose of Japan to publish guidebooks about situations in Joseon during the 1900’s is to resolve food shortage resulted from the increase of population by encouraging Japanese’ immigration into Joseon and also justify its invasion into Joseon. And guidebooks for a voyage to Joseon published in this period recommended Japanese to sail to Joseon, ‘a treasure house’, and included the success stories of those with only limited capital. And guidebooks about situations in Joseon were written by journalists, and they described Joseon people as barbarians with the dichotomy of ‘civilization’ and ‘savageness’. Guidebooks about the colonial management of Joseon were about intention to realize economic assimilation through trade and commerce or migrational colonization and then promote ‘Naeseondonghwa (Joseon’s assimilation into Japan)’. And geography books were written to conquer Joseon after the victory in Russo-Japanese Wars and then attempt to advance into the continent to prepare for annexation. The reason why Japan published guidebooks for immigration into Joseon in the 1910’s was to include the territory of Joseon into theirs and then take them as reference material for their ruling. It is noticeable that in this period, the guidebooks were published by the officials from the government general, Japanese bureaucrats, Joseon inspection teams, Japanese military authorities, or journalists residing in Joseon. They focused on how to assimilate Joseon people and what businesses they were going to be engaged in. The officials of the government general investigated Joseon using recent statistical data while they were holding the post. Bureaucrats dispatched from Japan were supposed to observe the actual situations in Joseon and figure out problems in order to reflect them to their policy-making. The inspection teams from the Niigata, Hiroshima, and Shiga prefectures did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economic advancement. The guidebooks written by military authorities contain information needed by soldiers and their families for their work and living in Joseon. Journalists residing in Joseon introduced Joseon’s history and ethnicity, economic situations, promising businesses, or attitudes needed to Japanese immigrants. 일제는 조선을 병합시키기 전에 동화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작업의 하나로 조선 사회에 대한 실태파악을 위해 구관제도를 조사하였다. 총독부는 병합 이후에도 계속해서 통치 자료로 삼기 위해 사회, 제도, 풍속, 산업, 의식주 등의 조사와 연구를 진행시켰다. 이 글에서는 이를 뒷받침한 총독부 관리와 민간단체의 조선시찰 및 안내서 간행을 살펴보았다. 일본인들이 이러한 조선사정 안내서를 간행한 이유는 ① 식민지 조선의 실정을 파악할 자료의 부족, ② 조선통치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한 동화문제의 해결, ③ 일본의 과잉인구ㆍ부족한 식량문제의 해결과 일본인 이주대책, ④ 일본제국의 경제발전 도모, ⑤ 만주지역의 상권 확장과 대륙침략을 준비하기 위해서였다. 이 시기의 안내서는 총독부 관리, 일본 관료, 조선시찰단, 조선주차군, 재조언론인들이 간행한 것이 중요하다. 이들이 주목한 것은 조선인을 어떻게 동화시키고 어떤 사업을 경영할 것인가에 있었다. 총독부 관리는 현직에 있는 유리한 지위를 이용하면서 최근의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조선사정을 조사하였다. 일본에서 파견된 관료들은 조선의 실상을 직접 보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의도였다. 니가타현, 시가현, 히로시마현의 조선시찰단은 조선에 대한 상권 확장과 경제적 진출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서였다. 특히 청진과 원산, 성진을 주목하였다. 조선주차군의 안내서는 군인과 군속, 가족들이 부임해서 생활하는데 필요한 생활정보와 조선역사, 전쟁수행을 위한 防寒대책이 들어있다. 재조언론인은 이미 조선에서 활동하여 조선사정에 정통한 인물이었다. 이주해 올 일본인에게 필요한 조선의 역사와 민족성, 경제상황, 유망한 사업, 이주자의 각오 등을 소개하였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기록과 시선-필름 “만선시찰 조선편” (1933)을 중심으로-

