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효문화에 나타난 생명 존중과 자연 사랑

        김덕균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3 儒學硏究 Vol.62 No.-

        Filial piety is an ethical value derived from human relationships, but it extends not only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ut also to relationships with nature. This thesis summarized the expansion of filial piety derived from parent-child relationships to respect for the natural environment and life. In the meantime, I tried to find the modern meaning of filial piety culture by resolving the prejudice against traditional filial piety as a remnant of the old era. Western culture usually distinguishes between humans and nature according to 'Anthropocentrism'. Sometimes, it is not the degree of distinction, but it is regarded as a master-servant relationship, and human domination of nature is taken for granted. It is a product of ‘anthropocentrism’ and ‘instrumental view of nature’. However, Eastern societies that respected the unity of heaven and man viewed humans and n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harmonious unification. Humans and nature is not two, but one. One here does not mean ‘same’, but rather ‘equal diversity’. On the other side, it contains the meaning that the life of nature is as precious as human life is precious. This paper deals with the fact that it is directly related to filial piety. Since we received our bodies from our parents, preserving them properly is the beginning of filial piety, but it does not stop there and extends to the surrounding nature and objects. In particular, I said that valuing the life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using it appropriately is related to filial piety. Confucius stated that it was filial piety. He said that it is not filial piety to harm nature recklessly. Mencius also said that if the natural environment is appropriately used, it ispossible to honor the living and hold ancestral rites for the dead. In the end, in the East, not only the protec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in terms of respect for life, but also pointed out the appropriate use, and said that filial piety can be naturally practiced among them. In a word, it is impossible to think of humans without nature, and there can be no ethics and morality without humans. Then, it would be appropriate and reasonable to discuss filial piety, the root of all actions, in relation to the natural environment. 효는 인간관계에서 나온 윤리적 가치이지만, 여기에 그치지 않고 대자연 관계로까지 확장되어 생명존중, 자연사랑의 의미까지 담고 있다. 이 논문은 부모 자녀 관계에서 비롯된효가 자연사랑, 생명존중으로 확대되는 것을 정리했다. 그런 가운데 전통적 효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며 효문화의 현대적 의미를 자연사랑, 생명존중의 각도에서 찾아보려고 했다. 보통 서구문화는 ‘인간중심주의’에 따른 인간과 자연을 구별했다. 때로는 주종관계로여기며 인간의 자연 지배를 당연시했다. ‘인간중심주의’와 ‘도구적 자연관’이 지배한 것이다. 하지만 ‘천인합일(天人合一)’을 존중했던 동양사회는 인간과 자연을 조화 통일의 관점에서 보았다. 인간과 자연을 별개로 보기보다는 하나로 본 것이다. 이때 하나라는 것은‘같다’는 뜻이 아니라 ‘평등한 다양성’의 의미를 갖는다. 이면에는 인간의 생명이 소중하듯 자연의 생명도 소중하다는 의미가 담겼다. 그리고 그것이 효와 직결되고 있음을 이 논문에서 다뤘다. 우리 몸을 부모에게 받았으니 제대로 보존하는 것이 효의 시작이라 했고, 거기서 그치지 않고 주변 자연과 사물로까지 그 의미가 확장됨을 문헌적 근거를 들어 설명했다. 특히 초목금수와도 같은 살아있는 자연환경의 생명이 효와 관계있음을 말했다. 공자는 그것을 아예 효라고 명시하며 함부로 자연과 생명을 훼손하는 것을 ‘비효(非孝)’ 라고 했다. 맹자도 자연환경을 적절히 활용하면 산 사람 부양과 죽은 사람 봉양이 가능하다며 효를 언급했다. 결국 동양에서는 생명존중 차원에서의 자연환경 보호만 말한 게 아니라 적절한 활용을 함께 지적하며, 그 가운데 효도 자연스레 실천할 수 있다고 했다. 한마디로 자연 없는 인간 생각할 수 없고, 인간 없는 윤리 도덕 있을 수 없다. 그렇다면 모든행위의 근본인 효를 자연환경과 관계 지은 논의는 적절하고도 타당하다 하겠다.

