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남북조시대 서방계 금은기의 수입과 제작

        이송란 숭실사학회 2019 숭실사학 Vol.0 No.43

        This study would examine the period of the production and the technical system of goldware and silverware in the forging technique, revealing the places of the production and the routes of the acceptance of the imported goldware and silverware used in China during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To the present time, the studies of goldware and silverware during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have focused on the systemicity of Western goldware and silverware, such as Rome, Sasanian Iran, or Sogd. This study focused on discussing the places of the production and the routes of the acceptance of the Western goldware and silverware based on the research achievements until now. As compared to the contemporary goldware and silverware, which drew much attention in the academic circles, there are few research achievements that surveyed all the imported goldware and silverware during the period of Wei-Jin Kingdoms and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Due to the fragmented political situations of China, the routes of the circulation of the Western goldware and silverware excavated in the Chinese mainland and peripheries are not easily understood, and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amount of the goldware and silverware used found in the literature and the aspect of the actual excavation, which are the important reasons why it is difficult to conduct research.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literary record that goldware and silverware were produced by the Chinese people themselves and used in various ways, e.g. Being given to the whole body of officials as Imperial Gifts or used as tableware at the banquets. As a result of putting together the materials analyzing literature and the systems of the Western goldware and silverware actually excavated, there was no example of production in the mainland like Sasanian Iran or Rome, etc., so the fact that most were produced by the Western artisans or local people who learned the techniques from them in Central Asia like Bactria etc. and China. Also, it was found that various elements were often mixed in a bowl, such as Sasanian Iran, Byzantine, Sogd, and Hephthalite. It is interpreted that these mixed elements reflected the structure in which the artisans of Sogd and Hephthalite worked themselves in China, if demands for goldware and silverware in the Western technique increased in China. The critical mind of this study that would investigate and reveal the places of the production of the Western goldware and silverware began with the intent to examine the users’ cultural tastes in the Silk Road Network. This would aim to investigate and reveal that supplies from the Silk Road far away were not flowed in simply as luxury goods but were concerned with the users’ cultural tastes. 이 글에서는 남북조시대 중국에서 사용된 수입 금은기의 제작지와 수용경로를 밝혀 중국에서 단조법의 금은기 제작의 시기와 기술 계통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간 남북조 금은기의 연구에서 서방계 금은기의 로마, 사산조 이란, 또는 소그드 등 계통성에 대한에 연구가 집중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그간의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서방계 금은기의 제작지와 수용경로를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학계에서 많은 주목을 받은 당대 금은기에 비해 위진남북조시대의 수입금은기의 전체를 조망하는 연구 성과는 많지 않다. 분열되었던 중국의 정치 상황으로 인하여 중국 본토와 변경에서 출토되는 서방계 금은기의 유통경로가 쉽게 파악 되지 않고 문헌상 확인되는 사용 양과 실제 출토 양상이 다른 것이 연구가 쉽지 않은 중요 이유이다. 연구 방법에서는 군신에게 선물로 사여하거나 연회에서 식기로 쓰는 등 자체 생산하여 여러 가지로 다채롭게 사용되는 문헌 기록을 주목하였다. 문헌을 분석한 자료와 실제 출토된 서방계 금은기의 계통을 종합하여 본 결과 사산조이란이나 로마 등 본토에서 제작된 것은 단 한 예도 없어, 대부분 박트리아 등지의 중앙아시아와 중국 내에서 서방계 장인들이나 이들에게 배운 현지인이 제작한 사실이 밝혀졌다. 그리고 그릇 하나에도 사산조 이란, 비잔틴, 소그드, 에프탈 등 여러 요소가 혼합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혼합적 요소는 중국내에서 서방계 단조기법의 금은기 수요가 많아지면 소그드와 에프탈계 장인들이 중국에서 직접 작업하였던 구조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서방계 금은기의 제작지를 규명 하려는 이 글의 문제 의식은 실크로드 네트워크에서 사용자의 문화취향을 살피고자 하는데서 출발하였다. 원거리에 있는 실크로드의 물자가 단순히 사치품으로 유입된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문화취향과 관련된 것임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 KCI등재

        우스트루샤나 칼라이 칵카하 1구역의 벽화와 에프탈계 도검

        ( Etsuko Kageyama ) 중앙아시아학회 2014 中央아시아硏究 Vol.19 No.1

        This paper is composed of two parts. In the first part I would like to introduce the wall paintings of the pre-Islamic period palace of Ustrushana rulers, unearthed at the Kala-i Kakhkakha I site in northern Tajikistan.