        이정욱 한국일본어문학회 2018 日本語文學 Vol.78 No.-

        フィルム『滿鮮の視察一朝鮮編』は、本や葉書などの印刷物を中心に植民地時代の旅の硏究の限界を克服するのに十分なデ一タである。視察團の京城に對する視線は、植民地時代の朝鮮に移植された日本の文化を體驗するように進行形で行われる。平壤は文祿·慶長の役、日淸戰爭で勝利した歷史的な過去に沿って記錄されている。鴨綠江鐵橋は朝鮮の代表的な植民地時代の施設とすることができる。しかし、視察團が大陸中國で體驗した裝甲列車は今後、大陸開拓のための役割が期待される日本の最先端の技術とすることができる。すなわち、現在および將來が共存する媒體である。未來がなく、過去と現在だけが記錄された朝鮮に比べ、滿洲に代表される中國の大陸は過去(日露戰爭)、現在(滿洲國)は、將來(東アジア)が共存する理想鄕に記錄されたことを推測することができる。視察團が記錄した『滿鮮の視察一朝鮮編』は後に朝鮮を體驗するはずの日本人に朝鮮の過去と現在が體驗できる資料として活用されると思われる。 Manchuria and Joseon Inspection, film document in the period of Joseon under Japanese occupation, is respectable data which is sufficient enough to overcome lack of study materials on travel studi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since this kind of research has mainly focused on printed materials such as books and postcards.The gaze on Gyeongseong of the Japanese inspection team was expressed as an ongoing perspective of bringing the successful results in transplanting Japanese culture into colonial Joseon.Pyongyang was recorded as a city whose country had won The Imjin War and the Sino-Japanese War in the context of the glorious past.Besides, The Yaru iron bridge featured in this film is a notable subject because it is considered as a representative colonial period facility of Joseon.Compared to part of Joseon records without a look on the future, Manchu representing the Chinese Continent can be seen as an ideal place to coexistwith past, present, and future in this record; each era is represented as Rusia-Japanese War, Manchukuo, and East-Asia respectively.

      • KCI등재

        근대 한국불교에 있어서의 성지순례의 諸相

        정영식(Jeong, Young Sik) 한국불교연구원 2011 불교연구 Vol.35 No.-

        근대이전의 한국인에 의한 국외 불교성지순례의 대상지는 주로 중국이었다. 그 이유는 중국이 동아시아불교의 종주국이었고, 불교교학의 선진국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근대에 오면 일본을 많이 선호하게 되는데, 그것은 당시 한국이 일본의 식민지였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일본불교를 근대화의 모델로 삼았기 때문이다. 일본불교성지순례는 시찰단이 주를 이루는데, 순수한 구법여행이라기보다 일본의 근대시설을 견학하기 위한 ‘선진문물견학’이 주목적이었고 참가자도 친일인사가 많았다. 한편, 李英宰는 일본에 유학하던 도중 스리랑카와 인도를 순례하기 위해 단신 스리랑카로 건너갔다. 그 후 캔디를 비롯한 스리랑카 각지를 순례하였지만 남겨진 기록은 별로 없고, 도중에 병사하였기 때문에 인도는 순례하지 못하였다. 외국인에 의한 국내불교성지순례자로서는 相馬勝英이 특이하다. 그는 당시의 일본승려들이 ‘한국불교는 일본불교를 본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던 것과 달리, 한국에 체재하면서 한국불교를 좋아하게 되었다. 특히 그는 방한암선사를 깊이 존경하였고, 선수행의 경지를 인정하였다. 그의 친한적 태도가 총독부의 한국불교정책에까지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지만, 일본인들이 한국불교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That was China where korean buddhists went on a pilgrimage to in pre-modern times. Because China was the center of east-asia buddhism. But in modern times, korean buddhists frequently go on a pilgrimage to japan instead of china. Because that not only korea was colony of japan from 1910 to 1945, but also korean buddhists recognize japan buddhism as a model of modernization. On pilgrimage to japan, many inspection teams were sent. But the purpose of inspection team was learning modern civilization of japan than purely learning buddhism. On the other hand, Lee Young Jae(李英宰) went to Sri-ranka to purely studying buddhism and make pilgrimage India’s holy place. But his pilgrimage India can not succeeded because of his sudden death. Soma shouei(相馬勝英) is a special person who made a pilgrimage holy place of korea buddhism in modern times. At that time, the most of japan buddhist thought that korean buddhism must follow japan buddhism. But Soma becomes respect korean buddhism, especially zen master Bang Han Am(方寒巖). Although his friendly view of korean buddhism can not influence on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many japanese buddhists become appreciate korean buddhism as worth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