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효사상(孝思想)의 전개와 그 미래적 가치

        최상권 한국효학회 2017 효학연구 Vol.0 No.26

        The most grave problem of today’s modern society is the loss of character in personal dimension, and the absence of moral ethics in social dimension. Even with the material abundance, we reached the state where mental abatement is untreatable. Therefore, Hyo Sasang (filial piety) can be suggested as an ideological alternative to overcome various problematic situation. Hyo expresses the meaning of filial duty with its literal meaning ‘children attend old parent’ and Hyo Sasang portrays children’s love to parents, in contrast of parent’s love to children and patriarchal lifestyle. Furthermore, it is a basic recognition of confucian tradition that the norm of family community can be developed into the norm of national community. Since all ethical concept is bilateral, filial piety can also be parent’s duty and applying ideological value of Hyo to people who already practiced Hyo can be valid perspective. The meaning of Hyo has been changed throughout the course of history. Hyo in ancient period represented ideological principle of ancestor worship and death under religious influence.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Hyo with Confucian tradition was combined with Buddhist ideology with the influence of Buddhism prosperity. Goryeo Dynasty maintained Hyo Sasang through national education and emphasized practice of proper manner as Hyo. The national authority of Joseon Dynasty put Hyo Sasang as one of the fundamental norms to lead the people and emphasized moral order based on the three bonds and the five moral rules in human relationships in Confucianism (Samgang-oryun). In the late 19th century in later phase of Joseon Dynasty, moral virtues became specialized into filial duty, loyalty and trust and each entity became recognized as independent values through the Enlightenment Thought. This Hyo Sasang can be mainly developed in the religious dimension and the social community dimension. Hyo in the religious dimension regards the ultimate existence of all creation as the rewards for parents in terms of religious aspect. Hyo in social community dimension works as the universal core value of social community by extending the love for parents to the love for the weak, thus constructing communal spirit. In order for Hyo virtue to have the universal legitimacy, unchanging fundamentals in this changing reality needs to be suggested and applied to the reality. Moreover, its various approach and concrete alternative need to be continuously studied by scholars. 오늘날 현대 사회에 내재된 가장 심각한 문제는 개인적 차원에서 인성(人性)의 상실(喪失)과 사회적 차원에서 도덕윤리(道德倫理)의 부재 상황이다. 물질적인 풍요는 이루었다고 하지만 정신적인 피폐함은 치유할 수 없는 경지에까지 이르게 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 효(孝)사상을 오늘날의 다양한 문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사상적인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효를 어원적으로 ‘늙으신 부모님을 자녀가 받들어 모신다.’ 는 효도의 뜻을 간결하게 표현하고 있으며 효 사상의 연원도 가부장적인 생활양식의 환경을 기반으로 하여 자식에 대한 부모의 사랑인 자애에 상대되는 자식의 부모 사랑에서 나오는 모습이다. 더 나아가 가족 공동체의 규범은 국가 공동체의 규범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 유교적 전통의 기본적 인식이다. 모든 윤리적 개념이 쌍무적이기에 효 윤리 또한 부모의 책임을 외면 할 수 없고 효의 사상적 가치는 효를 실천한 사람에게 두는 것이 타당한 관점이 된다. 효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의미의 변화를 보여 주는데 고대의 효 관념은 종교적 환경과 분위기에서 죽음의 관념과 결합하여 조상숭배의 관념과 그 원리가 되었다. 삼국시대에는 불교의 번성을 기반으로 유교적 전통의 효 사상에 불교문화가 가미된 효행의 드러난다. 고려시대의 효 사상은 국가의 교육을 통해서 지속되며 옳은 예의의 실천을 효행으로 높였다는 사실이 특징적인 모습이다. 조선시대에는 백성을 이끌어가는 규범으로 충효를 기반으로 삼강오륜의 도덕적 질서가 국가적 권위에 의해 강조되었다. 조선조 후기 19세기가 되어 개화사상으로 인해 효, 충, 신 등의 기능이 나뉘며 각각의 윤리적 덕목과 가치가 독립적으로 인식되는 현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효사상은 크게 두 가지의 입장에서 종교 사상적인 차원과 사회 공동체 사상으로서의 효로 전개가 되는데 종교사상적인 차원에서의 효는 만물의 궁극적 존재에 대한 신앙을 부모에 대한 보본의 측면에서 종교로 형성되는 것과 같으며, 사회 공동체 사상으로서의 효는 사회 공동체 의식을 조성하기 위한 공통된 가치관의 부활이라는 의미에서 부모에 대한 사랑을 타자에 대한 사랑으로 확장시켜 사회 공동체의 보편적 핵심가치로 자리를 잡게 된다. 효의 덕목이 보편적 정당성을 갖기 위해서는 변화하는 현실 가운데에서 변치 않는 원리를 제시하고 이를 현실에 적용하여 나가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의미가 있으며 다양한 입장에서의 접근 방법과 구체적 대안이 이후의 학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A Study on Ways to Improving Children's HYO-Emotional Intelligence : Focusing on the color psychotherapy program