      • KCI등재

        신라 계림로 14호분 〈금제감장보검〉의 제작지와 수용 경로

        이송란(Lee Songran) 한국미술사학회 2008 美術史學硏究 Vol.258 No.258

        금제감장단검, 화살통장식, 장식대도 등의 무구, 금은입사철제안교, 은입사행엽, 등자 등의 기마구 등이 부장된 경주 계림로 14호분은 개마무사의 무덤이다. 이 무덤에서는 감장기법과 누금기법으로 표면이 화려하게 장식된 금제감장단검이 피장자 왼쪽 허리편에서 발견되었는데, 검집 측면에 부착된 P자형과 D자형의 장식판을 통해 허리띠와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다. 이 글에서는 주목하지 않았던 패용구로 이해되는 P자형과 D자형의 장식판의 발생과 전개과정을 분석하여 계림로 금제감장보검의 구체적인 제작지와 수용경로를 살펴보았다. 중앙아시아 수입품으로 알려진 이 금제감장보검의 구체적인 제작지와 수용경로를 분석하는 것은 신라 공예에 반영된 서방계 금공의 한 계보를 파악하는 문제뿐 아니라 신라에 수용된 기마문화의 성격을 알 수 있는 문제이다. 두 개의 패용구가 부착된 계림로 금제보장단검과 같은 형식의 검들은 기마민족과 관계된 지역에서만 출토되기 때문이다. 패용구가 부착된 형식의 검은 처음 기마민족인 사르마티아(Sarmatia)에 의해 기원전 7세기에 발명되었다. 이와 같은 형식의 검은 월지를 통해 동서로 확산된 뒤 중국의 漢, 인도의 쿠샨(Kushan), 파르티아(Partia)와 사산조 이란(Sasanian Iran), 유럽의 아바르(Avar)에 의해 1000여 년이 넘게 이용되었다. 이와 다른 방식으로 검을 패용하는 것은 사산조 이란의 6세기로 추정되는 탁-이-부스탄(Taq-i-Bustan)에 새겨진 샤푸르 3세(Shapur Ⅲ)의 장검에서 확인된다. 이러한 변화는 5세기 후반 무렵, 현재의 아프카니스탄(Afganistan) 북부와 우즈베키스탄(Uzbekistan) 남부 등에 해당하는 박트리아(Bactria)지역을 놓고 패권을 다투던 에프탈과의 접촉을 통해 수용한 것이다. 당시 에프탈의 정치적 판도를 참고하면 계림로의 금제감장단검과 같은 형식인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Kazakhstan) 보로보에(Borovoye) 호수에서 발견된 금제감장보검의 제작지를 박트리아로 좁혀 볼 수 있다. 이는 박트리아 중심으로 발전한 서방계의 금공과 연관 관계를 보이고 있고, 감장의 재료인 흥마노가 박트리아산인 점을 참고하여 내린 결론이다. 에프탈에서 시작된 두 개의 패용구가 달린 검은 소그드(Sogd)와 고구려와 교류에 의해 한반도에 전해진 것으로 이해된다. 이와 관련하여 4세기 중반의 안악 3호분, 5세기 중반의 장천 1호분에 그려진 소그드 출신의 예인들을 주목하였다. 이들은 상인들의 무리와 같이 움직이던 집단으로 생각되어 중앙아시아와 고구려와의 교섭을 반영하는 존재들로 파악하였다. 7세기 중엽 사마르칸트(Samarkand) 아프라시아브(Afrasiab) 벽화에 그려진 고구려 사절단에서 알 수 있듯이, 고구려와 소그드의 꾸준한 관계가 바탕이 되어 사마르칸트에 직접 사신을 보낼 정도의 관계가 형성된 것이다. 아프라시아브 벽화에서 보이는 고구려 사신들이 착용하고 있는 M자형 패용구가 달린 장검은 고구려 유민의 무덤인 다카마츠츠카(高松塚)에서 발견된 P자형과 D자형의 패용구가 달린 장식대도와 비슷한 형태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계림로 14호분에서 묘주가 두 개의 패용구가 달린 검을 착용하고 있는 의미를 묘주의 무장체계와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5세기 고구려에 원병을 청하였던 신라에서 개마무사의 존재는 4세기 말부터 확인되고 있다. 생시에 개마무사였던 계림로 14호 묘주가 사용한 주된 무기는 창이지만, 허리에 패용된 단검은 창을 놓쳤을 때 또는 보병들에 의해 밀집되어 창을 쓸 공간의 여유가 없는 급박한 상황에서 사용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리고 천마층 환두대도에서 확인된 4각형의 쌍각금구는 계림로 금제감장단검과 같이 허리에 패용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신라에 수용된 모습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The large array of weaponry and horse trappings yielded from Gyerimno Tumulus No. 14 suggests that this Silla tomb located in Gyeongju belonged to a cavalryman. A gold dagger with inset jewels, arrow-holder ornaments, ornamental swords, a gold and silver wire-inlaid iron saddle, silver wire-inlaid horse strap pendants and stirrups are some of the artifacts harvested from the Silla tomb. The gold dagger with brilliant surface decorations created using insetting and granulation techniques was lying left of the remains of the deceased at waist level. The ornamental plates in the shapes of letters P and D attached to the side of the scabbard appear to have been used to hang the dagger to the waist bel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ossible place of fabrication of this gold dagger and the path through which it reached Silla by retracing the stylistic origins of the two