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원지역의 산업구조 변동과 지역 연결망: 2000년대를 중심으로

        김재훈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연구 Vol.59 No.1

        This paper explores the trends of industrial structure changes in Gangwon and analyzes the intra-regional and inter-regional disparities, focusing on the 2000s, by a relational perspective and methodology.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contradictory trends in regional growth have been found in Gangwon. On the one hand, regional disparities in growth between Gangwon and metropolitan areas have been widening, while on the other hand, the gap between Gangwon and non-metropolitan areas have been decreasing. These trends were attributed to the co-existence of short-term trends, in which regional disparities could be mitigated by the economic cycle, and long-term trends, in which gaps with metropolitan areas might be structurally widened regardless of economic fluctuations. Blockmodeling analysis on structural equivalence among regions reveals that 18 cities and counties could be grouped into three equivalent groups: core(urban centers), periphery(production area), and periphery (military border area). The mining and manufacturing industry still have had great effect on the regions, and the public cultural services have had the strongest contribution to inter-regional inequality. Clique analysis has shown that the core was specialized in traditional and modern services, the production area was in manufacturing and mining industries and infrastructure services, and the military border area was in public cultural services. Among three hub cities, Wonju had the strongest ties with surrounding areas based on manufacturing industries. Taebaek has been turning into an isolated city in fast due to its very weak ties with regional industry network. So far, exogenous development strategies have been most hegemonic in Gangwon. However, since it can no longer be compatible, it is necessary to ponder the endogenous strategies that are suitable for the network society as alternative ones. 이 글의 목적은 2000년대를 중심으로 강원지역 산업구조 변동의 추세와 특징을 밝히고, 관계적 관점에서 지역 간, 지역 내 격차 문제를 분석하는 것이다. 금융위기 이후 강원지역은 광역대수도권 간의 성장 격차는 확대되면서, 이 권역을 제외한 다른 지역 간의 격차는 축소되는 모순적인 경향을 보인다. 이 현상은 경기변동에 의하여 지역 간 격차가 완화되는 단기적 경향과 경기변동과 무관하게 광역대수도권과의 격차가 구조적으로 확대되는 장기적경향이 공존하기 때문에 나타났다. 지역 등위성을 분석한 결과 18개 시군은 세 개의 등위집단으로 구분되었다.Ⅰ집단은 거점도시들로 구성된 중심지역이고, Ⅱ집단은 생산기능을 담당하는 주변지역이며, Ⅲ집단은 접경지역이다. 2000년대에 등위집단 간 변동은 없었지만 등위집단 내에서 크게 변동한 지역은 존재했다. 산업-지역 간 연결망을 분석한 결과 채굴 산업과 제조업은 지역 간 연계가 높아서 산업의 저성장이 지역에 미치는 효과가 여전히 컸으며, 공공문화서비스는 지역의 불균등성에 대한 기여도가 가장 높았다. 연결망 내에는 세개의 하위집단이 발견되었는데, 중심지역은 전통적 서비스와 현대적 서비스에, 생산지역은 제조업과 채굴산업, 인프라서비스에, 접경지역은 공공문화서비스에 특화되어 있었다. 세 거점도시 중에서 원주는 제조업을 매개로 인근 군지역과의 연계가 가장 높았고, 영동권에서는 동해시의 중심성이 높았다. 태백시는 지역 내 산업과 지역 간 연계가 크게 약화되어 고립지역으로 변화해 왔다. 강원지역에서 헤게모니 수준이 가장 높은 발전전략은 외연적 발전전략이다. 하지만 이제는 대안적 전략으로서 네트워크 사회에 적합한 내생적 발전전략에 대해 숙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Intra-National Trade as Channels of Spillovers in Developing Countries

        ( Yong He ) 세종대학교 경제통합연구소 2017 Journal of Economic Integration Vol.32 No.2

        We developed a model to explore the comparative advantage based intra-national trade in developing countries, as a contrast to models driven by increasing returns and agglomeration that prevail in the developed world. The model incorporates technological spillovers and trad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tra-national trade share of a region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its technological level, and that economic growth diffuses along the intra-national trade network from the developed country, through the advanced regions of the developing country, into its less developed regions. Internal trade costs exert a multiplied hindering effect, stronger than that of border barriers, on national growth. The statistics derived from China`s 2007 provincial input-output tables provide evidence in favor of the main theoretical findings.

      • KCI등재후보

        서울시 자치구간 지역격차에 관한 연구 : 강남 3구와 강북 3구의 비교

        이규환(Kyu Hwan Lee),서승제(Seung Je Seo) 한국공공관리학회 2009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3 No.4

        본 연구는 서울의 강남 3구와 강북 3구를 대상으로 지역 격차실태의 정도와 1995년과 2007년에 걸친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강남 3구의 인구이동이 강북 3구에 비해 활발하였고, 강남 3구와 강북 3구의 재정자립도가 악화되었고, 강남3구와 강북 3구의 재정자립도 격차는 더 커지고 있었고, 강남 3구의 폐기물 처리량이 강북 3구에 비해 급격히 증가하였고, 인구 천명당 폐기물 처리량도 강남 3구가 강북 3구의 3배에 이르렀으며, 최근에 강북 3구의 아파트 증가가 높았고, 강남 3구의 자가주택 비중은 약간의 감소하였으나 강북 3구는 상당히 증가하였고, 강남 3구의 병상수와 의료인력수가 강북 3구에 비해 월등하였고, 사설학원수에서 절대적인 격차가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extent and changes in the intra-regional disparity between the major 3 Gangnam districts (represented by the three districts: Seocho, Gangnam, and Songpa) and the major 3 Gangbuk districts (represented by the three districts: Gangbuk, Dobong, and Nowon), using data for the period between 1995 and 2007. The analysis results are the following: Overall, the population shift in the major 3 Gangnam districts was shown to be more remarkable than that in the major 3 Gangbuk districts. It was revealed that the levels of financial self-sufficiency of both districts got worse, while the disparity in financial self-sufficiency between the two groups of districts was widening over the period. The amount of waste disposition in the Gangnam districts increased more rapidly than that in the Gangbuk districts and, in terms of waste disposition per 1,000 persons, the level for the major 3 Gangnam districts stood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for the major 3 Gangbuk districts. In types of dwellings, the portion of apartment buildings for the major 3 Gangbuck districts notably increased, and for the rate of home ownership, it slightly shrinked in the major 3 Gangnam districts, while it substantially increased in the major 3 Gangbuk districts. The numbers of hospital beds and medical personnel in the major 3 Gangnam districts were far higher than those in the major 3 Gangbuk districts, while in the number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a great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the two groups of districts.

      • KCI등재

        시장집중도를 이용한 바이오헬스산업의 지역개발격차 분석 및 시사점 -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

        조예진,최상은 한국지역학회 2023 지역연구 Vol.39 No.2

        본 연구는 공간적 범위가 다른 지역 간 개발격차를 파악하기 위해 산업조직론의 집중지수를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한 정책적 시사점 제안한다. 연구의 범위는 2000년대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해당 산업을 육성해 온 충청북도 11개 시·군이며,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지역개발격차지수 이론을 기반으로 상위기업집중률과 허핀달 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지자체가 경쟁적으로 육성 의지를 표명하고 있는 바이오헬스산업으로 대상지의 시·군경쟁력강화산업 결과를 기반으로 4개의 세부분야(제약, 의료기기, 건강기능식품, 화장품)로 나누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세부분야별 매출액, 종사자수, 연구개발비를 기준으로 분석한 지역개발격차지수 결과에 따라 지역별로 강점이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결과를 통해 향후 지역별 차별화된 산업육성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