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기술교과 정보통신기술영역의 내용체계 구명

        김다솔,최완식 한국기술교육학회 2016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6 No.1

        이 연구는 기술교과교육을 통해서 정보통신기술소양을 함양할 수 있도록 중학교기술교과 정보통신기술영역의 내용체계를 구명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기술교육교과교육과 정보통신공학 등 정보통신기술교육과 관련된 선행연구 분석을통해서 내용요소를 추출하고 전문가와 협의를 통해 최초문항을 개발하였다. 최초문항을 바탕으로 델파이 조사 및 설문을 통해서 내용체계를 구성하고 내용타당도를검증하였으며, 분류와 내용요소의 적합도와 중요도를 구하였다. 델파이 조사결과 중학교 기술교과의 정보통신기술 영역을 5개 영역(정보통신사회의 이해, 정보통신기기, 정보처리, 정보통신기술, 문제해결활동), 21개의 내용요소(정보통신 윤리와 정보보호, 정보의 가치 판단과 선택, 정보통신산업의 발전과 미래, 정보통신기술 관련 직업의 탐색, 정보기기의 이해, 컴퓨터 하드웨어, 운영체제와 소프트웨어, 이동통신기기의 이해, 정보처리의 개념과 절차, 정보입력과 출력, 알고리즘의 이해와 표현, 데이터구조와 제어구조, 정보의 분석과 평가, 통신과 통신체제의 개념, 통신기술의 발달과 활용, 정보통신환경의 구성, 정보송신과 수신, 정보저장과 공유·협력, 정보활용 문제해결활동, 정보처리 문제해결활동, 정보통신 문제해결활동)로구성하였다. 구성된 내용체계에서 전문가들은 ‘정보통신사회의 이해’영역과 같이 정보통신사회를 살아가기 위한 태도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정보통신기술’과 같이 기술교과내의 다른 영역 및 타 교과에서 다루기 어려운 영역을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system of cont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field in middle school’s technology education. In order to fulfill such research objective and initial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initial questions, content system was developed through Delphi investigation and its content validity was tested. Also, classification, goodness of fit of the content and its importance were analyzed.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CT field of middle school’s manual training course was structured into 5 fields(Understanding of ICT society, ICT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ICT, ICT Problem solving) and 21 content elements(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and information protection, Value judgment and choice of information, Future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industry, Exploration of ICT related jobs, Understanding of ICT equipment, Computer hardware, Operating system and software, Understanding of mobile communication, Procedure of information processing,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algorithm, Structure of data and structure of control, Analysis and evaluation of information, Concept of communication and its syste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Structure of ICT environment, Transmission reception, Saving information and sharing/cooperation, Problem solving of information application, Problem solving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Problem solving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Second, experts regard attitude to life in ICT society covered in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society” as important. They also evaluated “ICT” as crucial because it is hard to deal with in different field in middle school’s technology education and other curriculum.