ornamental plates in the shapes of P and D, which have thus far received little academic attention. Establishing a precise place of origin and path of transmission for this gold dagger, presumed to have been imported from somewhere in Central Asia, can not only cast light on the influence of this region and regions further West on the genealogy of Silla metalwork, but also and more importantly help us pinpoint which of the equestrian civilizations that flourished in this general region principally influenced Silla Daggers and swords having two ornamental plates on the scabbard like the Gyerimno gold dagger with inset jewels have been found only in regions historically associated with equestrian peoples. Swords and daggers attached with similar accessories were first produced toward the 7th century BCE by Sarmatians, a horse-riding nomadic people of Central Asian origin. They were later spread to regions east and west by the Yueh-chih (Yuezhi), another nomadic people of Turkish stock, including the Han Dynasty of China, the Kushan Dynasty of India, Sasanid Iran and Avars in Europe, to remain in use for more than 1,000 years. Meanwhile, examples of swords used for ornamental purposes date as far back as the 6th century CE. The long sword that belonged to Shapur Ⅲ of Sasanid Iran, bearing with the inscription "Taq-i-Bustan" is one such example. This change was introduced mainly thanks to the Hephthalites, with whom the Sasanids fought for control over Bactria,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northern section of present-day Afghanistan and southern Uzbekistan, toward the late 5th century. Based on the sphere of power of the Hephthalites at the time, gold daggers with inset jewels, similar to the Gyerimno dagger, found in Kazakhstan and Lake Borovoye are likely to have been fabricated in Bactria. This estimate is based on the style of metalwork in these daggers, which shows substantial similarities with that developed in regions further West and more particularly the Bactrian region, and also on the fact that the red agates inset on their surface were of Bactrian origin. Daggers with two ornamental plates, originating in Hephthalite Empire are believed to have been transmitted to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exchange between Sogdiana and Goguryeo. The paper discusses musicians and performers of Sogdian origin depicted on the murals of Anak Tumulus No. 3 from the mid-4th century, and Jangcheon Tumulus No. 1 from the mid-5th century as evidence lending weight to this hypothesis., These people considered proof to Goguryeo’s exchange with Central Asia, were likely to have followed merchants to the ancient Korean state. As demonstrated by the murals in Samarkand and Afrasiab from the mid-7th century, portraying visiting Goguryeo delegations, the ancient Korean state appears to have maintained a steady exchange with Sogdiana, eventually developing a close enough tie to dispatch envoys. The paper discusses similarities between the long swords with an accessory in the shape of letter M, worn by Goguryeo envoys in Afrasiab murals, and the ornamental sword f