      • KCI등재

        효자전, 경전과 관행의 사이 - 조선 초 왕조실록의 효행 통계를 중심으로 -

        김덕균(金德均) 한국양명학회 2021 陽明學 Vol.- No.61

        이 연구는 조선왕조실록 초기(태조~성종)의 효행 실태를 크게 경전적 효행과 관행적 효행으로 구분하며 분석하였다. 경전에 근거한 효행은 직ㆍ간접 교육의 산물이고, 관행에 근거한 효행은 주변 체험사례를 다양한 형태로 전승한 결과물이다. 그런데 두 가지는 서로 상반된 요소가 있다. 할고단지(割股斷指)나 지나친 거상(居喪)으로 인한 신체훼척은 경전에서 금하는 행위였지만, 관행적 효행 속에서는 이를 당연시 하거나 암묵적으로 권면하는 경우도 있다. 경전의 효행은 이성적 사유에 기반한 합리성이 중심이라면, 관행적 효행은 감성 의존의 주관적 효행에 가깝다. 『효경』과 『예기』 등에서는 신체보존을 효의 중요한 요소로 삼았고 그에 따른 합리적 요청이 있지만 일상적 효행 가운데에는 치병과 거상을 위한 신체훼손 사례가 상당수 있었다. 이렇듯 관행속의 효행은 아무리 순수한 부모공경의 감성적 발로라 하더라도 무절제와 불합리를 수반한 경우가 많았다. 또 이것이 자녀의 일방적 헌신ㆍ봉사ㆍ희생으로 비춰지면서 효는 부담스런 요소로 작용하였다. 본래적 효는 생활능력이 없는 노부모[老]를 젊은 자녀[子]가 보호한다는 의미[老+子]에서 강자의 약자 보호 기제였다. 하지만 언제부턴가 역전 현상이 벌어진 것이다. 강자에 대한 약자의 헌신ㆍ봉사ㆍ희생을 효라고 했다. 효개념의 왜곡이자 변질이다. 경전에서 권면하던 일상속의 평상적 사랑과 공경의 효는 사라지고, 그 자리를 엽기적 희생과 헌신의 효가 차지했다. 그리고 그것이 관행으로 자리하면서 부모자녀간의 순수하고 자연스런 효는 사라지고, 그 자리를 부담스런 강제 규범과 규정의 효행이 차지했다. 합리적 경전의 효행에서 불합리한 관행적 효행으로 효의 방향이 바뀐 것이다. 거기에는 관행적 효행을 주로 담은 『삼강행실도』의 영향이 컸다. 『삼강행실도』가 조선의 효행 흐름을 바꿔 놓은 것이다. 이를 정리하는데 조선왕조실록을 기초자료로 삼았다. The filial piety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One is filial piety based on the scriptures, and the other is filial piety based on practice. Scriptural filial piety is a product of education, and conventional filial piety is an oral product. Both of these have opposite sides. The filial piety of the scriptures is based on reason, whereas the filial piety of the practice is based on emotion. The scriptures oppose bodily harm, but the practice also admits bodily harm. In practice, the body was damaged in order to cure the parents’ illness. This is an act that the Xiaojing(孝經) or scriptures did not tolerate. In the scriptures, even excessive rituals were opposed because they were damaging to the body. However, there were many cases in which the body was damaged by overcompensating the customs. From the standpoint of scriptural filial piety, conventional filial piety has become rather not filial piety. I looked for such an example in the Annals of the Joseon(朝鮮) Dynasty. tried to find the basis for the statistics of filial piety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First of all, filial piety awards were the most common during the days of King Sejong(世宗). The next was King Danjong(端宗), who had a short reign. The surprising fact is that the method of filial piety in the days of King Sejong was dependent on a lot. Specifically, from the time of King Sejong, the customary efficacies increased a lot. In the scriptural filial piet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ustomary filial piety that damaged the body. The Sangangxingshitu(三綱行實圖) had a great influence on this. This is because the filial piety recorded on the Sangangxingshitu included a lot of conventional filial piety. The sacrificial filial piety is not when the strong (younger) protect the weak (elderly), but when the weak protect the strong.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is phenomenon happened during the time of King Sejong, who emphasized filial piety. This is covered in this paper.

