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외 동물매개중재 연구에 대한 고찰(총설)

        천시내,전중환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연구소 2022 동물자원연구 Vol.33 No.2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animal-assisted intervention (AAI) all over the world. AAI is an umbrella term describing various forms of human-animal teams in formal human service, such as animal-assisted activity (AAA), animal-assisted therapy (AAT), and animal-assisted education (AAE). Animals commonly used as partners in AAI are dogs, cats, horses, guinea pigs, farm animals, and dolphins. Research on various topics within the field of AAI has experienced rapid growth over the past decade, but AAI approaches are still struggling to establish credibility as a complementary therapy method for a range of medical and psychological conditions. The aim of this review is to scrutinize the research literature related to AAI. Most studies have shown that AAI can have multiple outcomes, including social, psychological, and physical ones, in a wide range of settings. However, studies have not yet examined whether these effects carry over into other contexts. Moreover, study samples have tended to be small, non-representative, heterogeneous, and conducted without control groups. Further research is, thus, necessary to explore the sustainability and long-term benefits of AAI in a variety of settings and for different populations. Also, there is a need for specific guidelines for the welfare of therapy animals, as well as possible directions for standardized professional competencies. 최근 전 세계적으로 동물매개중재(animal-assisted intervention: AAI) 분야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AAI는 목적과 전문가 개입 여부 등에 따라 동물매개활동(animal-assisted activity: AAA), 동물매개치료(animal- assisted therapy: AAT), 동물매개교육(animal-assisted education: AAE)으로 구분된다. 지난 20년간 동물매개중재의 대상과 환경, 동물 등에 따른 AAI의 치료적 가치를 알아내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일부 대학과 민간 기관에서 AAI 관련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지만,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으며 관련한 전문 용어들이 혼용되고 있는 등 많은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외의 AAI 관련 연구에 대해 조사, 분석하여 국내의 AAI에 대한 연구방향 설정 및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그리고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본 결과, AAI가 심리적, 사회적, 인지적, 신체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에서 AAI 분야의 치료적 가치에 대한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AAI와 관련한 용어들이 공식적으로 정의되고 유형별로 구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혼동되어 사용되고 있다. AAA과 AAT는 어느 정도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AAE의 경우 아직 교육 환경이라는 좁은 범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AAA으로 볼 수 있으며, 때때로 AAT와 연결된다. 즉, AAI는 유형별로 구분하여 나누어지고 있지만 결국 AAI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연구의 대부분이 단기적인 결과만을 측정하고 있으며 표본 선택과 크기, 절차와 도구 등이 매우 다양하여 AAI의 가치를 과학적으로 평가하고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따라서 AAI의 효과에 대한 보다 과학적이고 수치화된 평가를 위해서는 이론적 모델에 기초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엄격한 연구가 필요하며, 다른 분야 간의 학문적 협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치유도우미동물의 신체적·정서적 상태가 AAI의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동물복지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치유도우미동물의 관리와 복지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Working with laboratory rodents in Spain: a survey on welfare and wellbeing

        Olatz Goñi-Balentziaga,Iván Ortega-Saez,Sergi Vila,Garikoitz Azkona 한국실험동물학회 2021 Laboratory Animal Research Vol.37 No.3

        Background Replacement, reduction and refinement, the 3R principles, provide a framework to minimize the use and suffering of animals in science. In this context, we aimed to determine the actual perception that individuals working with laboratory rodents in biomedical research have on animal welfare and on their interaction with the animals, as well as how they perceive its impact on their social relations. To this end, we designed an anonymous on-line survey for people working with rodents, at three responsibility levels, in Spain. Results Of the 356 participants, 239 were women (67 %); 263 were researchers (74 %), and 93 animal facility staff (26 %), of which 55 were caretakers/technicians (15 %), and 38 welfare officer/veterinarians (11 %). Animal facility staff indicated environmental enrichment to be a universal practice. About half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in their opinion, animals suffer “little to none” or “minor” stress and pain. Animal caretakers/technicians and researchers perceived higher levels of stress and pain than welfare officers/veterinarians. Participants judged decapitation the most unpleasant method to kill rodents, whereas anaesthetic overdose was the least one. A sizable proportion − 21 % of animal caretakers/technicians and 11.4 % of researchers - stated that they were never given the choice not to euthanize the rodents they work with. Overall, women reported higher interactions with animals than men. Nevertheless, we could detect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ime spent with the animals and interaction scores. Notably, 80 % of animal facility staff and 92 % of researchers rarely talked about their work with laboratory rodents with people outside their inner social circle. Conclusions Overall, the participants showed high awareness and sensitivity to rodent wellbeing; animal facility staff reported a similar perception on welfare questions, independently of their category, while researchers, who spent less time with the animals, showed less awareness and manifested lower human-animal interaction and less social support. Regarding the perception on social acceptance of laboratory animal work, all groups were cautious and rarely talked about their job, suggesting that it is considered a sensitive issue in Spain.