      • KCI등재

        신라 계림로 14호분 <금제감장보검>의 제작지와 수용경로

        이송란 한국미술사학회 2008 美術史學硏究 Vol.258 No.258

        금제감장단검, 화살통장식, 장식대도 등의 무구, 금은입사철제안교, 은입사행엽, 등자 등의 기마구 등이 부장된 경주 계림로 14호분은 개마무사의 무덤이다. 이 무덤에서는 감장기법과 누금기법으로 표면이 화려하게 장식된 금제감장단검이 피장자 왼쪽 허리편에서 발견되었는데, 검집 측면에 부착된 P자형과 D자형의 장식판을 통해 허리띠와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다. 이 글에서는 주목하지 않았던 패용구로 이해되는 P자형과 D자형의 장식판의 발생과 전개과정을 분석하여 계림로 금제감장보검의 구체적인 제작지와 수용경로를 살펴보았다. 중앙아시아 수입품으로 알려진 이 금제감장보검의 구체적인 제작지와 수용경로를 분석하는 것은 신라 공예에 반영된 서방계 금공의 한 계보를 파악하는 문제뿐 아니라 신라에 수용된 기마문화의 성격을 알 수 있는 문제이다. 두 개의 패용구가 부착된 계림로 금제보장단검과 같은 형식의 검들은 기마민족과 관계된 지역에서만 출토되기 때문이다. 패용구가 부착된 형식의 검은 처음 기마민족인 사르마티아(Sarmatia)에 의해 기원전 7세기에 발명되었다. 이와 같은 형식의 검은 월지를 통해 동서로 확산된 뒤 중국의 漢, 인도의 쿠샨(Kushan), 파르티아(Partia)와 사산조 이란(Sasanian Iran), 유럽의 아바르(Avar)에 의해 1000여 년이 넘게 이용되었다. 이와 다른 방식으로 검을 패용하는 것은 사산조 이란의 6세기로 추정되는 탁-이-부스탄(Taq-i-Bustan)에 새겨진 샤푸르 3세(Shapur Ⅲ)의 장검에서 확인된다. 이러한 변화는 5세기 후반 무렵, 현재의 아프카니스탄(Afganistan) 북부와 우즈베키스탄(Uzbekistan) 남부 등에 해당하는 박트리아(Bactria)지역을 놓고 패권을 다투던 에프탈과의 접촉을 통해 수용한 것이다. 당시 에프탈의 정치적 판도를 참고하면 계림로의 금제감장단검과 같은 형식인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Kazakhstan) 보로보에(Borovoye) 호수에서 발견된 금제감장보검의 제작지를 박트리아로 좁혀 볼 수 있다. 이는 박트리아 중심으로 발전한 서방계의 금공과 연관 관계를 보이고 있고, 감장의 재료인 흥마노가 박트리아산인 점을 참고하여 내린 결론이다. 에프탈에서 시작된 두 개의 패용구가 달린 검은 소그드(Sogd)와 고구려와 교류에 의해 한반도에 전해진 것으로 이해된다. 이와 관련하여 4세기 중반의 안악 3호분, 5세기 중반의 장천 1호분에 그려진 소그드 출신의 예인들을 주목하였다. 이들은 상인들의 무리와 같이 움직이던 집단으로 생각되어 중앙아시아와 고구려와의 교섭을 반영하는 존재들로 파악하였다. 7세기 중엽 사마르칸트(Samarkand) 아프라시아브(Afrasiab) 벽화에 그려진 고구려 사절단에서 알 수 있듯이, 고구려와 소그드의 꾸준한 관계가 바탕이 되어 사마르칸트에 직접 사신을 보낼 정도의 관계가 형성된 것이다. 아프라시아브 벽화에서 보이는 고구려 사신들이 착용하고 있는 M자형 패용구가 달린 장검은 고구려 유민의 무덤인 다카마츠츠카(高松塚)에서 발견된 P자형과 D자형의 패용구가 달린 장식대도와 비슷한 형태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계림로 14호분에서 묘주가 두 개의 패용구가 달린 검을 착용하고 있는 의미를 묘주의 무장체계와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5세기 고구려에 원병을 청하였던 신라에서 개마무사의 존재는 4세기 말부터 확인되고 있다. 생시에 개마무사였던 계림로 14호 묘주가 사용한 주된 무기는 창이지만, 허리에 패용된 단검은 창을 놓쳤을 때 또는 보병... The large array of weaponry and horse trappings yielded from Gyerimno Tumulus No 14 suggests that this Silla tomb located in Gyeongju belonged to a cavalryman A gold dagger with inset jewels arrow-holder ornaments ornamental swords a gold and silver wire-inlaid iron saddle silver wire-inlaid horse strap pendants and stirrups are some of the artifacts harvested from the Silla tomb The gold dagger with brilliant surface decorations created using insetting and granulation techniques was lying left of the remains of the deceased at waist level The ornamental plates in the shapes of letters P and D attached to the side of the scabbard appear to have been used to hang the dagger to the waist bel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ossible place of fabrication of this gold dagger and the path through which it reached Silla by retracing the stylistic origins of the two ornamental plates in the shapes of P and D which have thus far received little academic attention Establishing a precise place of origin and path of