        Lee, Hyun Soon,Chae, Kyoung Sun 한국효학회 2021 효학연구 Vol.- No.34

        배경: 최근 우리 사회에 발생하는 다양한 역기능적인 문제들로 인해 다시 가정윤리의 근본인 ‘효’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일방적 상향식 덕목만을 강조하는 효는 현대인들에게 환영받 지 못한다. 이에 조화와 관계성을 강조하여 효를 재해석한 효(HYO)의 저변 확대가 매우 필요한 시점이다. 목적: 본 연구는 효(孝)의 패러다임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효(HYO)정서의 증진 방안을 찾고자 한 다. 본성적 기본정서인 효(HYO)를 바탕으로 사회적 관계의 윤활유 역할을 하는 정서지능을 높이 는 것은 효(HYO) 실천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일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HYO)와 정서 지능을‘정서’라는 공통분모 안에서 하나로 융합하여‘효(HYO)정서지능’이라고 명명하였다. 방법론/접근: 본 연구는 프로그램 예비실행 전 프로그램을 구안해보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먼저 효(HYO)의 개념, 정서지능이론, 색채심리이론을 살펴봄으로써 프로그램 구안의 타당성을 확보하고 자 하였다. 이를 통해 효(HYO) 정서와 쌍둥이 개념을 가진 부자유친성정의 구성요소를 빌려 주제 를 정하고, 정서지능과 색채심리치료의 구성개념을 적용하여 내용을 구안하였다. 추후 최종 프로 그램 확정을 위해 수요조사와 전문가 자문 등을 거친 후 예비실행을 통한 검토가 필요하다. 결과/결론: 색의 도구적 기능과 치료적 기능을 통해 우리성-일체감, 허물없음, 아껴줌을 재경험해 봄으로써, 부모님에 대한 고생하심, 죄송함, 편안함, 고마움을 느끼게 될 것이다. 이러한 정서경험 은 정서지능을 향상시켜 부모와의 친밀성이 높아지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 부모에게‘효 도하고 싶다’, ‘잘해 드리고 싶다’ 등의 자연스러운 보은(報恩)의 반응이 나오게 될 것이다. 시사점: 첫째, 효(HYO) 정서 증진만으로도 정서지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저항이 적고 자 연스럽게 정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색채를 활용한다면 효(HYO) 교육이 훨씬 수월하고 효과적일 것이다. 셋째, 다양한 효(HYO)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타당도가 확보되고 부모의 입장과 자녀의 입 장 모두에서 검증해볼 수 있는 효(HYO) 척도 개발이 필요하다. Background : Recently, due to various dysfunctional problems occurring in our society, we have begun to focus again on the ‘filial piety’, the basis of family ethics. However, filial piety, which emphasizes only one-sided bottom-up virtues, is not welcomed by modern people. Therefore, it is time to expand the base of HYO, which reinterpreted filial piety by emphasizing harmony and relationship. Purpose : This study seeks to find a way to promote the HYO emotion that contemporarily reinterpreted of the paradigm of HYO. Raising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acts as a lubricant for social relationships based on HYO, a basic natural emotion, will be a way to maximize HYO practice. Therefore, in this study, HYO and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are human natural emotions, were fused into one within the common denominator of `emotional' and named `HYO emotional intelligence(HEI)'. Methodology : This study is the step of devising a program before preliminary execution. To this end, we first tried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program design by examining the concept of HYO, the theory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theory of color psychology. Through this, this study would intend to construct the contents of the program by borrowing the components of Korean parent-adolescent affective bonding(Bu-Ja-Yu-Chin-Sung-Cheong) which the twin concept with the HYO emotion as a subject and applying the constituent concep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lor psychotherapy. In order to confirm the final program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review it through preliminary execution after conducting a demand survey and expert advice. Results : The instrumental and therapeutic functions of color would generate and the emotions such as respect, sorriness, comfort, gratitude for own’s parents through re-experiencing mind of weness-sameness, folksiness and preciousness. This emotional experience will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crease intimacy with parent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natural reactions such as “I want to be filial” and “I want to be good to my parents” will come out. Implications : First, emotional intelligence can be improved only by promoting HYO emotions. Second, HYO education will be much easier and more effective if colors that have low resistance and can change emotions naturally are used. Third, in order to develop various HYO program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HYO scale that can be verified from both the parents' and children's perspectives.