      • KCI등재

        반려동물 보호자의 인간-동물 상호작용, 공감능력, 자기위로능력, 대인관계스트레스 및 대인관계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김명희(Myounghee Kim),천성문(Seongmoon Cheon) 한국재활심리학회 2024 재활심리연구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반려동물 보호자의 인간-동물 상호작용이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공감능력, 자기위로능력 그리고 대인관계 스트레스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최종적으로 수집된 547명의 자료를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반려동물 보호자의 인간-동물 상호작용이 공감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간-동물 상호작용과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은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인간-동물 상호작용과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자기위로능력이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인간-동물 상호작용과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에서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경유했을 때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간-동물 상호작용과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 자기위로능력,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경유하게 되면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반려동물 효과에 관한 연구가 서구보다는 매우 부족한 국내에서 반려동물 효과의 심리학적 기제에 관한 연구를 시도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human-animal interaction, empathy ability, self-comfort ability, interpersonal stress,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companion animal caregivers.the data of Data from 547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using SPSS 21.0 and AMOS 21.0 software programs. The findings indicate that human-animal interactions had a direct effect on empathy ability. Moreover, empathy ability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animal interaction and caregiver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oth empahtic and self-comfort abiliti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animal inter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owever, no mediating effect was found for interpersonal stress in the pathway from human-animal interaction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empathetic ability. Similarly, no mediating effects were observed when considering the combined influence of empathic ability, self-comfort ability, and interpersonal stress.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the benefits of companion animals in Korea, where such studies are relatively scarce, offering insights and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17세기 말 心性論에 있어서 儒佛 교섭의 가능성