      • KCI등재

        표시과목 ‘기술’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정보통신기술 영역 출제 동향 분석

        김영흥(Young-Heu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이 연구는 표시과목 기술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정보통신기술 영역의 출제 내용의 변화와 경향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방법 분석 자료는 2002년부터 가장 최근인 2021년까지의 표시과목 기술의 임용시험 출제문제이며,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시한 표시과목 기술의 교사 자격기준과 평가 영역 및 내용 요소를 분석기준으로 활용하였다. 결과 첫째, 연도별 정보통신기술 영역 문항 수 및 배점 비중에 차이가 있으며, 평균적으로 전체 문항 중 평균 약 22%가 정보통신기술 영역 문항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가 분야는 전기기술에서 가장 많은 문항이 출제되었고, 다음으로 컴퓨터기술, 전자기술, 정보통신기술의 순으로 출제 문항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 영역의 임용시험 방식이 변화하면서 정보통신기술 영역의 출제 문항 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정 시기에 따라 정보통신기술 영역의 출제 문항 수에 차이가 있었으나, 기술교과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변화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첫째, 기술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정보통신기술 영역의 출제 문항 수 및 배점의 비중은 연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전체 문항의 5분의 1 정도로 기술교과의 다른 영역에 비해 높은 편이며, 출제 문항의 비중은 임용시험 방식의 변화와 문항 출제자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둘째, 정보통신기술 영역 중에서도 전기기술의 이해, 디지털 논리회로, 프로그래밍 언어, 다이오드 및 트랜지스터 소자에 관한 문항이 많이 출제되는 경향이 있으며, 정보통신기술 기초 분야에 관한 출제 문항은 적은 편이다. 셋째, 중등교사 임용시험 방식의 변화에 따라 서술형 필답고사의 시기와 선다형 1차 시험과 논술형 2차 시험의 시기에는 전기기술 분야에서 많은 문항이 출제되는 경향이 있으며, 기입형, 서술형 및 논술형으로 구성된 1차 시험의 시기에는 컴퓨터기술 분야에서 많은 문항이 출제되는 경향이 있다. 넷째, 정보통신기술 영역의 출제 문항 내용은 교육과정 변화 시기와 큰 관계가 없으며,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정보통신기술 영역의 변화를 임용시험 출제 시 반영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 and trend of questions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rea of the secondary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for indicated subject technology. Methods The analysis data is the questions for the recruitment examination of the indicated subject technology from 2002 to the most recent 2021. Result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items and the proportion of points in the ICT area by year, and on average, about 22% of the total items were in the ICT area. Second, the largest number of items were asked in electrical technology, followed by computer technology, electronic technology,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item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s the recruitment examination method of the major area changed. Fourt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items asked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rea according to the revision period of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due to the revision of the technology subject curriculum. Conclusions First, although the number of items and the proportion of points given in the ICT field of the technology secondary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varies by year, it is about one-fifth of the total items, which is higher than in other areas of the technology subject, and the number of items. The weight is affected by the change in the recruitment examination method and the person who development the item. Second, in the field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re is a tendency to ask a lot of items about understanding electrical technology, digital logic circuits, programming languages, diode and transistor elements, and there are few questions about basic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ir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examination method, many items tend to be asked in the field of electrical technology during the period of the written test and the period of the multiple-choice test and the essay-type test. there is a tendency for many items in the field of computer technology to be asked. Fourth, the contents of the items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rea do not have much to do with the timing of the change in the curriculum, a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changes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rea due to the curriculum revision when taking the recruitment examination.

      • KCI등재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과 교육과정의 정보통신기술의 문제해결 체험 활동에 관한 성취기준과 교과서에 제시된 체험 활동 과제의 부합도

        장민수(Minsoo Jang),이상봉(Sangbong Yi) 한국기술교육학회 202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기술‧가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정보통신기술의 문제해결 체험 활동 과제가 2015 개정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의 ‘기술 시스템’영역에 제시된 정보통신기술의 문제해결의 체험 활동에 관한 성취기준에 부합하는 것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기술‧가정’과 교육과정과 12종의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를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2종의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중에서 정보통신기술의 문제해결 체험 활동에 관한 성취기준에 매우 부합하는 체험 활동 과제를 제시하고 있는 교과서는 (주)교학도서, (주)삼양미디어이다. 둘째, 12종의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중에서 정보통신기술의 문제해결 체험 활동에 관한 성취기준에 부합하는 과제를 제시하고 있는 교과서는 9종((주)교문사, (주)금성출판사, 두산동아, (주)미래엔, 비상교육, 씨마스, 원교재사, 지학사, 천재)이다. 셋째, 12종의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중에서 정보통신기술의 문제해결 체험 활동에 관한 성취기준에 보통 수준의 과제를 제시하는 교과서는 교학사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현행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서의 정보통신기술 단원에 제시된 대부분의 체험 활동 과제들이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의 정보통신기술의 문제해결 체험 활동에 관한 성취기준에 부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at the problem-solving activitie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resented in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and textbooks meet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the problem-solving hand-on activitie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o this end, the revised 2015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curriculum and 12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s were analyzed, and an analysis frame was developed to produc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12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s, the textbook that presents the task of hand-on activities that meet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solving problem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the Kyohakdoseo and Samyang Media. Second, out of 12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s, 9 kinds of textbooks that meet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roblem-solving hand-on activities are Kumsung Publishing, Doosan Dong-A, Mirae-n, VISANG education, CMASS, Wonngyojaesa, Jihak-sa. Third, out of 12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s, the textbook that presents the average level of tasks to achievement standards on problem-solving hand-on activitie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a Kyohaks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ost of the hand-on activities presented in the chapter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of the current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 meet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problem-solving hand-on activities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and curriculum.