      • KCI등재후보

        효 사상의 현대적 이해

        곽종형 ( Jong Hyung Kwa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3 No.-

        Doing the Hyo to our parents is basic obligation of all the people and it takes up the moral highest peak and when it controls constituent of society"s behavior, there is no doubt to say the Hyo"s affirmation aspect which contributes toward tradition society. As traditional concept of Hyo has got an idealand a moral standard in tradition society. So now, it is difficult to have persuasive power to a man of today. but the Hyo of modern is an ideal and a moral dimension and it has to be changed from a concept of the Hyo of privilege consciousness to guarantee the lowest basic rights which is based on law dimension. Although the moral power can not display it"s own power, the aged group must be guaranteed even by law power. Entering an aging society, getting more increase the aged"s demand and getting longer the period of keep up time for them, these situations reach boundary limits. Namly, the Hyo ideology has to be revived through the new access route. In history, the advance of technique always is a stimulant which changes the life pattern of society. I consider that internet arrival is the stimulant. As we know, internet generation arrival has given us great changes more than anything. Through the internet in the society of cyberspace, we should furnish and earn information about how to practice the Hyo to our parents, also listen and advise to their children"s burden. In the last analysis, this appeals to us the importance of the spiritual dimension"s Hyo. Therefore, modern Hyo"s practice device has to be newly changed to suitable for the present age. 부모에게 孝를 하는 것은 인간의 기본도리이며, 효가 전통사회에서 도덕적인 최고봉을 차지하여 사회성원의 행동을 규제했을 때, 이 효가 전통사회에서 기여한 긍정적인 면은 말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그러나 현대인이 갖고 있는 孝 의식은 전통사회에서의 이상적, 도덕적 규범으로서의 현대인들에게는 별로 설득력을 주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 그런데 현대의 효는 이상적, 도덕적 차원, 그리고 특권의식의 효의 개념에서부터 인간의 최저 기본권이 보장되는 법의 차원으로 변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孝라는 도덕적 개념을 법의 차원으로, 특히 부모자식간의 문제를 법의 개념으로 본다는 점에 거부감이 들 것으로 생각되나, 냉철히 생각하면, 노인집단의 복지문제를 놓고 볼 때 결국 도덕적인 힘이 영향을 발휘 못할 때에는 법적인 힘으로라도 노인집단의 복지가 보장되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미래사회의 효 실천에서는 고령화사회로 접어들면서 노인이 증가되는 요구와 길어진 부양기간은 가치관의 변화와 맞물려서 전통적으로 내려온 효로서 부모를 모셔야 하는 상황은 한계에 다 달았으므로 효 사상을 새로운 인식과 접근을 통해 살려내야 한다. 역사 속에서 보면 기술의 발달은 항상 그 사회의 생활을 변화하는 자극제였다. 이러한 자극제가 인터넷의 도래(到來)가 아닌가 생각되어진다. 현대사회에서의 인터넷 시대의 도래는 우리가 잘 알고 있던 다른 무엇보다도 우리의 생활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현대사회에서는 인터넷이 산재해 있음을 무시하는 일은 이제 불가능하다. 인터넷을 통해 부모에게 효를 실천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자녀의 욕구를 도와주고 노부모의 삶이 풍요롭게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결국 효도는 부모로부터 성명(性命)을 받아 착한 본성을 타고 났으나, 점점 자라면서 물욕이 생겨 물질적인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행동적인 것으로 그리고 나서 배움을 통해 정신적인 것으로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물질적인 것 보다는 정신적인 차원에서 효가 중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볼 때 현대적인 효 실천도 현시대에 맞게 새로운 변화를 하여야만 한다.

      • 보편언어로서 효에 대한 기독교 관점의 이해

        류한근(Han-Keun Ryu)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10 종교문화학보 Vol.7 No.-

        효는 보편언어가 될 수 있는가? 부모와 자녀 관계는 인류가 유지하고 있는 보편적 관계 패턴임에 분명하지만, 효는 상당히 문화적 요소를 담고 있다. 현재 한국인의 의식 속에 효는 시대적 반영이 겹쳐져 혼재하고 있는 혼돈 상태의 언어이다. 기독교 관점에서 효를 보려는 것은 문화적 특수성을 인정하되 새로운 보편적 언어로 재인식하고자 하는 것이다. 기독교 관점에서 효의 보편적 성격은 이른바 효 하는 자가 복을 받는다는 효복사상이다. 본 논문은 효와 복의 연관성에 주목하였으며 특히 기독교 관점에서 복을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성에서 찾았다. 기독교의 효복사상은 하나님-인간 그리고 부모-자녀의 거시적 미시적 메타포를 이용한 것으로서 신앙과 윤리의 검증 강화 방법이다. 복은, 효를 통해 성부 하나님과 새로운 인식망을 구성하는 것이며 깊은 관계성에서 발생되는 가치들이다. 효는 자녀의 적극성이 요구되는 하나의 체계이다. 효를 하고자 하는 자녀의 적극성은 효의 미시체계와 거시체계를 연관하여 이해하게 된다. 효의 미시체계는 삶의 해석을 통해 부모를 이해하며 부모의 삶에 참여하는 인식과 행동의 복합체이다. 효의 거시체계는 효복사상의 설계자인 하나님의 의도와 계획을 이해하는 인식망이다. 이 거시체계와 미시체계의 연결고리로서 신뢰, 대화, 동반적 변화, 정체성이 구체화하게 된다. 결국 효의 보편성은 연계변수를 통해 효의 구체적 행위와 지향성 속에서 도출될 수 있다. Can it be that hyo becomes an universal language? Parents-child relationship must be an universal relation pattern to be maintained by mankind although it could be contained a strong cultural effects of hyo. Currently hyo is a language of complex state which is overlapped to a reflections of the various times in Korean consciousness. Basically, the meaning of hyo on the view of Christianity may be help to reconstruct a concept of hyo as a new universal language based on the recognition of cultural particularity. The universality of hyo in a view of Christianity is a 'Hyo-gift-thought', namely the child of hyo could be given gifts. So in this treatise the focus is a connection of hyo and gift, especially the gift based on Christianity could be found the relationship of God the Father and man the child. Christian Hyo-gift-thought is the method of test and reinforce between religion and ethics which is used the macro and micro metaphor of relationship of God-man and parents-child. The gift is interpreted into a new recognition network for the intimacy of God by hyo, and emerged values in deep relationship. Hyo is a system to be demanded for the child's positivity. The positivity of child who makes mind of hyo could enlarge the perspective of connection with macro and micro system. The micro system of hyo is the complexity of perception and action which can make to understand parents through a life interpretation and to participate the whole life of parents. The macro system of hyo is the recognition network to understand a intention and plan of God, the designer of Hyo-gift-thought. Having the connectivity with macro and micro we can discover the trust, dialogue, co-change and identity which are the process of hyo. Therefore the universality of hyo can be deduced to the practical action and directivity through the intermediation variables.