        이종수(Lee Jong-su) 보조사상연구원 2009 보조사상 Vol.32 No.-

        18세기 西人을 중심으로 전개된 人物性同異論爭은 성리학을 한층 심화시킨 철학논쟁이었다고 평가받는다. 그런데 17세기 말에 이미 太極論辨이 있었다. 태극론은 朱子가 理一分殊에서 統體一太極과 各具一太極의 개념을 도출해 낸 것으로서 性의 본체론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태극논변은 인물성동이논쟁을 예비하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태극논변의 주역은 박세채와 권상유, 그리고 조성기와 김창흡이었다. 권상유는 인물성이론의 대표적 학자였던 권상하의 동생으로서 그의 태극론은 인물성이론의 바탕이 되었다고 할 수 있고, 김창흡은 김창협의 동생으로서 인물성동론을 이끌었던 인물이므로 그의 태극론은 인물성동론의 근저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17세기 말에 佛家에서는 心性論爭이 있었다. 그 내용이 雲峰大智에 의해 간행된 『心性論』에 남아 있는데, 논쟁의 주된 쟁점은 一性說과 多性說이었다. 일성설은 ‘중생의 法身이 전체적으로 하나이다(人人法身摠爲一者)’라는 주장이고, 다성설은 ‘중생 저마다 완전한 법신을 가지고 있다(人人法身各各圓滿)’고 하는 주장이다. 佛家의 두 논쟁은 儒家의 태극논변과 매우 흡사한 논리를 가지고 있다. 가령 유가의 各具太極은 불가의 人人法身各各圓滿과 상응하고, 統體太極은 人人法身摠爲一者와 대응하고 있다. 各具太極과 各各圓滿은 人物의 개별성을 강조한 것이고, 統體太極과 摠爲一者는 人物의 전체성을 강조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유불간의 논리가 유사함에 따라 양자 사이에 어떤 사상적 교섭이 있었던 것은 아닐까라는 물음에 답하기 위해 본 논문은 작성되었다. 불교는 기본적으로 모든 중생에게 불성이 있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 그러므로 佛家의 심성론은 洛學의 인물성동론과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보면 김창흡의 태극론과 불교의 심성론이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김창흡은 불교에도 매우 조예가 깊었고 평생 승려들과 交遊하였던 인물이다. 당시 유학자들이 사찰에서 독서하면서 승려들과 교유하는 것은 다반사였지만, 특히 洛學의 성리학자들에게서 두드러지게 보인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17세기 말 儒家와 佛家의 本性論은 儒佛交涉의 산물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During the 18th century, an academic argument arose concerning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人物性同異論爭) among members of the Seo-in (西人) Faction. This argument has been judged to be the reason for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But in the late 17th century, there was another argument about taekeuk (太極 the source of the dual principle of yin and yang). Chu Shi had derived ideas of 'the whole embodies a single taekeuk (統體太極)' and 'each things contain their own taekeuk (各具太極)' from the theory of the one principle and its diversity. The theory of taekeuk consists of the ideas, and it is the ontology of the min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gard the argument about taekeuk as the beginning of the argument about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which was led by Park Se-chae, Kwon Sang-yu, Jo Seong-gi, and Kim Chang-heup. Kwon Sang-yu is a younger brother of Kwon Sang-ha, a leading authority of the theory of different natures of human and animal. Thus his theory of taekeuk was likely to be the foundation of the theory of different natures of human and animal. On the other hand, Kim Chang-heup is a younger brother of Kim Chang-hyeop, a leading authority of the theory of identical natures of human and animal. So it is possible to see his theory of taekeuk as the foundation of the theory of identical natures of human and animal. In the late 17th century, there was an argument concerning the nature of the mind (心性) within the Buddhist community. A Buddhist monk named Woonbong Daeji published a book titled “shimseongnon (心性論 a thesis on the nature of the mind)”. This book tells us that the argument was mainly about the theory of a monistic nature of the mind (一性論) and the theory of a pluralistic nature of the mind (多性論). The former theory asserts that all beings possess dharma-kāya (法身 the body of dharma), but that it only achieves completion and perfection when all minds are united(人人法身摠爲一者). The latter theory asserts that all beings possess an autonomous mind and all beings are complete and contain perfect dharma-kāya (人人法身各各圓滿). This argument is logically similar with the argument about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The Confucian idea of 'each thing contains its own taekeuk' matches the theory of a pluralistic nature of the mind, while the idea of 'the whole embodies a single taekeuk' matches the theory of a monistic nature of the mind in logic. The former match emphasizes the haecceity of all beings, and the latter match emphasizes the holistic feature of all beings. When one consider this logical similarity, it is possible to draw a possibility of ideological interaction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Buddhism is based on the idea that all beings posses their own nature of Buddha. Thus the Buddhist theory of the nature of the mind matches the theory of identical natures of human and animal of the Nak school (洛學) and is similar to Kim Chang-heup's theory of taekeuk. He had a profound knowledge of Buddhism and associated with Buddhists throughout his life. It was very common that a Confucian studying at Buddhist temple and associating with Buddhists at the time, especially Confucians from the Nak school. From the information gathered above, the theories of the original nature in Buddhism and Confucianism are likely to be derived from the ideological interaction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 피식자-포식자 군집행동 모사를 위한 인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다중감각 피드백의 시뮬레이터 개발

        홍성민(Seongmin Hong),하창수(ChangSu Ha),이동준(Dongjun Lee) 대한기계학회 2014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4 No.11

        We develop human interactive prey-predator simulation based on collective behavior, which can be used for observation of collective animal behavior. For the simulator, we deploy three flocking rules of Reynolds and add preys’ behavior to avoid predators’ attack, which is not relatively studied comparing to the free-flocking. In addition, we also propose another observed motion in nature, ‘separation-rejoining’ behavior, by modifying the Reynolds rules. Finally, we introduce the preliminary concept of human-interactive simulator interface. This allow the users to operate the predators to observe the preys’ behavior with multi-modal feedback.