      • KCI등재후보

        ‘정보 통신 기술과 생활’ 단원에서 진로교육 수업자료 개발

        최지나,이용진 대한공업교육학회 2012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the teaching materials of career education for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Our Life' unit in the technology education. As preparation phase, in order to choose the suitable contents for career education, we analyzed the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our Life' unit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nd then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existing related researches. After content analysis of the teaching materials for career education, we mapped the contents into career education area. In the 'Design' step of teaching, we extracted the unit design components after analyzing 'Development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nit of eleven text books used in 2007 revised curriculum. In the 'Introduction', 'Activity', 'Arrangement' steps of teaching, by applying the SHIP model, one of career education program model, we develop the teaching materials. Then, we get expert evaluation using questionnaire and improve the suitability of the teaching material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First, our teaching materials reflect the development histo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ell, show the features of career education, and are suitable to middle school students as the teaching materials. Second, our teaching materials can help students to face various jobs 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o have more interests and exploring opportunities abou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ubject. Third, our teaching materials can help teachers to use it for the career educ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our Life' unit of 2007 revised curriculum in the class time. Our teaching materials can also be used in the extra activity related to career education and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Furthermore, since 2009 revised curriculum includes the career education unit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ubject, our teaching materials can be used partially as the teaching materials in the future.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교과의 ‘정보 통신 기술과 생활’ 단원의 진로교육 영역의 향상을 위한 수업자료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크게 준비, 설계, 개선의 3가지 단계로 진행하였다. 준비단계로서 단원을 선정하기 위해 기술교과 정보통신기술단원에서 단원분석과 교육과정 분석을 하였고, 진로교육 영역을 선정하기 위해 중학교 진로교육 영역을 기존의 연구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진로교육을 위한 수업자료의 소단원의 내용분석 후 진로교육 영역을 맵핑하였다. 다음은 수업의 설계 단계로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정’에서 2007개정 교육과정에 사용되고 있는 11종 교과서를 분석하여 단원 설계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진로교육 프로그램 모형 중 하나인 SHIP모형을 적용하여 ‘도입’, ‘활동’, ‘정리’의 단계로 수업자료를 개발한 후 설문지를 이용하여 전문가 평가를 받아 수업자료의 타당성을 높였다. 마지막으로 수업의 실행단계로서 충청북도 청주시 중학교 2학년 학생 3명을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도입’, ‘활동’, ‘정리’의 단계로 진행하고, 학생에 의한 평가 후 수정·보완 하여 최종 자료 개발을 완료하였다. 그 개발된 자료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수업자료는 기술·가정과 ’정보통신기술과 생활‘ 단원의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정 내용을 잘 반영하고 있고 중학교 진로교육 영역을 추출하여 개발하였기 때문에 중학생을 위한 수업자료로 적절하며, 중학교 진로교육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둘째.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정에 관련된 다양한 직업을 접하고 정보통신기술 단원에 더욱 더 관심이 생기고 진로 탐색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을 것이다. 셋째. 2007개정 교육과정의 ‘정보통신기술과 생활‘ 단원의 진로교육을 위한 수업자료로서 교사들이 교과시간에 수업자료로 부분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진로교육과 관련된 재량활동, 창의적체험활동에 학년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다. 2009개정 교육과정의 ‘정보통신기술’ 중단원에서는 정보통신기술의 진로교육에 대한 소단원이 배정되어 있으므로 소단원의 교과시간에 수업자료로 부분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 Formation of a Professional Communication Culture Among the Students Using Information Technologies