      • KCI등재

        한국 효 담론의 비판적 담론분석 -효자와 패륜을 중심으로-

        이성원 ( Sung Won Lee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14 텍스트언어학 Vol.3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YO(filial piety) text through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CDA). Textlinguistics did not specifically described HYO discourse ever. CDA has taken the social context in addition to the language. So CDA is expected to greatly help to understand the HYO discourse to study. Because, HYO is related to the context. Specially research methods of the Ruth Wodak is able to give help to understand the HYO text. Based on this, we study the HYO text through two example texts. ‘Hyoja’(filial dutiful good person) is seemingly closely related to the HYO(filial piety). however In the discourse, Hyoja only the economic sense is highlighted. ‘Paeryun’(immorality) are seen seemingly less related to the HYO. But Paeryun is associated with each parent, life, and family. Paeryun has a meaning of many of the HYO much more than Hyoja. this study analyze the Hyoja and Paeryun in research methodology of Ruth Wodak. As a result, Hyoja is hard to analyze because it’s the closely economics, not Hyo. But Paeryun is possible, because it’s the closely family and HYO. We could know, result of the Paeryun research. first, It is possible to know that the public and society has placed great value for HYO. Second, we dislike the unfilial(not HYO). I hope that such as studies are necessary to continue.

      • KCI등재후보

        동아시아 소통 공감의 인성코드 효문화 탐색 - 전통적 효개념의 다의성과그 사회적 적용 가능성 검토 -

        김덕균 한국효학회 2016 효학연구 Vol.0 No.24

        효사상은 모든 종교·문화·사상의 저변에 깔려 있음에도 전통적 효에 대한 오해가 심하다. 효의 규범적·사회적·경제적 효과가 긍정적 요소보다는 부정적 요소가 많다는 지적이다. 권위주의 시절 이데올로기로 활용된 효의 역기능을 말한다. 하지만 한국인의 ‘집합의식’ ‘사회자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효정신이 과연 부정적인 요소일 수밖에 없을까? 거기엔 이 사회 긍정적으로 작용했던, 또 작용할만한 가치는 없을까? 여기서는 크게 세 가지 측면에 치중했다. 첫째, 효개념의 다의성을 인문적·사회적 가치차원에서 그 의미를 찾아보았다. 효를 단지 부모자녀간의 윤리적 차원에서만이 아닌 좀 더 다양한 가치를 두고 정리해 본 것이다. 둘째, 전통적 효를 보통 부모 말씀에 순종·복종하는 것으로 이해하는데, 때에 따라서는 불순종·불복종도 효가 될 수 있음을 고전을 토대로 정리하였다. 합리성을 전제로 하는 상황에 따라 때론 불순종·불복종도 효가 됨을 찾으면서 효의 다의성을 확인하는 일이었다. 가부장적 권위주의 시절에는 이치에 어긋나더라도 순종과 복종이 효라고 생각했지만, 그래서 일방적인 헌신·봉사·희생을 강요당했지만, 이미 당대 그렇지 않은 합리적 논의가 있었음을 확인 정리하였다. 셋째, 효문화가 유교적 가치와 맞물려 혈연주의·연고주의의 폐단을 가져오긴 하였지만, 한편에선 근현대사회 ‘사회자본’으로 긍정적 역할도 하였다는 것이다. 기독교 윤리가 서구 자본주의 정신으로 작용하였다는 막스 베버의 이론에 근거, 동북아시아에서는 유교가 급속한 경제발전의 원동력이 되었고, 그 가운데 특히 ‘기억과 재현’(추모와 제사)으로 표현될 수 있는 효문화가 중요한 정신적 요소로 작용하였다는 것이다. 넷째, 현대 오늘날 우리사회의 다문화·다민족사회 소통 공감코드로 효문화가 갖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다섯째, 복지지향의 사회에서 복지를 보완할 정신적 가치로서 효문화가 어떤 기능을 할 수 있을지를 모색해 보았다. 한국사회가 효복지사회로 가야할 의미와 내용을 생각해 본 것이다. 현대적 관점에서 심각한 폐단과 문제를 낳았던 효문화, 노동집약적 농경사회의 가족윤리에 기반 했던 효사상이 지식정보사회로 접어든 오늘날 왜 다시 필요한가를 정리한 것이다. 복지사회이자 다문화·다민족사회에서 효가 갖는 규범적 의미와 사회 통합적 소통·공감의 가치를 찾아 다시 활용할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보려는 뜻이다. There has been some misunderstanding on the traditional Filial piety(HYO: Harmony of Young & Old, 孝). It is true that most religions, cultures, and even some ideologies were at least partially based on HYO spirit.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HYO has shown some negative aspects, especially during the authoritarianism period. This study discussed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HYO which has significantly affected the Korean society. Three aspects of HYO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First, HYO may be understood as a few different meanings, such a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humanities and socioeconomic. HYO, of course, includes the ethical value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this study some socioeconomic values were also discussed. Second, traditional HYO usually means that children obey their parents. However, some classical literature reported that disobedience could also be HYO. This literature suggested that the disobedience due to the rationality and consideration of others could a way to express a variety of HYO. In patriarchal social order, only obedience was HYO. In this social system, the sacrifice and obedience of children were forced by the social system. Interestingly, during the same time period, some people were against this traditional HYO. This new movement was discussed in this study. Finally, when HYO and Confucianism were merged, the favoritism by blood, school, regional and even vocational connections caused lots of negative consequences in the society. This study discussed not only this negative aspect of HYO, but also some positive roles of HYO even in the Confucianism dominated society. We now live in a multicultural, multiracial and welfare society. If the HYO spirit was combined properly in this society, HYO may help advance the society with social norm, which may be safer and more valuable.

      • KCI등재

        성덕왕의 왕위 계승 과정 검토

        배재훈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5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6 No.-