      • KCI등재

        현대 한어 연동문의 동사와 ‘了1’의 결합양상

        김덕균 중국인문학회 2015 中國人文科學 Vol.0 No.61

        連動句是兩個或兩個以上動詞或動詞組共用一個主語的句子, 是一種複雜的動詞謂語句. 連動句兩個動詞組之間, 存在着多種多樣的意義關係. 其意義關係可以分爲‘先後’,‘手段’,‘目的’,‘方式’,‘互相補充說明’,‘因果’,‘地點’ 等. 本論文考察 第一動詞組跟 第二動詞組 從‘先後’,‘手段’,‘目的’,‘方式’,‘互相補充說明’,‘因果’,‘地點’ 等的意義關係來分析. 是否能與‘了1’配合起來. 其結果如下: 1. 在‘來/去+VP’構式裏 ‘來/去’跟 ‘了1’不能配合. 2. 兩個動詞組之間表示先後關係的連動句第一動詞組跟 第二動詞組都能與‘了1’配合. 3. 兩個動詞組之間表示手段關係的連動句只有第二動詞組能與‘了1’配合. 4. 兩個動詞組之間表示目的和方式關係的連動句‘了1’能與第二動詞組配合. 5. 兩個動詞組之間表示互相補充說明和地點關係的連動句‘了1’都不能跟第一動詞組和跟第二動詞組配合. 6. 兩個動詞組之間表示因果關係的連動句 ‘了1’一般跟第一動詞組配合,但第一動詞組有已然之 義時 ‘了1’也 可以跟第二動詞組配合,

      • KCI등재후보

        동아시아 소통 공감의 인성코드 효문화 탐색 - 전통적 효개념의 다의성과그 사회적 적용 가능성 검토 -

        김덕균 한국효학회 2016 효학연구 Vol.0 No.24

        효사상은 모든 종교·문화·사상의 저변에 깔려 있음에도 전통적 효에 대한 오해가 심하다. 효의 규범적·사회적·경제적 효과가 긍정적 요소보다는 부정적 요소가 많다는 지적이다. 권위주의 시절 이데올로기로 활용된 효의 역기능을 말한다. 하지만 한국인의 ‘집합의식’ ‘사회자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효정신이 과연 부정적인 요소일 수밖에 없을까? 거기엔 이 사회 긍정적으로 작용했던, 또 작용할만한 가치는 없을까? 여기서는 크게 세 가지 측면에 치중했다. 첫째, 효개념의 다의성을 인문적·사회적 가치차원에서 그 의미를 찾아보았다. 효를 단지 부모자녀간의 윤리적 차원에서만이 아닌 좀 더 다양한 가치를 두고 정리해 본 것이다. 둘째, 전통적 효를 보통 부모 말씀에 순종·복종하는 것으로 이해하는데, 때에 따라서는 불순종·불복종도 효가 될 수 있음을 고전을 토대로 정리하였다. 합리성을 전제로 하는 상황에 따라 때론 불순종·불복종도 효가 됨을 찾으면서 효의 다의성을 확인하는 일이었다. 가부장적 권위주의 시절에는 이치에 어긋나더라도 순종과 복종이 효라고 생각했지만, 그래서 일방적인 헌신·봉사·희생을 강요당했지만, 이미 당대 그렇지 않은 합리적 논의가 있었음을 확인 정리하였다. 셋째, 효문화가 유교적 가치와 맞물려 혈연주의·연고주의의 폐단을 가져오긴 하였지만, 한편에선 근현대사회 ‘사회자본’으로 긍정적 역할도 하였다는 것이다. 기독교 윤리가 서구 자본주의 정신으로 작용하였다는 막스 베버의 이론에 근거, 동북아시아에서는 유교가 급속한 경제발전의 원동력이 되었고, 그 가운데 특히 ‘기억과 재현’(추모와 제사)으로 표현될 수 있는 효문화가 중요한 정신적 요소로 작용하였다는 것이다. 넷째, 현대 오늘날 우리사회의 다문화·다민족사회 소통 공감코드로 효문화가 갖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다섯째, 복지지향의 사회에서 복지를 보완할 정신적 가치로서 효문화가 어떤 기능을 할 수 있을지를 모색해 보았다. 한국사회가 효복지사회로 가야할 의미와 내용을 생각해 본 것이다. 현대적 관점에서 심각한 폐단과 문제를 낳았던 효문화, 노동집약적 농경사회의 가족윤리에 기반 했던 효사상이 지식정보사회로 접어든 오늘날 왜 다시 필요한가를 정리한 것이다. 복지사회이자 다문화·다민족사회에서 효가 갖는 규범적 의미와 사회 통합적 소통·공감의 가치를 찾아 다시 활용할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보려는 뜻이다. There has been some misunderstanding on the traditional Filial piety(HYO: Harmony of Young & Old, 孝). It is true that most religions, cultures, and even some ideologies were at least partially based on HYO spirit.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HYO has shown some negative aspects, especially during the authoritarianism period. This study discussed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HYO which has significantly affected the Korean society. Three aspects of HYO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First, HYO may be understood as a few different meanings, such a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humanities and socioeconomic. HYO, of course, includes the ethical value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this study some socioeconomic values were also discussed. Second, traditional HYO usually means that children obey their parents. However, some classical literature reported that disobedience could also be HYO. This literature suggested that the disobedience due to the rationality and consideration of others could a way to express a variety of HYO. In patriarchal social order, only obedience was HYO. In this social system, the sacrifice and obedience of children were forced by the social system. Interestingly, during the same time period, some people were against this traditional HYO. This new movement was discussed in this study. Finally, when HYO and Confucianism were merged, the favoritism by blood, school, regional and even vocational connections caused lots of negative consequences in the society. This study discussed not only this negative aspect of HYO, but also some positive roles of HYO even in the Confucianism dominated society. We now live in a multicultural, multiracial and welfare society. If the HYO spirit was combined properly in this society, HYO may help advance the society with social norm, which may be safer and more valuable.