        Vakulyk, Iryna,Koval, Valentyna,Lukiianchuk, Inna,Romanenko, Nataliia,Grygorenko, Tetyana,Balalaieva, Olena,Oros, Ildiko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Network S 2022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and netw Vol.22 No.9

        Analyzing the psychological and pedagogical literature, we found the researchers' interest in the problem posed. The concept of "culture of professional communication» is considered, which is interpreted as the level of realization of creative abilities, exchange of messages, organization of mutual understanding, mutual knowledge in the process of professionally directed interaction between subjects, in whic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ise, manifest and form. The concept of "professional culture of communication of a teacher" is interpreted. The motives that are socially significant in the professional communication of the teacher are highlighted. The necessity of forming a culture of professional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in particular by means of information technologies in the present, is clarified. The interactive component of professional communication is considered. The types of interactions between people in everyday life (ritual and entertainment interaction, joint purposeful activity, no interaction, game and interpersonal interaction) are identified. Traditional and specific forms and methods of teaching are written out. All interactive technologies carried out by means of information technologies are conventionally divided into four groups, depending on the form of educational activity appropriate for their use (pair (work of the subject with the teacher or peers one on one by means of Information Technologies); frontal (the teacher simultaneously teaches a group of subjects by means of Information Technologies); group or cooperative (all subjects teach each other by means of Information Technologies); individual (independent work of the subject using Information Technologies)). In th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future specialists should learn knowledge, acquire skills on the basic rules of the culture of professional communication and methods of interaction and their effective use, which is possible with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ies. Recommendations for optimal professional communication have been developed that help you express your thoughts easily and beautifully, and conduct a dialogue in a relaxed and harmonious way.