        이 논문은 신라 중대 성덕왕의 왕위 계승 과정을 검토한 것이다. 『삼국사기』의 기록에서 성덕왕은 효소왕의 동생으로, 신문왕과 신목왕후의 소생인 것으로 서술된 다. 그래서 형인 효소왕이 후사를 남기지 못하고 죽자 그가 왕위를 계승한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그의 왕위계승은 ‘국인(國人)’의 추대에 의한 것이었다. 또한, 그 는 효소왕의 생전에 태자로 책봉된 바가 없었다. 그러므로 이는 비정상적 방법에 의 한 왕위계승일 가능성이 있다. 『삼국유사』에는 「대산오만진신(臺山五萬眞身)」과 「명주오대산보질도태자전기(溟州五臺山寶叱徒太子傳記)」라는 성 덕왕의 왕위계승과 관련된 정황을 다룬 기록이 전하고 있다. 이 기록 속에는 오대산 신앙이 신라에 토착화하는 데에 큰 영향을 미친 효명태자와 정신(보질도, 보천)태자의 사적이 담겨 있다. 그런데 효명태자가 왕 이 되어 오대산에 세운 진여원(眞如院)은 성덕왕 4년(705)에 개창되었다. 따라서 효 명은 곧 성덕왕을 의미한다. 삼국유사의 찬자인 일연은 이 때문에 위의 두 기록이 성덕왕 대의 역사적 사실 을 전하는 것이라 판단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에 따르면, 효명과 정신은 태자로서 오대산 지역에 유람을 왔다가 불교에 뜻을 두고 출가한 인물이라고 한다. 그러나 훗 날 왕(효소왕)과 그 아우가 서로 왕위를 두고 싸우자 국인들은 이들을 폐위시키고, 오대산으로 대표를 보내 효명을 왕으로 옹립했다. 이로써 효소왕과 성덕왕은 각기 다른 어머니를 둔 배다른 형제가 되고, 성덕왕은 신문왕과 신목왕후 사이에서 태어난 적자가 아니라는 사실이 드러난다. 이는 성덕 왕이 왜 ‘국인’의 추대를 통해서 왕이 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이 된다. 그리고 이는 신라 중대의 왕권이 이미 효소왕 대에 이완하기 시작했으며, 성덕왕 대에 이르러서는 오히려 진골귀족들의 영향력이 커졌음을 보여준다. 성덕왕이 국인의 추대에 의해 왕이 된 사실은 그의 후계들에게는 하나의 약점이 되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후대의 공식 기록 속에 이와 관련된 기록들은 대부분 폐기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아울러 남겨진 정보는 성덕왕의 왕위 계승을 정당한 것으로, 그 사이의 불협화음은 없었던 것으로 조작된 채 유통되었을 것이다. 일연은 13세기까지 고려 사회에 남아 있던 효소왕 대와 관련된 기록들을 폭넓게 접할 수 있었다. 그는 이러한 기록들이『삼국사기』를 비롯한 정사 기록에 남겨지지 않은 효소왕 대의 정국과 성덕왕의 즉위 과정을 전하는 것이라 판단했을 것이다. 그리하여 효소왕 대의 움직임에 대한 전승들을 수집하여 『삼국유사』에 기록하였다. 그중에서 「대산오만진신」과 「명주오대산보질도태자전기」는 비록 불교사와 관련된 분야로 치우치긴 하였지만, 성덕왕의 즉위 과정에 대한 기록으로 선택되었을 것이다. 한편으로 이러한 작업은 소략하고 건조한 서술로 끝을 맺은 『삼국사기』속에 기술된 당시의 정황을 이 두 기록으로 보충하여 후세에 전하고자 했던 일연의 ‘유사(遺 事)’에 대한 지향을 드러내준다. This treatise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succession to the throne of King Seong-deok during the Mid-Period of Silla. It is described in the records of Samguksagi, revealing that King Seong-deok is a younger brother of King Hyo-so, and the son of King Sinmum and Queen Sinmok. Therefore, it is interpreted that it was possible for King Seong-deok to be enthroned because King Hyo-so died without leaving a son to carry on his name. However, he was enthroned by ‘Kook-in(國人)’. In addition, he was not formally appointed as a Crown prince when King Hyo-so was alive. This makes us speculate that his succession to the throne would be likely to be done in an unordinary way. ‘Daesanomanjjnshin(臺山五萬眞身)’ and ‘the biography of Crown Prince, Myeongjuodaesanbojildo(溟州五臺山寶叱徒太子傳記)’, addressing the circumstances related to King Seong-deok’s succession to the throne were transmitted in the records of Samgukyusa. The historic affairs of Crown prince, ‘Hyo-myeong’ and Crown Prince ‘Chǒng-sin(Bocheon, Bojildo)’, significantly affecting the indigenization of Odaesan faith in Silla, are contained in the records of Samgukyusa. At