transmission for this gold dagger presumed to have been imported from somewhere in Central Asia can not only cast light on the influence of this region and regions further West on the genealogy of Silla metalwork but also and more importantly help us pinpoint which of the equestrian civilizations that flourished in this general region principally influenced Silla Daggers and swords having two ornamental plates on the scabbard like the Gyerimno gold dagger with inset jewels have been found only in regions historically associated with equestrian peoples Swords and daggers attached with similar accessories were first produced toward the 7th century BCE by Sarmatians a horse-riding nomadic people of Central Asian origin They were later spread to regions east and west by the Yüeh-chih Yuezhi another nomadic people of Turkish stock including the Han Dynasty of China the Kushan Dynasty of India Sasanid Iran and Avars in Europe to remain in use for more than 1 000 years Meanwhile examples of swords used for ornamental purposes date as far back as the 6th century CE The long sword that belonged to Shapur III of Sasanid Iran bearing with the inscription Taq-i-Bustan is one such example This change was introduced mainly thanks to the Hephthalites with whom the Sasanids fought for control over Bactria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northern section of present-day Afghanistan and southern Uzbekistan toward the late 5th century Based on the sphere of power of the Hephthalites at the time gold daggers with inset jewels similar to the Gyerimno dagger found in Kazakhstan and Lake Borovoye are likely to have been fabricated in Bactria This estimate is based on the style of metalwork in these daggers which shows substantial similarities with that developed in regions further West and more particularly the Bactrian region and also on the fact that the red agates inset on their surface were of Bactrian origin Daggers with two ornamental plates originating in Hephthalite Empire are believed to have been transmitted to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exchange between Sogdiana and Goguryeo The paper discusses musicians and performers of Sogdian origin depicted on the murals of Anak Tumulus No 3 from the mid-4th century and Jangcheon Tumulus No 1 from the mid-5th century as evidence lending weight to this hypothesis These people considered proof to Goguryeo’s exchange with Central Asia were likely to have followed merchants to the ancient Korean state As demonstrated by the murals in Samarkand and Afrasiab from the mid-7th century portraying visiting Goguryeo delegations the ancient Korean state appears to have maintained a steady exchange with Sogdiana eventually developing a close enough tie to dispatch envoys The paper discusses similarities between the long swords with an accessory in the shape of letter M worn by Goguryeo envoys in Afrasiab murals and the ornamental sword found inside Takamatsuzuka Tumulus a Goguryeo settler’s tomb in Japan...