      • KCI등재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개인정보 보호

        손영화 한국기업법학회 2022 企業法硏究 Vol.36 No.1

        Humans value being protected in the areas of privacy and personal life. I want to be able to control who knows what about themselves. I don't want anyone to have access to their personal information at any time. However, recent advanc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reaten privacy, reduce control over personal information, and open the possibility of various negative consequences as a result of access to personal information. In the late 20th century, a data protection system was established in response to an increase in the level of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21st century, the strength of the platform economy is beginning with the rise of big data and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e.g., in the form of deep learning), the rise of big tech companies, and the storage and processing of exabytes of data. Technical features are currently in place to collect, store and retrieve large amounts of data on phone calls, Internet searches, and electronic payments, and are routinely used by both government agencies and business actors. The large-scale use and spread of advanced digital technology for the rise, surveillance and control of China has raised concerns among many people. For companies, personal information about customers and prospects is now a key asset. The scope and purpose of the privacy-oriented business models of big tech companies such as Google, Amazon, Facebook, Microsoft, and Apple are often referred to as "monitoring capitalism." This paper compares and examines legislative precedents and theories of the United States, Japan and other countries, focusing on the EU, and examines the issue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companying the development of new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 brief summary is as follows: Appropriate regulation and protection must be implemented while accurately recognizing the impact of new technologies on personal information and privacy. First, there is the problem of regulating the use of so-called cookies with regard to Internet privacy. It will be necessary to find a point of contact to achieve information sharing and sharing efficiency without over-infringement of individual privacy. Second, it is necessary to address the issue of privacy in the development of cloud computing in an internationally consistent manner. Third, there is the problem of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the utilization of big data. In particular, the extent to which individual privacy protection is permitted is a problem when using so-called predictive inform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come up with a concrete plan to ban the use of predictive information by case rather than a general plan to ban the use of predictive information. Fourth,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of Things, the possibility of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is increasing. Utiliz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GPS is one of them. Generally, the acquisition and use of personal information using “reconfigurable technology” can be solved by informing individuals of such information. Fif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an bring about changes in the voting process. This is the so-called e-governance or e-government. Electronic democracy should be achieved by allowing voters to vote freely and secretly at any stage, and by preventing the sale and coercion of votes. Finally, the so-called surveillance capitalism, which is a reaction to the development of security systems using surveillance cameras, should be resolved. At least national surveillance of citizens should be strictly prohibited, and laws and systems should be established to inform the public of such surveillance facts and prevent personal privacy from being violated when using information. 인간은 사생활과 개인 삶의 영역을 보호받는 것을 중요시한다. 자신의 개인정보에 대하여 언제든지 누구라도 접근할 수 있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또한 타인이 자신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는지에 대하여 통제할 수 있기를 원한다. 그러나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프라이버시를 위협하고 개인정보에 대한 통제력을 감소시키며 개인정보에 대한 다양한 접근의 결과로 인한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20세기 후반에는 개인정보의 처리 수준 증가에 대한 대응으로 데이터 보호체제가 구축되었다. 21세기는 빅데이터와 첨단 정보기술(예: 딥러닝의 형태), 빅테크 기업의 부상과 엑사바이트급 데이터 저장 및 처리와 함께 플랫폼 경제의 세기가 시작되고 있다. 전화 통화, 인터넷 검색 및 전자 결제에 관한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 저장 및 검색할 수 있는 기술적 기능이 현재 마련되어 있다. 정부 기관과 기업 행위자 모두가 그러한 기술을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중국의 부상과 감시와 통제를 위한 첨단 디지털 기술의 대규모 사용과 확산은 많은 사람들의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기업에게는 고객과 잠재 고객에 대한 개인정보가 이제 핵심 자산이기도 하다. 빅테크(Google, Amazon, Facebook, Microsoft, Apple)의 개인정보 중심 비즈니스 모델의 범위와 목적은 ‘감시 자본주의’라는 표현을 자아내기도 한다. 이상에서는 EU를 중심으로 미국, 일본 등의 입법과 판례 및 학설을 비교고찰하며 새로운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의 과제를 살펴보았다. 간략하게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신기술의 홍수 속에서 그것이 개인정보와 프라이버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확히 인식하면서 적절한 규제와 보호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우선, 인터넷 프라이버시(Internet privacy)와 관련하여 이른바 쿠키(cookies)의 사용에 관한 규제의 문제가 있다.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과도하게 침해하지 않으면서 정보공유 및 공유효율성을 달성하기 위한 접점을 찾아야 할 것이다. 둘째, 클라우드 컴퓨팅의 발달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의 문제에 대해 국제정합성 있는 규범의 마련을 위한 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빅데이터의 이용 및 활용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의 문제가 있다. 특히, 이른바 예측정보의 활용에 있어서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어느 범위에서 인정할 것인지가 문제된다. 예측정보의 일반적인 활용금지의 방안이 아닌 구체적인 사안별 금지방안을 마련할 필요도 있다. 넷째, 사물인터넷의 발전에 따라 개인정보의 침해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GPS를 이용한 위치정보 등의 이용과 활용도 그러한 내용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재구성 가능한 기술(reconfigurable technology)’을 사용한 개인정보의 취득 및 이용의 경우 그러한 기술의 정보에 대하여 개인에게 알려주는 방법에 의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투표 과정에서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이른바 E-거버넌스 또는 전자정부의 과제이다. 어느 단계에서의 기술이용이든지 간에 유권자의 자유투표 및 비밀투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투표매매와 강요를 방지함으로써 전자 민주주의를 달성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감시카메라 등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의 발전에 따른 반작용이라고 할 수 있는 이른바 감시 자본주의를 해결하지 않으면 안된다. 적어도 국가에 의한 대중의 감시는 엄 ...

      • KCI등재

        비대면 시대, 노인 정신건강을 위한 지원사례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영국의 정보통신기술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전상완,김승진,김미숙 한국스포츠학회 2022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0 No.3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the UK, where health support projects for the elderly are relatively activ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based support policies,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pplication cases and e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that can help vitalize mental health support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elderly. To this end,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previous studies, the current status of mental health in the UK aged popula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based health support policies,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pplication cases and effects were analyzed. The main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upport system should be able to be established. Second, policy support should be provided so that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based services can be actively utilized throug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ird, there is a need for a health support policy that can achieve harmony between body, mind and technology.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direction of the domestic elderly health support policy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cases of support for mental health policies for the elderly in the UK and deriving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in Korea. 본 논문은 고령 노인을 위한 건강 지원사업이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영국의 고령 인구 정신건강 현황, 정보통신기술 기반 지원 정책, 정보통신기술 적용 사례 및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고령 노인 정신건강지원의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영국 고령 인구의 정신건강 현황, 정보통신기술 기반 건강지원 정책, 정보통신기술 적용 사례 및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에서 도출된 주요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정신건강 관리 지원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신체활동 및 운동 기반의 서비스를 정보통신기술을 통해 적극 활용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몸과 정신 그리고 기술과의 하모니를 이룰 수 있는 건강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국의 노인 정신건강 정책 지원 현황 및 사례들을 분석하여 국내 적용가능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국내 노인 건강 지원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Research and Application of Key Techniqu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 Process Information