any rate, Crown Prince, Hyo-myeong became the king and established Jinyeowon(眞如院) in Odaesan, which was opened in the fourth year of King Seong-deok(705). Therefore, it is inferred that Hyo-myeong represents King Seong-deok himself. For this reason, the compiler of Samgukyusa, Il-yeon seems to have judged that two records above reveal the historical facts of the King Seong-deok’s time. According to Il-yeon, Crown Prince, Hyo-myeong and Crown prince Chǒng-sin turned to Buddhism and became Buddhist monks when they made a tour of Odaesan area. However, afterwards, when King Hyo-so and his younger brother fought against each other to take up the position of the king, Kook-in dethroned them, and sent a messenger to Odaesan to enthrone Hyo-myeong to the position of the king. This reveals that King Hyo-so and King Seong-deok were step-brothers with different mothers, and King Seong-deok was not a legitimate son between King Shinmun and Queen Shinmok. Therefore, the fact that King Seong-deok became the king through the recommendation of Kook-in could be explained, Furthermore, this shows that the kinship of Silla already began to be loose during the period of king Hyo-so, while, the influence of Jin-gol(眞骨) aristocracy became higher during the period of King Seong-deok. The enthronement of King Song-deok by Kook-in may have been a weakness for his successors. For this reason, most records in association with the official documents may have been discarded. In addition, information, which was left behind, may have been fabricated or distributed with the emphasis that King Seong-deok’s succession of king to the throne was legitimate and there was no dissonance for his enthronement. Il-yeon could discover a wide range of records for the period of King Hyo-so, left in the Koryo Society until the 13th century. Therefore, it would be possible for him to judge that these records convey the political situation of King Hyo-so, which was not preserved in official history, including Samguksagi and the enthronement process of King Seong-deok. Thus, Il-yeon collected historic affairs in relation to King Hyo-so that had been handed down and recorded them in Samgukyusa. However, ‘Daesanomanjishin’ and ‘The biography of Crown Prince, Myeongjudaesanbojildo’ are prone to be preponderant on the realms of Buddhism history. Nonetheless, they may have been selected as records for King Seong-Deok’s succession to the throne. Meanwhile, it is judged that the compensation of these two records regarding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described in Samguksagi, confined to the rough and arid description, reveals the aim of Il-yeon, who was willing to convey historical facts to the future generations, in relation to the history which has been handed down.