      • KCI등재

        南北朝時代 北朝 고분 출토 西方係 琉璃器

        이송란(Lee, Song-ra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6 한국고대사탐구 Vol.22 No.-

        주지하다시피 신라 고분에서는 20여점이 넘는 유리용기가 발견되었다. 학계에서는 신라의 유리그릇은 서방에서 제작되어 수입된 것으로 보는 의견에 대부분 동의하고 있다. 시리아와 팔레스타인이 그 제작지로 추정되고 있고, 수용 경로는 초원루트가 유력시 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중국에서 출토된 유리기의 정황으로 보면 신라의 유리그릇의 제작지와 수용지를 달리 고민해야 할 필요성이 제시된다. 남조의 지역이었던 호북성, 강소성에서 출토된 유리의 수입경로는 바닷길이었을 것으로 보는 의견들이 중국학자들에 의해 제시되고 있다. 이에 이 글에서는 서방계 유리기의 사용 양상이 가장 복잡한 위진남북조시대 북조의 북연과 북위, 북주에서 출토된 서방계 유리기의 유통과정을 분석하여 신라의 서방계 유리그릇 수용 경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북조 고분에서 발견된 서방계 유리기가 유통된 통로로는 먼저 해로가 있다. 로마, 남인도, 인도네시아의 말라카 해협을 거쳐 타일랜드, 베트남, 남중국을 잇는 항로는 한대부터 위진남북조시대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사용되었다. 5세기 초반의 북연의 풍소불묘에서 출토된 유리기중 4점이 로만 유리로 추정되는데 이중 압형유리수주를 제외한 3점이 해로를 통해 유입된 것으로 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4세기대 강소성에 위치한 동진 귀족급 묘에서 로마유리기들이 많이 출토된 상황이 주목된다. 풍소불묘의 이 3점의 로마 유리는 남조를 통해 먼저 유입된 다음 다시 북연으로 유통되었을 가능성이 시사된다. 반면 鴨形水柱는 아프가니스탄 베그람(Begram)의 수주와 비교하여 초원루트를 통해 유입된 것으로 보았다. 북위 太和7년(483년)에 사망하였고 正光2년(521년) 평성에 이장된 封魔奴墓의 網目文(Net pattern) 유리배도 초원로로 유입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한편 北魏山西大同M107號墓의 커트문 유리완과 北周寧夏回族自治區固原縣南郊李賢墓의 고부조의 커트문 유리완은 에프탈인들이 육로를 통해 중국 북조로 유통한 것으로 보았다. 이는 북위 대동에서 활동했던 에프탈인들의 활동과 에프탈이 사산조페르시아를 전쟁으로 굴복시켰던 당시의 상황을 고려한 것이다. 새롭게 주목되는 점은 중국에서 에프탈인에 의해 서방계 유리가 제작되는 정황이다. 북위 태화 5년(481년) 효문제의 명으로 세워진 定縣塔기단의 石函에서 출토된 佛鉢을 비롯하여 당시 북위 수도인 大同에서 중국 현지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유리기들이 다수 확인되었다. 중국에서 출토된 서방계 유리를 분석한 결과 신라의 유리기들은 현재 이 20여점의 유리기중 이제까지 살펴본 중국 북조의 것과 비교하여 주목되는 점은 신라에서 출토된 서방계 유리기들이 중국을 거쳐 유입되지 않는 사실이다. 다음으로는 경로의 문제이다. 필자도 기존의 의견과 같이 망목문장식의 배, 반점문배 등 다수의 신라 로마 유리그릇들이 육상루트로 유입된 것으로 본다. 중간과정으로 고구려를 경유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육로 이외에도 해로를 통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보았다. 신라계 유이민의 무덤으로 간주되는 일본 신택천총 126호묘에서 동남아시아에 주로 분포하고 있는 연리문 구슬이 황남대총 남분에서도 출토되는 점을 주목하였다. 마지막으로 신라에서 서방계 유리를 자체 제작하기도 한 점을 밝혔다. 황남대총 남분의 감청색 유리완이나 안계리 고분의 감청색 유리완은 신라에서 제작한 것으로 보았다.