        Rong Xia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Hybrid Information Techno Vol.9 No.12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logy promotes the great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Such technology refers to the combination of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the computer technology, communication technique, control technique and others, which is applied to the information collection and processing of information. This thesis, research the key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o process information, including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fuzzy theory and others. Besides, the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be applied to the design of the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in this research. The result shows that the application of the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to which the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ould relieve the stress during the rush hours efficiently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information processing.

      • KCI등재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기술교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디지털 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효과

        금지혜,최유현,임윤진 한국기술교육학회 2024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교과의 정보통신기술 영역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한 학습 프로그램을개발하고, 이 학습 경험이 중학생의 디지털 시민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중학교 기술 교과의 정보통신기술 영역인 ‘통신기술과 소통’단원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한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A 중학교에 적용하였으며, 중학생의 디지털 시민성 함양에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을 활용하였다. 양적분석으로는 단일집단에 초․중학생용 디지털시민성 척도를 검사 도구로 선정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t-검증 방법을 활용하여 효과를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 개발한 기술교과의 생성형 AI를 활용한 정보통신기술 학습은 중학생의디지털 시민성 함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가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의 하위 요인은디지털 보안, 공감, 디지털 사회 정체감, 비판적 사고영역이었다. 또한, 학생들의 학습결과물과 만족도 및 의견 분석을 통하여 개발한 프로그램 효과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위하여 기술교과의 정보통신기술 영역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한 학습은 교육적 가치가 있으며, 성취기준을 달성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에서 활용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기술교과교수학습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디지털 시민성을 함양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중학생의 디지털 시민성을 함양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과의 연구가 이어지길 바라며, 이 연구가 기술 교과에서 디지털 시민성을 함양하기 위한 연구의 참고자료로 활용되길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earning program using generative AI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rea of middle school technology subjects an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is learning experience on middle school students' Digital Citizenship. we developed a learning program using generative AI in th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section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rea of middle school technology subjects, and applied it to A middle school to determine whether it was effective in cultivating Digital Citizenship in middle school student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were used, and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on a single group. As a result of the stud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learning using generative AI in the developed technology curriculu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cultivating Digital Citizenship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factors of Digital Citizenship that showed effectiveness were digital security, empathy, digital social identity, and critical thinking. In addition, the effects and implications of the developed program were derived through analysis of students' learning outcomes, satisfaction, and opinions. In order to cultivate Digital Citizenship, learning using generative AI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rea of technical subjects was confirmed to have educational value and to be suitable for achieving achievement standards. It is expected that the technology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used in this study can be meaningfully used as a program to cultivate Digital Citizenship in middle school students. together. We hope that research will continue in various subjects to cultivate Digital Citizenship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reference for research on cultivating Digital Citizenship in technology subjects.

      • 정보기술과 인권

        허상수 성공회대학교 인권평화센터 2000 인권과 평화 Vol.1 No.1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whether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will lead to enhancement of human rights in general. For this the paper briefly review literature on the general history of the human rights question, on the 'right to know' of information, and on the freedom of expression. The essay also outlines some distinctive features related to the nature of technology, the problem with the technology determinism, and the communication technology. It is found that surveillance society on the basis of information technology is highly likely to cause interference with individual privacy and personal information data. It is also identified that electronic tapping and eavesdropping, on the international as well as national level, are causing serious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It is argued that an alternative perspective should be called on to rectify the situation, which includes, among others, the empowerment of civil power, reflective education, and social control of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