      • 반려견 영상 시청이 20-30대의 감정에 미치는 영향

        문승진(Seung-Jin Moon),김수미(Su-Mi Kim),김희연(Hee-Yeon Kim),김병수(Byeong-Soo Kim) 한국동물보건학회 2022 한국동물보건학회지 Vol.1 No.2

        Human-Animal Interaction (HAI) is known to have a beneficial effect on emotion directly or indirectly, and through this, many studies in the field of Animal-Assisted Activity (AAA), Education (AAE), and Therapy (AAT) are being actively researched. In Korea, studies on indirect animal-assisted activities using media are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determine whether the dog video affect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fter the exposure time of 20 to 30 seconds. The questionnaire was collected using the Google online questionnaire form, a video of a dog made by the researcher, a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ales (PANAS) were used. The video is a short video of about 3 minutes and consists of scenes where dogs interact with people on the lawn. The same scale before and after watching the video and 427 questionnaires of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Through the surve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viewing the other items except for the two items of ‘determine’ and ‘attentive’ among 20 items (p<001). The index of positive emotion increased from 29.9±7.83 before watching the video to 33.88±8.2 after watching, and the index of negative emotion decreased from 16.58±6.94 before watching the video to 13.35±5.48 after watching.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um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by gender, age, and overall,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was confirmed by viewing in all groups.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watching the dog video can affect emotional changes regardless of gender or age, it is considered to be fundamental research on indirect media based HAI.

      • KCI우수등재

        미래의 애니메이터

        이동민 인문콘텐츠학회 2023 인문콘텐츠 Vol.- No.68

        This research aims to illuminate the value and potential impact of social robot animator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riven by convergence, while discussing the anticipated changes that they will face. Participating in the process of breathing life into social robots instead of virtual characters brings about new changes and challenges for animators in animation methods and design tasks. Firstly, as social robot animation is experienced through interactive engagement rather than individual appreciation, a revision of the definition of traditional animation is necessary, as it cannot be characterized solely by motion illusion and single-frame cinematography. Social robot animators tend to shift their focus from interplay between frames to composing and expressing robot behavior in order to create the illusion of life during user-robot interactions. The intensity of expression, safety, user environment, and long-term relationship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regulating the psychological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robot through the affordance implanted in the robot's behavior instead of the size of the shot. Although there is no standardized design method, social robots are typically created by first developing a digital prototype, which is then tested and modified from various perspectives before being transferred to a physical robot. In this process,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experts from different fields have emerged as important design challenges. According to the changes, social robotics researchers have suggested that social robot animators need to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user's psychology and grasp the differences between virtual characters and robots. In addition, they must possess a collaborative and communicative attitude to work with experts from various fields who use different terms and languages. The value of social robot animators lies in their ability to endow robots with rich social attributes through their unique imagination and expression, making the interaction with robots a meaningful experience for users. 가상 캐릭터 대신 소셜 로봇에 생기를 불어넣는 작업에 애니메이터의 참여와 역할이 두드러지고 있다. 소셜 로봇 애니메이션은 캐릭터 애니메이션과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그 변화에 주목하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 과거 컴퓨터 애니메이션의 발달이 기존의 작업 대상과 제작 환경에 변화를 가져오고 애니메이터에게 새로운 기술과 지식을 요구했던 것처럼 새로운 기술의 출현은 작업방식과 디자인 과제의 변화로 이어지기 마련이다. 본고는 소셜 로봇 디자인에 참여한 애니메이터 사례에 주목하여 작업방식과 디자인 과제 측면에서 예고되는 변화를 논의함으로써 학술적 연구로 주목받지 못한 애니메이터의 역할이 지닌 잠재성과 가치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소셜 로봇 애니메이션은 매체 수용이 개인 감상이 아닌 상호작용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움직임의 환영과 단편노출촬영으로 특징되는 애니메이션에 관한 정의에 수정이 필요하다. 프레임 사이에서 작업하던 애니메이터는 이용자와 로봇 사이에서 삶의 환영을 끌어내는 역학으로 로봇의 행동 구성과 표현에 집중하게 되었다. 이용자와의 심리적 거리감은 쇼트의 크기가 아닌 로봇의 행동 유도성으로 조절되고 이 과정에서 표현의 강도, 이용자 안전, 주변 환경, 장기적인 관계를 염두에 두어야 하는 변화가 생겼다. 로봇 디자인에 표준화된 방식은 없으나, 보통 로봇의 디지털 프로토타입으로 애니메이션을 만들어 다양한 관점에서 테스트하고 수정하는 과정을 거쳐 실제 로봇에 옮기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참여로 서로 다른 분야 간 소통과 협업이 중요한 디자인 과제로 대두되었다. 변화에 따른 대응으로 소셜 로봇 관련 연구자는 애니메이터에게 이용자 심리를 비롯해 가상 캐릭터와 로봇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서로 다른 분야에서 활용되는 용어나 언어를 습득하는 등 다른 분야 전문가와 협력하고 소통하려는 태도가 요구된다고 제안하였다. 소셜 로봇 애니메이터는 로봇과의 상호작용이 이용자에게 의미 있는 경험이 되도록 특유의 상상력과 표현력으로 로봇에 풍부한 사회적 속성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그 역할의 가치와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 KCI등재