      • KCI등재

        중국의 북조 시대 고분 출토품에 보이는 북방ㆍ서역계 금속용기의 전래

        박아림(Ah-Rim Park) 고구려발해학회 2015 고구려발해연구 Vol.52 No.-

        고구려 고분벽화에 보이는 북방·서역계 문화요소의 유입경로와 분별을 위해서는 중국의 고분미술에 보이는 북방·서역계 문화요소의 비교 연구가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 북조 시대 고분 출토품 가운데 금속 용기를 중심으로 북방·서역계 문화특징을 보이는 사례들을 수집하여 출토 지역과 기형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중국 북조 고분 출토 북방·서역계 금속용기의 연원은 크게 그리스·로마의 헬레니즘 계통과 아케메네스·사산의 페르시아 계통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외래 요소의 유입에는 중간 지점에 위치한 박트리아, 쿠샨, 소그드 지역의 교량적 역할이 두드러진다. 실제 그리스 로마와 사산에서 직접 유입된 외래계 기물들도 있지만 많은 경우 중간에 위치한 박트리아에서 헬레니즘 문화의 부활을 배경으로 고전 전통에 기반하면서 재지의 문화적 변용을 더하여 제작한 기물들이 동서교류의 과정에서 중국의 북조에 전달된 것으로 보인다. 북방·서역계 금속용기들의 상징적 기능은 그 연원을 그리스 로마에서는 심포지엄, 디오니소스 신앙, 헌주 의례에서 찾아볼 수 있다. 페르시아에서는 아케메네스조의 동물양식을 중심으로 한 왕실 금속용기의 제작과 사용, 조로아스터교 신앙에 일부 기반한 연회도와 사산조의 왕권의 권위를 강조한 수렵도 주제가 금속용기에 일정한 상징성을 부여하면서 페르시아 양식의 전파에 역할을 한 것으로 생각된다. 북조 고분 출토 북방·서역계 금속용기들은 위진북조대 중국의 북방·서역계 벽화묘와 함께 해당 지역까지 전파된 외래문화 요소들을 실증하며 이들 기물들과 벽화묘의 분포와 전파경로의 고찰은 고구려의 북방 서역적 문화 요소를 분별해 내는데 중요한 비교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Koguryo and Chinese tomb murals from the 4<SUP>th</SUP> to the 7<SUP>th</SUP> centuries are distributed in Kugnaesong and Pyongyang, of Koguryo and Datong, Shanxi, Cixian, Hebei, Taiyuan, Shanxi, Guyuan, Ningxia, and Xi’an, Shaanxi in China. Nomadic and Central Asian cultures shown in the murals and relief sculptures might not be enough evidence to prove the direct introduction of the foreign culture and interaction. However, nomadic and Central Asian artifacts excavated in those regions where the mural tombs are located certainly prove the nomadic and central asian culture either by the visit or immigration of foreigners or by the trade of ato mb occupant. The nomadic and Central Asian gold and silver objects of the Northern Dynasties of China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Greek and Roman and Persian. Styles and Decorative subjects made in ancient Greece were transmitted to the Roman empire, and then to the Minor Asia, Black Sea areas, Sassanian Persia, and finally to Central Asia and China. Sassanian style objects include those made by Sogdians as well as those imitated by Bactria, Hephthalite, or China. Some of them were made by foreign artisans who came into China or made by Chinese artisans with the foreign technique introduced by that time. In addition, there are cases not made in Greece, Rome, Sassanian Persia, but in Bactria and Sogdiana where Roman and Sassanian style objects were imitated. Thus, in the transmission and trades of those nomadic and Central Asian objects were made possible partly by Roman and Sassanian while one may not disregard the certain role of Sogdian, Hephthalites and Turks as the intermediary group contributed to this transaction. The fact that Greek and Roman subjects such as the Dionysus and Persian themes like the royal hunting are found on the nomadic and Central Asian objects excavated from Northern Dynasties tombs suggests that not only the nomadic and Central Asian cultural elements but also the religious and ritual symbolism might have been transmitted at the same time. Those objects might have been used as a symbolic medium to show a tomb occupant as a direct participant in the East-West trades or as a personal from a certain ethnic and cultural origin. Furthermore, it is noticeable that certain types of gold and silver objects and certain Byzantine and Sassanian coins with holes to attach as an ornament are repeatedly discovered in those tombs, which can be interpreted that those nomadic and Central Asian related tomb occupants assigned cultural significance on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