      • KCI등재후보

        불교 효 윤리의 교육적 특성

        강기선 한국효학회 2017 효학연구 Vol.0 No.25

        이 논문은 ‘불교 효 윤리의 교육적 특성’을 연구목적으로, 1차 자료인 불교의 한역원전을 주 텍스트로 , 2차 자료인 효 관련의 선행연구서들을 중심으로 살펴본 글이다. 본 연구는 제Ⅱ장에서 孝의 定義와 佛敎에서 바라본 孝 倫理를 첫째, 孝에 대한 일반적 정의를 살펴보고 둘째, 佛敎經典에 보이는 孝의 倫理에 대하여 살폈다. 제Ⅲ장에서는 佛敎孝倫理의 교육적 특성에 대하여 첫째 慈愛와 恭敬과 진정한 大悲心의 發露에서 행해지는 효 윤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순일한 緣起的孝行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셋째는 평등심에 입각한 報恩思想은 무엇인지 살펴본다, 넷째는 父母報恩孝行의 방법에 대하여 분석해보았다. 이들을 살펴보았을 때, 불교경전에서 제시하는 효도의 핵심역할은 크게 5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불교의 효 기능은 출가자와 재가자가 행해야 될 역할로 구분된다는 것이다. 둘째, 부모와 자식 양자가 개별적 인격체로서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해야 하며, 사무량심의 첫 번째 덕목인 자애〔자무량심〕를 중심으로 평등한 보시의 마음으로 부모님을 공경하고 효순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우리 인간은 각각이 독립된 존재가 아닌 순환하는 緣起的관계이기 때문에, 각자는 緣起의 순일한 수행의 효를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다른 종교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연기적 효행관이다. 넷째, 불교의 효는 신분적인 상하의 윤리와 지배복종의 관계가 아닌, 자식과 부모 양쪽모두가 평등한 인간적인 입장에서 관계를 맺고 있는 수평적 윤리도덕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불교의 효 윤리는 평등한 관점과 대비심의 發露로서뿐만 아니라, 인간적으로 부모와 자식 간의 자애와 공경을 순일한 연기적 관계로 발전시켰다는 점이다. 다섯째, 이러한 특징적 함의에도 불구하고 더 중요한 것은 불교적 관점의 진정한 효도란 부모로 하여금 삼보를 믿게 하고, 成佛하도록 도와주고, 인도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부모를 六度輪廻의 괴로움에서 해탈시켜, 영원히 생사에서 자유자재한 안락한 깨달음의 세계로 인도하는 것이 자식으로서, 부모에 대한 참된 효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가 오늘날 봉착하고 있는 인간성의 상실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먼저 기본사회인 가정질서의 확립에 불교의 효 윤리를 적용․실천할 필요성이 있다. This essay is written in purpose of examining the educational aspect of Buddhism regarding the Hyo(孝) ethics, referencing various korean-translated buddhist texts as primary materials and existing Hyo-related research papers as secondary materials. Chapter II of this essay explores the definition of Hyo and its ethics portrayed through Buddhism's viewpoint, examining the general definition of Hyo followed by how its ethics are described within various buddhist scripts. Chapter III examines its educational aspects, focusing firstly on Hyo ethics origins from benevolence, respect, and great compassion, then secondly on the deeds of Hyo as part of Pratītyasamutpāda(緣起). Thirdly, the act of returning the kindness(報恩思想) based on the equality is examined. Lastly, ways of practicing Hyo for returning one's parents kindness(父母報恩孝行) is analyzed. As the result, The core function of Hyo presented within the scripts can be summarized into 5 parts. First, the application of Hyo ethics differs between monks and regular believers. Second, both parents and children should do their best as independent person, as well as respecting each other with the spirit of benevolence - which is the first virtue of Samuryangsim(四無量心). Third, the script points that human beings are not isolated entities, but rather beings that are intimately connected throughout the cycle of Pratītyasamutpāda(緣起). Such viewpoint is unique to the buddhism, as it is hardly seen in any other reigion. Fourth, the idea of Hyo within buddhism is completely horizontal virtue, where parents and children interact as equal human beings rather than forming dominance-obedience relationship. Therefore, the most distinctive trait of Hyo explained within buddhism is that it takes equal viewpoint, relating the expression of mercy and humanism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with circulation of Pratītyasamutpāda(緣起). However, despite the nuance implied within such characteristics, the real practice of Hyo is that to let one's parents believe in Three Treasures(三寶), help them achieve Zen, and guide them towards it. This is because, the true goal of Hyo is that to Liberate one's parents from the torment of cyclling through six worlds(六道輪廻), and lead them towards the eternal freedom if enlightment.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of dimming humanity that the modern era societies are facing, it is necessary to incorporate and practice the Hyo ethics of Buddhism within the fundamental domestic education.