        반려견이 사람과 교감(놀이)을 원할 때 나타내는 발성음의 음성학적 분석

        천시내,전중환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연구소 2022 동물자원연구 Vol.33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he acoustic analysis of vocalizations of domestic dogs when they want to play with humans. Using a digital camcorder and microphone, we recorded and acoustically analyzed the vocalizations of six 7-month-old dogs (beagle) when they wanted to play with humans. The vocalization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namely, barking (type Ⅰ, type Ⅱ), whining (type Ⅰ, type Ⅱ), and howling, based on the shapes of waveforms and spectrogram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undamental frequency (p<0.01), intensity (p<0.0001), 1st formant (p<0.001), 2nd formant (p<0.0001), 3rd formant (p<0.001), and 4th formant (p<0.05) among the vocalizations, whereas the duration was not different (p<0.05). Whining type I showed high values in the fundamental frequency and 3rd formant, while whining type II showed high values in the fundamental frequency and 1st, 2nd, and 4th formant. Further, bark types I and II showed high intensity values, with bark type II having a high value in the 1st formant. Finally, whining showed high values in the 4th formant only and significantly lower values in the 1st and 2nd formants than other vocalizations. Domestic dogs mainly exhibited barking and whining with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fundamental frequency, intensity, and formant dispersion when they wanted to play with humans during the experiment. Accordingly, we suggest that vocalization could be a useful method for identifying dogs’ intentions or emotional state in a non-invasive manner. 본 연구는 반려견의 다양한 발성음 중 사람과 교감(놀이)을 원할 때 나타내는 발성음의 음성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생후 7개월령의 암컷 비글(Beagle) 6마리를 대상으로 관리자와 교감(놀이)를 원할 때 나타내는 발성음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발성음들을 짖음(Barking), 낑낑거림(Whining), 울부짖음(Howling)의 3가지 형태로 구분하였으며, 이후 Praat을 이용하여 웨이브폼(waveform)과 스펙트로그램(spectrogram)의 형태에 따라 짖음과 낑낑거림은 각각 두 가지 유형으로 세분화하였다. 따라서 총 5가지 형태의 발성음의 음성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파리미터별로 비교한 결과, 음의 길이를 제외한 기본주파수, 음의 강도, 포먼트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낑낑거림 유형Ⅰ은 기본주파수와 제3포먼트에서 높은 값을 보인 반면, 낑낑거림 유형Ⅱ는 기본주파수와 제1포먼트, 제2포먼트, 제4포먼트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다. 짖음 유형Ⅰ과 Ⅱ는 음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짖음 유형Ⅱ의 경우에는 제1포먼트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울부짖음은 제4포먼트만 높은 값을 보였으며, 제1포먼트와 제2포먼트가 다른 발성음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결론적으로 반려견은 인간과의 교감(놀이)을 원할 때 짖음과 낑낑거림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울부짖음의 경우 드물게 사용하였다. 또한, 이러한 발성음들은 음성학적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발성음 분석은 반려견을 이해하는데 있어 가장 비침습적이고 동물복지적인 방법으로 반려견의 심리 상태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NUI-based Athletic Scene Generation System

        Jong-In Choi(최종인)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4 No.1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and an intuitive interface that can create an athletic scene among athletes. We allow you to enter motion as if you were playing a game, so that the user`s action becomes the player`s action. The user can take various actions in front of the motion sensor and control the object flying to him. When a user specifies an opponent to pass or attack, and takes appropriate action in front of the motion sensor,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object is automatically generated by the physical optimization technique in accordance with the motion. In this way, you can create scenes where multiple players play together in a virtual environment. The method of this paper will be very useful for rapid prototyping for cinematic trailers of based on athletics games or anim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