      • KCI등재
      • KCI등재

        현대 중국어 어기부사 ‘本來’ ‘原來’의 통사-의미기능 비교

        김덕균 중국인문학회 2014 中國人文科學 Vol.0 No.57

        本論文分析‘本來’‘原來’的用法.其重要探討兩個問題,第一:‘本來’‘原來’在單句式裏,在它的後面有何不同的詞彙出現.第二:‘本來’‘原來’能不能互相代替?假若不能互相代替,那它的理由是什么?第一個問題,能在語料庫上找到答案,把它們整理起來得到下列<表1>,是‘本來’‘原來’在單句式裏出現的詞彙, <表2>是‘本來’, <表3>是‘原來’在復句式裏出現的詞彙,<表1> 副詞, 助動詞 等本來 / 就, 已經, 可以, 能, 可能, 會, 應該(應, 該), 早就(早已), 想, 要, 打算, 等原來 / 就是, 早就(早已), 能, 想, 要, 打算, 比(原來) 等 <表2> 前句 / 本來-- //後句 /幷不會--, 也許會--, 可是--, 但--, 但現在--, 但結果--, 不過--, 有些是-- 有的是--, 現在讓--, 却被--, 現在更加--, 更--, 再--, 加上--, 竟然--, 格外--, 不料--, 又--, 變成--, 却變得--<表3> 前句 原來--// 後句 /却變成--, 甚至--, 現在是--, 如今變成--, 現在變得--, 現在成了--, 都成了--, 全部改爲--, 成爲--, 改變爲--, 馬上變了---, 辦成--, 後來--, 可現在--, 又--, 然而--, 不過--, 而且--, 現在被--, 恨不得--, 怪不得--,<表4>能說明‘本來’‘原來’爲什么互相不能代替的原因.副詞有‘斷言’‘釋因’‘推測’‘總結’四個功能.‘本來’‘原來’有‘釋因’‘推測’的功能. 沒有‘斷言’‘總結’的功能. ‘釋因’可以分爲理解性和溯源性釋因, ‘推測’可以分爲確定性和揣度性推測, 互相不能代替的原因在此. ‘本來’沒有理解性釋因, 而‘原來’有理解性釋因, ‘本來’有確定性和揣度性推測, 而‘原來’沒有確定性和揣度性推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