      • KCI등재후보

        한국의 효 운동 및 한·중 간 담론

        최문기 한국효학회 2013 효학연구 Vol.0 No.17

        예로부터 동양문화권에 속한 한국과 중국 간에는 효(filial piety)와 관련된 학문적, 문화적 교류가 있어 왔다. 그래서 가정이나 사회에서 지켜야 할 효제에 관한 사상적 근원에는 유 사성이 많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효의 의미는 오늘날에도 유지되고 있긴 하지만, 급속한 현대사회의 변화와 더불어, 효를 실천하는 방식은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오늘날 전통적 효의 실천이 많이 약화되고 있고, 그래서 한국과 중국은 이러한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나름대로 효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효와 관련된 양국 간의 상호 이해와 교류의 증진이 필요함을 전제하고, 이를 위한 사전 단계로서 한국의 효 운동 현황을 소개하기 위 해 먼저 1)현재 한국이 추진하고 있는 효 운동의 대표적 사례인 ‘효행 장려 및 지원에 관 한 법률’의 주요 내용을 밝히고, 2)이것에 토대해서 논자가 고안한 ‘한국의 효행 복합체계’ 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한국과 중국 간에 필요한 공통 담론의 주제로서, 3)전통적 효 와 현대적 효의 조화, 4)효 의무와 효 교육의 공동 연구를 제안하였다. From the long time, there has been lots of academic and 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related with Filial Piety(Hyo in Korean, Ziao in Chinese). The two countries have same origin of Hyo thought historically. The meaning of Hyo has been maintained till now, but the practicing Hyo is challenged by the rapid change of modern society. As the traditional Hyo is weakening, Korea and China are searching for its own resolution. In order to widen mutual understanding and activate communication about Hyo, in this paper 1) I introduce ‘Law on Hyo Encouragement and Support’ as a representative case of the current Korean Hyo movement, and 2) I draw so called ‘Korean Hyo complex system model’. As common themes for communication between both countries, I propose 3) the harmonization between traditional Hyo and modern Hyo, and 4) the study on Hyo obligation and Hyo education. Korean moral education is the best in the world, and China has the most abundant materials related with Hyo. If both countries unify and use these advantages through active communication, the synergetic effect can be created in maximum. In this respect, I suggest to organize so called ‘Korean-Chinese society for filial piety research’, and make an opportunity for academic and cultural communication regularly for long.

      • KCI등재후보

        ‘효행 장려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 성과 및 후속 과제

        최문기 한국효학회 2012 효학연구 Vol.0 No.16

        본 연구의 목적은 2007년 8월 3일 국회에서 공포되고, 2008년 8월 4일부터 발효된 ‘효행장려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의 시행 성과를 점검해본 후, 추후 수행해야 할 중점 과제들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효행 장려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행·재정적 지원체제 수준, 그리고 시민사회에서의 ‘효행 장려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대한 인지도나 실천 수준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의 행・재정적 지원 수준은 아직까지는 미흡한 단계에 머물러 있고, 그래서 시민사회에서의 ‘효행 장려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대한 인지도가 낮고, 초・중・고 학교교육에서다루는 ‘효’ 관련 내용도 이전의 교육과정에 비해 별다른 진전을 보이고 있지 않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한편 대전시와 영주시가 서로 연합하여 현재 추진 중인 ‘효문화진흥원’의설치가 마무리되어 주요 업무들을 제대로 수행하기 시작한다면, 이러한 미흡한 부분들은 많이 해결되리라고 본다. 현재 다소 지지부진한 ‘효행 장려 및 지원’ 사업을 더욱 촉진하기 위해 앞으로 추진해야할 중점 과제를 본 연구에서는 우선 내적으로 학문적 및 사회문화적 차원에서의 ‘효의식’이나 ‘효문화’를 증진하기 위한 ‘효’관련 연구 단체들의 유기적 연대와 공동 연구를 들었다. 그리고 외적으로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의 법제적 및 행·재정적 지원체제 구축의제도화를 들었다. 이에 ‘효’관련 연구 단체들이 사계의 저명한 전문가들을 영입하고, 상호간에 유기적으로 연대하여 ‘효’와 관련된 전문 주제들을 공동 연구하고 해법을 찾아내어, 이를 학교나 시민사회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일부터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안에서의 내실을 굳건히 다진 후에야,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지원이나 협조를 요청하고 제대로 수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들을 종합해서 ‘역동적인효행 복합체계 모델’을 구성하였고, 이 모델 속에 들어있는 요소 하나하나가 앞으로 수행해야 할 중점 과제라고 해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enforcement of ‘Law of Hyo encouragement and Aid’(‘the law of Hyo’, in short)’ that was passed through the National Assembly in August 2007 and became effective in August 2008, and to present the following tasks. In order to check the enforcement by the law, I examine the administrative & financial support of government or municipal governments, and the recognition or practice level on ‘the law of Hyo’ in civil society. The positive enforcement cases are for example Daejeon and Youngju city that are establishing ‘the Institute of Hyo Cultural Promotion’, and Seoul, Incheon, Pusan, Daegu that legislate the regulation related Hyo. But many municipal governments don’t make the regulation yet. So I can say the level of the administrative & financial support is low in general. And the level of recognition or practice on the law in civil society is also low, the education about Hyo in elementary and junior schools is not activated yet. The first following inner task to advance and support the Hyo consciousness or Hyo culture is that the groups related Hyo must strengthen cooperation and study jointly about Hyo. The another outer task i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administrative & financial aid systems. When we accomplish both the inner and outer tasks, we can realize the final goals, ‘Hyo encouragement’ and ‘Hyo aid’ by Hyo Law. In systems perspective, I make a ‘dynamic Hyo complex systems model’ to summary this following tas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